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2666A - 엘리베이터 케이지도어의 개폐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케이지도어의 개폐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2666A
KR20080012666A KR1020060073849A KR20060073849A KR20080012666A KR 20080012666 A KR20080012666 A KR 20080012666A KR 1020060073849 A KR1020060073849 A KR 1020060073849A KR 20060073849 A KR20060073849 A KR 20060073849A KR 20080012666 A KR20080012666 A KR 20080012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urrent
motor
control unit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희
Original Assignee
(주) 태양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태양이엘 filed Critical (주) 태양이엘
Priority to KR1020060073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2666A/ko
Publication of KR20080012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6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66B13/146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method or algorithm for controll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6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los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25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maintenance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열림 및 닫힘 동작시 양측 도어 사이에 승객 또는 물체가 개재되는 경우 도어 모터가과전류를 검출하여 이상상태로 판단하게 되어 도어를 역전작동시킴으로써 승객의 안전과 엘리베이터의 안전 운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승강 모터(205)의 구동을 제어하는 승강 제어부(204); 도어의 개방 완료 시점을 산출하기 위하여 도어 모터(212)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코더(213); 상기 도어 모터(212)의 구동을 제어하는 도어 제어부(211); 상기 도어 모터(212)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215); 케이지 제어 프로그램 및 상기 도어 모터(212)의 정상적인 부하전류치를 저장하는 롬(ROM)(202); 케이지 제어 데이터 및 상기 도어 모터(212)의 부하 전류에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RAM)(203); 도어 열림 및 닫힘 동작시 상기 도어 모터(212)의 부하 전류를 이상에 따른 과전류 검출로 판단한 경우 상기 도어 제어부(211)에 도어 역전 지령을 출력하도록 상기 승강 제어부(204)를 제어하는 CPU(201); 상기 승강 제어부(204)와 도어 제어부(211) 및 전류 검출부(215)간에 접속된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부(207)(214)로 구성된다.
엘리베이터, 케이지 도어, 개폐제어, 포토센서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케이지도어의 개폐제어장치{Control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of cage door in elevator}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케이지 도어 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 도어의 안전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종래의 도어 제어를 위한 신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도어 제어를 위한 신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01,305 : 씨피유(CPU) 202 : 롬(ROM)
203 : 램(RAM) 204 : 승강 제어부
205 : 승강모터 206,213 : 엔코더
207,214 : 직렬통신 인터페이스부 211 : 도어 제어부
212 : 도어모터 215 : 전류 검출부
301 : 전류 트랜스 302,303 : 비교기
304 : 입력버퍼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자동문에 있어서 문에 접촉되지 않고 물체의 존재 여부를 포토센서에 의해 감지하여 도어의 개폐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도어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에는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문을 제어함에 있어서 승객의 안전을 위한 보호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도1 은 종래의 도어 제어 장치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를 운행시키는 승강 모터(105)와, 케이지의 운행 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 모터(105)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코더(106)와, 상기 승강 모터(105)의 구동을 제어하는 승강 제어부(104)와, 케이지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102)와, 케이지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RAM)(103)과, 상기 롬(10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케이지 운전 지령을 상기 승강 제어부(104)에 출력하고 그때의 케이지 제어 데이터를 상기 램(103)에 저장하는 씨피유(101)와, 도어의 개폐를 수행하는 도어 모터(112)와, 도어의 개방 완료 시점을 산출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 모터(112)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코더(113)와, 상기 도어 모터(112)의 구동을 제어하는 도어 제어부(111)와, 상기 승강 제어부(104)와 도어 제어부(111)간의 상호 직렬통신 을 위한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부(SIO)(107)(114)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 제어부(111), 도어 모터(112), 엔코더(113) 및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부(114)는 승강로 상을 주행하는 케이지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끼임 방지를 위하여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 도어(121a) (121b)의 양쪽 끝에 안전슈(122a)(122b)가 설치되고 추가 안전 장치로서 상기 케이지 도어(121a)(121b)에 구비된 상기 안전슈(122a)(122b)의 후부 또는 상하부에 발광, 수광을 위한 포토 센서(123a,123b) 또는 (123c123d)가 설치되어진다.
상기 안전슈(122a)(122b)는 승객 또는 다른 물체와의 충돌시 전기적 접점 스위치를 동작시키도록 도어(121a)(121b)의 안쪽으로 합입되게 구성된다.
이와같은 종래 기술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승객의 부름이 검출되면 롬(102)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씨피유(101)의 제어를 받는 승강 제어부(104)는 승강 모터(105)를 구동하여 카를 목적층으로 운전시키면서 상기 승강 모터(105)의 축에 연결되어 있는 엔코더(106)의 출력 펄스를 연산하여 카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이에 따라, 카가 목적층의 승강장에 도달하면 승강 제어부(104)는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부(107)(114)를 통해 도어 제어부(111)에 도어 개방 지령을 전송하게 된다.
이때, 도어 제어부(111)는 개방 지령에 따라 도어 모터(112)를 도어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어(121a)(121b)를 개방시키게 되며 상기 도어(121a)(121b)가 개 방 한계 지점에 도달하면 개방 완료 접점 스위치의 신호가 상기 도어 제어부(111)로 전송되어진다.
이에 따라, 도어 제어부(111)는 도어 모터(112)에 정지 명령을 내리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도어 모터(112)에 닫힘 명령을 전송하여 도어 개방시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킴에 의해 도어(121a)(121b)를 닫게 된다.
만일, 도어(121a)(121b)의 닫힘 동작이 진행되는 중에 도어(121a)(121b)의 맞닿는 부분에 설치된 안전슈(122a)(122b)에 승객 혹은 다른 물체와의 충돌이 발생되면 상기 안전슈(122a)(122b)가 상기 도어(121a)(121b)의 안쪽으로 함입되어 상기 안전슈(121a)(121b)에 연계된 전기적 접점 스위치가 동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기적 접점 스위치의 신호가 도어 제어부(111)에 전송되며 상기 도어 제어부(111)는 도어 모터(112)를 제어하여 도어(121a)(121b)의 운동 방향을 역전시키게 된다.
또한, 안전슈(122a)(122b)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설치된 포토센서(123a)(123b)의 경우 상기 안전슈(121a)(121b)에 승객이나 다른 물체와의 충돌에 의해서가 아니라 상기 포토 센서(123a)(123b)간에 광이 투과되며 한쪽 센서에서의 광이 타측 센서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도어(121a)(121b)의 운동 방향을 역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포토센서를 도어 상부측(123c)(123d)에 설치하여, 이들 간의 상하로 광이 투과되어 한쪽 센서에서의 광이 타측 센서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도어 (121a)(121b)의 운동 방향을 역전시키게 된다.
상기 포토 센서(123a)(123b)는 비접촉식 전자식 안전 장치이다. 또한 상기 안전슈(122a)(122b)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설치되는 포토센서(123a)(123b)는 막대형 포토센서가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은 기술은 승객이나 도어의 안전을 위해서 도어의 닫힘 동작중에 안전 장치로서의 기능을 도4 의 신호 흐름과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도어의 열림 혹은 닫힘 동작중 승객의 부주의로 인하여 손가락이나 옷자락등이 도어와 외곽틀사이에 끼일 경우 사고 방지 수단이 제공되어 있지 않으므로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포토 센서의 설치 위치에 따라 감지할 수 있는 범위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안전슈 자체를 감지 센서 안테나 역할을 하도록 하여 안전슈의 일정 근방에서 승객이나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도어를 역전시키도록 한 장치도 개발되어 있으며 또한, 도어의 닫힘 동작에 대해서만 적용되었던 것이 도어의 열림 동작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한 도3 과 같이 구동 풀리에 안전 스위치를 취부한 기계적인 도어의 안전 보호 장치도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기계적인 도어의 안전 보호 장치는 제작 및 조립에 있어서 설치비 및 설치 공간의 제약이 수반되므로 보다 제작비가 저렴하고 조립이 용이한 방법이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어의 열림 및 닫힘 동작시 도어 모터의 전류를 검출함에 있어서 도어와 주변 기기사이에 승객 또는 물체의 끼임에 의해 과전류를 검출하는 경우 이상 상태로 판단하여 도어를 역전시키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안전과 엘리베이터의 안전 운전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도록 창안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원리는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중 도어와 외곽틀사이에 승객 또는 다른 물체가 끼이게 될 경우 도어 모터의 부하 토크가 증가하는데, 이때의 도어 모터의 입력 전류가 토크와 비례함을 이용하는 것으로 도어 모터의 전류를 감지하여 이상 토크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어 모터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와, 카의 주행 프로그램과 도어 위치에 따른 정상적인 도어 모터의 부하 전류치를 저장하는 롬(ROM)를 구비하여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시 도어 모터의 전류가 정상 전류치보다 큰 경우 도어를 역전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 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를 운행시키는 승강 모터(205)와, 카의 운행 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 모터(205)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코더(206)와, 상기 승강 모터(205)의 구동을 제어하는 승강 제어부(204)와, 도어의 개폐를 수행하는 도어 모터(212)와, 도어의 개방 완료 시점을 산출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 모터(212)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코더(213)와, 상기 도어 모터(212)의 구동을 제어하는 도어 제어부(211)와, 상기 도 어 모터(212)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215)와, 카 제어 프로그램 및 상기 도어 모터(212)의 정상적인 부하 전류치를 저장하는 롬(ROM)(202)와, 카 제어 데이터 및 상기 도어 모터(212)의 부하 전류에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RAM)(203)과, 상기 롬(20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카 운전 지령을 상기 승강 제어부(204)에 출력하고 그때의 카 제어 데이터를 상기 램(203)에 저장하며 도어 열림 및 닫힘 동작시 상기 전류 검출부(215)에서 검출된 상기 도어 모터(212)의 부하 전류를 상기 롬(202)에 저장된 정상적인 부하 전류치와 비교하여 이상에 따른 과전류 검출로 판단한 경우 상기 도어 제어부(211)에 도어 역전 지령을 출력하도록 상기 승강 제어부(204)를 제어하는 씨피유(201)와, 상기 승강 제어부(204)와 도어 제어부(211) 및 전류 검출부(215)간의 상호 직렬 통신을 위한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부(SIO)(207)(214)로 구성된다.
본 발명도 끼임 방지를 위하여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 도어(121a) (121b)의 양쪽 끝에 안전슈(122a)(122b)가 설치되고 추가 안전 장치로서 상기 카 도어(121a)(121b)에 구비된 상기 안전슈(122a)(122b)의 전부 또는 후부에 발광, 수광을 위한 포토 센서(123a)(123b)가 설치되어진다. 상기 포토 센서는 막대형 포토센서가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슈(122a)(122b)는 승객 또는 다른 물체와의 충돌시 전기적 접점 스위치를 동작시키도록 도어(121a)(121b)의 안쪽으로 합입되게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승객의 부름이 검출되면 롬(202)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씨피유(201)의 제어를 받는 승강 제어부(204)는 승강 모터(205)를 구동하여 카를 목적층으로 운전시키면서 상기 승강 모터(205)의 축에 연결되어 있는 엔코더(206)의 출력 펄스를 연산하여 카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이때, 카가 목적층의 승강장에 도달하면 승강 제어부(204)는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부(207)(214)를 통해 도어 제어부(211)에 도어 개방 지령을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어 제어부(211)는 개방 지령에 따라 도어 모터(212)를 도어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어(121a)(121b)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도어(121a)(121b)의 열림 동작중에 전류 검출부(215)는 도어 모터(212)의 전류를 계속적으로 검출하여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부(214)(207)를 통해 승강 제어부(204)에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승강 제어부(204)를 통해 도어 모터(212)의 부하 전류를 입력받은 씨피유(201)는 롬(202)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도어 모터(212)의 정상적인 부하 전류치와 비교하게 된다.
만일, 비교 결과 도7 의 파형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모터(212)의 부하 전류가 과전류로 판단되는 경우 씨피유(201)는 상기 도어 모터(212)를 역회전시키도록 상기 승강 제어부(204)에 지령을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승강 제어부(204)에서 전송된 지령에 의해 도어 제어부(211)가 도어 모터(212)를 역전시킴에 의해 도어(121a)(121b)가 닫힘 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닫힘 동작중에 안전슈(122a)(122b)가 작동되면 상기 도어 제어부(211)는 상기 도어 모터(212)를 다시 역전시켜 재열림 동작을 수행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어(121a)(121b)의 초기 열림 동작이나 재열림 동작시 도어 모터(212)에 과전류 흐름이 없어 이상이 없는 경우 상기 도어(121a)(121b)의 열림 동작은 도어 열림 완료 지점까지 계속 진행되며 상기 도어(121a)(121b)가 개방 한계 지점에 도달하면 개방 완료 접점 스위치의 신호가 상기 도어 제어부(211)로 전송되어진다.
이에 따라, 도어 제어부(211)는 도어 모터(212)에 정지 명령을 내리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도어 모터(212)에 닫힘 명령을 전송하여 도어 개방시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킴에 의해 도어(121a)(121b)를 닫게 된다.
이때, 도어(121a)(121b)의 닫힘 동작중에도 전류 검출부(215)는 도어 모터(212)의 부하 전류를 검출하며 동시에 안전슈(122a)(122b)에 승객 혹은 다른 물체와의 충돌이 발생하는지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도어 모터(212)에 과전류 흐름 및 안전슈(122a)(122b)의 충돌이 검출되지 않으면 도어 제어부(211)는 상기 도어(121a)(121b)가 닫힘 완료시까지 상기 도어 모터(212)를 제어하게 된다.
만일, 도어(121a)(121b)의 닫힘 동작이 진행되는 중에 도어(121a)(121b)의 맞닿는 부분에 설치된 안전슈(122a)(122b)에 승객 혹은 다른 물체와의 충돌이 발생되거나 전류 검출부(215)가 도어 모터(212)의 부하 전류가 과전류로 검출한 경우 승강 제어부(204)는 도어 모터(212)를 역전하여 상기 도어(121a)(121b)를 열림 완료 지점까지 개방한 후 다시 닫힘 동작을 수행하도록 도어 제어부(211)에 지령을 전송하게 된다.
또한, 안전슈(122a)(122b)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설치된 포토 센서(123a)(123b)의 경우 상기 안전슈(121a)(121b)에 승객이나 다른 물체와의 충돌에 의해서가 아니라 상기 포토 센서(123a)(123b)간에 광이 투과되며 한쪽 센서에서의 광이 타측 센서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도어 제어부(211)는 도어 모터(212)를 제어하여 도어(121a)(121b)의 운동 방향을 역전시키게 된다.
이 후, 도어(121a)(121b)의 닫힘 동작이 종료되어 도어 제어부(211)가 승강 제어부(204)에 닫힘 종료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승강 제어부(204)는 승강 모터(205)를 구동하여 카를 운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도6 의 신호 흐름과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되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전류 검출부(215)를 도8 의 회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모터(212)의 부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트랜스(301)와, 도어(121a)(121b)에 승객 또는 물체의 끼임 검출을 위하여 상기 전류 트랜스(301)에서 검출한 전류(Id)와 제1 기준 전류(If1)와 비교하는 비교기(302)와, 상기 도어 모터(212) 등의 고장 여부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전류 트랜스(301)에서 검출한 전류(Id)와 제2 기준 전류(If2)와 비교하는 비교기(303)와, 상기 비교기(302)(303)의 출력신호를 입력 버퍼(304)를 통해 입력받아 연산함에 의해 끼임 검출 및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씨피유(305)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카가 목적층에 도착하여 도어(121a)(121b)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을 수행할 때 전류 검출부(215)는 전류 트랜스(301)로 도어 모터(212)의 부하 전류(Id)를 검출하는데, 안전슈(122a)(122b) 또는 포토 센서(123a)(123b)에 고장이 발생하였거나 혹은 상기 도어(121a)(121b)에 승객이나 물체가 끼인 경우 상기 도어 모터(212)의 부하 전류(Id)는 커지게 된다.
이때, 비교기(302)는 제1 기준 전류(If1)와 검출 전류(Id)를 비교하고 비교기(303)는 제2 기준 전류(If2)와 검출 전류(Id)를 비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제2 기준 전류(If1)가 검출 전류(Id)보다 커서 비교기(302)(303)의 출력신호가 모두 저전위로 출력되는 경우 그 비교신호를 입력버퍼(304)를 통해 입력받은 씨피유(305)는 정상 동작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
만일, 검출 전류(Id)가 제1 기준 전류(If1)보다 크고 제2 기준 전류(If2)보다 작은 경우 비교기(302)는 고전위신호를 출력하고 비교기(303)는 저전위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비교기(302)(303)의 비교 결과는 입력버퍼(304)를 통해 씨피유(305)에 전송되어진다.
이에 따라, 씨피유(305)는 도어(121a)(121b)에 승객이나 물체의 끼임으로 판단하여 도어 모터(212)를 역전시키도록 지령을 도어 제어부(211)에 전송하게 된다.
또한, 검출 전류(Id)가 제1,제2 기준 전류(If1)(If2)보다 큰 경우 비교기(302)303)의 출력신호를 모두 고전위로 출력되며 이 비교 결과를 입력버퍼(304)를 통해 입력받은 씨피유(305)는 도어 모터(212)의 고장으로 인하여 과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씨피유(305)는 보수 센터에 고장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지령을 통신기기에 전송하여 도어 모터(212)의 계속적인 구동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 모터의 과전류를 검출하는 경우 이상 사태로 판단하여 도어를 역전하도록 전류 검출부를 구비한 것으로 기계적인 안전 장치에 추가 혹은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설치 공간 및 설치비 그리고 제작비의 부담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승객의 안전 및 엘리베이터의 안전 운전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승강 모터(205)의 구동을 제어하는 승강 제어부(204), 도어 모터(212)의 구동을 제어하는 도어 제어부(211), 상기 도어 모터(212)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215), 카 제어 프로그램 및 상기 도어 모터(212)의 정상적인 부하 전류치를 저장하는 롬(ROM)(202), 및 도어 열림 및 닫힘 동작시 상기 전류 검출부(215)에서 검출된 상기 도어 모터(212)의 부하 전류를 상기 롬(202)에 저장된 정상적인 부하 전류치와 비교하여 과전류 검출로 판단한 경우 상기 도어 제어부(211)에 도어 역전 지령을 출력하도록 상기 승강 제어부(204)를 제어하는 씨피유(201)로 구성되고, 전류 검출부(215)에 전달되는 전기신호를 제공하는 포토센서(123a,123b,123c,123d)가 케이지 도어의 양측 및/또는 도어 상하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도어의 역전 동작은 열림 또는 닫힘 완료 지점까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도어의 역전 동작은 소정 위치에 도달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재닫힘 또는 재열림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 어 제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도어의 역전 동작은 소정 위치에 도달되어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승객의 키입력에 의해 재닫힘 또는 재열림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장치.
  5. 안전슈 및 감지센서 등의 도어 안전 장치를 구비하여 도어의 끼임 방지를 수행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도어 모터(212)의 부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트랜스(301), 도어의 끼임을 검출하기 위하여 센서(123a,123b,123c,123d)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전류 트랜스(301)에서 검출한 전류(Id)와 제1 기준 전류(If1)와 비교하는 비교기(302), 상기 도어 모터(212)의 고장 여부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전류 트랜스(301)에서 검출한 전류(Id)와 제2 기준 전류(If2)와 비교하는 비교기(303), 상기 비교기(302)(303)의 출력신호를 연산함에 의해 끼임 검출 및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CPU(3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전류(Id)가 제1 기준 전류(If1)보다 크고 제2 기준 전류(If2)보다 작은 경우 도어의 끼임으로 판단하고 상기 검출 전류(Id)가 제 1,제2 기준 전류(If1)(If2)보다 큰 경우 도어 모터의 이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123a,123b,123c,123d)가 도어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 및/또는 도어 상단부 및 바닥부에 설치되는 포토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센서가 막대형 포토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장치.
KR1020060073849A 2006-08-04 2006-08-04 엘리베이터 케이지도어의 개폐제어장치 KR200800126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849A KR20080012666A (ko) 2006-08-04 2006-08-04 엘리베이터 케이지도어의 개폐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849A KR20080012666A (ko) 2006-08-04 2006-08-04 엘리베이터 케이지도어의 개폐제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026U Division KR200430625Y1 (ko) 2006-08-04 2006-08-04 엘리베이터 케이지도어의 개폐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666A true KR20080012666A (ko) 2008-02-12

Family

ID=39340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849A KR20080012666A (ko) 2006-08-04 2006-08-04 엘리베이터 케이지도어의 개폐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26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7034B2 (en) Elevator system which controls a value of overspeed
EP2454183B1 (en) Healthcheck of door obstruction device field of the disclosure
US7849975B2 (en) Safety arrangement of an elevator having sensors limiting extent of elevator travel
FI121423B (fi) Hissin turvajärjestely
JP2009154988A (ja)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システム
US79779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inch protection for a motor-driven closure system
JP2011063354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EP2838827B1 (en) Testing apparatus and safety arrangement
JP6514625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の制御方法
US10112804B2 (en) Escalator system
JP2012240792A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KR200430625Y1 (ko) 엘리베이터 케이지도어의 개폐제어장치
KR20080012666A (ko) 엘리베이터 케이지도어의 개폐제어장치
KR19990030604A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장치
CN109153543B (zh) 电梯门装置
US20120043165A1 (en) Elevator installation door operation
JP5206295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
CN110678410B (zh) 电梯装置
JP2010215361A (ja)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
KR101691844B1 (ko) 오버헤드도어의 차량추돌방지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766508B2 (ja) 開閉部材制御装置
JP3373220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10285258A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制御装置
KR20090026395A (ko) 비상 열림이 가능한 건설 현장용 리프트의 출입문 및안전문 자동개폐 시스템
CN116262590A (zh) 电梯控制装置以及电梯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