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3762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3762A
KR20080013762A KR1020070078642A KR20070078642A KR20080013762A KR 20080013762 A KR20080013762 A KR 20080013762A KR 1020070078642 A KR1020070078642 A KR 1020070078642A KR 20070078642 A KR20070078642 A KR 20070078642A KR 20080013762 A KR20080013762 A KR 20080013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magnetic members
magnetic
stato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향수
Original Assignee
장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향수 filed Critical 장향수
Publication of KR20080013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7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2K99/20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10Alleged perpetua mobilia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3/00Alleged dynamo-electric perpetua mobilia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6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8Alleged electric or magnetic perpetua mobil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rmanent Magnet Type Synchronous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석의 성질을 이용하여 운동 에너지로 활성화시킴으로서 무한동력에 가까운 동력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고정자와 회전자를 자극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하여 그 어긋난 자극들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引力) 또는 척력(斥力) 중 어느하나로 인해 서로 포개지려는 또는 밀어내려는 성질 중 어느하나를 부여함으로서 회전자를 회전시켜 전기와 같은 외부 에너지의 지속적인 소모 없이 무한동력에 가까운 동력 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모터, 고정자, 회전자, 영구자석, 전자석, 인력, 척력

Description

모터{Motor}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2는 도1에서 회전자만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3 및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를 나타낸 단면도들,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에서 가변자의 역할을 보인 나타낸 도면들,
도6a∼도6d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작동원리를 순차로 나타낸 도면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9는 도8로부터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예의 모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50:고정자 11a,11b:제1자석부재
20:회전자 21a,21b:환부재
23:제2자석부재 27:롤링부재
28a,28b:회전롤 29a,29b:극성전환수단
29a',29b':경사면 30:캡부재
31:홈라인 40:전자자석부재
50,110:가변자 51a,51b:제3자석부재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자와 회전자를 자극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하여 그 어긋난 자극들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引力) 또는 척력(斥力)으로 인해 서로 포개지려는 또는 밀어내려는 성질을 부여함으로서 회전자를 회전시켜 회전력 즉, 동력을 얻도록 한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화력의 열에너지나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변환하는 기기를 말하는데, 전기를 사용하는 모터는 전원에 따라 직류전동기와 교류전동기로 대별된다. 이러한 모터는 고정자와 회전자를 구비하여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고정자와 회전자가 전기적 상호작용을 하여 회전자가 회전함으로서 변환된 기계에너지를 외부로 전달하도록 되어 있고, 통상 고정자의 내측에 회전자가 위치하여 그 상호작용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모터로부터 기계에너지 즉, 동력을 계속 얻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자와 회전자를 자극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하여 그 어긋난 자극들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 또는 척력으로 인해 서로 포개지려는 또는 밀어내려는 성질을 부여함으로서 회전자를 회전시켜 전기와 같은 외부 에너지의 지속적인 소모 없이 무한동력에 가까운 동력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정자와 그 고정자의 내측에 위치하는 회전자를 자극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하여 그 어긋난 자극들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引力) 또는 척력(斥力) 중 어느하나로 인해 서로 포개지려는 또는 밀어내려는 성질 중 어느하나를 부여함으로서 상기 회전자를 회전시켜 회전력을 얻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자와 회전자는 다수 겹을 이루도록 서로 동심원을 그리며 교호로 배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고정자는 원통형상을 이루어 그 내주연에 서로 다른 극성들이 외향하도록 다수개의 제1자석부재들을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고정 설치한 형태이고, 상기 회전자는 상하로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환부재들의 사이에 다수개의 제2자석부재들을 회전되게 배열 설치한 형태로서, 상기 제2자석부재들이 상기 제1자석부재들과는 어긋난 위치에서 상기 제1자석부재들과는 다른 극성 또는 같은 극성 중 어느하나로 전환됨으로서 그 사이에 인력 또는 척력 중 어느하나를 작용하여 서로 포개지려는 또는 밀어내려는 성질 중 어느하나를 부여함으로서 상기 회전자를 회전시킴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2자석부재들의 일단에는 좌우 양측에 회전롤들을 갖는 롤링부재 가 더 설치되고, 상기 고정자의 일단에는 내부에 상기 롤링부재들을 끼워 가이드하기 위한 환형의 홈라인을 갖는 캡부재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홈라인의 중간에는 상기 롤링부재를 끼워 상기 제2자석부재의 극성을 전환하기 위한 경사면을 갖는 구멍 또는 홈 중 어느하나의 형태인 극성전환수단이 더 형성되고, 그 극성전환수단은 상기 제1자석부재들의 양단 중 어느 일단과 수직선상에 놓이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극성전환수단은 상기 제1및 제2자석부재들 사이에 인력이 작용할시 상기 회전자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제2자석부재들이 상기 제1자석부재들의 범위(range)로부터 빠져나오는 상기 제1자석부재들의 일단과 수직선상에 놓이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극성전환수단은 상기 제1및 제2자석부재들 사이에 척력이 작용할시 상기 회전자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제2자석부재들이 상기 제1자석부재들의 범위로 들어가는 상기 제1자석부재들의 일단과 수직선상에 놓이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극성전환수단의 주위에는 상기 제2자석부재들의 극성 전환을 도와주기 위한 전자석부재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및 제2자석부재는 영구자석임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회전자는 그 중심 또는 동심원의 최외각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상기 제1자석부재들과 동일한 위치에 제3자석부재들을 배설한 가변자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3자석부재들의 위치 변위로 그 작동여부가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3자석부재들은 영구자석임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은 고정자와 그 고정자의 외측에 이극(異極)이 마주하게 가변자를 배치하고, 상기 고정자와 가변자와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자석부재들로 이루어진 회전자를 배치하여, 상기 가변자가 회전하여 상기 고정자와 포개지면 그 회전력으로 상기 회전자의 자석부재들이 상기 고정자의 중간에서 극성을 전환하면서 상기 가변자와의 사이에 인력과 척력을 동시에 발생함으로 인해 상기 회전자가 회전하여 회전력을 얻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및 장점 그리고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2는 도1에서 회전자만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3 및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를 나타낸 단면도들,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에서 가변자의 역할을 보인 나타낸 도면들, 도6a∼도6d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작동원리를 순차로 나타낸 도면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9는 도8로부터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고정자(10)와 그 고정자(10)의 내측에 위치하는 회전자(20)로 대별되며, 상기 고정자(10)와 회전자(20)를 자극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하여 그 어긋난 자극들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引 力)으로 인해 서로 포개지려는 성질을 부여함으로서 상기 회전자(20)를 회전시켜 회전력을 얻도록 한다.
상기 고정자(10)는 원통형상을 이루어 그 내주연에 서로 다른 극성들이 외향하도록 다수개의 제1자석부재들(11a,11b)을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고정 설치한 형태이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자(10)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1자석부재(11a)가 S극이 외향하도록 설치되면, 그 제1자석부재(11a)와 대향하게 상기 고정자(10)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1자석부재(11b)는 N극이 외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자석부재들(11a,11b)은 영구자석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자(20)는 상하로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환부재들(21a,21b)의 사이에 다수개의 제2자석부재들(23)을 회전되게 배열 설치한 형태이다. 상기 제2자석부재들(23)은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중 어느하나의 형상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고, 또한 영구자석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자석부재들(23)은 상기 제1자석부재들(11a,11b)과 서로 다른 극성을 갖고 어긋났을 시 서로 잡아당겨 포개질 수 있는 자력 즉, 인력을 충분히 발생시킬 수 있는 갯수를 최소 갯수로 하여 그 이상으로 설치되며, 가급적 간격이 좁게 촘촘히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자석부재들(11a,11b)과 서로 다른 극성을 갖고 어긋나는 상기 제2자석부재들(23)은 1∼4번 사이의 자석부재들(23)과 13∼16번 사이의 자석부재들(23)인데, 그 자석부재들(23)과 상기 제1자석부재들(11a,11b)과의 사이에 충분한 인력이 작용하여 서로 포개질 수 있는 갯수가 되도록 상기 제2자석부재들(23)은 설치된다. 상기 제2자석부재들(23)의 갯수는 그 자신들의 세기 또는 상기 제1자석 부재들(11a,11b)의 세기에도 영향을 받는다.
상기 제2자석부재들(23)의 일단에는 좌우 양측에 회전롤들(28a,28b)을 갖는 ㅗ자 형상의 롤링부재(27)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자(10)의 일단에는 내부에 상기 롤링부재들(27)을 끼워 가이드하기 위한 환형의 홈라인(31)을 갖는 캡부재(30)가 설치된다. 상기 롤링부재(27)의 회전롤들(28a,28b)은 상기 홈라인(31)의 내측벽을 타고 구룬다. 상기 롤링부재(27)와 홈라인(31)은 상기 제2자석부재들(23)이 서로 다른 극성으로 마주보기 위해서 틀어지려는 현상을 차단하여 상기 제1자석부재들(11a,11b))의 극성과 상반되는 극성이 항시 외향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홈라인(31)의 중간에는 다수개의 극성전환수단(29a,29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극성전환수단들(29a,29b)은 상기 홈라인(31)의 내측벽에 구멍 또는 홈 중 어느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데, 상기 롤링부재(27)의 회전롤들(28a,28b)이 끼워질 수 있는 크기를 갖고 형성된다. 상기 극성전환수단들(29a,29b)은 상기 롤링부재(27)를 끼워 상기 제2자석부재들(23)의 극성을 전환하기 위한 기능을 담당하며, 그 극성전환수단들(29a,29b)에 빠진 상기 롤링부재(27)가 다시 상기 홈라인(31)으로 원활히 올라 탈 수 있도록 일면은 경사면(29a',29b')으로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극성전환수단들(29a,29b)은 상기 제2자석부재들(23)이 상기 제1자석부재들(11a,11b)과는 어긋난 위치에서 상기 제1자석부재들(11a,11b)과는 다른 극성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회전자(20)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제2자석부재들(23)이 상기 제1자석부재들(11a,11b)의 범위(range)로부터 빠져나오는 상기 제1자석부재들(11a,11b)의 일단과 수직선상에 놓이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구동은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자(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변자(50)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가변자(50)는 상기 제1자석부재들(11a,11b)과 동일한 위치에 서로 다른 극성을 외향하도록 설치한 바람직하게, 영구자석인 제3자석부재들(51a,51b)을 갖고 회전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가변자(50)의 제3자석부재들(51a,51b)이 상기 제1자석부재들(11a,11b)과 서로 마주하면 상기 회전자(20)는 회전한다. 즉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자석부재들(51a,51b)이 상기 제1자석부재들(11a,11b)과 서로 마주하면 상기 제2자석부재들(23)과의 사이에는 상기 제1자석부재들(11a,11b)과 제2자석부재들(23)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보다 더 강한 인력이 작용하는데, 이 때문에 상기 제2자석부재들(23)을 매우 강하게 끌어 당김으로서 상기 회전자(20)는 회전한다. 이처럼 회전을 시작한 상기 회전자(20)는 상기 가변자(50)를 회전시켜 상기 제3자석부재들(51a,51b)을 상기 제1자석부재들(11a,11b)로부터 어긋나게 하면 멈춘다. 즉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자석부재들(51a,51b)이 상기 제1자석부재들(11a,11b)로부터 어긋나면 상기 제2자석부재들(23)과는 포개진 상태의 인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제2자석부재들(23)과 상기 제1자석부재들(11a,11b) 사이에 서로 어긋남으로서 포개지려는 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회전자(20)는 멈춘다. 가급적 상기 제3자석부재들(51a,51b)은 상기 제1자석부재들(11a,11b)보다 더 강한 자력을 갖고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자(50)의 회전은 그 일측으로 돌설되는 축(53)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예컨대, 상기 축(53)에 레버를 달아 수동으로 상기 가변자(50)를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축(53)에 스위치로 온/오프되는 통상의 모터 를 달아 상기 가변자(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가변자(50)로 인해 상기 회전자(20)가 회전력을 얻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자석부재들(11a,11b)과 서로 다른 극성을 갖고 어긋난 1∼4번 사이의 제2자석부재들(23)과 13∼16번 사이의 제2자석부재들(23)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여, 1∼4번 사이의 제2자석부재들(23)과 13∼16번 사이의 제2자석부재들(23)이 상기 제1자석부재들(11a,11b)에 포개지려고 하는 성질(상기 번호 이외의 다른 제2자석부재들(23)도 1∼4번 또는 3∼16번 위치에 오면 이러한 현상이 계속 발생한다)에 의해서 상기 회전자(20)는 멈추지 않고 계속 회전한다.
그러나 상기 회전자(20)가 계속 회전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자석부재들(23)의 극성을 상기 제1자석부재들(11a,11b)의 극성과 서로 반대되게 지속적으로 전환시켜줘야 한다. 즉, N극인 상기 제1자석부재(11b)을 벗어나는 상기 제2자석부재(23)의 S극을 N극으로 전환시켜주어야만 S극인 상기 제2자석부재(11a)와 다시 인력이 작용하기 때문인데, 이는 상기 극성전환수단들(29a,29b)로 인해서 가능해진다.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극인 제1자석부재(11b)를 벗어나는 S극인 12번 제2자석부재(23)에 설치된 상기 롤링부재(27)의 일측 회전롤(28a)이 상기 극성전환수단(29b)에 빠지면, 그 극성전환수단(29b)을 막 빠져 나가는 13번 제2자석부재(23)와 11번 제2자석부재(23)와의 자력과 상기 회전자(20)의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롤링부재(27)가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회전롤들(28a,28b)이 상기 극성전환수단(29b)으로부터 수직되게 변위되는데, 이때 12번 제2자석부재(23)도 함께 회전하여 그 N극이 제1자석부재(11b)을 향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자(20)의 회전력이 계속 작용하면, 상기 극성전환수단(29b)에 빠진 회전롤(28a)이 상기 극성전환수단(29b)에 걸림으로서 상기 롤링부재(27)가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타측 회전롤(28b)을 제1자석부재(11b)의 반대방향 즉, 회전방향으로 눕히는데, 이때 제1자석부재(11b)의 N극과 서로 마주보고 있는 12번 제2자석부재(23)의 N극 사이에 척력이 작용함으로서 타측 회전롤(28b)은 안정된 상태로 눕혀지고, 12번 제2자석부재(23)도 함께 회전하여 N극이 외향하는 상태가 된다.
이후 도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자(20)의 회전력이 계속 작용하면, 상기 극성전환수단(29b)에 빠진 회전롤(28a)이 상기 경사면(29b')을 타고 빠져 나와 상기 홈라인(31)에 다시 올라 탐으로서, 상기 롤링부재(27)의 회전롤들(28a,28b)은 상기 홈라인(31)으로부터 다시 수평을 이루고, 12번 제2자석부재(23)의 N극은 자연스럽게 외향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N극인 제1자석부재(11b)를 벗어나는 S극인 제2자석부재들(23)은 상기 극성전환수단(29b)을 통과함으로서 N극으로 전환되고, 또한 S극인 제1자석부재(11a)을 통과하는 N극인 제2자석부재들(23)도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극성전환수단(29a)을 통과함으로서 N극인 제1자석부재(11b)와 인력이 작용할 수 있는 S극으로 전환됨으로서, 상기 회전자(20)는 멈춤없이 계속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6c에서, 상기 극성전환수단들(29a,29b)과 인접하는 위치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면(29a',29b')과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전자석부재(40)는 상기 제2자석부재(23)의 극성 전환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도와준다. 즉 도6c에서 상기 전자석부재(40)가 N극이면, 제1자석부재(11b)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12번 제2자석부재(23)의 S극과의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롤링부재(27)의 회전롤(28b)을 안정되게 눕혀 12번 제2자석부재(23)의 극성 전환을 쉽게 한다. 이러한 상기 전자석부재(40)는 U자형 또는 H자형 중 어느하나의 모양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자석부재(23)를 감싸게 상기 극성전환수단들(29a,29b)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전자석부재(40)가 U자형 또는 H자형 중 어느하나의 모양으로 이루어지면 필요에 따라 일극(N극 또는 S극) 또는 양극(N극 및 S극) 모두의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사용 목적이 극대화 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상기 고정자(10)와 회전자(20)가 다수 겹을 이루도록 서로 동심원을 그리며 교호로 배열 설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변자(50)는 상기 회전자(20)의 중심 및 동심원의 최외각에 회전되게 설치된다. 당연히 상기 홈라인(31)은 상기 회전자(20)의 수에 따라 상기 캡부재(30)에 형성될 것이고, 상기 극성전환수단들(29a,29b)은 상기 회전자(20)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제2자석부재들(23)이 상기 제1자석부재들(11a,11b)의 범위(range)로부터 빠져나오는 상기 제1자석부재들(11a,11b)의 일단과 수직선상에 놓이게 형성될 것이다. 이처럼 상기 고정자(10)와 회전자(20)가 다수 겹으로 배치되면, 상기 회전자(20)로부터는 더욱 강한 회전력이 출력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상기 고정자(10)와 회전자(20)를 같은 극성으로 배치하여 그 사이에 척력(斥力)을 부여함으로서 서로 밀어내려는 성질로 인해 상기 회전자(2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자(20)는 그 회전자(20)와 같은 극성으로 마주하게 상기 가변자(50)의 제3자석부재들(51a,51b)을 상기 제1자석부재들(11a,11b)과 동일선상에 놓으면 회전한다. 이때 상기 고정자(10)가 상기 회전자(20)를 회전방향으로 원활히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극성전환수단(29a,29b)은 상기 회전자(20)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제2자석부재들(23)이 상기 제1자석부재들(11a,11b)의 범위로 들어가는 상기 제1자석부재들(11a,11b)의 일단과 수직선상에 놓이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자(20)와 간극전환수단(29a,29b)과의 작동원리는 도6의 작동원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상기 고정자(10)와 회전자(20)를 도8과 같은 형태에서 도7과 같이 다수 겹을 이루도록 서로 동심원을 그리며 교호로 배열 설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고정자(10)와 회전자(20)가 다수 겹으로 배치되면, 상기 회전자(20)로부터는 더욱 강한 회전력이 출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전기와 같은 외부 에너지의 지속적인 소모 없이 무한동력에 가까운 동력 에너지를 얻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기계장치등의 구동용 또는 발전용 등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예의 모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른예의 모터는 크게 상기 가변자(50)가 고정자(150)가 되고, 상기 고정자(10)가 가변자(110)가 되는 구조만이 다를 뿐, 그리고 부가되는 몇몇 요소들(171,181)만이 다를 뿐 그 구조가 상기 모터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모터를 표시하는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다른예의 모터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예의 모터는 고정자(150)와 그 고정자(150)의 외측에 이극(異極)이 마주하게 가변자(110)를 배치하고, 상기 고정자(150)와 가변자(110)와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자석부재들(23)로 이루어진 회전자(20)를 배치하여, 상기 가변자(110)가 회전하여 상기 고정자(150)와 포개지면 그 회전력으로 상기 회전자(20)의 자석부재들(23)이 상기 고정자(150)의 중간에서 극성을 전환하면서 상기 가변자(110)와의 사이에 인력과 척력을 동시에 발생함으로 인해 상기 회전자(20)가 회전하여 회전력을 얻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고정자(150)의 자석부재(151a,151b)를 그 중앙이 상기 회전롤(28a, 28b)과 극성전환수단(29a,29b)에 의해서 상기 자석부재(23)가 극성 전환되는 곳에 위치하도록 고정하고, 점선으로 표시된 곳에 어긋나 있던 상기 가변자(110)의 자석부재(111a,111b)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서로 포개면, 극성 전화되는 곳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척력이, 우측에는 인력이 동시에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회전력은 그 성질 즉, 밀고 땡기는 힘을 계속 일으켜 상기 회전자(20)가 회전되게 함으로서 회전력을 얻도록 한 것이다.
이처럼 상기 회전자(20)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자석부재(23)가 극성 전환되 는 곳 즉, 상기 극성전환수단(29a,29b)에서 극성이 전환되지 않고 그냥 지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자석부재(151a,151b)는 그 곳을 공간(171a,171b)으로 비우고 있고, 또한 그 공간(171a,171b)에 상기 고정자(150)에 고정되는 극성전환용 롤러(181a,181b)를 설치하여 상기 자석부재(23)가 상기 극성전환수단(29a,29b)에서 확실히 극성 전환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자석부재(23)는 막대자석이다.
이와 같이 회전하는 상기 회전자(20)는 상기 가변자(110)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자(150)와 어긋나게 하면 멈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자석부재들을 각각 2개씩 장착하여 2극 모터를 개시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그 수를 4개, 6개씩 등으로 짝수로 늘려 4극, 6극 모터 등으로의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한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자와 회전자를 자극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하여 그 어긋난 자극들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引力) 또는 척력(斥力) 중 어느하나로 인해 서로 포개지려는 또는 밀어내려는 성질 중 어느하나를 부여함으로서 회전자를 회전시켜 전기와 같은 외부 에너지의 지속적인 소모 없이 무한동력에 가까운 동력 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고정자와 그 고정자의 내측에 위치하는 회전자를 자극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하여 그 어긋난 자극들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引力) 또는 척력(斥力) 중 어느하나로 인해 서로 포개지려는 또는 밀어내려는 성질 중 어느하나를 부여함으로서 상기 회전자를 회전시켜 회전력을 얻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와 회전자는 다수 겹을 이루도록 서로 동심원을 그리며 교호로 배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원통형상을 이루어 그 내주연에 서로 다른 극성들이 외향하도록 다수개의 제1자석부재들을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고정 설치한 형태이고, 상기 회전자는 상하로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환부재들의 사이에 다수개의 제2자석부재들을 회전되게 배열 설치한 형태로서, 상기 제2자석부재들이 상기 제1자석부재들과는 어긋난 위치에서 상기 제1자석부재들과는 다른 극성 또는 같은 극성 중 어느하나로 전환됨으로서 그 사이에 인력 또는 척력 중 어느하나를 작용하여 서로 포개지려는 또는 밀어내려는 성질 중 어느하나를 부여함으로서 상기 회전자를 회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자석부재들의 일단에는 좌우 양측에 회전롤들을 갖 는 롤링부재가 더 설치되고, 상기 고정자의 일단에는 내부에 상기 롤링부재들을 끼워 가이드하기 위한 환형의 홈라인을 갖는 캡부재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홈라인의 중간에는 상기 롤링부재를 끼워 상기 제2자석부재의 극성을 전환하기 위한 경사면을 갖는 구멍 또는 홈 중 어느하나의 형태인 극성전환수단이 더 형성되고, 그 극성전환수단은 상기 제1자석부재들의 양단 중 어느 일단과 수직선상에 놓이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전환수단은 상기 제1및 제2자석부재들 사이에 인력이 작용할시 상기 회전자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제2자석부재들이 상기 제1자석부재들의 범위(range)로부터 빠져나오는 상기 제1자석부재들의 일단과 수직선상에 놓이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전환수단은 상기 제1및 제2자석부재들 사이에 척력이 작용할시 상기 회전자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제2자석부재들이 상기 제1자석부재들의 범위로 들어가는 상기 제1자석부재들의 일단과 수직선상에 놓이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전환수단의 주위에는 상기 제2자석부재들의 극성 전환을 도와주기 위한 전자석부재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자석부재는 영구자석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그 중심 또는 동심원의 최외각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상기 제1자석부재들과 동일한 위치에 제3자석부재들을 배설한 가변자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3자석부재들의 위치 변위로 그 작동여부가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자석부재들은 영구자석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2. 고정자와 그 고정자의 외측에 이극(異極)이 마주하게 가변자를 배치하고, 상기 고정자와 가변자와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자석부재들로 이루어진 회전자를 배치하여, 상기 가변자가 회전하여 상기 고정자와 포개지면 그 회전력으로 상기 회전자의 자석부재들이 상기 고정자의 중간에서 극성을 전환하면서 상기 가변자와의 사이에 인력과 척력을 동시에 발생함으로 인해 상기 회전자가 회전하여 회전력을 얻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KR1020070078642A 2006-08-09 2007-08-06 모터 KR200800137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220 2006-08-09
KR20060075220 2006-08-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762A true KR20080013762A (ko) 2008-02-13

Family

ID=39341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642A KR20080013762A (ko) 2006-08-09 2007-08-06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376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10241A (zh) * 2011-11-15 2012-06-20 陈奚平 一种磁动力机械
CN103657844A (zh) * 2012-09-06 2014-03-26 财团法人金属工业研究发展中心 磁性滚轮装置及其磁性芯轴
EP4080746A1 (en) * 2021-04-22 2022-10-26 Ecomo Company Limited An apparatus
KR102554068B1 (ko) * 2022-07-29 2023-07-11 (주)푸드포트 회전 에너지 변환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10241A (zh) * 2011-11-15 2012-06-20 陈奚平 一种磁动力机械
CN102510241B (zh) * 2011-11-15 2015-02-11 陈奚平 一种磁动力机械
CN103657844A (zh) * 2012-09-06 2014-03-26 财团法人金属工业研究发展中心 磁性滚轮装置及其磁性芯轴
EP4080746A1 (en) * 2021-04-22 2022-10-26 Ecomo Company Limited An apparatus
KR102554068B1 (ko) * 2022-07-29 2023-07-11 (주)푸드포트 회전 에너지 변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3110B1 (en) Radial flux diode motor
EP0256132A1 (en) Magnetic rotary device
US20240072624A1 (en) Electrical Generation
WO2013047076A1 (ja) 回転電機
US20080224550A1 (en) Magnetic Motor
WO2014188737A1 (ja) 永久磁石型同期電動機
RU2699246C1 (ru) Двигатель на постоянных магнитах
KR20110001465A (ko) 이중돌극형 영구자석 전기기기
KR20080013762A (ko) 모터
WO2016021852A1 (ko) 단상 브러쉬리스 직류 모터
KR20000077470A (ko) 베이직팩터를 이용한 발전기능을 갖는 전동기
ZA200104617B (en) A system for controlling a rotary device.
KR102156869B1 (ko) 비균일 자극 길이를 가지는 영구자석 전기기기
EP3286368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agnetic gear device
US6359358B1 (en) Magnetic circuits in the rotation system for generating both the mechanical power and the electric power
JP2017509311A (ja) ハイブリッド電気機械
KR20100012640A (ko) 에너지 발생 보조 장치
KR101338144B1 (ko) 선형 전기기기 구조
WO2016021851A1 (ko) 단상 브러쉬리스 직류 모터
JP5226892B1 (ja) 永久磁石回転発電装置
KR20180113895A (ko) 자석을 이용한 회전장치
JPH0284043A (ja) モータ
JPH0928066A (ja) 回転機
KR100740560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동력발생 장치 및 방법
KR0179408B1 (ko) 릴럭턴스 및 자석식 교류저속동기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