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3521A - 단말기 및 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발신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및 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발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3521A
KR20080013521A KR1020060075134A KR20060075134A KR20080013521A KR 20080013521 A KR20080013521 A KR 20080013521A KR 1020060075134 A KR1020060075134 A KR 1020060075134A KR 20060075134 A KR20060075134 A KR 20060075134A KR 20080013521 A KR20080013521 A KR 20080013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shortcut number
input
terminal
out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4997B1 (ko
Inventor
김강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5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997B1/ko
Priority to US11/836,012 priority patent/US8428655B2/en
Priority to CN2007101412831A priority patent/CN101123820B/zh
Publication of KR20080013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voice messaging, e.g. dicta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을 녹음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과 단축번호를 연계시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단축번호의 입력시, 상기 녹음된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발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타사용자가 자신의 음성을 단말기에 녹음하고, 상기 단말기의 실 사용자가 단축번호를 누르면 전화 연결되면서 상기 타사용자의 녹음된 음성이 나오기 때문에 누구에게 발신하였는지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음성, 녹음, 단축번호, 발신

Description

단말기 및 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발신 방법{Terminal and Transmission Method Using Shortened Number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은 따른 단말기의 음성녹음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음성출력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발신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키입력부 110 : 마이크
120 : 메모리 130 : 표시부
140 : 음향 출력부 150 : 제어부
본 발명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축번호를 누르면 전화 연결되면서 녹음된 음성이 출력되는 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발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즘 단말기에는 이용자가 좀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MP3, 카메라, 블루투스, 적외선통신 등의 기능을 내장하고 있다. 또한 단축 다이얼 호출 기능 중 상대방 전화번호를 두 자리 숫자로 줄여서 호출할 수 있는 번호인 단축번호 기능도 내장되어 있다.
예전에 한 할머니가 단말기의 버튼 1번을 눌려 아들에게 전화를 거는 한 이동통신사의 TV광고가 있었다. 이 광고는 단말기의 번호를 잘 기억하지 못하는 노인들이 단축키로 가족에게 쉽게 전화를 걸 수 있다는 내용이다.
단말기가 최첨단화하면서 기능이 복잡하고 이용이 어려워졌다. 최첨단 디지털기기 활용도가 떨어지는 노인·환자·장애인에게는 최첨단 휴대전화는 오히려 애물단지다. 그래서 요즘은 버튼 서너개로 발신과 착신이 가능한 초간편폰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이 또한 서너개의 버튼을 이용하여 전화번호 저장을 위해 이동통신사 전용 홈페이지를 방문하거나 교환원을 통해서 통화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불편한 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대방과 통화하기 위해 단축번호를 누르면 발호되면서 단말기에 녹음된 음성이 출력되도록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음향 출력부와;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와; 상기 음성과 상기 음성에 연계되는 단축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단축번호가 입력시, 상기 음성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발신방법은 음성을 녹음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과 단축번호를 연계시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단축번호의 입력시, 상기 녹음된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발신방법은 하나의 단축번호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단축번호와 연계시켜 음성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단축번호의 입력시, 상기 저장된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발신방법은 메시지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메시지를 단축번호와 연계시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단축번호 입력시, 상기 단축번호와 연계된 메시지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키입력부(100)는, 유저 인터페이스로써, 복수개의 숫자 키와 기능 키를 구비하고, 상기 키들에 대한 키 신호를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마이크(110)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한다.
메모리(120)는, 상기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 프로그램과 상기 단말기의 제어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메모리(120)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과 단축번호가 저장된다.
표시부(130)는,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키입력부(100)로부터 키 신호에 상응하는 표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하고, 상기 단말기의 동작 상태와, 다수의 정보를 아이콘 및 문자 형태로 표시한다.
음향 출력부(140)는,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스피커로 구성되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20)에 저장된 음향신호를 가청음 상태로 출력한다.
제어부(150)는, 단축번호가 입력시, 상기 음성을 상기 음향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상기 음성 출력 완료 후, 디폴트로 설정된 링 신호를 처리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상기 음성 출력과 동시에 DTMF 톤 신호를 차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성은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음성 또는 타사용자의 음성이다.
도 2는 본 발명은 따른 단말기의 음성녹음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음성 녹음을 위해 단말기 메뉴에서 음성입력을 위한 키를 입력하면(S200),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기 시작한다(S210).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의 음성은 상기 단말기의 실 사용자 음성 또는 타사용자의 음성이다.
이후, 상기 녹음된 음성과 단축번호를 연계시켜 저장한다(S22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음성출력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통화를 하기 위해 사용자가 단축번호를 소정시간 누르면(S300), 제어부(150)는 상기 단축번호와 연계된 녹음구성요소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310).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녹음구성요소가 존재하면 녹음된 음성을 음향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하는(S320) 것과 동시에 발신 한다(S330).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음성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또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음성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서, 상대방과 통화중일 때의 음성도 녹음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통화중 녹음된 음성을 발신시 음향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 녹음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으면 곧바로 호 신호를 출력하면서 발신한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발신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음성을 녹음하기 위하여 단말기의 음성녹음 메뉴항목에서 녹음한다(도 4a). 상기 음성녹음하는 시간은 5초, 10초, 20초 간격으로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요즘은 단조로운 기계음의 통화연결음 대신에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이나 다양한 소리로 바꿔 들려주는 통신부가서비스를 많이 이용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녹음된 음성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통신부가서비스는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이기 때문에, 비록 통신부가서비스를 이용하더라도 사용자가 단축번호를 누르면 상기 녹음된 음성이 출력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성 출력되는 시간을 5초 지정하였으면, 발신시 호 신호 대신에 5초 동안 녹음된 음성이 출력되고, 그 이후엔 DTMF 톤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라 함은 상기 단말기의 실 사용자이거나 단축번호에 연계된 타사용자이다.
이후, 상기 녹음된 음성은 단축번호와 연계되어서 저장된다(도 4c).
즉, 폰북에 사용자의 이름과 단축번호 그리고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음성녹음된 메시지가 저장되는 것이다.
상기 단축번호와 상대방의 전화번호 및 음성을 연계시켜 저장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음성을 30초 동안 녹음하면 약 30KB의 용량을 차지한다. 즉, MP3 파일 한개의 용량이 약 5MB라는걸 생각했을때, 100명의 음성을 녹음하여 단축번호와 연계시켜 저장하면 약 5MB의 용량을 차지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사람의 음성을 녹음할 수 있고, 메모리 용량의 제약도 덜 받게 된다.
또한, 통화중일때, 특정 핫키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통화중에 입력되는 음성을 하나의 단축번호와 연계시켜 저장하고, 상기 단축번호의 입력시, 상기 저장된 음성을 출력한다. 즉, 통화중 대화하는 것을 녹음할 수 있는데, 이때 녹음된 음성도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단축번호와 연계시켜 저장하고 발신시 상기 녹음된 음성 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생활 보호 기능 강화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으면, 상기 녹음된 음성이 출력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문자메시지를 이용하여 단축번호와 연계시켜 저장이 가능하다(도 4b).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메시지를 입력하고, 폰북의 특정 사용자를 선택하여 연계시켜 저장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도 4c에는 저장된 메시지가 음성녹음이란 하위메뉴로 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음성녹음 메뉴를 통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문장쓰기 메뉴를 통한 메시지를 통합해서 폰북에 저장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표시하였다.
상기 도 4c에서 좌측하단의 메뉴를 선택하면, 폰북에서의 여러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도 4d). 상기 메뉴중 5.음성으로 듣기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음성녹음된 메시지 또는 문장쓰기를 통한 메시지를 문자음성변화(TTS : text-to-speech)기능을 이용하여 음향출력부를 통해 출력된다. 이것은 눈이 좋지 않은 사람 또는 노약자들에게 손쉽게 메시지를 음성으로 들을 수 있어 더욱 편리하다.
또한, 상기 TTS 음성은 여성목소리와, 남성목소리와, 아기목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이하 본 발명을 좀더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단말기의 폰북에 몽실이란 이름이 입력되어 있고, 상기 이름의 단축번호로 1번이 지정되어 있다. 또한, 음성녹음은 몽실이란 사람의 음성이 녹음되어 있고, 상기 단말기의 실 사용자는 상기 몽실이란 사람에게 전화를 하기 위하여 단축번호 1번을 소 정시간 누른다. 그러면 발호가 되는 동시에 상기 녹음된 음성 메시지가 음향출력부를 통해 출력된다(도 4e).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누구에게 발신하였는지 좀더 정확히 알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발신 방법은 타사용자가 자신의 음성을 단말기에 녹음하고, 상기 단말기의 실 사용자가 단축번호를 누르면 전화 연결되면서 상기 타사용자의 녹음된 음성이 나오기 때문에 누구에게 발신하였는지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음성을 녹음하는 단계;
    상기 음성과 단축번호를 연계시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단축번호의 입력시, 상기 녹음된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발신 방법.
  2. 하나의 단축번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단축번호와 연계시켜 음성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단축번호의 입력시, 상기 저장된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발신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음성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또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음성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발신 방법.
  4. 통화중일때, 특정 핫키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통화중에 입력되는 음성을 하나의 단축번호와 연계시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단축번호의 입력시, 상기 저장된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발신 방법.
  5. 메시지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메시지를 단축번호와 연계시켜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단축번호 입력시, 상기 단축번호와 연계된 메시지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발신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것은 문자음성변화(TTS : text-to-speech)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발신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TTS 음성은 여성목소리와, 남성목소리와, 아기목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발신 방법.
  8. 음향 출력부;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
    상기 음성과 상기 음성에 연계되는 단축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단축번호가 입력시, 상기 음성을 상기 음향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 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출력 완료 후, 디폴트로 설정된 링 신호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출력과 동시에 DTMF 톤 신호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060075134A 2006-08-09 2006-08-09 단말기 및 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발신 방법 KR101154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134A KR101154997B1 (ko) 2006-08-09 2006-08-09 단말기 및 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발신 방법
US11/836,012 US8428655B2 (en) 2006-08-09 2007-08-0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placing a call
CN2007101412831A CN101123820B (zh) 2006-08-09 2007-08-09 移动通信终端以及发出呼叫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134A KR101154997B1 (ko) 2006-08-09 2006-08-09 단말기 및 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발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521A true KR20080013521A (ko) 2008-02-13
KR101154997B1 KR101154997B1 (ko) 2012-06-14

Family

ID=39051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134A KR101154997B1 (ko) 2006-08-09 2006-08-09 단말기 및 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발신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28655B2 (ko)
KR (1) KR101154997B1 (ko)
CN (1) CN10112382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419B1 (ko) * 2008-12-09 2011-03-23 이용식 단축번호의 장기기억을 위한 휴대전화의 디스플레이 방법과 기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8386B2 (en) * 2004-03-01 2013-09-17 Blackberry Limited Communications system providing text-to-speech message conversion features using audio filter parameters and related methods
US7650170B2 (en) 2004-03-01 2010-01-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Communications system providing automatic text-to-speech conversion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US11011153B2 (en) 2004-03-01 2021-05-18 Blackberry Limited Communications system providing automatic text-to-speech conversion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US8683355B1 (en) * 2008-06-24 2014-03-25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Chat space system and method
CN102170490B (zh) * 2011-03-18 2014-11-05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老人手机及其拨号方法
CN102158604A (zh) * 2011-04-22 2011-08-17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通讯确认方法
KR101954774B1 (ko) * 2012-08-16 2019-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데이터를 이용한 음성 통화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9063A (en) * 1996-09-11 2000-02-22 Sony Corporation Voice scratchpad implemented with wireless telephone
US6836651B2 (en) * 1999-06-21 2004-12-28 Telespree Communications Portable cellular phone system having remote voice recognition
KR100346203B1 (ko) 1999-08-26 2002-07-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통신 단말기에서 심벌을 이용한 단축다이얼 방법
JP2004503183A (ja) * 2000-07-07 2004-01-29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ツ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電気通信セッションの進行中に電話番号を自動的に記録する方法と装置
US7139709B2 (en) * 2000-07-20 2006-11-21 Microsoft Corporation Middleware layer between speech related applications and engines
JP2003070069A (ja) 2001-08-29 2003-03-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ードレス電話装置
US20040203613A1 (en) * 2002-06-07 2004-10-14 Nokia Corporation Mobile terminal
US20050118986A1 (en) * 2003-09-11 2005-06-02 Voice Signal Technologies, Inc. Phone number and name pronunciation interchange via cell phone
WO2005091603A1 (en) 2004-03-19 2005-09-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pid dialling
KR100629868B1 (ko) * 2004-04-29 2006-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도움말 제공 방법
KR20060007283A (ko) 2004-07-19 2006-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오통화 예방 방법
KR20060033840A (ko) 2004-10-16 2006-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음원 단축버튼 확인장치 및 방법
US20070013608A1 (en) * 2005-07-12 2007-01-18 Goo Siew C Dual display electronic device
US20070033617A1 (en) * 2005-08-08 2007-02-0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Redirecting broadcast signals for recording programming
US7613287B1 (en) * 2005-11-15 2009-11-03 TellMe Network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ingback ton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419B1 (ko) * 2008-12-09 2011-03-23 이용식 단축번호의 장기기억을 위한 휴대전화의 디스플레이 방법과 기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23820A (zh) 2008-02-13
KR101154997B1 (ko) 2012-06-14
US20080039054A1 (en) 2008-02-14
US8428655B2 (en) 2013-04-23
CN101123820B (zh)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4997B1 (ko) 단말기 및 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발신 방법
KR100365860B1 (ko) 이동 단말에서의 메시지 전송방법
US7443962B2 (en) System and process for speaking in a two-way voice communication without talking using a set of speech selection menus
JP6432566B2 (ja) 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820142B1 (ko) 휴대폰의 통화대기중 서비스 방법
KR100312614B1 (ko) 전화기의 비밀 번호 자동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송출 방법
JP5978825B2 (ja) 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21015B1 (ko) 대리통화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413270B1 (ko) 농아자의 의사소통을 위한 휴대전화기와 방법
KR10060580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소리음 제어방법
JP2000341393A (ja) 電話帳機能付き電話機
KR200385339Y1 (ko) 송수화기 및 그 송수화기를 구비한 유선전화기
JP2000216875A (ja) 電話装置と音声応答方法
KR100663741B1 (ko) 음성 정보를 통화 연결음으로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40032245A (ko) 발신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방법과 그것을 이용한휴대전화기
KR100736828B1 (ko) 노령세대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시스템
KR100255324B1 (ko) 전화기의 음성 호출 방법
KR100413275B1 (ko) 시각장애인의 의사소통을 위한 방법과 그 것을 이용한휴대전화기
JP2002271483A (ja) 携帯電話機
JP2003008696A (ja) 携帯電話装置
KR20080007730A (ko) 생일 관련 정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환경설정 방법
KR20030039154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전화번호부 구현 방법과 그 것을이용한 휴대전화기
KR20160073589A (ko) 유무선 전화기의 예약통화 방법
JP2008131136A (ja) 電話装置
JP2014150373A (ja) 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