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3223A - Lng 재기화 선박의 해상 lng 재기화 및 lng송출방법 - Google Patents

Lng 재기화 선박의 해상 lng 재기화 및 lng송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3223A
KR20080013223A KR1020060074427A KR20060074427A KR20080013223A KR 20080013223 A KR20080013223 A KR 20080013223A KR 1020060074427 A KR1020060074427 A KR 1020060074427A KR 20060074427 A KR20060074427 A KR 20060074427A KR 20080013223 A KR20080013223 A KR 20080013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ng
regasification
pipe
connecting device
pipe conn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4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승각
김세광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4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3223A/ko
Publication of KR20080013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2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17C7/02Discharging liquefied gases
    • F17C7/04Discharging liquefied gases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9/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2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2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 F17D1/065Arrangements for producing propulsion of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28Propulsion of the fluid with pumps or compressors
    • F17C2227/0157Compr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67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 F17C2227/0388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separate
    • F17C2227/0393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separate using a vapori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NG 재기화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상의 LNG 재기화 장치에서 LNG를 재기화하여 재기화된 NG를 육상 배관으로 송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LNG 재기화 운전 중에 일어날 수 있는 여러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제안된 해상의 LNG 재기화 및 NG 송출방법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방법은, 해상의 LNG 재기화 장치의 배관과 육상 배관 사이를 배관 연결장치로 연결하는 배관 연결 단계와, 상기 LNG 재기화 장치에서 LNG를 기화하고, 기화된 NG를 상기 배관 연결장치를 통해 육상 배관으로 송출하는 재기화 운전 단계와, 상기 배관 연결장치를 분리하기 전에, 상기 배관 연결장치의 NG 배관 내 잔존하는 NG를 외측으로 빼내는 배관 감압단계를 포함한다.
LNG, NG, 선박, 재기화, 배관, 부이, 라이저, 기화기, 불활성화, 감압, 증압

Description

LNG 재기화 선박의 해상 LNG 재기화 및 LNG 송출방법{LNG REGASIFICATION AND NG LOADING METHOD OFF THE SHORE IN LNG REGASIFICATION SHIP}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을 이루는 재기화 장치와 배관 연결장치가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을 이용해 LNG를 재기화하고 가스를 송출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LNG를 재기화하고 가스를 송출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선박 14: 기화기
20 : 배관 연결장치 21 : 부이
22; 24: 라이저 10: 재기화 장치
12: 석션드럼 13: 고압펌프
본 발명은, 해상의 LNG(Liquefied Natural Gas)재기화 장치에서 LNG를 재기화하여 재기화된 NG(Natural Gas)를 육상 배관으로 송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LNG 재기화 운전 중에 일어날 수 있는 여러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제안된 해상의 LNG 재기화 및 NG 송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천연가스의 소비량이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또는, 액화된 액화천연가스의 상태로 LNG 캐리어(특히, LNG 수송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된다. 액화천연가스는 천연가스를 극저온(대략 -163℃)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
LNG 수송선은, 액화천연가스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액화천연가스를 하역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 액화천연가스의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LNG 화물창을 포함한다. 통상, 이러한 LNG 수송선은 LNG 화물창 내의 액화천연가스를 액화된 상태 그대로 육상에 하역하며, 하역된 LNG는 육상에 설치된 LNG 재기화 설비에 의해 재기화된 후 천연가스의 소비처로 가스배관을 통해 운반된다.
이러한 육상의 LNG 재기화 설비는 천연가스 시장이 잘 형성되어 있어 안정적으로 천연가스의 수요가 있는 곳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경제적으로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천연가스의 수요가 계절적, 단기적 또는 주기적으로 있는 천연가스 소요처의 경우에는, 높은 설치비와 관리비로 인해, 육상에 LNG 재기화 설비를 설치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매우 불리하다.
특히, 자연재해 등에 의해 육상의 LNG 재기화 설비가 파괴될 경우, LNG 수송선이 소요처에 LNG를 싣고 도달한다 하더라도, 그 LNG를 재기화할 수 없다는 점에서 기존 LNG 수송선을 이용한 천연가스 운반은 한계성을 안고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LNG 수송선에 LNG 재기화 장치를 마련하여, 해상에서 액화천연가스(이하, 'LNG'라 함)를 재기화하고, 그 재기화를 통해 얻어진 천연가스(이하, 'NG'라 함)를 육상으로 공급하는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특허 제 0569621 호(엑손모빌 오일 코포레이션, 수송선 상에서 액화천연가스를 가스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 미국 특허 제 6,546,739 호(Exmar Offshor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offshore LNG regasification), 미국 특허 제 6,578,366 호(Moss Maritime AS, Device for evaporation of liquefied natural gas), 미국 특허 제 6,688,114 호(El Paso Corporation LNG CARRIER, 미국 특허 제 6,598,408 호(El Paso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LNG), 한국 특허 제 0467963 호(강도욱, 앨앤지 알브이의 가스화 장치 운전 방법), 미국 특허 제 6,945,049 호(Hamworthy KSE a.s., Regasification system and method), 한국 특허 제 0504237 호(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저 개구부를 막을 수 있는 차폐수단이 구 비된 선박), 한국 특허 제 0474522 호(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수 가열 시스템), 한국 특허공개 제 2003 -0090686 호(라이프 호에그 운트 코. 에이에스에이, 선박 및 하역 시스템), 미국 특허공개 제 2005-0061002A 호(Shipboard regasification for LNG carriers with alternate propulsion plants), 한국 특허공개 제 2004-0105801 호(엑셀레이트 에너지 리미티드 파트너쉽, 개량된 LNG 운반선), 한국 실용등록 제 0410836 호(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 천연가스선의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등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LNG 재기화 선박은, LNG 화물창에 저장된 LNG의 재기화를 위해 기화기를 포함하는 LNG 재기화 장치를 선박에 구비하며, 또한, 재기화된 NG를 육상 소요처로 공급하기 위해, LNG 재기화 장치의 배관과 육상 소요처의 가스배관을 연결시키는 배관 연결장치, 그리고, NG의 하역이 이루어지는 동안 선박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선박위치 유지장치 등을 구비한다.
해상의 선박 또는 그와 유사한 해상 부유 구조물에서 LNG를 재기화하여, 재기화된 NG를 육상으로 공급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해상의 LNG 재기화 장치를 육상의 배관에 연결하기 위한 배관 연결장치가 요구되며, 그 배관 연결장치와 LNG 재기화 장치를 분리 또는 결합하는데 있어서 가스 누설 등의 위험성이 항상 존재하고 있다. 또한 재기화 운전 후 LNG 재기화 장치 및 배관 연결장치에 LNG 또는 NG가 연소 농도 범위 이상으로 잔존할 때 항상 폭발 등의 위험성이 있다는 것을 본 발명자는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 연결장치를 해상의 재기화 장치에 연결하거나 분리하면서 LNG의 재기화 운전 및 NG의 육상 송출을 하는데 있어서, 가스 누출 및/또는, LNG 또는 NG의 장치 내 잔존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여러 위험성에 대처하면서 LNG 재기화 및 NG 송출을 안전하게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방법은, 해상의 LNG 재기화 장치에서 LNG를 재기화하여 재기화된 NG를 육상 배관으로 송출하되, 해상의 LNG 재기화 장치의 배관과 육상 배관 사이를 배관 연결장치로 연결하는 배관 연결 단계와, 상기 LNG 재기화 장치에서 LNG를 기화하고, 기화된 NG를 상기 배관 연결장치를 통해 육상 배관으로 송출하는 재기화 운전 단계와, 상기 배관 연결장치를 분리하기 전에, 상기 배관 연결장치의 NG 배관 내 잔존하는 NG를 외측으로 빼내는 배관 감압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재기화 운전 전에 LNG 또는 NG가 흐를 재기화 장치 내부를 불활성 가스를 이용하여 불황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재기화 운전 전에 LNG가 흐를 재기화 장치 내부를 LNG 가스로써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재기화 운전 전에 NG 배관의 내부 압력을 예정 운전 압력이 되도록 미리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재기화 운전 전에 이루어지는 준비단계로써, LNG 또는 NG가 흐를 재기화 장치 내부를 불활성 가스를 이용하여 불황성화시키는 단계와, LNG가 흐를 재기화 장치 내부를 LNG 가스로써 냉각시키는 단계와, NG 배관의 내부 압력을 예정 운전 압력이 되도록 미리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배관 감압단계 후에 상기 배관 연결장치의 배관 내부를 불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기화 운전 후 또는 상기 배관 연결장치의 분리 후에 상기 재기화 장치에 남아있는 LNG 또는 NG를 LNG 화물창 또는 이와 연결된 드럼(즉, 석션드럼)으로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LNG 또는 NG가 제거된 상기 재기화 장치 내부를 불활성 가스로서 불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불활성화를 위해 재기화 장치 내부에 존재하였던 불활성 가스를 압축공기로 치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관 감압단계에서 상기 NG는 LNG 화물창 또는 이와 연결된 드럼 내로 회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배관 연결장치는 호스형의 라이저들에 의해 상기 재기화 장치 및 육상의 배관에 각각 연결되고 바다에 계류한 채 선박에 결합되는 부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선박(2)에 설치된 재기화 장치(10)와 그 재기화 장치(10)를 육상의 배관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관 연결장치(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선박(2)은 LNG 화물창(2a)을 선체 아래쪽에 구비하고 또한 자체 추진 능력을 갖는 것이지만, 상기 선박(2) 대신에 자체 추진 능력이 없는 다른 해상 부유 구조물(예컨대, 바지선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관 연결장치(20)는 해상 일정 깊이의 해저에 계류된 채 해저 터미널(6)에 배관 연결된 부이(21)를 포함하는 해상 계류식 배관 연결장치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배관 연결장치(20) 대신에 해상에 계류됨 없이 재기화 장치(10)와 육상의 배관을 바로 연결하는 다른 구조의 배관 연결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재기화 장치(10)는 LNG 화물창(2a)으로부터 끌어 올려진 LNG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석션드럼(12)과, 상기 석션드럼(12)으로부터 공급되는 LNG를 고압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고압펌프(13)(도 1에는 하나만이 도시됨)와, 이 복수의 고압펌프(13)들 각각에서 승압되어 공급된 LNG를 열교환 매체를 이용하여 재기화시키는 복수의 기화기(14)를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 매체로는 해수 또는 청수를 이용하거나, 중간 열교환 매체(예컨대, 프로판, 에탄, 암모니아 등)를 함께 이용할 수 있다(미국 특허 제 6,945,049 호 참조).
또한, 상기 배관 연결장치(20)는, 선박(2)에 제공된 터릿(3)을 통해 상기 선박(2)에 결합(또는, 도킹)되는 부이(21)와, 상기 부이(21)의 상, 하에 각각 연결된 채 상기 재기화 장치(10) 및 해저 터미널(6)에 연결되는 플렉시블한 배관들, 즉, 제 1 및 제 2 라이저(22, 24)를 포함한다. 해저 터미널(6)은 육상으로부터 해저로 이어진 배관(7)과 직접 연결되므로, 그 위치에 상관없이 육상 배관의 일부인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상기 제 2 라이저(24)가 부이(21)에 항상 연결되어 있는 배관 인 것과는 달리, 제 1 라이저(22)는 선박에 부이(21)가 결합된 후 선상의 작업자에 의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a), (b), (c)에는 배관 연결장치(20)를 재기화 장치(10)에 배관 연결하는 과정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a)는 배관 연결장치의 부이(21)가 선박과 결합되기 직전을 보여준다. 도 2의 (b)는 배관 연결장치 부이(21)가 선박에 결합된 직후를 보여준다. 도 2의 (c)는 부이(21)가 선박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 1 라이저(22)가 더 설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위의 과정을 통해, 제 1 라이저(22), 부이(21) 그리고, 제 2 라이저(24)로 구성된 배관 연결장치(20)가 재기화 장치(10)를 육상의 배관에 바람직하게 배관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LNG를 재기화하여 재기화된 NG를 육상으로 공급하는 모든 절차가 순서도로써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NG의 재기화 운전 전과 운전 후에 여러 단계들이 수행되며, 이러한 단계들의 수행에 의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LNG 선박에서 재기화하여 육상으로 송출할 수 있다. 도 3의 각 단계들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관 연결장치(20)를 이용해 선박의 재기화 장치(10)와 육상의 배관을 연결하는 단계(S101)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행된다. 배관 연결장치(20)와 재기화 장치(10)가 연결되면, 재기화 장치(10)의 각 구성요소, 특히, 배관 내부를 불활성가스, 보다 바람직하게는 질소(N2) 가스로 불활성화시키는 단계(S102)가 수행 된다. 이 단계(S102)는 재기화 장치(10) 내부에 연소 범위 이상으로 NG가 존재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폭발 등의 위험성을 미리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재기화 장치(10)와 배관 연결장치(20)가 배관 연결되어 있으므로, 배관 연결장치의 불활성화 처리를 동시에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다음, 재기화 장치(10)를 미리 냉각하는 단계(S103)가 수행된다. 이 단계(S103)는 극저온의 LNG가 재기화 장치(10)의 각 구성요소, 특히, LNG 배관을 갑자기 흘러서 야기되는 손상(예컨대, 열변형, 균열, 파손)을 미리 막기 위한 것으로서, 기화기(14)의 운전이 정지된 상태로, 소량의 LNG를 LNG 배관 및 그 LNG 배관이 통과되는 각 구성요소(예컨대, 석션드럼, 고압펌프 등)에 흘려주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재기화 장치(10)의 불활성화 및 냉각이 이루어진 후, 기화기(14) 하류의 NG 배관 내의 압력을 예정 운전 압력이 되도록 승압시키는 단계(S104)가 수행된다. 이때, NG 배관 내의 압력 증가는 재기화 장치(10) 및 이와 연결된 배관 연결장치(20)의 NG 배관들 전체에 걸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LNG 재기화 운전을 위한 위의 준비 단계들이 모두 완료되면, 재기화 장치(10)와 배관 연결장치(20)의 연결 상태를 다시 한번 확인한 후, 고압펌프(13)의 구동 하에, 화물창(2a), 석션드럼(12) 및 고압펌프(13)를 거쳐 흐른 LNG를 기화기(14)에서 기화시키고, 그 기화된 NG를 배관 연결장치(20)을 통해 육상으로 송출하는 재기화 운전 단계(S105)가 수행된다. 그리고, 육상 소요처에 원하는 NG를 송출한 후, 상기 재기화 운전 단계(S105)는 종료된다.
위의 재기화 운전이 종료되면, LNG의 재기화 및/또는 NG 송출에 이용되었던 상기 재기화 장치(10) 및 배관 연결장치(20)에 대한 다음과 같은 단계들이 수행된다.
가장 먼저, 배관 연결장치(20)에 남아있는 NG를 배관 외부로 빼내는 배관 연결장치(20)의 감압 단계(S106)가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배관 연결장치(20)로부터 나온 NG는 LNG 화물창(2a) 또는 석션드럼(12)으로 회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S106)는 배관 연결장치(20)에 남아있는 NG가 이후에 있을 배관 연결장치(20)의 분리시에 외부로 누출되어 일어날 수 있는 여러가지 위험성을 막기 위하여 수행되는 것이다. 이때, 배관 연결장치(20)의 NG 배관과 재기화 장치(10)의 NG 배관은 밸브(미도시함) 폐쇄에 의해 서로 차단된다.
그 다음, 배관 연결장치(20)의 NG 배관 내부를 불활성화시키는 단계(S107)이 수행된다. 이 단계(S107)는 배관 연결장치(20)의 NG 배관 내부를 연소 범위 아래로 불활성화시킴으로써, 배관 연결장치(20)의 분리시에 외부 조건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폭발 등의 위험성을 미리 막아준다. 위 단계들(S106, S107)에 의해 배관 연결장치(20)가 안전한 상태가 된 후, 그 배관 연결장치(20)를 재기화 장치(10)로부터 분리하는 단계(S108)가 수행된다. 이때, 재기화 장치(10)와 배관 연결장치(20)의 분리 상태를 재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배관 연결장치(20)가 분리된 재기화 장치(10)에 남아 있는 고압가스를 감압하는 단계(109A)와, LNG 및 NG를 LNG 화물창(2a) 또는 석션드럼(12)로 회수하는 단계(S109B)가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상기 NG와 LNG의 회수는 동시에 이루 어지거나 또는 차례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NG와 LNG가 화물창(2a)으로 회수된 후, 재기화 장치(10)의 LNG 배관 및 NG 배관 그리고, 그 배관들이 통과하는 각 구성요소들을 불활성 가스(특히, 질소가스)로 불활성화하는 단계(S110)가 수행된다. 이 단계(S110) 또한 LNG가 흘렀던 부분과 NG 흘렀던 부분을 동시에 불활성화시키는 것과, 시간차를 두고 차례로 불활성화시키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추가로, 위의 불활성화시키는 단계(S110)에 의해 재기화 장치(10)에 남아있는 불활성 가스를 압축 공기로 치환하는 단계(S111)가 수행될 수 있다. 이 단계(S111)는 재기화 장치(10)의 바람직한 관리를 위해 수행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NG 재기화 및 NG 송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는 앞선 실시예와 비교할 때 재기화 운전 후의 단계들만이 상이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재기화 운전 전의 단계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것이며, 또한 도 4에서도 재기화 운전 전의 각 단계들은 그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기화 운전이 종료되면, LNG의 재기화 및/또는 NG 송출에 이용되었던 상기 재기화 장치(10) 및 배관 연결장치(20)에 대한 다음과 같은 단계들이 수행된다.
가장 먼저, 배관 연결장치(20)와 재기화 장치(10)의 NG 배관에 남아있는 NG를 배관 외부로 빼내는 감압 단계(S206)가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배관 연결장치(20) 및 재기화 장치(10)으로부터 나온 NG는 LNG 화물창(2a)으로 회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단계(S206)는 배관 연결장치(20)와 재기화 장치(10) 사이에 위치한 NG 배관 상의 밸브(미도시함)를 오픈한 상태로 이루어진다.
그 다음, 상기 배관 연결장치(20)와 재기화 장치(10)의 NG 배관에 불활성 가스(N2)를 불어넣어 상기 NG 배관 내부를 불활성화시키는 단계(S207)가 수행된다. 이 단계(S207)도 배관 연결장치(20)와 재기화 장치(10)의 NG 배관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이루어지므로, 한 번의 불활성 가스 처리에 의해 두 장치의 NG 배관 내 불활성화화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그 다음, 재기화 장치(10)에 존재하는 LNG를 LNG 화물창(2a)으로 회수하는 단계(S208)와 LNG 회수가 이루어진 재기화 장치(10)의 구성요소들 및 LNG 배관에 대해 불황성화 처리를 하는 단계(S209)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LNG를 회수하고 LNG 배관 등을 불활성화시키는 상기 단계들(S208 및 S209)은 NG를 회수하고 NG 배관 등을 불활성화시키는 전술한 단계들(S206, S207)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전술한 단계들(S206, S207)에 선행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 다음, 재기화 장치(10)로부터 배관 연결장치(20)을 분리하는 단계(S210)가 수행된다. 이 단계(S209)는, 배관 연결장치(20)로부터 NG가 제거된 후 이루어지는 것으로 족하므로, 전술한 LNG 회수 단계(S207)에 선행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변경 또는 수정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 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선박 등의 해상 부유 구조물에 설치된 재기화 장치와 육상의 배관을 배관 연결장치로 연결하여, 그 해상 부유 구조물에서 LNG를 재기화하여 NG를 육상 소요처로 공급할 수 있으며, 특히, 배관 연결장치와 재기화 장치의 분리 또는 연결시에 일어날 수 있는 NG의 누출 및 이에 따른 다양한 사고의 위험성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실시예들에 따르면, 재기화 운전 전, 후에 재기화 장치 및/또는 배관 연결장치의 내부가 LNG 및/또는 NG의 잔존 없이 유지되고 더 나아가, 그 내부가 연소 범위 아래로 불활성화되어 있으므로, 더욱 안전하게, 해상에서 LNG를 재기화하여 육상으로 NG를 송출하는 운전이 가능해진다.

Claims (11)

  1. 해상의 LNG 재기화 장치에서 LNG를 재기화하여 재기화된 NG를 육상 배관으로 송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해상의 LNG 재기화 장치의 배관과 육상 배관 사이를 배관 연결장치로 연결하는 배관 연결 단계와;
    상기 LNG 재기화 장치에서 LNG를 기화하고, 기화된 NG를 상기 배관 연결장치를 통해 육상 배관으로 송출하는 재기화 운전 단계와;
    상기 배관 연결장치를 분리하기 전에, 상기 배관 연결장치의 NG 배관 내 잔존하는 NG를 외측으로 빼내는 배관 감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의 LNG 재기화 및 NG 송출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기화 운전 전에 LNG 또는 NG가 흐를 재기화 장치 내부를 불활성 가스를 이용하여 불황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의 LNG 재기화 및 NG 송출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기화 운전 전에 LNG가 흐를 재기화 장치 내부를 LNG 가스로써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의 LNG 재기화 및 NG 송출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기화 운전 전에 NG 배관의 내부 압력을 예정 운전 압력이 되도록 미리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의 LNG 재기화 및 NG 송출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기화 운전 전에 이루어지는 준비단계로,
    LNG 또는 NG가 흐를 재기화 장치 내부를 불활성 가스를 이용하여 불황성화시키는 단계와,
    LNG가 흐를 재기화 장치 내부를 LNG 가스로써 냉각시키는 단계와,
    NG 배관의 내부 압력을 예정 운전 압력이 되도록 미리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의 LNG 재기화 및 및 송출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관 감압단계 후에 상기 배관 연결장치의 배관 내부를 불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LNG 재기화 및 NG 송출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기화 운전 후 또는 상기 배관 연결장치의 분리 후에 상기 LNG 재기화 장치에 남아있는 LNG 또는 NG를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의 LNG 재기화 및 NG 송출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LNG 또는 NG가 제거된 상기 LNG 재기화 장치 내부 를 불활성 가스로서 불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의 LNG 재기화 및 NG 송출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화를 위해 재기화 장치 내부에 존재하였던 불활성 가스를 압축공기로 치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의 LNG 재기화 및 NG 송출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관 감압단계에서 상기 NG는 화물창 또는 이와 연결된 드럼으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의 LNG 재기화 및 NG 송출방법.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연결장치는 호스형의 라이저들에 의해 상기 LNG 재기화 장치 및 육상의 배관에 각각 연결되고 바다에 계류한 채 선박에 결합되는 부이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LNG 재기화 및 NG 송출방법.
KR1020060074427A 2006-08-07 2006-08-07 Lng 재기화 선박의 해상 lng 재기화 및 lng송출방법 KR200800132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427A KR20080013223A (ko) 2006-08-07 2006-08-07 Lng 재기화 선박의 해상 lng 재기화 및 lng송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427A KR20080013223A (ko) 2006-08-07 2006-08-07 Lng 재기화 선박의 해상 lng 재기화 및 lng송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223A true KR20080013223A (ko) 2008-02-13

Family

ID=39341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4427A KR20080013223A (ko) 2006-08-07 2006-08-07 Lng 재기화 선박의 해상 lng 재기화 및 lng송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32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824A (ko) 2014-12-09 2016-06-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재기화 시스템의 고압펌프 가압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824A (ko) 2014-12-09 2016-06-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재기화 시스템의 고압펌프 가압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4117B2 (en) Dockside ship-to-ship transfer of LNG
US10359229B2 (en)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commissioning system and method
JP4927239B2 (ja) 圧縮された天然ガスの船舶による輸送システム
US20060000615A1 (en) Infrastructure-independent deepwater oil field development concept
KR100676615B1 (ko) 해상 부유 구조물을 이용한 lng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KR100781868B1 (ko)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 및 그것의 운전 정지 방법
US9580153B2 (en) Retractable LNG cargo transfer bow manifold for tandem marine cargo transfers
KR101388871B1 (ko) 가스 및 전기 생산설비가 구비된 부유식 엘엔지 급유시설
KR100779779B1 (ko) Lng 재기화 선박용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의취급방법
KR100888339B1 (ko) 해상구조물에서 lng 재기화에 이용된 유체의 처리 방법및 시스템
KR100678853B1 (ko) Lng 재기화 선박용 기화기
KR20080070412A (ko) Lng 재기화 선박용 모의 부이
KR100779780B1 (ko) 누출 lng를 수용하는 안전용기를 구비한 lng 선박
KR101148063B1 (ko) 부유식 계류 장치
WO2007112498A1 (en) Lng production facility
US11878772B2 (en) Offshore transfer and destruc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KR20080013223A (ko) Lng 재기화 선박의 해상 lng 재기화 및 lng송출방법
KR101167150B1 (ko) Lng 운반선 화물창의 점검방법 및 점검장치
KR100701398B1 (ko) Lng 재기화 선박의 터릿에 설치되는 선체 변형 방지용 스프레이 장치 및 상기 스프레이 장치를 이용한 선체 변형 방지 방법
KR100503509B1 (ko) 근해상에서 액화 천연가스를 가스화하는 방법
KR102262123B1 (ko) 액체화물 수송 시스템
KR100678842B1 (ko) 터릿에 설치되는 소방장치를 구비한 lng 선박 및 상기 소방장치를 이용한 화재 진화 방법
KR102535973B1 (ko) Fsu 양방향 무어링 및 비상차단시스템 운용방법
KR100747378B1 (ko) 터릿에 설치되는 압력감소장치를 구비한 lng 선박
KR102130715B1 (ko) 선박의 연안 가스 테스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