KR20080014958A - 의료용 와이어 - Google Patents

의료용 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4958A
KR20080014958A KR1020077022417A KR20077022417A KR20080014958A KR 20080014958 A KR20080014958 A KR 20080014958A KR 1020077022417 A KR1020077022417 A KR 1020077022417A KR 20077022417 A KR20077022417 A KR 20077022417A KR 20080014958 A KR20080014958 A KR 20080014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il
medical
tip member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2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7470B1 (ko
Inventor
히로노리 다카타
지로 이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Publication of KR20080014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means of electrically-heated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9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 A61B17/1210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 A61B17/12113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within an aneury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4Coils or wires
    • A61B17/12145Coils or wires having a pre-set deployed three-dimension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77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2017/1205Introduction devices
    • A61B2017/12054Details concerning the detachment of the occluding device from the introduction device
    • A61B2017/12068Details concerning the detachment of the occluding device from the introduction device detachable by he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lasma & Fusion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euro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도전성의 선재를 코일상으로 성형한 기단 및 말단을 갖는 선단부재와, 이 선단부재의 기단부에 접속된 도전성 푸셔 와이어(pusher wire)와, 이 선단부재의 말단부에 열가용성 접속부재를 거쳐 접속된 생체내 유치(留置)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부재가 전류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상기 생체내 유치부재를 이탈시키는 의료용 와이어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재의 코일 소선이 이웃하는 코일 소선과 밀접하고 있지 않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선단부재의 코일 소선이 적어도 다른 2개 이상의 피치(pitch)를 갖고, 또한 상기 의료용 와이어가, 상기 선단부재의 코일 와인드 내부에 위치하고, 기단 및 말단 사이에 연재하여 양단을 연결하고 있는 안전 와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와이어.
의료용 와이어, 생체내 유치부재, 생체 적합성 금속

Description

의료용 와이어{MEDICAL WIRE}
본 발명은, 생체내 유치(留置)부재를 생체 내의 소정의 장소에 유치하기 위한 의료용 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현재, 동맥류 등에 대한 침습성(侵襲性)이 적은 치료법으로서, 플라티나 등의 생체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생체내 유치부재를 동맥류 내에 유치하는 혈관 색전술이 알려져 있다.
이 방법에서는, 딜리버리(delivery)용의 와이어에 접속된 생체내 유치부재를 카테터를 통해, X선 조영 장치에 의한 투시 하에서 생체 내의 원하는 위치로 유도한 후, 생체내 유치부재를 목적의 장소로 와이어를 조작하여 송달시켜, 생체내 유치부재를 이탈한다. 생체내 유치부재를 이탈하는 방법으로는 기계식이나 전기식이 존재하지만, 예를 들면 전기식에서는 외부로부터 도전성 와이어와 생체에 접속하는 대극(對極) 사이에 전류를 공급하여, 접속부재를 분해·용단(溶斷)시켜, 생체내 유치부재를 이탈한다.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열용해 가능한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열가용성 부재를 도전성 와이어와 생체내 유치부재의 접속부재로서 사용한 혈관 폐색용 디바이스에서는, 도전성 와이어 선단부를 가열용 전극으로 하여 대극과의 사이에 공급한 고주파 전류에 의한 전극의 가열로 순식간에 접속 부재가 열용해하여 생체내 유치부재를 이탈시키기 때문에, 수술 시간이 짧고 환자나 의사에 대한 부담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어느 방법에서도 주의해야 하는 점은, 생체내 유치부재를 송달 중에 동맥류의 약화된 벽을 손상하지 않는 것이다. 생체내 유치부재는 물론 송달용구에 의한 손상을 피하는 것도 필수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구성, 특히 접속부재를 갖는 혈관 폐색용 디바이스에서는, 접속부재와 생체내 유치부재 및 송달용구의 접합부에서, 그 강성에 의해, 동맥류 내에 배치한 카테터가 움직이고, 또한 카테터가 동맥류 내에서 움직임으로써 동맥류의 벽을 손상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은 종래의 의료용 와이어의 일례에서의 도전성 푸셔 와이어(pusher wire)와 생체내 유치부재의 접속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의료용 와이어에서는, 도전성 푸셔 와이어(1a)의 선단부에 코일상의 전극부(1b)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전극부(1b)의 코일 내로,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로드(rod)상의 열가용성 접속부재(1c)의 기단부가 삽입되고 접착제(1d)에 의해 고정됨과 동시에, 열가용성 접속부재(1c)의 선단부는, 생체내 유치부재(1e)를 형성하는 코일 내로 삽입되고, 마찬가지로 접착제(1d)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1f는, 도전성 푸셔 와이어의 선단부와 기단부 이외의 부분에 마련한, 절연성 표면을 형성하는 불소 수지의 코팅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상기 접착제(1d)에 의해 열가용성 접속부재(1c)와 도전성 푸셔 와이어(1a)의 코일 소선이 불소 수지의 코팅 내부에서 고착되고, 코일부의 이웃하는 소선끼리가 강고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지름 방향으로의 전단력이 증가하여, 결과로서 도전성 푸셔 와이어(1a)의 유연성이 저해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7-265431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으로부터 그 목적은, 유연하고 안전성이 뛰어난 생체내 유치부재 송달을 위한 의료용 와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전성의 선재를 코일상으로 성형한 기단 및 말단을 갖는 선단부재와, 이 선단부재의 기단부에 접속된 도전성 푸셔 와이어와, 이 선단부재의 말단부에 열가용성 접속부재를 거쳐 접속된 생체내 유치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부재가 전류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상기 생체내 유치부재를 이탈시키는 의료용 와이어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재의 코일 소선이 이웃하는 코일 소선과 밀접하고 있지 않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선단부재의 코일 소선이 적어도 다른 2개 이상의 피치(pitch)를 갖고, 또한 상기 의료용 와이어가, 상기 선단부재의 코일 와인드 내부에 위치하고, 기단 및 말단 사이에 연재하여 양단을 연결하고 있는 안전 와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와이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안전 와이어가 환선(丸線) 혹은 평선인 상기의 의료용 와이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안전 와이어의 한 끝이 상기 선단부재의 내주(內周) 에 적어도 1개소 이상 용접, 경(硬)납땜 혹은 접착되어 있고, 다른 끝이 상기 선단부재의 기단부와 도전성 푸셔 와이어의 양쪽 혹은 한쪽에 용접, 경납땜 혹은 접착되는 상기의 의료용 와이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단부재 및 안전 와이어가, 생체 적합성 금속을 포함하는, 상기의 의료용 와이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단부재 및 상기 안전 와이어가, 백금, 팔라듐, 금, 텅스텐, 탄탈, 이리듐, 스테인리스 합금, 초탄성 합금 및 그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을 포함하는, 상기의 의료용 와이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단부재가, 상기 열가용성 접속부재를 전류에 의해 열용융시키기 위한 전극(제1 섹션), 상기 안전 와이어의 한 끝이 선단부재를 구성하는 코일 소선의 내주에 접속된 부분(제2 섹션) 및 상기 열가용성 접속부재의 기단부가 접착 고정된 부분(제3 섹션)으로 구성되는, 상기의 의료용 와이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단부재의 제1 섹션을 구성하는 이웃한 코일 소선이 서로 밀접된, 상기의 의료용 와이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단부재의 제1 섹션을 구성하는 코일 소선의 내주에 상기 열가용성 접속부재가 밀접된, 상기의 의료용 와이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단부재의 제2 섹션에서의 코일 소선의 피치가 제3 섹션의 코일 소선의 피치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상기의 의료용 와이어를 제공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단부재의 제3 섹션에서의 코일 소선의 피치가, 이웃하는 코일 소선이 밀접한 경우의 피치를 100%라 했을 경우, 110% 이상인, 상기의 의료용 와이어를 제공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의료용 와이어에 의하면, 도전성 푸셔 와이어의 선단부에 부착한 선단부재에서, 상기 선단부재의 코일 소선이 이웃하는 코일 소선과 밀접하고 있지 않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선단부재의 코일 소선이 적어도 다른 2개 이상의 피치를 가짐으로써, 접속부재와의 접속시에 유연성을 손상함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 와이어에 의해 선단부재의 늘어남을 억지(抑止)함으로써, 생체내 유치부재를 송달할 때에 선단부재를 변형 혹은 파단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성이 뛰어난 생체내 유치부재 송달이 행해진다.
도 1은 종래의 의료용 와이어의 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의료용 와이어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의료용 와이어의 사용 방법.
도 4는 본 발명의 의료용 와이어의 전기 회로 구성.
도 5는 본 발명의 의료용 와이어의 유연성을 측정한 도면.
[부호의 설명]
1a…도전성 푸셔 와이어, 1b…전극부, 1c…열가용성 접속부재, 1d…접착 제, 1e…생체내 유치부재, 1f…불소 수지 코팅, 2a…도전성 푸셔 와이어, 2b…선단부재, 2c…열가용성 접속부재, 2d…안전 와이어, 2e…생체내 유치부재, 2f…코팅, 2g…선단부재의 내주, 2h…선단부재의 기단부, 2i…접착제, 2j…전극부, 3a…동맥류, 3b…카테터, 3c…전극부, 3d…파지부, 3e…생체내 유치부재, 3f…열가용성 접속부재, 3g…생체, 4a…도전성 푸셔 와이어 기단부, 4b…대극판, 4c…도전성 푸셔 와이어, 4d…생체내 유치부재, 4e…전원 장치, 4f…전극부, 4g…열가용성 접속부재, 4h…카테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하여, 동맥류 코일 색전술에 적응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의료용 와이어의 일례에서의 도전성 푸셔 와이어와 생체내 유치부재의 접속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의료용 와이어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체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생체내 유치부재(2e)와, 그 생체내 유치부재(2e)를 목적의 부위에까지 송달시킬 수 있는 도전성 푸셔 와이어(2a)와, 그 생체내 유치부재(2e)와 그 도전성 푸셔 와이어(2a) 선단에 부착된 선단부재(2b)를 접속하는 열가용성 접속부재(2c)와, 선단부재 내부에 위치하고 기단 및 말단 사이에 연재하여 양단을 연결하고 있는 안전 와이어(2d)에 의해 구성된다.
생체내 유치부재(2e)로서는, 혈관 색전술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생체내 유치부재가 이용 가능하다. 생체내 유치부재(2e)의 형상으로서는, 나선상, S자상, 반 경이 변화하는 나선상, 또한 1차 형상과 2차 형상이 부여된 형상 등 각종 형상이 가능하지만, 특히 동맥 치료에서의 실적이 충분하다는 관점에서 1차 형상이 원형인 나선상이고, 원형의 2차 나선 형상이 부여된 2차 코일 형상이 바람직하다.
코일을 형성하는 선재의 재질로서는, 생체 적합성 금속, 예를 들면 플라티나(백금), 텅스텐, 금, 탄탈, 이리듐, 스테인리스 합금, 초탄성 합금 및 그들의 합금을 사용함이 가능하지만, 특히, 백금 합금, 또한, 플라티나와 텅스텐으로 이루어지는 합금이 동맥 치료의 실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선재의 단면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타원형이나 사각형, 삼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1차 코일은 2차 코일 형상이나 삼차원적인 형상을 갖고, 선단측은, 생체를 손상하지 않도록 둥글게 가공되어 있음이 적합하다.
도전성 푸셔 와이어(2a)의 형상으로서는, 나선상, S자상, 반경이 변화하는 나선상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태양에서는, 도전성 푸셔 와이어(2a)의 형상은, 테이퍼상의 스테인리스 합금제 와이어의 선단부에 스테인리스 합금 및 백금 합금 코일을 입혀 고정한 구조이며, 선단부는 코일 형상에 의한 내공(內孔)을 갖는다. 선단부의 외경은 0.25mm 이상이고 내경은 0.12mm 이상이 적합하다. 또한, 선단부의 외경은, 0.25mm 이상 0.45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선단부의 내경은 0.12mm 이상 0.20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성 푸셔 와이어(2a)의 선단에는 선단부재(2b)가 접속된다. 선단부재(2b)는 코일 소선이 이웃하는 코일 소선과 밀접하고 있지 않는 부분을 포함하며, 코일 소선이 적어도 다른 2개 이상의 피치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 써, 의료용 와이어의 유연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또, 본 발명에서, 선단부재를 구성하는 코일 소선이 이웃하는 코일 소선과 밀접하고 있지 않는다 함은, 이웃하는 코일 소선끼리의 표면이 완전히 밀접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며, 일부가 밀접하고 있지 않는 상태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피치라 함은 이웃하는 코일 소선의 한번 감음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고, 「다른 2개 이상의 피치를 갖는다」함은 한번 감음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고, 2개 이상의 다른 거리로 코일이 감겨 있음을 나타낸다.
상기 도전성 푸셔 와이어(2a)의 선단에 접속되는 선단부재(2b)의 형상은 나선상, S자상, 반경이 변화하는 나선상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태양에서는, 상기 도전성 푸셔 와이어(2a)의 선단에 접속되는 선단부재(2b)의 형상은, 도전성의 선재를 코일상으로 성형한 것이다. 선재의 재질로서는, 생체 적합성 금속, 예를 들면 플라티나(백금), 팔라듐, 텅스텐, 금, 탄탈, 이리듐, 스테인리스 합금, 초탄성 합금 및 그들에서 임의로 선택된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을 사용함이 가능하지만, 특히 스테인리스 합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외경, 내경은 상기 도전성 푸셔 와이어(2a)의 선단부 외경, 내경과 동등함이 바람직하고, 도전성 푸셔 와이어(2a)와의 접속부에서 단차가 생기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딜리버리시에 이 단차에 의해 카테터의 내공이나 도입구에서 걸림을 저감하고, 와이어의 변형을 막기 위함이다.
선단부재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열가용성 접속부 재(2c)를 전류에 의해 열용융시키기 위한 전극부(2j)(제1 섹션), 상기 안전 와이어(2d)의 한 끝이 선단부재(2b)를 구성하는 코일 소선의 내주(2g)에 접속된 부분(제2 섹션) 및 상기 열가용성 접속부재(2c)의 기단부가 접착 고정된 부분(제3 섹션)으로 구성된다.
선단부재의 제1 섹션(S1)은, 그 선단부재를 구성하는 코일 소선의 내주에 배치된 상기 열가용성 접속부재(2c)를 전류에 의해 열용해시키기 위한 전극으로서 사용되고, 발열에 필요한 임피던스로부터 그 감은 수 및 피치는 적절히 선택된다.
열가용성 접속부재(2c)로서는, 생체의 체온인 예를 들면 35∼37℃ 정도에서는 충분히 큰 강성 또는 기계적 강도를 갖고, 또한 그 융점이 100℃ 이하인 것을 들 수 있다. 1∼3초간 이내라는 극히 단시간의 고주파 전류의 공급에 의해, 이탈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열가용성 접속부재(2c)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시간 발열 등의 조작이 가능하다는 관점에서, 상기 선단부재의 제1 섹션을 구성하는 이웃한 코일 소선간은 밀접하고 있음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의 전도성이 양호하다는 관점에서, 상기 열가용성 접속부재(2c)는, 상기 선단부재의 제1 섹션을 구성하는 코일 소선의 내주에 밀접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선단부재의 제2 섹션(S2)은 상기 안전 와이어(2d)의 한 끝을 선단부재를 구성하는 코일 소선의 내주(2g)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됨과 동시에, 선단부재의 늘어남을 억지함으로써, 선단부재의 변형이나 파단을 억제하고, 또한 의료용 와이어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 이웃하는 코일 소선간의 거리는, 인접하는 코일 소선이 밀착하고 있을 경우를 100%라 하면, 적합하게는 400% 이상으로 설정하여, 이웃하는 코일 소선의 극간을 이용하여 용접 등의 가공이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웃하는 코일 소선간의 거리는, 400% 이상 5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전 와이어(2d)의 접속 방법으로서는 용접, 경납땜, 접착을 들 수 있고, 한 끝은 선단부재의 내주(2g)에, 다른 끝은 선단부재의 기단부(2h)와 도전성 푸셔 와이어(2a)의 양쪽 혹은 한쪽에 접속된다. 상기 안전 와이어(2d)는, 상기 선단부재가 소정의 길이 이상의 늘어남을 억지 가능한 한 임의의 장척부재가 이용 가능하다. 상기 안전 와이어(2d)는 기단 및 말단 사이에 연재하여 양단을 연결하고, 선단부재의 늘어남을 억지할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만약 이와 같은 안전 와이어(2d)가 없다면, 딜리버리시에 선단부재를 변형 혹은 파단할 가능성이 있다. 즉 선단부재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피치를 넓히면, 소선간의 극간에 카테터의 단부(端部)가 걸리기 쉽고, 카테터의 단부가 걸리면 피치가 더 넓어져, 경우에 따라서는 소선이 파단할 가능성이 있지만 안전 와이어(2d)를 배치함으로써 이들의 위험성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안전 와이어의 재질로서는, 생체 적합성 금속, 예를 들면 플라티나(백금), 팔라듐, 텅스텐, 금, 탄탈, 이리듐, 스테인리스 합금, 초탄성 합금 및 그들에서 임의로 선택된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을 사용함이 가능하지만, 특히 스테인리스 합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단부의 제2 섹션에서의 코일 소선의 피치는, 후술의 제3 섹션의 코일 소선의 피치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3 섹션에 주입한 접착제가 제2 섹션으로 흘러 들어가기 어려워져 보다 선단측의 제1 섹션을 접착제에 의해 오염시키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이것은, 접착제에 의해 제1 섹션에서 전극부(2j)와 열가용성 접속부재(2c)가 접착되면, 전극부(2j)가 가열되어도 결과로서 생체내 유치부재(2e)를 분리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선단부재의 제3 섹션(S3)은 상기 열가용성 접속부재(2c)의 기단부를 접착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는 접착제(2i)에 의해 이웃하는 소선끼리가 강고하게 연결되는 것을 막는 것 및,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접착제(2i)가 코일 소선을 따라 말단부로 흐르는 것을 막기 위한 액체 풀(pool)로서 이용되고, 그 피치는 이웃하는 코일 소선이 밀접한 경우의 피치를 100%라 했을 경우, 110% 이상임이 바람직하고, 110% 이상 140% 이하임이 요망된다.
접착제(2i)는, 코일 소선의 내부를 충전하도록 제공되어도 좋지만, 의료용 와이어의 유연성을 확보한다는 관점에서, 코일 소선 사이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용성 접속부재(2c)의 선단측은 상기 생체내 유치부재(2e)의 내공부로 삽입되어 접착 고정된다. 이 열가용성 접속부재(2c)의 외경은 0.1mm 이상, 전장은 1mm 이상이며, 상기 선단부재(2b)의 내공 및 상기 생체내 유치부재(2e)의 내공으로 삽입되는 길이는 0.3mm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가용성 접속부재(2c)의 외경은, 0.10mm 이상 0.18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전장은 1mm 이상 3mm 이 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선단부재(2b)의 내공 및 상기 생체내 유치부재(2e)의 내공으로 삽입되는 길이는 0.3mm 이상, 0.5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단부재(2b)의 전극부(2j)와 기단부(도 4의 4a) 이외의 부분에는, 코팅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코팅(도 2의 2f)을 마련함으로써 카테터 내에서의 의료용 와이어의 활성(滑性)이 향상한다는 이점이 있다. 코팅으로서는, 절연성 표면을 형성하는 수지, 예를 들면 불소 수지의 코팅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전성 푸셔 와이어(2a)를 구성하는 코일 소선과 접속하고 있는 선단부재(2b)의 기단부(2h)는, 예를 들면, 도전성 푸셔 와이어(2a)의 선단부와 선단부재(2b)의 기단부를 동축선상에 맞붙힌 후, 예를 들면, 레이저 용접에 의해 접착한 구성을 갖는다. 레이저 용접 이외에, 경납땜이나 연납땜의 방법을 채용해도 좋다.
이상의 구성의 의료용 와이어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생체내 유치부재(3e)가 적용되는 생체(3g)에 배치된 카테터(3b) 내로 당해 의료용 와이어를 도입하고, X선 투시 하에서 확인하면서 생체내 유치부재(3e)가 동맥류(3a)로 유도된다. 이 조작은 도전성 푸셔 와이어의 절연성 표면이 형성되어 있는 주변측(근위측)의 파지부(3d)를 쥔 상태에서 행해진다. 그리고, 카테터(3b)의 선단으로부터, 선단부재의 전극부(3c) 및 그보다 원위측의 부분, 즉 전극부(3c), 열가용성 접속부재(3f) 및 생체내 유치부재(3e)가 돌출되어, 생체내 유치부재(3e)가 동맥류(3a) 내로 도입된 상태가 된다.
한편,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성 푸셔 와이어(4c)의 기단부(4a)와, 생체의 체표면에 접촉하여 마련된 대극판(4b) 사이에는 전원 장치(4e)가 접속되고, 이에 의하여, 도전성 푸셔 와이어(4c)와 대극판(4b) 사이에 전기적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카테터(4h) 내를 통해 생체내 유치부재(4d)가 동맥류 내로 삽입된 상태(예를 들면, 도 3)에서, 전원 장치(4e)로부터의 가열 전류가 도전성 푸셔 와이어(4c)에 공급되고, 이에 의하여, 전극부(4f)가 발열하여 열가용성 접속부재(4g)가 가열되고, 미리 물 등에 의해 팽윤시켜 둔 당해 열가용성 접속부재(4g)가 용단하여 생체내 유치부재(4d)가 분리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동맥류에 생체내 유치부재를 유치할 때에는, 동맥류 내로 도입한 카테터를 통해 생체내 유치부재를 송달시키지만, 푸셔 와이어의 강성이 높을 경우, 카테터의 굴곡을 따라 생체내 유치부재가 송달된다기 보다는 오히려, 푸셔 와이어의 강성에 의해 카테터 자체가 직선상으로 뻗을 가능성이 있고, 또한 카테터가 동맥류 내에서 움직임으로써 동맥류벽의 손상을 초래할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은 선단부재를 갖는 구성에 의하면, 선단부재의 유연성에 의해, 동맥류의 벽을 손상하지 않고, 안전하게 생체내 유치부재의 송달이 행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푸셔 와이어 선단부의 유연성을 측정하여 종래의 푸셔 와이어와의 비교를 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품 및 본 발명품(샘플 1∼3)을 각 3개씩 사용하고, 푸셔 와이어 선단부로부터 주변측에 1cm, 2cm, 3cm의 위치에서 압축 시험을 행하여, 굴곡 탄성 강도를 측정했다(시험 방법으로서, 50mm/min의 속도로, 압자를 2mm 압입했을 때의 하중을 측정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품은 측정점 1cm의 위치에서는 종래품에 대하여 약 20%, 측정점 2cm의 위치에서는 종래품에 대하여 약 30%, 측정점 3cm의 위치에서 는 종래품에 대하여 약 40%의 굴곡 탄성 강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은 선단부재를 갖는 구성에 의하면, 선단부재의 유연성이 향상하여, 안전하게 생체내 유치부재의 송달이 행해짐을 알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동맥류 코일 색전술을 예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생체내 유치부재를 도전성 와이어로부터 분리하는 치료 전반에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의료용 와이어는, 생체내 유치부재를 도전성 와이어로부터 분리하는 치료 전반에 사용 가능하며, 그 중에서도 동맥류 등에 대한 침습성(侵襲性)이 적은 질환의 치료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도전성의 선재를 코일상으로 성형한 기단 및 말단을 갖는 선단부재와, 이 선단부재의 기단부에 접속된 도전성 푸셔 와이어(pusher wire)와, 이 선단부재의 말단부에 열가용성 접속부재를 거쳐 접속된 생체내 유치(留置)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부재가 전류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상기 생체내 유치부재를 이탈시키는 의료용 와이어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재의 코일 소선이 이웃하는 코일 소선과 밀접하고 있지 않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선단부재의 코일 소선이 적어도 다른 2개 이상의 피치(pitch)를 갖고, 또한 상기 의료용 와이어가, 상기 선단부재의 코일 와인드 내부에 위치하고, 기단 및 말단 사이에 연재하여 양단을 연결하고 있는 안전 와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와이어가 환선(丸線) 혹은 평선인 의료용 와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와이어의 한 끝이 상기 선단부재의 내주(內周)에 적어도 1개소 이상 용접, 경납땜 혹은 접착되어 있고, 다른 끝이 상기 선단부재의 기단부와 도전성 푸셔 와이어의 양쪽 혹은 한쪽에 용접, 경납땜 혹은 접착되는 의료용 와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재 및 안전 와이어가, 생체 적합성 금속을 포함하는, 의료용 와이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재 및 상기 안전 와이어가, 백금, 팔라듐, 금, 텅스텐, 탄탈, 이리듐, 스테인리스 합금, 초탄성 합금 및 그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을 포함하는, 의료용 와이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재가, 상기 열가용성 접속부재를 전류에 의해 열용융시키기 위한 전극(제1 섹션), 상기 안전 와이어의 한 끝이 선단부재를 구성하는 코일 소선의 내주에 접속된 부분(제2 섹션) 및 상기 열가용성 접속부재의 기단부가 접착 고정된 부분(제3 섹션)으로 구성되는 의료용 와이어.
  7. 제6항에 있어서,
    선단부재의 제1 섹션을 구성하는 이웃한 코일 소선이 서로 밀접된 의료용 와이어.
  8. 제7항에 있어서,
    선단부재의 제1 섹션을 구성하는 코일 소선의 내주에 상기 열가용성 접속부재가 밀접된 의료용 와이어.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단부재의 제2 섹션에서의 코일 소선의 피치가 제3 섹션의 코일 소선의 피치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의료용 와이어.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단부재의 제3 섹션에서의 코일 소선의 피치가, 이웃하는 코일 소선이 밀접한 경우의 피치를 100%라 했을 경우, 110% 이상인 의료용 와이어.
KR1020077022417A 2005-05-24 2006-05-22 의료용 와이어 KR1012374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51203 2005-05-24
JP2005151203 2005-05-24
PCT/JP2006/310121 WO2006126474A1 (ja) 2005-05-24 2006-05-22 医療用ワイ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958A true KR20080014958A (ko) 2008-02-15
KR101237470B1 KR101237470B1 (ko) 2013-02-26

Family

ID=37451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2417A KR101237470B1 (ko) 2005-05-24 2006-05-22 의료용 와이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884208B1 (ko)
JP (1) JP4872913B2 (ko)
KR (1) KR101237470B1 (ko)
WO (1) WO200612647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7224A (ko) * 2009-04-15 2012-03-21 마이크로벤션, 인코포레이티드 임플란트 전달 시스템
KR101310471B1 (ko) * 2010-06-15 2013-09-24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카테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0637B2 (en) * 2000-02-09 2010-06-22 Micrus Endovascula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ployment of a therapeutic device using a catheter
JP5631722B2 (ja) * 2010-12-21 2014-11-26 株式会社シンテック 医療用線状部材
JP5641985B2 (ja) * 2011-03-11 2014-12-17 株式会社カネカ 医療用具
US9326774B2 (en) 2012-08-03 2016-05-03 Covidien Lp Device for implantation of medical devices
US8597323B1 (en) 2012-11-16 2013-12-03 Sequent Medical, Inc. Delivery and detachment systems and methods for vascular implants
EP2967573B1 (en) 2013-03-14 2021-04-21 Stryker Corporation Vaso-occlusive device delivery system
US9808256B2 (en) 2014-08-08 2017-11-07 Covidien Lp Electrolytic detachment elements for implant delivery systems
US9814466B2 (en) 2014-08-08 2017-11-14 Covidien Lp Electrolytic and mechanical detachment for implant delivery systems
US9717503B2 (en) 2015-05-11 2017-08-01 Covidien Lp Electrolytic detachment for implant delivery systems
US10828039B2 (en) 2016-06-27 2020-11-10 Covidien Lp Electrolytic detachment for implantable devices
US10828037B2 (en) 2016-06-27 2020-11-10 Covidien Lp Electrolytic detachment with fluid electrical connection
US11051822B2 (en) 2016-06-28 2021-07-06 Covidien Lp Implant detachment with thermal activation
CN114796808A (zh) * 2017-09-30 2022-07-29 朝日英达科株式会社 导丝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8986A (en) * 1985-11-26 1988-06-07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Floppy guide wire with opaque tip
US5122136A (en) * 1990-03-13 1992-06-1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Endovascular electrolytically detachable guidewire tip for the electroformation of thrombus in arteries, veins, aneurysms, vascular malformations and arteriovenous fistulas
JP2880070B2 (ja) * 1994-03-31 1999-04-05 株式会社カネカメディックス 生体内留置部材を有する医療用ワイヤー
US5766160A (en) * 1995-06-06 1998-06-16 Target Therapeutics, Inc. Variable stiffness coils
JP3754145B2 (ja) * 1996-09-20 2006-03-08 株式会社カネカメディックス 生体内留置部材を有する医療用ワイヤー
US6478773B1 (en) * 1998-12-21 2002-11-12 Micrus Corporation Apparatus for deployment of micro-coil using a catheter
US7608058B2 (en) * 2002-07-23 2009-10-27 Micrus Corporation Stretch resistant therapeutic device
US7651513B2 (en) * 2003-04-03 2010-01-26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Flexible embolic device delivery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7224A (ko) * 2009-04-15 2012-03-21 마이크로벤션, 인코포레이티드 임플란트 전달 시스템
KR101310471B1 (ko) * 2010-06-15 2013-09-24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카테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84208A4 (en) 2013-05-22
KR101237470B1 (ko) 2013-02-26
WO2006126474A1 (ja) 2006-11-30
EP1884208A1 (en) 2008-02-06
JPWO2006126474A1 (ja) 2008-12-25
JP4872913B2 (ja) 2012-02-08
EP1884208B1 (en)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470B1 (ko) 의료용 와이어
US8398671B2 (en) Electrical contact for occlusive device delivery system
JP6359664B2 (ja) 血管閉塞器具送達システム
US9504475B2 (en) Delivery wire for occlusive device delivery system
US8048104B2 (en) Device for the implantation of occlusion spirals
EP3009084B1 (en) Vaso-occlusive device delivery system
US9265504B2 (en) Vaso-occlusive coil delivery system
JP4130234B2 (ja) 生体内留置部材配置用医療用具
US7323000B2 (en) Device for implanting of occlusion spirals
US8992563B2 (en) Delivery wire assembly for occlusive device delivery system
US20120209310A1 (en) Vaso-occlusive device delivery system
US20090254111A1 (en) Device for implanting occlusion spirals comprising an interior securing element
US20100268251A1 (en) Delivery wire for occlusive device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US9314250B2 (en) Electrical contact for occlusive device delivery system
US20100234872A1 (en) Electrical contact for occlusive device delivery system
US20110118772A1 (en) Delivery wire assembly for occlusive device delivery system
US20110106098A1 (en) Occlusive device delivery system
JPH11197250A (ja) 生体内留置部材配置用ワイヤー装置
JP4463191B2 (ja) 生体留置部材用プッシャーワイヤ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