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3604A - 통신유닛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유닛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3604A
KR20080013604A KR1020060075338A KR20060075338A KR20080013604A KR 20080013604 A KR20080013604 A KR 20080013604A KR 1020060075338 A KR1020060075338 A KR 1020060075338A KR 20060075338 A KR20060075338 A KR 20060075338A KR 20080013604 A KR20080013604 A KR 20080013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ommunication unit
setting value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2384B1 (ko
Inventor
오장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5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384B1/ko
Priority to US11/835,171 priority patent/US20080039154A1/en
Priority to EP07113995A priority patent/EP1887817A3/en
Priority to CNA2007101422072A priority patent/CN101123777A/zh
Publication of KR20080013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인터넷(Wibro)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에서 통신유닛의 동작모드를 제어하는 통신유닛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와이브로(Wibro)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통신유닛이 대기상태에 있을 경우, 설정된 대기모드 주기에 따라서 주기적으로 Wake-Up하지 않고 기지국(Base station, BS)으로 수신가능한 데이터가 있을 경우에만 BS로부터 Wake-Up 신호를 받아서 정상상태(Normal mode)로 변경하게 된다. 그러면, 휴대단말기기는 와이브로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와이브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간 이외에 휴대단말기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다.
모드 제어부, 휴대인터넷 유닛,버퍼메모리, 기지국, RF유닛

Description

통신유닛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통신유닛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통신유닛 제어방법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 1 , 제 2 단말기기 110 : 기지국
120 : 휴대인터넷 유닛 122 : RF유닛
124 : 버퍼메모리 130 : 모드 제어부
본 발명은 통신유닛(Wibro)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모드 설정 값에 따라 대기모드 상태인 휴대단말기의 통신유닛을 노말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통신유닛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전자통신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통신망(Wireless Network)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음성서비스뿐만이 아니라, 써킷(Circuit) 데이터, 패킷(Packet) 데이터 등과 같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로 발전해가고 있다.
이에, 휴대성과 이동성을 보장하며 저렴한 요금으로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초고속 휴대인터넷 서비스인 와이브로(WiBro : Wireless Broadband)가 대두되었다.
상기 와이브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노트북(Notebook), 피디에이(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다양한 형태의 휴대단말기에 휴대인터넷 유닛인 통신유닛이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실내 및 실외의 정지환경에서와, 보행속도 및 중저속 이동수준의 이동환경에서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 및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여기서, 상기 통신유닛은 휴대단말기기에서 소비되는 전원을 절약하기 위해 일정시간 동안 데이터 전송이 차단되면, 자동으로 대기모드로 전환되도록 설정된다.
하지만, 상기 통신유닛을 대기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슬립 인터벌(Sleep Interval)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기지국에 제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대기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도, 미리 설정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통신유닛이 자동으로 웨이크 업(Wake Up) 하기 때문에, 와이브로 서비스를 이용 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통신유닛에 전원이 공급되어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트래픽 알림신호에 포함된 모드 설정 값에 따라 통신유닛을 노말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통신유닛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말모드 상태인 통신유닛을 간단하게 대기모드 상태로 전환하도록 하는 통신유닛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유닛에 인가되는 전원을 최소화하여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통신유닛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지국(BS)로 대기모드 요청신호를 보내고 기지국으로부터 대기모드 응답신호를 받는 RF송수신부와; 트래픽 알림신호에 포함된 모드 설정 값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모드 설정 값에 따라 트리거 신호를 발생하는 트리거 발생부와; 상기 트리거 신호에 의해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는 통신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드 설정 값은 통신유닛을 대기모드로 계속 유지하는 제 1 모드 값(Negative)과, 대기모드에서 노말모드로 전환하는 제 2 모드 값(Positive)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유닛은 휴대인터넷 유닛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유닛은 대기모드 상태에서 데이터를 송신 받을 수 있는 RF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통신유닛이 대기모드 상태인 경우에서 상기 RF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모드 설정 값을 임시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모드 설정 값이 상기 모드 전환에 적용되면 자동 삭제되는 버퍼메모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트래픽 알림신호에 포함된 모드 설정 값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모드 설정 값을 리드(Read)하고 모드 전환신호를 발생시키는 임베디드 컨트롤러와; 상기 모드 전환신호에 따라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는 통신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대기모드의 통신유닛에 대하여 통신 서비스 요청이 발생되는 단계와; 상기 통신 서비스 요청에 의해 모드 설정 값이 저장된 트래픽 알림신호가 통신유닛으로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모드 설정 값에 따라 트리거 신호가 발생되는 단계와; 상기 트리거 신호에 의해 상기 통신유닛이 노말모드로 전환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신유닛은 대기모드 요청신호에 대한 승인신호를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받기만 하면 노말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전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노말모드 상태에서 데이터전송 요청신호가 발생되는 단계와; 상기 요청신호에 따라서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드 설정 값은 통신유닛의 상태를 대기모드로 유지하는 제 1 모드 값(Negative)과, 노말모드로 전환하는 제 2 모드 값(Positive)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리거 신호의 미 발생시에는 상기 통신유닛은 대기모드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대기모드의 통신유닛에 대하여 기지국으로부터 트래픽 알림신호가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모드 설정 값을 리드하고, 모드 전환신호가 발생되는 단계와; 상기 모드 전환신호에 의해 상기 통신유닛이 노말모드로 전환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드 전환신호의 미 발생시에는 상기 통신유닛은 대기모드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드 설정 값이 전송되면, 폴링 방식에 의해 그 모드 설정 값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재 대기모드 상태인 통신유닛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트래픽 알림신호에 포함된 모드 설정 값에 의하여 노말모드로 전환되기 때문에, 통신 서비스를 사용하는 시간에만 전원이 공급됨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통신유닛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유닛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원제어를 갖는 통신유닛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에 따르면, 데이터전송을 수행하는 단말기기(100)와의 데이터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중계기 역할을 수행하는 기지국(110)이 구비된다.
상기 단말기기(100)에는 기지국(110)과 데이터전송을 수행하는 통신유닛으로서의 휴대인터넷 유닛(120)이 구비된다. 상기 휴대인터넷 유닛(120)에는 상기 단말기기(100)가 대기모드 상태에서도 트래픽 알림신호를 수신하는 RF송수신부(122)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110)으로부터 전송되는 트래픽 알림신호(MOB_TRF-IND :Traffic Indication Message)를 RF송수신부(122)을 통해 전송받고 트래픽 알림신호에 포함된 모드 설정 값을 임시저장하는 버퍼 메모리(124)가 구비된다. 상기 버퍼 메모리(124)는 단말기기(100)가 상기 대기모드 상태에서도 상기 기지국(110)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정보를 임시저장할 수 있어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퍼 메모리(124)는 상기 모드 설정 값에 따라 휴대인터넷 유닛(120)의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면, 상기 버퍼 메모리(124)에 저장된 모드 설정 값을 자동으로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래픽 알림신호는 두 가지 형태의 모드 설정 값이 선택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모드 설정 값은 상기 휴대인터넷 유닛(120)을 대기모드로 유지시키는 제 1 모드 값(Negative)과, 상기 휴대인터넷 유닛(120)을 노말모드로 전환시키는 제 2 모드 값(Positive)이다.
상기 버퍼 메모리(124)에 저장된 모드 설정 값에 따라 상기 휴대인터넷 유닛(120)의 모드상태를 전환하는 모드 제어부(1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모드 제어부(130)는 미도시하고 있는 트리거 회로가 구비되며, 상기 모드 설정 값에 따라 선택적으로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는 트리거 발생부이다. 또한, 상기 모드제어부(130)는 상기 버퍼 메모리(124)에 저장된 모드 설정 값을 리드(Read)하고, 그 결과에 따라 직접 상기 휴대인터넷 유닛(120)을 노말모드로 전환시키도록 모드 전환신호를 발생시키는 임베디드 컨트롤러 또는 마이컴일 수 있다. 상기 트리거 발생부나, 임베디드 컨트롤러 및 마이컴이 선택적으로 제공되어 상기 휴대인터넷 유닛(120)의 모드상태를 전환하는 기능은 동일하나,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발생되는 신호 및 제어과정이 상이하기 때문에 이하에서 각각 구분하여 설명할 것이다.
이어, 상기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통신유닛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인터넷 유닛 제어방법이다.
먼저, 모드 제어부(130)가 트리거 발생부로 적용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이에 따르면, 단말기기(100)는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휴대인터넷 유닛(120)을 대기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기지국(110)으로부터 대기모드 요청신호(MOB_SLP-REQ : Sleep Request Message)가 RF송수신부(122)를 통해 전송된다(제 200단계). 그러면, 상기 기지국(110)은 상기 전송된 요청신호(MOB_SLP-REQ)에 대한 승인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휴대인터넷 유닛(120)을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승 인신호(MOB_SLP-RSP : Sleep Response Message)를 상기 단말기기(100)로 전송한다(제 202단계).
이에, 제 204단계에서 상기 단말기기(100)는 상기 휴대인터넷 유닛(120)의 전원 상태를 대기모드로 전환시킨다.
이후, 상기 휴대인터넷 유닛(120)이 대기모드인 상태에서 기지국(110)이 단말기기(100)로 모드 설정 값이 포함된 트래픽 알림신호(MOB_TRF-IND : Traffic Indication Message)를 전송한다. 이에, 상기 모드 설정 값이 포함된 트래픽 알림신호(MOB_TRF-TND)에 따라 상기 단말기기(100)가 대기모드를 계속 유지하거나, 또는 노말모드로 전환되는 두 가지 경우를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첫 번째, 상기 전송된 트래픽 알림신호(MOB_TRF-IND)의 모드 설정 값이 제 1 모드 값(Negative)인 경우이다.
제 206단계에서, 상기 제 1 모드 값(Negative)인 트래픽 알림신호(MOB_TRF-IND)가 전송되면, 상기 휴대인터넷 유닛(120)에 구비된 RF송수신부(122)에서 트래픽 알림신호(MOB_TRF-IND)를 수신하고, 상기 트래픽 알림신호(MOB_TRF-IND)에 포함된 제 1 모드 값(Negative)을 상기 버퍼 메모리(124)에 임시저장한다(제 208단계).
그러면 제 210단계에서, 상기 버퍼 메모리(124)에 저장된 제 1 모드 값(Negative)에 따라 트리거 발생부로부터 트리거 신호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에, 상기 단말기기(100)는 대기모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RF송수신부(122)는 휴대인터넷 유닛(120)이 대기모드 상태인 경우에도 상기 트래픽 알림신호 등을 수신받을 수 있다.
두 번째, 상기 전송된 트래픽 알림신호(MOB_TRF-IND)의 모드 설정 값이 제 2 모드 값(Positive)인 경우이다.
제 212단계에서 상기 제 2 모드 값(Positive)인 트래픽 알림신호(MOB_TRF-IND)가 전송되면, 상기 휴대인터넷 유닛(120)에 구비된 RF송수신부(122)에서 트래픽 알림신호(MOB_TRF-IND)를 수신하고, 상기 트래픽 알림신호(MOB_TRF-IND)에 포함된 제 2 모드 값(Positive)을 상기 버퍼 메모리(124)에 임시저장한다(제 214단계).
그러면, 상기 트리거 발생부는 버퍼메모리(124)에 임시저장된 제 2 모드 값(Positive), 즉 전송할 데이터가 있으니 준비하라는 값에 따라 상기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켜 휴대인터넷 유닛(120)을 노말모드로 전환시킨다(제 216단계, 제 218단계). 즉, 상기 기지국(110)이 단말기기(100)로 보낼 데이터가 있을 경우, 트래픽 알림신호는 제 2 모드 설정 값을 갖게 된다.
상기 제 218단계에서, 휴대인터넷 유닛(120)이 노말상태가 되면, 단말기기(100)는 휴대인터넷 유닛(120)을 통해 기지국(110)에 트래픽 요청신호를 전송하여, 현재 휴대인터넷 유닛(120)이 노말모드 상태임을 통보한다(제 220단계).
이에 따라, 상기 기지국(110)은 전달된 소정 데이터를 단말기기(100)의 휴대인터넷 유닛(120)으로 전송한다(제 222단계).
다음으로, 미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모드 제어부(130)가 임베디드 컨트롤러 또는 마이컴이 적용된 경우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할 것이다.
단말기기(100)는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휴대인터넷 유닛(120)을 대기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기지국(110)으로부터 대기모드 요청신호(MOB_SLP- REQ : Sleep Request Message)가 RF송수신부(122)를 통해 전송된다.
그러면, 상기 기지국(110)은 상기 전송된 요청신호(MOB_SLP-REQ)에 대한 승인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휴대인터넷 유닛(120)을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승인신호(MOB_SLP-RSP)를 상기 단말기기(100)로 전송한다.
이에, 상기 단말기기(100)는 상기 휴대인터넷 유닛(120)을 대기모드로 전환시킨다.
이후, 상기 휴대인터넷 유닛(120)이 대기모드인 상태에서 기지국(110)이 단말기기(100)로 모드 설정 값이 포함된 트래픽 알림신호를 전송한다. 즉, 제 1 모드 값(Negative)과, 제 2 모드 값(Positive) 중 어느 하나의 모드 설정 값이 포함된 트래픽 알림신호를 상기 단말기기(100)로 전송된다.
그러면, 상기 휴대인터넷 유닛(120)에 구비된 RF송수신부(122)는 상기 트래픽 알림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트래픽 알림신호에 포함된 모드 설정 값을 버퍼 메모리(124)에 임시저장한다.
이에, 임베디드 컨트롤러 또는 마이컴은 상기 버퍼 메모리(124)에 임시저장된 제 모드 설정 값을 리드(Read)하여, 모드 설정 값에 따른 모드 전환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모드 설정 값이 제 2 모드 값(Positive)인 경우 상기 임베디드 컨트롤러 또는 마이컴은 모드 전환신호, 즉 'Wake-Up'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휴대인터넷 유닛(20)을 노말모드로 전환시킨다. 반면, 상기 모드 설정 값이 제 1 모드 값(Negative)인 경우 대기모드를 유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모드 제어부(130)인 임 베디드 컨트롤러, 또는 마이컴은 폴링(Polling) 방식에 의하여 상기 버퍼 메모리(124)에 저장된 모드 설정 값을 지속적으로 체크한다.
상기 휴대인터넷 유닛(120)이 노말상태가 되면, 단말기기(100)는 휴대인터넷 유닛(120)을 통해 기지국(110)에 데이터전송 요청신호를 전송하여, 현재 휴대인터넷 유닛(120)이 노말모드 상태임을 통보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기지국(110)은 단말기기(100)의 휴대인터넷 유닛(120)으로 소정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재 대기모드 상태인 휴대인터넷 유닛(120)을 기지국(110)으로부터 전송되는 트래픽 알림신호에 포함된 모드 설정 값에 의하여 노말모드로 전환되기 때문에, 휴대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는 시간에만 전원을 공급함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휴대인터넷 유닛(120)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해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유닛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현재 대기모드 상태인 통신유닛을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트래픽 알림신호에 포함된 모드 설정 값에 의하여 노말모드로 전환되기 때문에,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는 동안에만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 상기 통신유닛에 인가되는 전원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말모드 상태인 통신유닛을 간단하게 대기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기지국(BS)로 대기모드 요청신호를 보내고 기지국으로부터 대기모드 응답신호를 받는 RF송수신부와;
    트래픽 알림신호에 포함된 모드 설정 값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모드 설정 값에 따라 트리거 신호를 발생하는 트리거 발생부와;
    상기 트리거 신호에 의해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는 통신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유닛 제어장치.
  2. 트래픽 알림신호에 포함된 모드 설정 값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모드 설정 값을 리드(Read)하고 모드 전환신호를 발생시키는 임베디드 컨트롤러와;
    상기 모드 전환신호에 따라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는 통신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유닛 제어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 값은 통신유닛을 대기모드로 계속 유지하는 제 1 모드 값(Negative)과, 대기모드에서 노말모드로 전환하는 제 2 모드 값(Positiv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유닛 제어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유닛은 휴대인터넷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유닛 제어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유닛은 대기모드 상태에서 데이터를 송신 받을 수 있는 RF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유닛 제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통신유닛이 대기모드 상태인 경우에서 상기 RF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모드 설정 값을 임시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유닛 제어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모드 설정 값이 상기 모드 전환에 적용되면 자동 삭제되는 버퍼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유닛 제어장치.
  8. 대기모드의 통신유닛에 대하여 통신 서비스 요청이 발생되는 단계와;
    상기 통신 서비스 요청에 의해 모드 설정 값이 저장된 트래픽 알림신호가 통신유닛으로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모드 설정 값에 따라 트리거 신호가 발생되는 단계와;
    상기 트리거 신호에 의해 상기 통신유닛이 노말모드로 전환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유닛 제어방법.
  9. 대기모드의 통신유닛에 대하여 기지국으로부터 트래픽 알림신호가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모드 설정 값을 리드하고, 모드 전환신호가 발생되는 단계와;
    상기 모드 전환신호에 의해 상기 통신유닛이 노말모드로 전환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유닛 제어방법.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유닛은 대기모드 요청신호에 대한 승인신호를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받기만 하면 노말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전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유닛 제어방법.
  11.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노말모드 상태에서 데이터전송 요청신호가 발생되는 단계와;
    상기 요청신호에 따라서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유닛 제어방법.
  12.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 값은 통신유닛의 상태를 대기모드로 유지하는 제 1 모드 값(Negative)과, 노말모드로 전환하는 제 2 모드 값(Positiv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유닛 제어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신호의 미 발생시에는 상기 통신유닛은 대기모드를 계속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유닛 제어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신호의 미 발생시에는 상기 통신유닛은 대기모드를 계속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유닛 제어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 값이 전송되면, 폴링 방식에 의해 그 모드 설정 값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유닛 제어방법.
KR1020060075338A 2006-08-09 2006-08-09 통신유닛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62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338A KR101162384B1 (ko) 2006-08-09 2006-08-09 통신유닛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835,171 US20080039154A1 (en) 2006-08-09 2007-08-07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07113995A EP1887817A3 (en) 2006-08-09 2007-08-08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A2007101422072A CN101123777A (zh) 2006-08-09 2007-08-09 通信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338A KR101162384B1 (ko) 2006-08-09 2006-08-09 통신유닛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604A true KR20080013604A (ko) 2008-02-13
KR101162384B1 KR101162384B1 (ko) 2012-07-04

Family

ID=38779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338A KR101162384B1 (ko) 2006-08-09 2006-08-09 통신유닛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039154A1 (ko)
EP (1) EP1887817A3 (ko)
KR (1) KR101162384B1 (ko)
CN (1) CN10112377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40556A1 (en) 2007-05-03 2010-01-06 Icera Canada ULC System and method for transceiver control of peripheral components
US20090218957A1 (en) * 2008-02-29 2009-09-03 Nokia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onserving power in mobile devices
US8943130B2 (en) * 2009-07-30 2015-01-27 Sony Computer Entertainment Europe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material
CN102595574A (zh) * 2011-08-09 2012-07-18 北京新岸线无线技术有限公司 节电方法及装置
EP2579671B1 (en) * 2011-10-03 2017-07-19 MediaTek, Inc Methods for UE indicating traffic-related information to network
TW201336332A (zh) * 2012-02-23 2013-09-01 Inst Information Industry 行動台及其節能方法
US8874103B2 (en) * 2012-05-11 2014-10-28 Intel Corporation Determining proximity of user equipment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CN104937996B (zh) * 2012-10-22 2019-04-19 安华高科技股份有限公司 至睡眠模式的转变方法
JP6107971B2 (ja) * 2013-01-10 2017-04-05 富士通株式会社 D2d通信の情報報告方法、ユーザ機器及び基地局
WO2015008984A1 (en) * 2013-07-15 2015-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ing central nod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20537B2 (en) * 2014-03-26 2016-08-16 Intel Corporation Queueing mechanism for client-side network traffic to reduce radio power consumption on mobile clients
CN108040361B (zh) * 2017-12-06 2021-03-19 上海麦腾物联网技术有限公司 一种跨平台物联网嵌入式系统的电源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4827A (en) * 1991-12-19 1995-05-09 Opti, Inc. Automatic cache flush
US6223047B1 (en) * 1998-08-26 2001-04-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xtended sleep mode method and apparatus
US6976180B2 (en) * 2001-03-16 2005-12-13 Dualcor Technologies, Inc. Personal electronics device
US6961595B2 (en) 2002-08-08 2005-11-01 Flari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obile nodes in multiple states
KR100665457B1 (ko) * 2003-04-30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모드 및 어웨이크 모드에서의 상태 천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617731B1 (ko) * 2004-06-19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 통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684318B1 (ko) 2004-11-30 2007-02-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단말의 슬립모드 구동방법 및 휴대단말의 슬립모드를위한 기지국의 통신방법
CN1317920C (zh) * 2005-06-15 2007-05-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睡眠模式下业务指示消息发送方法
US20060293067A1 (en) 2005-06-27 2006-12-28 Leung Kin K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leep intervals of a mobile unit
US7861098B2 (en) * 2006-06-30 2010-12-28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activity-based dynamic power management and policy creation for mobile platfor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87817A2 (en) 2008-02-13
EP1887817A3 (en) 2012-07-25
CN101123777A (zh) 2008-02-13
KR101162384B1 (ko) 2012-07-04
US20080039154A1 (en) 200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384B1 (ko) 통신유닛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842422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装置
TWI626856B (zh) 喚醒信號發送與接收之方法、存取點以及Wi-Fi裝置
US8249644B2 (en) Wireless terminal, base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1039617B1 (ko)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및 이를위한 시스템
EP27851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king up device
US7525413B2 (en) Apparatus supporting active and passive telecommunic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912518B2 (en) Power sav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JP2008263520A (ja) 携帯型電子装置、プログラム
KR20080110294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유휴 모드 운영 방법 및 장치
US7593709B2 (en) Method for managing power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110055094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341089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943621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JP5304526B2 (ja) ウェイクアップ電波送信機能を有する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および無線lan端末
US20100246464A1 (en) Power conservation through bi-directional association of multiple devices
JP469307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省電力方法、プログラム
JP2006246342A (ja) 携帯電話機
CN113329471A (zh) 建立点对点通信的方法、系统、存储介质以及电子设备
JP3495886B2 (ja) 携帯情報端末
KR101087693B1 (ko) 휴대 인터넷에서 노멀 수행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방법
JPH11234193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888220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データ伝送方法及び移動通信端末
KR100622875B1 (ko) 수신 대기 시간 향상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52020B1 (ko) 배터리 잔류량에 따른 절전 모드 요구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과 그에 따른 절전 모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