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2414A - Sms전송기능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자동백업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Sms전송기능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자동백업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2414A
KR20080012414A KR20060073170A KR20060073170A KR20080012414A KR 20080012414 A KR20080012414 A KR 20080012414A KR 20060073170 A KR20060073170 A KR 20060073170A KR 20060073170 A KR20060073170 A KR 20060073170A KR 20080012414 A KR20080012414 A KR 20080012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ackup
backup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73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4060B1 (ko
Inventor
이덕규
Original Assignee
(주)엠텔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텔레텍 filed Critical (주)엠텔레텍
Priority to KR20060073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4060B1/ko
Publication of KR20080012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06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DB의 개인정보의 변경이 발생하면 변경된 정보를 즉시 백업서버에 자동으로 전달하여 갱신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의 분실, 망실, 혹은 미휴대시에도 개인정보의 완전한 보존 및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SMS전송기능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자동백업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개인이 휴대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 상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화번호부나 문자메시지 등의 개인정보를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에 백업할 수 있도록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내장한 백업서버를 구비하며, 상기 백업서버는 다양한 종류의 이동통신단말기 및 인터넷 접속단말기와 연결되어 이용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보안을 위하여 권한보유자 인증 후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백업기능을 오프(OFF)에서 온(ON)으로 변경하면 이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축적된 개인 정보가 자동으로 상기 백업서버로 SMS 메시지 전송방법을 통하여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번 일괄백업을 완료한 단말기는 새로운 개인정보의 단위레코드가 단말기에 추가저장될 때 마다 즉시 그 내용의 일부 혹은 전부를 SMS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백업서버로 전송되어 해당 사용자의 백업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또한 새로운 단말기를 신규 개통하여 개인정보다운로드를 실행하면 사용자 인증철차를 수행한 후 백업서버에 저장된 개인정보가 단말기에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백업서버로 개인정보를 백업할 때 SMS 메시지 전송방법을 이용하여 단위레코드를 전송하므로 전송속도가 매우 빠르다. 특히, 단말기에 개인정보 저장즉시 단말기는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단위레코드백업이 수행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별도의 백업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아도 완벽한 백업이 되도록 하였다. 이는 개인정보의 백업을 일괄 수행하거나 백업을 위한 기타 기능스위치를 작동시키도록 고안한 방식에 비해 잊어버림을 방지하는 기능이 탁월하다.
본 발명은 백업된 개인정보가 단말기에 축적된 내용과 완벽히 일치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정해진 인증절차를 거치면 인터넷은 물론 타인의 이동통신단말기로써도 백업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개인정보복구, 개인정보백업서버, 전화번호부백업, 단말기개인정보백업

Description

SMS전송기능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자동백업방법 및 시스템{Personal Information Automatic Backup Method and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MS Transmission Function}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자동백업방법 및 시스템의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자동백업방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이동통신단말기 12;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
13; 개인정보 전송 14; 기지국
15; SMS 센터 16; 백업서버
17; 백업데이터베이스 18; 접근제어
19; 단말기
본 발명은 개인이 휴대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 상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화번호부나 송수신된 문자정보 등의 개인정보가 갱신되는 즉시 이동전화 의 SMS통신기능을 이용해 갱신정보를 백업서버에 자동으로 전송하여 백업데이터베이스를 동시에 갱신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의 분실, 망실, 혹은 미휴대시에도 개인정보의 완전한 보존 및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자동백업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전자장치의 일종이므로 물에 빠뜨리거나 충격 혹은 고열에 의하여 그 기능을 상실할 위험이 있으며, 도난이나 분실할 경우 귀중한 개인정보를 영구히 활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단말기를 휴대하지 않을 경우에도 자신의 단말기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일정기간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7877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실 또는 고장시에도 주소록의 전화번호를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백업 및 관리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단말기의 개인정보를 백업서버에 저장하는데 있어 사용자가 백업이 필요할 때 마다 일일이 소정의 절차를 거치서 이루어지므로 가입자들의 실수나 불편함 때문에 효과적인 이용이 어렵고 SMS(Short Message Service)기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여 비교적 간단한 단위정보의 백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0577735호에서는 사용자가 백업정보를 웹 서버에 저장하기 위하여 별도의 백업 절차를 수행할 필요 없이, 이동통신단말기가 새로운 정보의 저장 또는 변경되는 정보를 감지하여 백업정보를 웹 서버로 전송하고, 전송된 백업정보를 사용자별 및/또는 종류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는 업데이트 정보를 감지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백업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나, 백업정보를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축적된 개인정보를 일괄적으로 웹 서버로 전송하므로 SMS에 비해 복잡한 통신절차가 수행되어 전송시간과 통신비용이 많이 소요되므로 이용자들이 불편하여 단위레코드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하는 것에 비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개인이 휴대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 상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화번호부나 송.수신된 문자메시지 등의 개인정보를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에 백업할 수 있도록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내장한 백업서버를 구비하며, 상기 백업서버는 다양한 종류의 이동통신단말기 및 인터넷 접속단말기와 연결되어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보안을 위하여 권한보유자 인증 후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백업기능의 설정과 해지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되, 한번 백업기능을 설정한 단말기는 사용자가 해지를 선택할 때 까지 단위레코드백업이 자동으로 이루어 지게 함으로써 단말기에 저장되는 개인정보와 동일한 내용이 백업서버에 완벽히 저장 및 관리되게 한다. 그리고 신속한 단위레코드백업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SMS통신방식을 이용한다. 그리고, 백업기능을 활성화하지 않고 해지상태에서 사용하다가 백업기능이 필요하여 중도에 설정을 선택하는 경우 그 당시 까지 이동통신단말기에 축적된 개인정보를 백업서버로 SMS통신방식으로 순차 전송하여 백업서버의 개인정보내용을 단말기와 일치되게 한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백업기능을 설정하여 개인정보를 백업하다가 새로운 단말기에 백업된 개인정보를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 이용자 인증과정을 완료한 후 백업된 개인정보가 SMS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되어 개인정보를 새로운 단말기에서 완벽히 활용될 수 있게 한다.
상기의 각종 백업 및 다운로드과정을 통해 단말기의 개인정보와 백업서버의 개인정보는 일치되게 자동으로 SMS전송기능을 이용하여 관리되므로 전화번호부 등의 비교적 간단한 개인정보를 이용자의 개입을 최소화 하면서도 효과적으로 갱신 및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백업기능 사용법에 익숙하지 않은 자나 일시적으로 백업하는 것을 잊어버려 완벽한 백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실수를 방지하고, 상기 방식으로 실시간 동기화된 백업DB의 개인정보는 필요시 신규개통단말기로 개인정보를 복구하거나 타인의 이동통신단말기나 인터넷을 통하여 저장된 개인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타인의 이동통신단말기나 인터넷에 접속된 PC 등을 통하여 백업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백업서버에 저장된 개인정보는 타인이 접근할 수 없도록 적절한 보안인증기능을 두어 권한을 부여받은 이용자만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권한을 부여 받지 않은 자가 백업서버의 액세스를 시도하는 경우 이를 탐지하여 권한을 부여받은 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등의 수단을 구비하고 보안성을 강화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용자들이 백업을 위한 부가적인 행위를 해소시켜 이용자들의 실수와 불필요한 노력을 없애고, 백업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SMS 기능을 이용하여 단위레코드통신으로 기지국에 연결된 SMS센터에 위치한 백업서버로 전송하므로 전송시간 및 통신비용을 최소화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개인이 휴대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 상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화번호부 등의 개인정보가 갱신되는 즉시 이동전화의 SMS통신기능을 이용해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DB에 변경된 정보를 백업서버에 자동으로 전달하여 업데이트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의 분실, 망실, 혹은 미휴대시에도 개인정보의 완전한 보존 및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자동백업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도록 하는 도면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자동백업방법 및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자동백업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개인 통신수단으로 많은 사람들이 흔히 이용하는 휴대폰, PDA, PMP 등 통신기능이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는 소중한 개인정보를 저장하여 이용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대부분 이를 이용하고 있으며,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시로 입력 저장하여 관리(추가, 수정 혹은 삭제)되는 친족, 고객 및 친구 등의 전화번호부는 중요한 개인정보이다. 대부분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수첩에 연락처 등을 적어서 휴대하고 다니는 대신 이동통신단말기에 소중한 개인정보를 입력 저장하고, 필요시 저장된 개인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검색하여 바로 이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개인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물에 빠뜨리거나 충격 혹은 고열 등에 의하여 그 기능을 상실할 위험이 있으며, 또한 분실 혹은 휴대하지 않을 경우에 그 동안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일정기간 혹은 영구히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개인이 휴대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 상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화번호부나 개인일정 등의 개인정보를 백업할 수 있도록 이용자들의 개인정보의 효율적으로 기록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내장한 백업서버를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측 SMSC에 연결하여 설치하며, 상기 백업서버는 백업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를 기타 이동통신단말기 및 인터넷 접속단말기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보안을 위하여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보유자한 자인지를 검증하는 인증단계를 거친 후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를 백업하는 수단은 이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백업설정기능을 해지에서 설정으로 전환할 경우나 개인정보를 변경 갱신하는 모드에 정보의 갱신이 완료되어 저장되는 단계에 게 이용자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됨과 동시에 갱신된 정보가 단위레코드통신으로 SMS 메시지 전송기능으로 상기 기지국의 백업서버로 전송되어 자동으로 저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갱신된 개인정보데이터를 전송하여 전송속도가 빠르고, 사용자들이 의도적으로 저장하기 위하여 새로운 모드나 버튼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서 이용자 정보의 갱신을 실수 없이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살펴본다.
[실시 예]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은 개인이 휴대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 상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화번호부나 개인일정 등의 개인정보를 백업할 수 있도록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를 효율적으로 기록 저장할 수 있는 백업데이터베이스를 내장한 백업서버를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측 SMSC에 연결하여 설치하며, 상기 백업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는 기타 이동통신단말기 및 인터넷 접속단말기에서 이용하여 백업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거나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백업서버에 저장된 개인정보는 개인정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인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보유한 본인 또는 본인의 허락을 득한 자가 회원번호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접근하거나 인증기관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인증절차를 거친 후 백업서버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이용자들이 이용하여 통신을 하거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용자들이 개인정보를 백업하는 수단은 이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백업설정기능을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할 경우나 단위개인정보를 변경 갱신하는 모드에 갱신이 완료되어 저장하는 단계에게 갱신된 단위개인정보가 상기 백업서버로 SMS 메시지 전송수단을 통해서 단위레코드통신으로 기지국의 백업서버로 전송되어 자동으로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전송속도가 빠르고, 사용자들이 의도적으로 저장하기 위하여 새로운 모드를 선택하거나 개인정보의 갱신을 위한 별도의 버튼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서 이용자들의 개인정보의 갱신을 실수 없이 백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백업서버의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는 본인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하지 않은 경우나 분실한 경우 또는 국내 또는 국외에서 타인의 이동통신단말기나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PC 등을 통하여 기지국의 백업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백업서버에 저장된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는 타인이 접근할 수 없도록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별로 부여된 회원번호, 패스워드 및 비밀번호 등을 부여하거나 회원번호, 패스워드, 비밀번호 및 인증기관의 인증을 거치는 단계를 두어 접근권한을 부여받은 이용자만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권한을 부여 받지 않은 자가 백업서버에 저장된 특정의 개인정보의 액세스를 시도하는 경우에 입력되는 키워드를 탐지하여 권한을 부여받은 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등의 수단을 구비하는 등의 보안성을 강화하는데 있으며, 통상의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적인 보안방 화벽을 설치하여 보다 완벽한 보안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개인정보 백업서비스를 이용하고자하는 자 또는 이용하는 자들의 편리함을 부여하기 위하여 이용자들이 백업을 위한 부가적인 행위를 해소하거나 최소화시켜 이용자들의 실수와 백업시간을 해소하거나 최소화시켜 개인정보 백업서비스의 이용자들이 증가할 수 있도록 이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백업기능이 “설정”으로 전환할 경우나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용자가 단말기 기능의 일부인 개인정보변경 혹은 갱신하는 모드에서 변경 혹은 갱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갱신된 개인정보가 상기 백업서버로 SMS 메시지 전송수단으로 단위레코드통신을 통해서 신속하게 기지국의 백업서버로 전송되어 자동으로 백업서버의 개인정보데이터베이스 상의 해당정보만을 신속하게 변경 갱신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져 전송속도가 빠르고, 사용자들이 의도적으로 저장하기 위하여 새로운 모드나 별도의 버튼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서 이용자 정보의 갱신이 실수 없이 실시간으로 백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용자들이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여 백업정보를 전송하는 수단은 통신비용을 절약하고 백업정보 전송절차수행에 이용자들의 지루한 대기시간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하여 이용자가 변경 갱신한 정보만을 단위메시지로 구성하여 SMS(Short Message Service) MO(Mobile Originated)프로세tm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수행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업서버는 이용자들의 이동통신단말기측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종류의 백업에 대응하여 처리할 수 있는 수단과, 이용자들이 백업서비스를 이용 하기 위하여 이용자들의 이동통신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 다운로드에 대응하여 처리할 수 있는 수단 및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백업 및 복수의 개인정보를 단위레코드통신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백업 혹은 다운로드하는 기능이 구축되어 있으며, 또한 타인의 이동통신단말기 및 인터넷 접속에 의하여 이용자들의 백업서버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이용하고자할 경우에 개인정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근권한이 부여된 자인지를 확인하는 인증절차를 거친 후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과 불법접근자의 감시 및 경고신호 송신수단 및 해당 이용자들에게 위험을 알리는 등의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자동백업시스템의 구성을 상기 기술한 내용에 기초하여 간단하게 요약하면, a) 이용자들의 이동통신단말기에는 개인정보를 변경 또는 입력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b) 상기 개인정보를 변경 또는 입력한 후 저장할 때 자동으로 개인정보의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백업서버로 SMS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수단하고, c) 기지국측의 SMSC에 접속되어 위치하며 이용자들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전송된 개인정보의 변경요구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정보를 변경 갱신하거나 새로운 정보를 저장하는 백업서버를 구비하며, d) 상기 백업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를 이용자들이 이동통신단말기를 분실 또는 소지하지 않았을 경우에 다른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인터넷이 접속된 컴퓨터 단말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자동백업방법을 상기 기술한 내 용에 기초하여 요약하면, a) 이용자들의 이동통신단말기에는 개인정보를 변경 또는 입력하여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b) 상기 저장하는 단계에서 자동으로 개인정보의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백업서버로 SMS를 이용하여 갱신된 개인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c) 기지국에 위치하며 이용자들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전송된 개인정보의 변경요구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정보를 변경 갱신하거나 새로운 정보를 저장하는 백업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d) 상기 백업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를 이용자들이 이동통신단말기를 분실 또는 소지하지 않았을 경우에 다른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인터넷이 접속된 컴퓨터 단말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단계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은 개인이 휴대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 상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화번호부나 개인일정 등의 정보를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에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를 백업할 수 있는 이용자들의 개인정보의 백업데이터베이스를 내장한 백업서버를 구비하며, 상기 백업서버는 기타 단말기 및 인터넷 접속단말기와 연결되어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보안을 위하여 권한보유자 인증 후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백업기능은 해지에서 설정으로 전환할 경우에 단말기에 최신 갱신된 정보가 자동으로 상기 백업서버로 SMS 메시지 전송기능으로 순차 자동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함에 의하여 전송속도가 빠르고, 사용자들이 의도적으로 저장할 필요가 없으며, 타인의 이동통신단말기와 인터넷을 통하여 저장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정보화 사회에서의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발명은 개인이 휴대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 상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름, 주소, SMS 등의 정보를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에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를 백업할 수 있는 이용자들의 개인정보의 백업데이터베이스를 내장한 백업서버를 구비하며, 상기 백업서버는 기타 단말기 및 인터넷 접속단말기와 연결되어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보안을 위하여 권한보유자 인증 후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백업기능은 해지(Off)상태에서 설정(On)상태로 전환할 경우에 단말기에 최신 갱신된 정보가 자동으로 상기 백업서버로 SMS 메시지 전송기능으로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함에 의하여 전송속도가 빠르고, 사용자들이 의도적으로 저장할 필요가 없으며, 이용자가 자신의 새로운 이동통신단말기로 백업된 개인정보를 SMS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신속히 다운로드하여 활용하거나 타인의 이동통신단말기와 인터넷을 통하여 저장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타인의 이동통신단말기나 인터넷에 접속된 PC 등을 통하여 백업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백업서버에 저장된 개인정보는 타인이 접근할 수 없도록 보안인증기능을 두어 권한을 부여받은 이용자만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권한을 부여 받지 않은 자가 백업서버 액세스를 시도하는 경우 이를 탐지하여 권한을 부여받은 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등의 수단을 구비하고 보안성을 강화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이용자들이 백업을 위한 부가적인 행위를 해소시 켜 이용자들의 실수와 백업시간을 해소해주고, 백업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SMS 기능을 이용하여 기지국측의 SMSC에 접속되어 있는 백업서버로 전송하므로 전송시간 및 통신비용을 최소화하는데 있다.

Claims (8)

  1. SMS전송기능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자동백업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되며,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를 변경 또는 새로이 입력하는 수단과,
    상기 개인정보를 변경 또는 새로이 입력한 후 저장할 때 자동으로 개인정보의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백업서버로 SMS를 이용하여 갱신된 개인정보를 전송하는 수단과,
    기지국에 위치하며 이용자들의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개인정보의 변경요구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정보를 변경하거나 새로운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백업서버와,
    상기 백업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이용자들이 자신의 새로운 이동통신단말기로 다운로드받아서 활용하거나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를 분실 또는 소지하지 않았을 경우에 다른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인터넷이 접속된 컴퓨터 단말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자동백업시스템.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는 개인정보를 변경 또는 새로이 입력한 후 저장 버튼을 누를 때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백업기능을 해지(Off)상태에 서 설정(On)상태로 전환할 때 갱신된 개인정보를 백업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자동백업시스템.
  3.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백업서버로 개인정보를 전송하는 수단은 새로이 갱신된 개인정보만을 단위레코드통신을 통해서 하나씩 신속하게 SMS 기능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수단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자동백업시스템.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백업서버에 저장된 개인정보는 보안을 유지하기 위하여 개인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보유한 본인 또는 본인의 허락을 득한 자들이 패스워드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거나 패스워드, 비밀번호 및 인증기관에서 인증하는 소정의 인증절차를 거친 후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자동백업시스템.
  5. SMS전송기능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자동백업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들이 개인정보를 변경 또는 새로이 입력하여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하는 단계에서 자동으로 개인정보의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백업서버로 SMS를 이용하여 갱신된 개인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기지국에 위치하며 이용자들의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개인정보의 갱신요구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정보를 변경하거나 새로이 입력한 개인정보를 백업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백업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이용자들이 이동통신단말기를 분실 또는 소지하지 않았을 경우에 다른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인터넷이 접속된 컴퓨터 단말기에서 이용하는 단계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자동백업 및 활용방법.
  6.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갱신된 개인정보를 백업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개인정보를 변경 또는 새로이 입력한 후, 저장버튼을 누를 때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백업기능을 해지(Off)상태에서 설정(On)상태로 전환할 때 갱신된 개인정보를 백업서버로 자동 전송하도록 구성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자동백업방법.
  7. 청구항5 또는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백업서버로 개인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갱신된 개인정보만을 단위레코드통신을 통해서 하나씩 신속하게 SMS 기능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수단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자동백업시스템.
  8. 청구항7에 있어서,
    상기 백업서버에 저장된 개인정보는 보안을 유지하기 위하여 개인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보유한 본인 또는 본인의 허락을 득한 자들이 패스워드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거나 패스워드, 비밀번호 및 인증기관에서 인증하는 소정의 인증절차를 거친 후 접속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 자동백업방법.
KR20060073170A 2006-08-03 2006-08-03 Sms전송기능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자동백업방법 및 시스템 KR100834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73170A KR100834060B1 (ko) 2006-08-03 2006-08-03 Sms전송기능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자동백업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73170A KR100834060B1 (ko) 2006-08-03 2006-08-03 Sms전송기능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자동백업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414A true KR20080012414A (ko) 2008-02-12
KR100834060B1 KR100834060B1 (ko) 2008-06-02

Family

ID=39340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73170A KR100834060B1 (ko) 2006-08-03 2006-08-03 Sms전송기능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자동백업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40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358A (ko) * 2016-03-31 2017-10-1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및 이의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144B1 (ko) * 1999-06-26 2006-09-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ms 기반의 개인정보 관리 방법
KR20020014888A (ko) * 2000-08-19 2002-02-27 조정남 이동통신 단말기와 개인정보 서버와의 주소록 동기화 방법
KR100407177B1 (ko) * 2000-12-15 2003-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정보 관리 방법
KR20060078770A (ko) * 2004-12-31 2006-07-05 브이케이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백업 및 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358A (ko) * 2016-03-31 2017-10-1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및 이의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4060B1 (ko) 2008-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33440C (zh) 基于对共享式数据的访问权限来提供服务
CN100407129C (zh) 通信设备和限制内容访问与存储的方法
CN1816192B (zh) 用于应用的执行的安全管理的方法
CN102027764B (zh) 使用订户身份访问网络服务的方法、系统、和装置
EP2641407B1 (en) Management of mobile applications
US659109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ating administrative responsibilities i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100807739B1 (ko) Drm 라이센스 저장 장치, 저장 시스템 및 저장 방법
CN102281324B (zh) 一种移动通信终端系统菜单项远程授权管理的方法
WO2015066249A1 (en) Sharing of credentials for a wi-fi network based on social network contacts
CN102906758A (zh) 访问管理系统
CN102484786A (zh) 用于在移动装置上执行多阶段虚拟sim供应和设置的方法和系统
JP2006319811A (ja) データバックアップシステム
JP2008294976A (ja) 携帯端末、携帯端末管理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保存方法
EP3370401B1 (en) Data-updating system, remote setting device, and method for updating data
US8478339B2 (en) Method for accessing at least one service and corresponding system
US8135383B2 (en) Information security and delivery method and apparatus
CN103778379A (zh) 管理设备上的应用执行和数据访问
CN109508516A (zh) 文件处理方法、终端、服务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6319432A (ja) 携帯端末と情報管理システム
JP2011151487A (ja) 端末回線開通システム及び端末回線開通方法
KR100834060B1 (ko) Sms전송기능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자동백업방법 및 시스템
KR20060029163A (ko) 모바일 데이터 장치로의 액세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1351466A2 (en) A method of exchanging secured data through a network
KR101311239B1 (ko) Nfc 매체를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14938667A (zh) 可安装或执行服务器app的系统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Year of fee payment: 4

Payment date: 2011072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