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4348A - Image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Image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4348A
KR20080014348A KR1020060075910A KR20060075910A KR20080014348A KR 20080014348 A KR20080014348 A KR 20080014348A KR 1020060075910 A KR1020060075910 A KR 1020060075910A KR 20060075910 A KR20060075910 A KR 20060075910A KR 20080014348 A KR20080014348 A KR 20080014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display panel
heat dissipation
dissipation frame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9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37164B1 (en
Inventor
오재영
김희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5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7164B1/en
Publication of KR20080014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3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7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71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Holding-devices for protective discs or for picture mas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An image display apparatus is provided to improve the connection between a back cover and a front cover, thereby reducing vibration and noise. An image display panel(100) displays an image. A radiating frame(120) is arranged at the rear of the image display panel. A connection member(150) is arranged at a side of the radiating frame and has one or more penetration holes. The connection member is also formed integrally with the radiating frame. The connection member is fixed to the radiating frame by the predetermined combination member. The connection member connects a back cover for covering the rear of the image display panel with a front cover for covering a portion of the image display panel through the penetration holes. A buffer member includes conductive materials.

Description

영상 표시 장치{Image Display Apparatus}Image Displa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방열 프레임 및 연결부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heat dissipation frame and the connection in more detail.

도 3a 내지 도 3b는 연결부의 기능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3A to 3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fun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도 4a 내지 도 4c는 연결부의 또 다른 배치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4A to 4C are views for explaining another arrangement method of the connecting portion.

도 5a 내지 도 5b는 연결부의 형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5A to 5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form of the connecting portion.

도 6a 내지 도 6b는 연결부의 관통 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6A to 6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through holes of the connecting portion.

도 7은 연결부의 기울기 조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clination adjustment of the connecting portion.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8A to 8B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 plasma display panel that can be included in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영상 표시 패널 110 : 영상 필터100: image display panel 110: image filter

120 : 방열 프레임 130 : 백 커버120: heat dissipation frame 130: back cover

140 : 프론트 커버 150 : 연결부140: front cover 150: connection portion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장치(Image Display Apparatus)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일반적으로 영상 표시 장치는 화면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 패널과 영상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방열 프레임을 포함한다.In general, the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es an image display panel displaying an image on a screen and a heat dissipation frame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image display panel.

여기서 영상 표시 패널에는 영상 표시 패널에는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 전계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이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Here, the image display panel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a field emission display panel (F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and a plasma display panel (Plasma). Display panel).

방열 프레임에는 영상 표시 패널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 보드가 배치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frame may include a driving board for su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image display panel.

한편, 종래의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구동 시 진동이 발생하고, 이러한 진동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Meanwhile, in the conventional video display device, vibration occurs during driving, and noise may occur due to the vibration.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백 커버(Back Cover)와 프론트 커버(Front Cover)의 체결을 개선하여 진동 및 소음 발생이 저감된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in which vibration and noise are reduced by improving the fastening of a back cover and a front cover.

상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 패널과, 영상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방열 프레임 및 방열 프레임의 측면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관통 홀(Hole)이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 heat dissipation frame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image display panel, and a side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frame are formed,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is form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여기서, 연결부는 방열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connection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egrally with the heat dissipation frame,

또는, 연결부는 소정의 체결 수단에 의해 방열 프레임에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fastened to the heat dissipation frame by a predetermined fastening means.

또한, 연결부는 관통 홀을 통해 영상 표시 패널의 배면을 덮는 백 커버(Back Cover)와 영상 표시 패널의 전면의 일부를 덮는 프론트 커버(Front Cover)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ng unit may connect a back cover covering the rear surface of the image display panel and a front cover covering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image display panel through the through hole.

또한, 연결부와 백 커버의 사이 또는 연결부와 프론트 커버의 사이에는 완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ushioning portion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back cover or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front cover.

또한, 완충부는 전기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uffer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또한, 영상 표시 패널은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mage display panel may be a plasma display panel which displays an image by using plasma discharg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영상 표시 패널(100), 방열 프레임(120) 및 연결부(1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display panel 100, a heat dissipation frame 120, and a connection unit 150.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백 커버(Back Cover, 130), 프론 트 커버(Front Cover, 140) 및 영상 필터(11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back cover 130, a front cover 140, and an image filter 110.

영상 표시 패널(100)은 화면상에 소정의 영상을 표시한다.The image display panel 100 displays a predetermined image on the screen.

백 커버(130)는 영상 표시 패널(100)의 배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아울러, 프론트 커버(140)는 영상 표시 패널(100)의 전면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다.The back cover 130 is disposed to cover the rear surface of the image display panel 100. In addition, the front cover 140 is disposed to cover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image display panel 100.

이러한 백 커버(130)와 프론트 커버(140)는 영상 표시 패널(100)을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The back cover 130 and the front cover 140 may protect the image display panel 100 from external impact.

영상 필터(110)는 영상 표시 패널(100)의 전면에 배치되고, 영상 표시 패널(100)의 구동 시 발생하는 전자파 장애(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 EMI)를 차폐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image filter 110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mage display panel 100 and may perform a function of shield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generated when the image display panel 100 is driven.

여기서, 영상 필터(110)는 필름 필터(Film Filter) 또는 글라스 필터(Glass Filter)일 수 있다.The image filter 110 may be a film filter or a glass filter.

이러한, 영상 필터(110)는 전자파 장애를 차폐하기 위한 전자파 차폐층, 자외선 차단 및 외부 반사광을 줄이기 위한 반사방지층, 근적외선 차단을 위한 근적외선 차폐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filter 110 may include an electromagnetic shielding layer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n antireflection layer for reducing ultraviolet rays and external reflected light, a near infrared shielding layer for blocking near infrared rays, and the like.

여기서, 방열 프레임(120)은 영상 표시 패널(100)의 배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열 프레임(120)에는 영상 표시 패널(100)의 전극(Electrode)으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 보드(미도시) 또는 구동 전압을 발생시키는 전압원(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frame 120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image display panel 100. The heat dissipation frame 120 may include a driving board (not shown) for supplying a driving signal to an electrode of the image display panel 100 or a voltage source (not shown) for generating a driving voltage.

연결부(150)는 방열 프레임(120)의 측면에 배치되고, 아울러 하나 이상의 관통 홀(Hole, 부호 미지정)이 형성된다.The connection part 150 is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frame 120,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Hole, not designated) is formed.

이러한, 연결부(150)는 관통 홀을 통해 영상 표시 패널(100)의 배면을 덮는 백 커버(130)와 영상 표시 패널(100)의 전면의 일부를 덮는 프론트 커버(140)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part 150 may connect the back cover 130 covering the rear surface of the image display panel 100 and the front cover 140 covering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image display panel 100 through the through hole. .

이러한 방열 프레임(120) 및 연결부(150)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heat dissipation frame 120 and the connection portion 150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2는 방열 프레임 및 연결부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heat dissipation frame and the connection in more detail.

도 2를 살펴보면, 연결부(210)에는 관통 홀(211)이 형성되고, 이러한 연결부(210)는 방열 프레임(200)의 측면에 배치된다.2, the through part 211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210, and the connection part 210 is disposed at the side of the heat dissipation frame 200.

여기, 도 2에서는 방열 프레임(200)의 한쪽 측면에 총 6개의 연결부(210)가 배치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연결부(210)의 개수는 1개, 2개, 3개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Here, in FIG. 2, only a case in which a total of six connection parts 210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eat dissipation frame 200 is illustrated, but the number of such connection parts 210 may be varied to one, two, three, and the like. can be changed.

이러한 연결부(210)의 기능에 대해 첨부된 도 3a 내지 도 3b를 결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attached Figure 3a to 3b attached to the function of the connection 210 as follows.

도 3a 내지 도 3b는 연결부의 기능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A to 3B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fun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먼저, 도 3a를 살펴보면 연결부(210)가 백 커버(130)와 프론트 커버(140)를 체결한 구조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3A, an exampl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210 fastens the back cover 130 and the front cover 140 is shown.

예를 들면, 방열 프레임(120)의 전면에는 영상 표시 패널(100)이 배치되고, 이러한 영상 표시 패널(100)의 전면에는 영상 필터(110)가 배치된다. 여기서 부호 110의 영상 필터는 필름 필터 타입(Film Filter Type)의 영상 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image display panel 10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heat dissipation frame 120, and the image filter 11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image display panel 100. The image filter 110 is preferably an image filter of a film filter type.

여기서, 방열 프레임(120)과 영상 표시 패널(100)의 사이에는 접착 층(340)이 형성되고, 이러한 접착 층(340)에 의해 방열 프레임(120)에 영상 표시 패널(100)이 부착될 수 있다.Here, an adhesive layer 340 is formed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frame 120 and the image display panel 100, and the image display panel 100 may be attached to the heat dissipation frame 120 by the adhesive layer 340. have.

방열 프레임(120)에 연결부(210)가 체결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부호 300의 체결 수단에 의해 연결부(210)가 방열 프레임(120)에 체결된다. 여기서, 부호 300의 체결 수단은 스크류(Screw) 타입뿐만 아니라, 리벳 타입, 핀 타입 등의 다양한 체결 수단일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210 may be fastened to the heat dissipation frame 120. For example, the connection part 210 is fastened to the heat dissipation frame 120 by a fastening means of reference numeral 300. Herein, the fastening means 300 may be various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type, a rivet type, a pin type, and the like.

한편, 여기 도 3a에서는 연결부(210)가 체결 수단(300)에 의해 방열 프레임(120)에 체결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연결부(210)와 방열 프레임(12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in FIG. 3A, only the case where the connecting portion 210 is fastened to the heat dissipation frame 120 by the fastening means 300 is illustrated. However, the connecting portion 210 and the heat dissipation frame 120 may be integrally formed. .

아울러, 백 커버(130)와 프론트 커버(140)는 연결부(210)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연결부(210)의 관통 홀을 통해 부호 310의 체결 수단이 관통하여 백 커버(130)와 프론트 커버(140)를 서로 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ck cover 130 and the front cover 140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portion 210. In more detail, the fastening means having the reference numeral 31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connection portion 210 to fasten the back cover 130 and the front cover 140 to each other.

이와 같이, 연결부(210)의 관통 홀을 통해 백 커버(130)와 프론트 커버(140)가 체결되면 구동 시 진동 및 소음 발생이 저감될 수 있다.As such, when the back cover 130 and the front cover 140 are fastene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connection part 210, vibration and noise may be reduced during driving.

예를 들어, 연결부(210)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백 커버(130)와 프론트 커버(140)가 직접 체결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경우에는 구동 시 백 커버(130) 및 프론트 커버(140)가 진동할 수 있고, 이러한 진동에 의해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nnection unit 210 is omitted, the back cover 130 and the front cover 140 may be directly fastened. In this case, the back cover 130 and the front cover 140 may vibrate during driving, and noise may be generated by the vibration.

반면에, 본 발명에서와 같이 백 커버(130)와 프론트 커버(140)가 연결부(210)에 연결됨으로써 체결되는 경우에는, 백 커버(130)와 프론트 커버(140)가 연결부(210)에 의해 방열 프레임(120)에 고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시 진동 발생이 저감되고, 결과적으로 소음 발생이 저감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ack cover 130 and the front cover 140 is fastened by being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210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 cover 130 and the front cover 140 by the connecting portion 210 The effect of being fixed to the heat dissipation frame 120 can be obtained. Accordingly, the generation of vibration during driving can be reduced, and as a result, the generation of noise can be reduced.

다음, 도 3b를 살펴보면 백 커버(130)와 연결부(210)의 사이 및 프론트 커버(140)와 연결부(210)의 사이에 완충부(320, 3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3B, buffer parts 320 and 330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back cover 130 and the connection part 210 and between the front cover 140 and the connection part 210.

여기, 도 3b에서는 백 커버(130)와 연결부(210)의 사이 및 프론트 커버(140)와 연결부(210)의 사이에 각각 완충부(320, 330)가 더 구비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백 커버(130)와 연결부(210)의 사이 또는 프론트 커버(140)와 연결부(210)의 사이 중 어느 한곳에만 완충부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부호 320의 완충부 또는 부호 330의 완충부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는 것이다.Here, although FIG. 3B illustrates only the case where the buffer parts 320 and 330 ar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back cover 130 and the connection part 210 and between the front cover 140 and the connection part 210, respectively, The buffer unit may be provided only at any one of the cover 130 and the connection unit 210 or between the front cover 140 and the connection unit 210. That is, either the buffer of 320 or the buffer of 330 may be omitted.

여기서, 완충부(320, 330)는 전기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buffers 320 and 330 preferably include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이와 같이, 완충부(320, 330)가 전기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게 되면, 연결부(210)와 백 커버(130) 또는 연결부(210)와 프론트 커버(1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방열 프레임(120)과 백 커버(130) 또는 방열 프레임(120)과 프론트 커버(1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접지(GND)가 강화될 수 있다.As such, when the buffer parts 320 and 330 include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the connection part 210 and the back cover 130 or the connection part 210 and the front cover 14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s a result, the heat dissipation frame 120 and the back cover 130 or the heat dissipation frame 120 and the front cover 14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Accordingly, the ground GND may be strengthened.

다음, 도 4a 내지 도 4c는 연결부의 또 다른 배치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Next, FIGS. 4A to 4C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nother arrangement method of the connection unit.

먼저, 도 4a를 살펴보면 앞선 도 2에서와는 다르게 방열 프레임(400)의 두 장측면에 연결부(410)가 각각 배치된다.First, referring to FIG. 4A, unlike in FIG. 2, the connecting portions 410 are disposed on two long sides of the heat dissipation frame 400.

예를 들면, 앞선 도 2에서는 방열 프레임의 하나의 측면, 즉 상측면에만 총 6개의 연결부가 배치되었지만, 여기 도 4a에서와 같이 방열 프레임(400)의 두 측면, 즉 상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6개씩의 연결부(41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410)의 개수는 다양하게 조절가능하다.For example, in FIG. 2, six connections are disposed on only one side of the heat dissipation frame, that is, the upper side, but as shown in FIG. 4A, the two sides of the heat dissipation frame 400,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respectively. Six connection parts 410 may be arranged. Here, the number of the connecting portion 410 is variously adjustable.

다음, 도 4b를 살펴보면 방열 프레임(400)의 모든 측면에 각각 연결부(420, 430)가 배치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4B, connecting parts 420 and 430 may be disposed on all sides of the heat dissipation frame 400, respectively.

예를 들면, 방열 프레임(400)의 두 장측면, 즉 상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6개씩의 제 1 연결부(420)가 배치되고, 아울러 방열 프레임(400)의 두 단측면, 즉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4개씩의 제 2 연결부(430)가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six first connecting portions 420 are disposed on two long sides of the heat dissipation frame 400, namely, an upper side and a lower side thereof, and two short sides of the heat dissipation frame 400. Four second connection parts 430 may be disposed on the right side.

여기서, 제 1 연결부(420)의 형태는 제 2 연결부(430)의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Here, the shape of the first connector 420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connector 430.

다음, 도 4c를 살펴보면 방열 프레임(440)의 측면, 예컨대 상측면에 통합 연결부(450)가 배치된다. 여기서 통합 연결부(450)는 앞선 도 4a 내지 도 4b와 비교하면 복수의 연결부가 하나로 통합된 형태이다.Next, referring to FIG. 4C, an integrated connection part 450 is disposed on a side of the heat dissipation frame 440, for example, an upper side. Herein, the integrated connection unit 450 has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connection units are integrated into one, as compared with FIGS. 4A to 4B.

즉, 앞선 도 4a 내지 도 4b와 같이 복수의 연결부를 각각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두 개 이상의 연결부를 하나의 통합 연결부로 통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S. 4A to 4B,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may be formed, respectively, or two or more connecting portions may be formed by integrating one integrated connecting portion.

다음, 도 5a 내지 도 5b는 연결부의 형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Next, FIGS. 5A to 5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the shape of a connection unit.

먼저, 도 5a를 살펴보면 방열 프레임(520)에 배치되는 연결부(500)는 중앙 부분이 함몰된 형태를 갖는다.First, referring to FIG. 5A, the connection part 500 disposed on the heat dissipation frame 520 has a shape in which a central part is recessed.

다음, 도 5b를 살펴보면 연결부(500)는 사다리꼴 형태를 갖는다.Next, referring to FIG. 5B, the connection part 500 has a trapezoidal shape.

이와 같이, 연결부(50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As such, the connection part 500 may have various shapes.

다음, 도 6a 내지 도 6b는 연결부의 관통 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Next, FIGS. 6A to 6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the through hole of the connection portion.

먼저, 도 6a를 살펴보면 연결부(600)에는 3개의 관통 홀(610)이 형성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6A, three through holes 610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600.

다음, 도 6b를 살펴보면 연결부(600)에는 1개의 관통 홀(610)이 형성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6B, one through hole 610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600.

이와 같이, 연결부(600)에 형성되는 관통 홀(610)의 개수는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As such, the number of through holes 610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600 may be variously adjusted.

다음, 도 7은 연결부의 기울기 조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Next, Figure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clination adjustment of the connecting portion.

도 7을 살펴보면, 연결부(740)는 방열 프레임(730)의 전면에 배치된 영상 표시 패널(720)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또는, 영상 표시 패널(720)의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connector 740 may be inclined toward the image display panel 720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frame 730. Alternatively, the image display panel 720 may be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이와 같이, 연결부(740)를 특정 방향으로 기울이면 방열 프레임(730), 백 커버(미도시) 또는 프론트 커버(미도시)의 형태가 변경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백 커버와 프론트 커버의 체결을 강하게 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connection part 740 is tilted in a specific direction, even if the shape of the heat dissipation frame 730, the back cover (not shown), or the front cover (not shown) is changed, the back cover and the front cover may be strengthened accordingly. Can be.

아울러, 연결부(740)를 특정 방향으로의 기울기를 조절하면 백 커버와 프론트 커버의 체결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740 in a specific direc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fastening strength of the back cover and the front cover.

여기, 도 7에서 설명하기 않은 부호 741은 관통 홀이고, 부호 750은 접착 층 이다.Here, reference numeral 741 not described in FIG. 7 denotes a through hole, and reference numeral 750 denotes an adhesive layer.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영상 표시 패널은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image display panel is preferably a plasm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using plasma discharge.

그 이유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방전 셀 내에서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켜 영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방전에 의해 상대적으로 강한 진동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소음이 발생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plasma display panel generates a plasma discharge in the discharge cell to display an image, and thus, a relatively strong vibration is generated by the discharge, and thus a noise is relatively high.

이러한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례에 대해 첨부된 도 8a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n exampl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appli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A to 8B.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A to 8B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 plasma display panel that can be includ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8a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극(Electrode), 바람직하게는 서로 나란한 제 1 전극(802, Y)과 제 2 전극(803, Z)이 형성되는 전면 기판(801)을 포함하는 전면 패널(800)과, 전술한 제 1 전극(802, Y) 및 제 2 전극(803, Z)과 교차하는 전극, 바람직하게는 제 3 전극(813, X)이 형성되는 후면 기판(811)을 포함하는 후면 패널(810)이 합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8A, a plasma display panel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eg, a front substrate) on which first electrodes 802 and Y and second electrodes 803 and Z, which are parallel to each other, are formed. A front panel 800 including an 801 and an electrode intersecting the above-described first electrode 802, Y and the second electrode 803, Z, preferably the third electrode 813, X are formed. The rear panel 810 including the rear substrate 811 may be bonded to each other.

여기서, 전면 기판(801) 상에 형성되는 전극, 바람직하게는 제 1 전극(802, Y)과 제 2 전극(803, Z)은 방전 공간, 즉 방전 셀(Cell)에서 방전을 발생시키고 아울러 방전 셀의 방전을 유지할 수 있다.Here, the electrodes formed on the front substrate 801, preferably the first electrodes 802 and Y and the second electrodes 803 and Z, generate a discharge in a discharge space, that is, a discharge cell, and discharge the same. The discharge of the cell can be maintained.

이러한 제 1 전극(802, Y)과 제 2 전극(803, Z)이 형성된 전면 기판(801)의 상부에는 제 1 전극(802, Y)과 제 2 전극(803, Z)을 덮도록 유전체 층, 바람직하게는 상부 유전체 층(804)이 형성될 수 있다.The dielectric layer covers the first electrodes 802 and Y and the second electrodes 803 and Z on the front substrate 801 on which the first electrodes 802 and Y and the second electrodes 803 and Z are formed. Preferably, an upper dielectric layer 804 may be formed.

이러한, 상부 유전체 층(804)은 제 1 전극(802, Y) 및 제 2 전극(803, Z)의 방전 전류를 제한하며 제 1 전극(802, Y)과 제 2 전극(803, Z) 간을 절연시킬 수 있다.This upper dielectric layer 804 limits the discharge current of the first electrode 802, Y and the second electrode 803, Z an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802, Y and the second electrode 803, Z. Can be insulated.

이러한, 상부 유전체 층(804) 상면에는 방전 조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보호 층(805)이 형성된다. 이러한 보호 층(805)은 산화마그네슘(MgO) 등의 재료를 상부 유전체 층(804) 상부에 증착하는 방법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A protective layer 805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upper dielectric layer 804 to facilitate a discharge condition. The protective layer 805 may be formed through a method of depositing a material such as magnesium oxide (MgO) on the upper dielectric layer 804.

한편, 후면 기판(811) 상에는 전극, 바람직하게는 제 3 전극(813, X)이 형성되고, 이러한 제 3 전극(813, X)이 형성된 후면 기판(811)의 상부에는 제 3 전극(813, X)을 덮도록 유전체 층, 바람직하게는 하부 유전체 층(815)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electrode, preferably, third electrodes 813 and X are formed on the rear substrate 811, and a third electrode 813, is formed on the rear substrate 811 on which the third electrodes 813 and X are formed. A dielectric layer, preferably lower dielectric layer 815 may be formed to cover X).

이러한, 하부 유전체 층(815)은 제 3 전극(813, X)을 절연시킬 수 있다.This lower dielectric layer 815 may insulate the third electrodes 813, X.

이러한 하부 유전체 층(815)의 상부에는 방전 공간 즉, 방전 셀을 구획하기 위한 스트라이프 타입(Stripe Type), 웰 타입(Well Type), 델타 타입(Delta Type) 또는 벌집 타입 등의 격벽(8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 기판(801)과 후면 기판(811)의 사이에서 적색(Red : R), 녹색(Green : G), 청색(Blue : B) 등의 방전 셀이 형성될 수 있다.On top of the lower dielectric layer 815, a partition 812 such as a stripe type, a well type, a delta type, or a honeycomb type for partitioning a discharge cell, that is, a discharge cell, is formed. Can be formed. Accordingly, discharge cells such as red (R), green (G), and blue (B) may be formed between the front substrate 801 and the rear substrate 811.

또한, 적색(R), 녹색(G), 청색(B) 방전 셀 이외에 백색(White : W) 또는 황 색(Yellow : Y) 방전 셀이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red (R), green (G), and blue (B) discharge cells, white (W) or yellow (Yellow: Y) discharge cells may be further formed.

여기서, 복수의 방전 셀 중 하나 이상은 다른 방전 셀과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색(R), 녹색(G), 청색(B) 방전 셀이 형성되는 경우에 청색(B) 방전 셀의 크기가 적색(R) 또는 녹색(G) 방전 셀의 크기보다 더 클 수 있다.Here,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cells may be different in size from other discharge cells. For example, when the red (R), green (G), and blue (B) discharge cells are formed, the size of the blue (B) discharge cell is larger than that of the red (R) or green (G) discharge cell. Can be.

이러한 격벽(812)은 그 높이가 차등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격벽(812)이 가로 격벽과 이러한 가로 격벽과 교차하는 세로 격벽을 포함하는 경우에 세로 격벽과 가로 격벽의 높이는 다를 수 있는 것이다. 또는 가로 격벽 또는 세로 격벽 중 하나 이상이 그 높이가 차등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는 세로 격벽과 가로 격벽의 높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도 가능하다.The partition 812 may be formed to have a differential height. For example, when the partition wall 812 includes a horizontal partition wall and a vertical partition wall intersecting with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the heights of the vertical partition wall and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may be different. Alternatively, one or more of the horizontal bulkhead or the vertical bulkhead may be formed differentially in height. Alternatively, the heights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artition walls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격벽(812)에는 하나 이상의 홀(Hole) 또는 함몰부가 형성될 수도 있고, 소정 깊이를 갖는 채널(Channel)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Although not shown, one or more holes or recesses may be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812, and a channel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may be formed.

여기서, 격벽(812)에 의해 구획된 방전 셀 내에는 소정의 방전 가스가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방전 가스는 크세논(xenon : Xe)을 포함할 수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 predetermined discharge gas is filled in the discharge cell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812. In addition, the discharge gas may include xenon (xenon: Xe).

아울러, 격벽(812)에 의해 구획된 방전 셀 내에는 어드레스 방전 시 화상표시를 위한 가시 광을 방출하는 형광체 층(814)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색(Red : R), 녹색(Green : G), 청색(Blue : B) 형광체 층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hosphor layer 814 may be formed in a discharge cell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812 to emit visible light for image display during address discharge. For example, red (R), green (G), and blue (B) phosphor layers may be formed.

또한, 적색(R), 녹색(G), 청색(B) 형광체 이외에 백색(White : W) 및/또는 황색(Yellow : Y) 형광체 층이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o the red (R), green (G), and blue (B) phosphors,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form a white (W) and / or yellow (Y) phosphor layer.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제 1 전극(802, Y), 제 2 전극(803, Z) 또는 제 3 전극(813, X)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으로 구동 신호가 공급되면, 격벽(812)에 의해 구획된 방전 셀 내에서 방전이 발생할 수 있다.In the plasma display panel applicable to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t least one electrode of the first electrode 802, Y, the second electrode 803, Z, or the third electrode 813, X may be used. When the driving signal is supplied, discharge may occur in the discharge cells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812.

그러면, 방전 셀 내에 채워진 방전 가스에서 진공 자외선이 발생하고, 이러한 진공 자외선이 방전 셀 내에 형성된 형광체 층(814)에 가해진다. 그러면, 형광체 층(814)에서 소정의 가시광선이 발생되고, 이렇게 발생된 가시광선이 상부 유전체 층(804)이 형성된 전면 기판(801)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고, 이에 따라 전면 기판(801)의 외부 면에 소정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Then, vacuum ultraviolet rays are generated in the discharge gas filled in the discharge cells, and the vacuum ultraviolet rays are applied to the phosphor layer 814 formed in the discharge cells. Then, a predetermined visible light is generated in the phosphor layer 814, and the visible light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ront substrate 801 on which the upper dielectric layer 804 is formed. A predetermined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outer surface.

한편, 이상의 도 8a의 설명에서는 스캔 전극(802, Y) 및 서스테인 전극(803, Z)이 각각 하나의 층(Layer)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와는 다르게 스캔 전극(802, Y) 또는 서스테인 전극(803, Z) 중 하나 이상이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해 도 8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description of FIG. 8A, only the case where the scan electrodes 802 and Y and the sustain electrodes 803 and Z are formed of one layer each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the scan electrodes 802 and Y or the It is also possible that at least one of the sustain electrodes 803 and Z consists of a plurality of layers.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B.

도 8b를 살펴보면, 스캔 전극(802, Y)과 서스테인 전극(803, Z)은 각각 복수의 측, 예컨대 두 개의 층(Layer)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8B, the scan electrodes 802 and Y and the sustain electrodes 803 and Z may each include a plurality of sides, for example, two layers.

특히, 광 투과율 및 전기 전도도를 고려하면 방전 셀 내에서 발생한 광을 외부로 방출시키며 아울러 구동 효율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스캔 전극(802, Y)과 서스테인 전극(803, Z)은 불투명한 은(Ag) 재질의 버스 전극(802b, 803b)과 투명한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 ITO) 재질의 투명 전극(802a, 803a)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n consideration of light transmittanc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the scan electrodes 802 and Y and the sustain electrodes 803 and Z are opaque silver (Ag) to emit light generated in the discharge cell to the outside and to secure driving efficiency. Bus electrodes 802b and 803b) and transparent electrodes 802a and 803a made of transparent indium tin oxide (ITO).

이와 같이, 스캔 전극(802, Y)과 서스테인 전극(803, Z)이 투명 전극(802a, 803a)을 포함하도록 하는 이유는, 방전 셀 내에서 발생한 가시 광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부로 방출될 때 효과적으로 방출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As such, the reason why the scan electrodes 802 and Y and the sustain electrodes 803 and Z include the transparent electrodes 802a and 803a is that when visible light generated in the discharge cells is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To be released effectively.

아울러, 스캔 전극(802, Y)과 서스테인 전극(803, Z)이 버스 전극(802b, 803b)을 포함하도록 하는 이유는, 스캔 전극(802, Y)과 서스테인 전극(803, Z)이 투명 전극(802a, 803a)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투명 전극(802a, 803a)의 전기 전도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구동 효율이 감소할 수 있어서, 이러한 구동 효율의 감소를 야기할 수 있는 투명 전극(802a, 803a)의 낮은 전기 전도도를 보상하기 위해서이다.In addition, the reason why the scan electrodes 802 and Y and the sustain electrodes 803 and Z include the bus electrodes 802b and 803b is that the scan electrodes 802 and Y and the sustain electrodes 803 and Z are transparent electrodes. In the case of including only 802a and 803a, the driving efficiency can be reduced becaus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transparent electrodes 802a and 803a is relatively low, so that the transparent electrodes 802a and 803a can cause such a reduction in the driving efficiency. To compensate for the low electrical conductivity.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례만을 도시하고 설명한 것으로써, 본 발명이 이상에서 설명한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예를 들면, 이상의 설명에서는 부호 804의 상부 유전체 층 및 부호 815의 하부 유전체 층이 각각 하나의 층(Layer)인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상부 유전체 층 및 하부 유전체 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지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In the meantime, only one exampl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that can be appli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nd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lasma display panel having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above description shows only the case where the upper dielectric layer 804 and the lower dielectric layer 815 are each one layer, but at least one of the upper dielectric layer and the lower dielectric layer is a plurality of layers. It can also be layered.

아울러, 부호 812의 격벽으로 인한 외부 광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격벽(812)의 상부에 외부 광을 흡수할 수 있는 블랙 층(미도시)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black layer (not shown)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partition 812 to prevent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due to the partition 812.

또한, 격벽(812)과 대응되는 전면 기판(801) 상의 특정 위치에 블랙 층(미도시)이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 black layer (not shown) may be further formed at a specific position on the front substrate 801 corresponding to the partition wall 812.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As such, the structur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applicable to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changed.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such,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re as follow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장치는 연결부를 이용하여 백 커버와 프론트 커버를 연결함으로써 백 커버와 프론트 커버간의 체결 강도를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진동 및 소음 발생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video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detail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strength of fastening between the back cover and the front cover by connecting the back cover and the front cover, thereby reducing vibration and noise.

Claims (7)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 패널;An image display panel displaying an image; 상기 영상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방열 프레임; 및A heat dissipation frame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image display panel; And 상기 방열 프레임의 측면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관통 홀(Hole)이 형성되는 연결부;A connection part disposed at a side of the heat dissipation frame and hav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med therein; 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방열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And the connection par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heat dissipation fram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결부는 소정의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방열 프레임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And the connection part is fastened to the heat dissipation frame by a predetermined fastening mean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결부는 상기 관통 홀을 통해 상기 영상 표시 패널의 배면을 덮는 백 커버(Back Cover)와 상기 영상 표시 패널의 전면의 일부를 덮는 프론트 커버(Front Cover)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And the connection part connects a back cover covering the rear surface of the image display panel and a front cover covering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image display panel through the through hol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연결부와 상기 백 커버의 사이 또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프론트 커버의 사이에는 완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And a buffer part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on part and the back cover or between the connection part and the front cover.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완충부는 전기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And the buffer part comprises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상 표시 패널은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And the image display panel is a plasm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using plasma discharge.
KR1020060075910A 2006-08-10 2006-08-10 Image Display Apparatus KR1008371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910A KR100837164B1 (en) 2006-08-10 2006-08-10 Image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910A KR100837164B1 (en) 2006-08-10 2006-08-10 Image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348A true KR20080014348A (en) 2008-02-14
KR100837164B1 KR100837164B1 (en) 2008-06-11

Family

ID=39341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910A KR100837164B1 (en) 2006-08-10 2006-08-10 Image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7164B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8023Y1 (en) * 1994-08-10 1998-05-15 구자홍 Apparatus for fixing board in a monitor
EP1174847B1 (en) * 1998-10-30 2009-08-12 Panasonic Corporation Display device with plasma display panel
KR100392459B1 (en) * 2001-05-21 2003-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ing Device
KR100446084B1 (en) * 2002-01-16 2004-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display apparatus
JP2006162985A (en) 2004-12-07 2006-06-22 Toshiba Corp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7164B1 (en) 200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4329B2 (en) Video display device
KR100837164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EP1670036B1 (en) Plasma display panel
US20060049769A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JP4892987B2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580680B1 (en) earth structure of plasma display device
JP5514330B2 (en) Video display device
JP2002215052A (en) Display device
KR100670265B1 (en) Plasma display module including auxiliary light-emitting means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3744470B2 (en) Plasma display device
KR100905365B1 (en) Plasma display panel
JP2007200594A (en) Plasma display panel
EP2312607B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to reduce EMI emission
JP4333097B2 (en) Plasma display device
JP4792991B2 (en) Plasma display device
KR100658340B1 (en) Plasma display panel
KR20070009018A (en) Apparatus of plasma display panel
JP2007194163A (en) Plasma display panel
KR20080013226A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20070080128A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20110042542A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20070091849A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20060118964A (en) Plasma display device
KR20050114101A (en) Plasma display device
KR20060128216A (en) Plasma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