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7739B1 - Drm 라이센스 저장 장치, 저장 시스템 및 저장 방법 - Google Patents

Drm 라이센스 저장 장치, 저장 시스템 및 저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739B1
KR100807739B1 KR1020070048533A KR20070048533A KR100807739B1 KR 100807739 B1 KR100807739 B1 KR 100807739B1 KR 1020070048533 A KR1020070048533 A KR 1020070048533A KR 20070048533 A KR20070048533 A KR 20070048533A KR 100807739 B1 KR100807739 B1 KR 100807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cense
drm
list
storing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8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7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739B1/ko
Priority to US12/152,433 priority patent/US2008028904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01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security measure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RM 라이센스 저장 장치, 저장 시스템 및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RM 라이센스 저장 장치, 저장 시스템 및 저장 방법은 DRM 라이센스를 단말기의 별도의 저장 공간 또는 외부 서버에 저장한 후, 상기 단말기를 분실 또는 갱신하였을 경우에도 상기 DRM 라이센스를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DRM 라이센스 저장 장치, 저장 시스템 및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 DRM, 라이센스, 저장, 갱신

Description

DRM 라이센스 저장 장치, 저장 시스템 및 저장 방법{APPARATUS AND SYSTEM FOR STOR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LICENCE, AND METHOD FOR STOR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RM 라이센스 저장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DRM 라이센스 저장 시스템의 각 구성에 형성되는 계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DRM 라이센스 저장 시스템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DRM 라이센스 저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DRM 라이센스 저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DRM 라이센스 저장 방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DRM 라이센스 저장 장치, 저장 시스템 및 저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DRM 라이센스를 단말기 이외의 별도의 저장부 예를 들면, USIM, 외부 서버 등에 저장하고, 상기 별도의 저장부를 엑세스함으로써, 상기 별도 저장부에 저장된 라이센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DRM 라이센스 저장 장치, 저장 시스템 및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 이하 DRM) 기술은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지적 자산에 대한 권리를 지속적으로 관리 및 보호하기 위한 기술이다. 즉, DRM 기술은 다양한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 CP)로부터 사용자에게 안전하게 전달하고, 이를 전달받은 사용자가 불법적으로 컨텐츠를 사용 및 유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다. 즉, DRM 기술은 디지털 컨텐츠의 생성, 배포, 사용 및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정보 보호가 가능하며, 온라인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상에서 사용자의 권한에 따른 사용과 권리 보호할 수 있다.
DRM 기술이 적용된 컨텐츠(이하 'DRM 컨텐츠'라 칭하기로 한다)를 휴대 단말기에서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해당 DRM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서버에 접속하여 DRM 컨텐츠와, DRM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Meta data) 및, 라이센스를 다운로드 받아야 한다. 여기서, 메타데이터는 DRM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이며, 라이센스는 암호화된 컨텐츠를 복호화하는데 사용되는 복호키와 컨텐츠의 사용 권한(예컨대, 횟수 및 기간 등)을 명시하는 내용의 데이터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휴대 단말기에 상기 DRM 컨텐츠와 라이센스가 모두 저장되면, 사용자는 DRM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DRM 컨텐츠는 올바른 재생을 위하여 라이센스 획득이 선행되어져야 한다. 이에 따라, 많은 DRM 컨텐츠 이용자들은 휴대 단말기와 같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라이센스 발행서버에 일정 요금을 지불하고 상기 라이센스를 다운로드하게 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라이센스는 사용자의 이용에 따라 그 권한이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라이센스에 지정된 권한만큼 모두 소진되면,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동일한 라이센스를 상기 라이센스 발행서버에 요청하여 구매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단말기를 새로운 모델로 교체하거나, 상기 단말기를 분실하거나 했을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던 라이센스를 재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일정 요금을 지불하고 정식으로 구매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라이센스를 재사용하지 못하는 금전적 및 심리적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DRM 라이센스 또는 라이센스 관련 정보를 별도의 저장부에 저장하여, 단말기를 교체 및 분실하였다 할지라도, 상기 별도의 저장부를 통하여 라이센스를 복구할 수 있는 DRM 라이센스 저장 장치, 저장 시스템 및 저장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RM 라이센스 저장 장치는, DRM 컨텐츠의 라이센스를 저장하는 장치에 있어서, DRM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DRM 컨텐츠의 라이센스를 저장하는 사용자 식별 모듈; 및 상기 DRM 컨텐츠 재생 시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라이센스의 유효성 검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RM 라이센스 저장 시스템은, DRM 컨텐츠의 라이센스를 저장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DRM 컨텐츠, 상기 DRM 컨텐츠의 라이센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라이센스 정보들을 포함하는 라이센스 리스트를 저장하는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컨텐츠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RM 라이센스 저장 방법은, DRM 컨텐츠의 라이센스를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라이센스 백업 모드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및 라이센스 백업 모드 설정 시, 라이센스를 사용자 식별 모듈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RM 라이센 스 저장 방법은, DRM 컨텐츠의 라이센스를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라이센스 백업 모드 설정 여부에 따라, 저장된 라이센스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라이센스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를 외부 컨텐츠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를 백업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RM 라이센스 저장 방법은, DRM 컨텐츠의 라이센스를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라이센스 백업 모드 설정 여부에 따라, 라이센스를 사용자 식별 모듈에 저장하는 과정; 상기 저장된 라이센스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라이센스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를 외부 컨텐츠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를 백업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RM 컨텐츠의 라이센스 적용 방식은 일정 시간의 경과에 따른 카운트 소비가 적용되는 시간 기반 카운트 소비(Timed-Count) 방식과, DRM 컨텐츠의 전체 재생 가능 시간과 현재 재생된 시간을 감산한 결과를 적용하는 누적 카운트 소비(Accumulated)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DRM 컨텐츠 라이센스 적용 방식은 시간에 기반하는 어떠한 라이센스 소비 방식이라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USIM을 포함하지 않는 단말기로서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USIM을 포함하는 단말기로 설명될 것이다. 즉,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USIM과 USIM이 장착되는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바람직한 동작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DRM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게임 단말기, MMS 또는 멀티메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 전화기, 유/무선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DMB 단말기, 노트북(Notebook) 및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3G 단말기 예를 들면,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단말기 및 와이브로와 같은 휴대인터넷 단말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GSM/GPRS(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eneral Packet Radio Service),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DRM 라이센스 저장 시스템의 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DRM 라이센스 저장 시스템은 컨텐츠 서버(200)와 휴대 단말기(100)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 서버(20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DRM 컨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제공된 DRM 컨텐츠의 라이센스에 대한 관리를 수행한다. 즉, 상기 컨텐츠 서버(20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다운로드한 라이센스들의 백업 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요청하는 경우 이를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재전송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서버(20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라이센스 백업 요청 메시지(RO_BU_req)에 대응하여 라이센스 리스트 요청 메시 지(Req_RO_List)를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 요청 메시지(Req_RO_List)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저장한 라이센스를 백업하기 위하여 전송하는 라이센스 백업 요청 메시지(RO_BU_req)에 대한 Ack 신호에 해당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상기 DRM 컨텐츠와 라이센스를 다운로드 받는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컨텐츠 서버(200)에 상기 라이센스 백업을 위한 라이센스 백업 요청 메시지(RO_BU_req)를 전송한다. 상기 라이센스 백업 요청 메시지(RO_BU_req)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다운로드한 라이센스들을 상가 컨텐츠 서버(200)에 백업하기 위해 생성하는 메시지이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컨텐츠 서버(200)가 라이센스 리스트 요청 메시지(Req_RO_List)를 전송하면, 그에 대응하여 저장된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를 상기 컨텐츠 서버(200)에 전송한다.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는 DRM 컨텐츠들에 각각 대응되는 라이센스들의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생성한 것이다.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는 각 라이센스들의 현재 상태 즉, 남은 권한의 크기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는 휴대 단말기(100) 이용에 따라 변경된 경우, 새롭게 작성되어 상기 컨텐츠 서버(200)에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DRM 라이센스 저장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100)가 다운로드한 라이센스들의 정보를 상기 컨텐츠 서버(200)에 백업으로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분실이나 고장 등으로 인하여 단 말기를 사용할 수 없을 경우, 타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200)에 저장된 백업 파일을 이용하여 라이센스를 복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각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주파수부(110), 키입력부(120), 표시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표시부(13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컨텐츠 서버(200)와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200)가 제공하는 DRM 컨텐츠(DRM_MO) 및 라이센스(DRM_RO)를 수신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 주파수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 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무선 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무선 주파수부(110)는 상술한 라이센스 백업 요청 메시지(RO_BU_req) 및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를 상기 컨텐츠 서버(200)에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라이센스 리스트 요청 메시지(Req_RO_List)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를 DRM 컨텐츠 이용에 따라 라이센스가 갱신될 때마다 상기 컨텐츠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 다.
상기 키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들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특히, 상기 키입력부(120)는 상기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키입력신호, 특정 DRM 컨텐츠(DRM_MO) 및 라이센스(DRM_RO)를 지정하기 위한 키입력신호, 저장된 DRM 컨텐츠(DRM_MO)를 지정하기 위한 키입력신호, 상기 라이센스 백업 요청을 위한 키입력신호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라이센스 백업 요청을 위한 키입력신호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형태에 따라, 메뉴나 핫키 등에 대응되는 키의 입력에 따른 신호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센스 백업 요청을 위한 키입력신호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상기 라이센스(DRM_RO) 백업을 디폴트(Default)로 설정해 놓은 경우, 별도의 키입력에 따라 생성되지 않고, 상기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라이센스(DRM_RO)를 다운받게 되면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40)는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된 DRM 컨텐츠(DRM_MO)의 활성화 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SPK),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음성 통화 시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대기화면, DRM 컨텐츠(DRM_MO) 재생화면, 기타 메뉴 옵션 표시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표 시부(1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부(130)는 LCD 제어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130) 화면은 입력부로 동작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30)는 상기 라이센스 백업 요청 메시지(RO_BU_req) 및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 전송에 대한 알람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표시부(130)는 상기 라이센스 백업 메뉴를 표시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전달되는 DRM 컨텐츠(DRM_MO) 및 라이센스(DRM_RO),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150)는 상기 DRM 컨텐츠(DRM_MO) 다운로드 시 송수신 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지정된 크기만큼 버퍼링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메모리(1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상기 DRM 컨텐츠(DRM_MO) 재생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휴대 단말기(100)의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음성 통화 기능, 카메라 촬영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한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이용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상술한 DRM 컨텐츠(DRM_MO), 라이센스(DRM_RO) 및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 등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영역은 사용자가 저장하고자하는 데이터,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옵션 기능과 관련한 사용자 데이터들 예컨대, 앞서 설명한 카메라 촬영 영상, 동영상, 폰 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해당 컨텐츠 또는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정보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는 상기 제어부(160)가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된 라이센스(DRM_RO) 들을 모두 정리하여 생성한 정보이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DRM 컨텐츠(DRM_MO) 및 라이센스(DRM_RO) 다운로드를 제어하고, 다운로드 된 DRM 컨텐츠(DRM_MO) 및 라이센스(DRM_RO)의 저장 및 활성화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음성 통화와 같은 기본 기능 및 옵션 기능의 활성화를 키입력부(120)의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음성 통화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모뎀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상기 DRM 컨텐츠(DRM_MO) 및 라이센스(DRM_RO) 관리를 위하여 DRM 엔진(1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RM 엔진(162)은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된 DRM 컨텐츠(DRM_MO)를 키입력부(120)의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활성화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DRM 엔진(162)은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된 라이센스(DRM_RO)를 확인하여, 현재 선택된 DRM 컨텐츠(DRM_MO)의 사용권한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후, 상기 DRM 엔진(162)은 상기 라이센스(DRM_RO)가 유효한 경우, 상기 DRM 컨텐츠(DRM_MO)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DRM 엔진(162)은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된 라이센스(DRM_RO)들의 사용권한에 대한 정보를 정리하여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를 생성하고, 생성된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를 상기 컨텐츠 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DRM 엔진(162)은 라이센스 백업 메뉴 설정에 따라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를 상기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라이센스(DRM_RO)를 다운로드 받은 직후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RM 엔진(162)은 사용자가 지정하는 시기에 상기 메모리(150)를 검사하여 라이센스(DRM_RO)를 추출하고, 추출된 라이센스(DRM_RO)를 정리한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는 상기 컨텐츠 서버(200)에 전송된다. 한편, 상기 DRM 엔진(162)은 상기 DRM 컨텐츠(DRM_MO) 사용에 따라 상기 라이센스(DRM_RO)가 갱신될 경우, 그에 따른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를 새롭게 작성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DRM 엔진(162)은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를 메시지 형태로 작성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200)에 전송할 수 도 있으며, 데이터 패킷 형태로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전송 방식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상기 컨텐츠 서버(200) 간에 형성되는 통신채널의 특성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경 및 적용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컨텐츠 서버는 아래와 같이 통신모듈, 서버 제어부 및 백업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컨텐츠 서버(200)의 구성은 서버의 특성에 따라, 모니터, 키입력부, 오디오 처리부 및 기타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컨텐츠 서버(200)는 통신모듈(210), 서버 제어부(260) 및 백업 메모리(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신모듈(210)은 상기 서버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주파수부(110)와 통신채널을 형성한다. 즉, 상기 통신모듈(210)은 서버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라이센스 백업 요청 메시지(RO_BU_req)와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를 수신하고, 라이센스 리스트 요청 메시지(Req_RO_List)를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전달한다. 상기 통신채널은 DRM 컨텐츠(DRM_MO) 및 라이센스(DRM_RO) 전송을 위한 데이터 채널, 상기 메시지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또한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송수신될 수 있다.
상기 서버 제어부(26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DRM 컨텐츠(DRM_MO) 및 라이센스(DRM_RO)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 제어부(260)는 상기 통신모듈(210)을 제어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라이센스 백업 요청과,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를 수신하여 상기 백업 메모리(250)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 제어부(26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에 포함된 라이센스들의 복구 요청을 하면, 그에 대응하여 상기 라이센스들을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에 포함된 라이센스들은 이전에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사용한 만큼의 권한이 감소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라이센스 복구 요청 시, 상기 컨텐츠 서버(200)는 별도의 인증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센스 복구 요청을 하는 휴대 단말기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라이센스 복구 요청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는 상기 인증 서버에 기 등록되어 있어야 하며, 상기 서버 제어부(260)는 이를 바탕으로, 상기 라이센스 복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백업 메모리(250)는 DRM 컨텐츠(DRM_MO), 라이센스(DRM_RO) 및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백업 메모리(250)는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를 상기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 정보와 함께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업 메모리(25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DRM 컨텐츠(DRM_MO) 이용에 따라 발생하는 라이센스 갱신에 대응하여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를 업데이트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DRM 컨텐츠(DRM_MO) 이용에 따라 갱신되는 라이센스 정보를 메시지 또는 데이터 형태로 상기 컨텐츠 서버(200)에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백업 메모리(25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전달하는 갱신된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 정보를 기반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서버(200)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제공하는 DRM 컨텐츠(DRM_MO), 라이센스(DRM_RO)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 영역은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DRM 라이센스 저장 시스템 은 라이센스를 외부의 별도의 저장부에 저장하고, 업데이트 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를 분실하였거나, 교체하였을 때, 상기 라이센스를 쉽게 복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중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은 무선주파수부(110), 키입력부(120), 표시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메모리백업 메모리(250),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17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15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 및 기타 기능 지원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및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상기 메모리(150)는 특히,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상기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 하는 DRM 컨텐츠(DRM_MO)를 저장한다.
상기 USIM(170)은 사용자 식별 모듈이다. 상기 USIM(170)은 휴대 단말기(100)에 탈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영역과, 상기 저장 영역에 대한 데이터 읽기 쓰기 제어를 위한 중앙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상기 제어부(160)와 통신하여 상기 USIM(170)의 저 장 영역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메모리(150)에 로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USIM(170)의 저장 영역은 상기 컨텐츠 서버(200)가 제공하는 라이센스(DRM_RO)를 저장한다. 이렇게 저장된 라이센스(DRM_RO)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해당 DRM 컨텐츠(DRM_MO)를 활성화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제어부(160)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 간의 통신을 기반으로 상기 DRM 컨텐츠(DRM_MO) 재생 권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USIM(170)은 BIP(Bearer Independent Protocol)과 같은 특정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16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SIM(170)은 상기 B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 서버(200)에 직접 접속하여 상기 라이센스(DRM_RO)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상기 USIM(170)은 상기 라이센스(DRM_RO) 다운로드 시, 상기 메모리(150)를 거치지 않고, 상기 제어부(160) 상에 형성되는 계층 즉, TCP 계층, IP 계층, GPRS 계층을 통하여 컨텐츠 서버(200)에 접속한 후, 상기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상기 라이센스(DRM_RO)를 직접 다운로드 받아 상기 저장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상기 USIM(170) 만을 별도로 분리 보관함으로써, 단말기에 관계없이 라이센스(DRM_RO)를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각 구성의 활성화 및 상기 각 구성 간의 신호흐름을 제어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된 DRM 컨텐츠(DRM_MO)를 활성화하기 위한 DRM 엔진(16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DRM 엔진(162)은 상기 라이센스(DRM_RO) 이용을 위하여 상기 USIM(170)과 통신할 수 있는 DRM 매니저(1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RM 매니저(164)는 상기 DRM 엔진(162)이 키입력부(120)의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메모리(150)에 저장된 특정 DRM 컨텐츠(DRM_MO)를 지정하여 활성화하고자 할 경우, 상기 DRM 컨텐츠(DRM_MO)에 해당하는 라이센스(DRM_RO)를 상기 USIM(170)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상기 DRM 매니저(164)는 상기 USIM(170)과 통신하여 상기 DRM 컨텐츠(DRM_MO)에 해당하는 라이센스(DRM_RO)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라이센스(DRM_RO)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DRM 매니저(164)는 상기 USIM(170)을 상기 라이센스(DRM_RO)를 저장하는 별도의 영역으로 판단하고, 상기 USIM과 미리 설정된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통신하게 된다. 상기 프로토콜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BIP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BIP는 "Open channel, Send Data, Receive Data, Close channel"과 같은 명령어들을 이용하여 상기 USIM(170)이 원하는 크기의 데이터를 TCP/IP 접속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 서버(200)에 송수신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메뉴 구성 중 SAT(SIM Application Toolkit) 메뉴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라이센스 백업 메뉴 설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는 키입력부(120)를 이용하여 상기 SAT 메뉴를 선택하고, 라이센스 백업 메뉴 활성화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라이센스 백업 메뉴 활성화시, 상기 USIM(170) 및 상기 제어부(160)는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DRM 컨텐츠(DRM_MO)에 해당하는 라이센스(DRM_RO)들를 상기 USIM(170)의 저장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정당 한 라이센스(DRM_RO) 소비를 위하여 USIM(170)에 저장된 라이센스(DRM_RO) 만을 보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USIM(170)에 저장된 라이센스(DRM_RO)들을 컨텐츠 서버(200)에 백업할 수 있다.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BIP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 서버(200)에 접속하여 상기 USIM(170)에 저장된 라이센스(DRM_RO)들의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를 상기 컨텐츠 서버(200)에 백업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USIM은 저장 영역 계층, BIP 계층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BIP 계층, TCP 계층, IP 계층 및 GPRS 계층을 포함한다. 그리고, 컨텐츠 서버(200)는 응용 계층, 백업 계층, TCP 계층, IP 계층 및 GPRS 계층을 포함한다. 상기 GPRS 계층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이용하는 서비스 네트웍의 특성에 따라 다른 계층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라이센스 백업에 대하여 설명하면,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가 USIM(170)에 생성되어, 상기 USIM(170)의 BIP 계층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의 BIP 계층으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는 상기 단말기의 BIP 계층, TCP 계층, IP 계층 및 GPRS 계층을 통하여 네트웍 상에 전송된다. 상기 네트웍에 전송된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는 상기 컨텐츠 서버(200)의 GPRS 계층, IP 계층, TCP 계층을 통하여 백업 계층에 저장된다. 상기 컨텐츠 서버(200)의 응용 계층은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의 백업 과정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USIM(170)은 상기 DRM 컨텐츠(DRM_MO) 활성화에 따라 권한이 감소될 경우, 그에 따른 갱신 정보를 상기 계층 간 통신 흐름에 따라 상기 컨텐츠 서버(200)에 전달하여, 컨텐츠 서버(200)에 저장된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를 갱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DRM 라이센스 저장 시스템은 라이센스를 저장한 USIM을 단말기로부터 분리하여, 휴대가 용이하며, 타 단말기 장착 시에도 동일한 DRM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SIM에 저장된 라이센스 또한 컨텐츠 서버에 백업할 수 있어, 상기 USIM을 분실하더라도 별도의 라이센스 재 구매 없이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분실된 라이센스를 복구 받아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RM 라이센스 저장 시스템의 각 구성 및 구성의 동작 설명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RM 라이센스 저장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DRM 라이센스 저장 시스템 간 신호흐름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에에 따른 DRM 라이센스 저장 장치의 라이센스 저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설명에 앞서, 휴대 단말기(100)는 백업할 라이센스(DRM_RO)를 기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도 6 및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DRM 라이센스 저장 방법은 먼저, S101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가 라이센스 백업 설정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라이센스 백업 설정 모드는 DRM 컨텐츠(DRM_MO) 재생에 필요한 라이센스(DRM_RO) 및 상기 라이센스(DRM_RO) 이력을 외부 서버 예를 들면 컨텐츠 서 버(200)에 저장하도록 하는 모드이다. 상기 라이센스(DRM_RO) 이력은 휴대 단말기(100)에 저장된 라이센스(DRM_RO) 현재 상태를 의미하며, 사용 권한의 감소 및 권한의 변경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101 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라이센스 백업 설정 모드가 없는 경우, 즉, S103 단계에서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본 정책에 따른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본 정책에 따라 상기 라이센스(DRM_RO) 소모 및 저장을 관리한다. 상기 기본 정책은, 상기 라이센스(DRM_RO)를 별도로 백업하지 않고, 메모리에 저장된 상태를 기반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S101 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라이센스 백업 설정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S105 단계에서 메모리(150)에 저장된 라이센스(DRM_RO)들의 정보를 백업하기 위하여 라이센스 백업 요청 메시지(RO_BU_req)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컨텐츠 서버(200)에 전송한다. 이후,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S107 단계에서,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에 대한 회신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다시 말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200)는 상기 라이센스 백업 요청 메시지(RO_BU_req)에 대한 회신 인 라이센스 리스트 요청 메시지(Req_RO_List)를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 요청 메시지(Req_RO_List)를 상기 라이센스 백업 요청 메시지(RO_BU_req)에 대한 Ack 메시지로서 수신하게 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S107 단계에서, 상기 Ack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S109 단계에서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대기한 후, 상기 S105 단계로 분기하여, 상기 라이센스 백업 요청 메시지(RO_BU_req)를 상기 컨텐츠 서버(200)에 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S107 단계에서, 상기 Ack 메시지를 상기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S111 단계에서 메모리(150)에 저장된 라이센스(DRM_RO)들을 정리하여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컨텐츠 서버(200)에 전송한다.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라이센스(DRM_RO)들의 관련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구분할 수 있는 식별자,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보유한 라이센스(DRM_RO)들의 식별자 및 상기 라이센스(DRM_RO)들의 현재 권한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를 컨텐츠 서버(200)에 전송하여 메모리(150)에 저장된 라이센스(DRM_RO)들을 백업한 이후, 라이센스 갱신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S115 단계에서 확인한다. 상기 S115 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라이센스 갱신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S117 단계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해당 기능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기능으로서 음성 통화 기능, 카메라 기능, 게임 기능 및 라이센스 갱신이 발생하지 않는 DRM 컨텐츠(DRM_MO) 검색 및 재생 기능이 될 수 있다. 상기 S115 단계에서 라이센스 갱신이 발생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S119 단계에서, 새로운 라이센스 리스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컨텐츠 서버(200)에 전송한다. 상기 새로운 라이센스 리스트는 상기 DRM 컨텐츠(DRM_MO) 활성화에 따라 특정 라이센스(DRM_RO)의 권한이 변경된 경우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는 상기 라이센스 갱신 때마다 실시간적으로 생성될 수도 있으나, 일정 기간 주기적으로 라이센스(DRM_RO)를 검사하고, 변경된 사항이 발생했을 경우, 이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도 있다. 상기 새로운 라이센스 리스트를 상기 컨텐츠 서버(200)가 수신하면, S121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서버(200)는 상기 새로운 라이센스 리스트를 기반으로 기존에 저장된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를 갱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DRM 라이센스 저장 방법은 라이센스(DRM_RO)를 별도의 외부 서버에 저장 등록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분실 또는 교체되더라도, 상기 라이센스(DRM_RO)를 다시 구매하지 않고, 상기 컨텐츠 서버(200)에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복구가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DRM 라이센스 저장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8과 관련된 설명에서, 휴대 단말기는 크게 사용자 식별 모듈인 USIM과, 상기 USIM이 장착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DRM 라이센스 저장 방법은 먼저, 상기 단말기가 S201 단계에서 USIM을 이용한 라이센스 백업 설정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USIM을 이용한 라이센스 백업 설정 모드는 DRM 컨텐츠(DRM_MO) 재생에 필요한 라이센스(DRM_RO)를 상기 USIM에 저장하고, 상기 DRM 컨텐츠(DRM_MO) 활성화 시 상기 USIM에 저장된 라이센스(DRM_RO)를 참조하도록 하는 모드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USIM은 상기 라이센스(DRM_RO)를 저장하는 저장 영역과, 상기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하기 위한 중앙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SIM은 상기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특정 프로토콜 예를 들면, BIP(Bearer Independeont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라이센스 백업 설정 모드 지원을 위하여 SAT(SIM Application Toolkit) 메뉴에 상기 라이센스 백업 설정 모드 항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메뉴에 따른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S201 단계에서, 라이센스 백업 설정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기는 S203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가 제공하는 기본 정책에 따라 라이센스(DRM_RO) 관리를 수행한다. 상기 기본 정책은 상기 라이센스(DRM_RO)를 별도의 USIM에 저장하지 않고, 메모리에 저장한 후, DRM 컨텐츠(DRM_MO) 재생 시 활성화 및 갱신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S201 단계에서, 라이센스 백업 설정 모드가 선택된 상태이면, 상기 단말기는 S205 단계에서 라이센스(DRM_RO)를 상기 USIM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USIM은 추후 새로운 라이센스를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다운받게 되면, 상술한 BIP와 같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USIM의 저장영역에 직접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말기는 S207 단계에서 키입력부(120)의 입력에 따라 특정 DRM 컨텐츠(DRM_MO) 재생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S207 단계에서 DRM 컨텐츠(DRM_MO) 재생 요청이 없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S209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해당 기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음성 통화 기능, 카메라 기능, 라이센스(DRM_RO) 갱신이 없는 DRM 컨텐츠 또는 컨텐츠 파일의 재생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207 단계에서, 특정 DRM 컨텐츠(DRM_MO)를 재생하고자 할 경우, 상기 단말기는 그에 해당하는 라이센스(DRM_RO)를 상기 USIM의 저장영역을 참조하여 확인한다. 이에 따라, 상기 USIM은 S211 단계에서 참조된 라이센스(DRM_RO)가 갱신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라이센스(DRM_RO)를 갱신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DRM 라이센스 저장 방법은 USIM에 라이센스(DRM_RO)를 저장하여 별도로 보관하고, 상기 USIM의 분리를 통하여 라이센스의 이동 및 보관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DRM 라이센스 저장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설명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 식별 모듈인 USIM과 상기 USIM이 장착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DRM 라이센스 저장 방법은, 먼저 S301 단계에서 단말기가 라이센스 백업 설정 모드 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라이센스 백업 설정 모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센스 저장 기능을 옵션 기능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드이다.
상기 S301 단계에서 라이센스 백업 설정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USIM은 S303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가 제공하는 라이센스(DRM_RO)를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여기서 라이센스(DRM_RO)는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것 또는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 받는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USIM에 라이센스(DRM_RO)가 저장되면, 정당한 라이센스 사용을 위하여 상기 메모리에는 라이센스가 삭제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다음으로, 상기 USIM은 S305 단계에서, 상기 저장 영역에 저장된 라이센스(DRM_RO)들의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를 생성한다.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는 상기 저장 영역에 저장된 라이센스(DRM_RO)들의 관련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를 구분할 수 있는 식별자, 상기 USIM이 저장한 라이센스(DRM_RO)들의 식별자 및 상기 라이센스(DRM_RO)들의 현재 권한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라이센스(DRM_RO)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리스트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는 리스트 형태뿐만 아니라 테이블 등의 형태로서 생성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USIM은 S307 단계에서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를 상기 컨텐츠 서버(200)에 전송한다. 상기 USIM은 상기 컨텐츠 서버(200)와 데이터 통신채널 및 이동통신 채널 등 다양한 통신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USIM은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를 메시지 형태로 작성하고, 이를 상기 이동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SIM은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를 데이터 패킷 형태로 작성하고, 이를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을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 서버(200)에 전송할 수 도 있다.
상기 컨텐츠 서버(200)는 S309 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를 백업 메모리(250)에 저장한다. 상기 컨텐츠 서버(200)는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를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매칭되도록 백업 메모리(250)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컨텐츠 서버(200)는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를 데이터 베이스화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는 상기 USIM에 라이센스(DRM_RO)가 저장된 상태에서, DRM 컨텐츠(DRM_MO)가 활성화되는지 여부를 S311 단계에서 확인한다. 상기 단말기는 키입력부 입력에 따라 메모리(150)에 저장된 DRM 컨텐츠(DRM_MO)를 활성화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USIM에 저장된 라이센스(DRM_RO)를 참조하기 위하여 상기 USIM과 통신을 하게 된다. 상기 USIM은 이러한 라이센스(DRM_RO) 참조를 기반으로 상기 DRM 컨텐츠 활성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S311 단계에서, DRM 컨텐츠(DRM_MO) 활성화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USIM과 상기 단말기는 S313 단계에서 특정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통신하여, 상기 USIM에 저장된 라이센스를 상기 단말기가 참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상기 USIM은 S315 단계에서 상기 DRM 컨텐츠(DRM_MO) 활성화에 따라, 해당 라이센스 갱신이 발생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S315 단계에서, 라이센스 갱신이 발생한 경우, 상기 USIM은 S317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서버(200)와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갱신된 라이센스 리스트를 상기 컨텐츠 서버(20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컨텐츠 서버(200)는 상기 갱신된 라이센스 리스트를 기반으로 기 저장된 라이센스 리스트(RO_List)를 갱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DRM 라이센스 저장 방법은 USIM에 저장된 라이센스(DRM_RO)를 특정 컨텐츠 서버(200)에 저장하여 보관함으로써, 상기 USIM의 분실 및 파손에 따른 라이센스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텐츠 서버(200)에 저장된 라이센스(DRM_RO)의 복구는 새로운 휴대 단말기 또는 USIM을 인증 서버에 등록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200)에 등록시킨 라이센스(DRM_RO)에 대한 사용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이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라이센스(DRM_RO) 등록 시 인증 서버에 사용자 확인 사항으로 이용될 아이디, 비밀번호 등을 기 등록시키는 과정이 선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본 발명의 DRM 라이센스 저장 장치, 저장 시스템 및 저장 방법에 따르면, DRM 라이센스를 별도의 장소에 보관하여 단말기 분실 및 교체가 발생하더라도, 라이센스 복구가 가능하다.

Claims (23)

  1. DRM 컨텐츠의 라이센스를 저장하는 장치에 있어서,
    DRM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DRM 컨텐츠의 라이센스를 저장하는 사용자 식별 모듈; 및
    상기 DRM 컨텐츠 재생 시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라이센스의 유효성 검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라이센스 저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은
    상기 라이센스를 저장하는 저장 영역; 및
    상기 제어부와 통신하는 중앙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라이센스 저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은
    상기 장치로부터 탈착에 관계없이 저장된 라이센스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라이센스 저장 장치.
  4. DRM 컨텐츠의 라이센스를 저장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DRM 컨텐츠, 상기 DRM 컨텐츠의 라이센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라이센스 정보들을 포함하는 라이센스 리스트를 저장하는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컨텐츠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라이센스 저장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DRM 컨텐츠, 상기 DRM 컨텐츠의 라이센스 및 상기 라이센스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라이센스 리스트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를 상기 컨텐츠 서버에 전송하는 무선주파수부; 및
    상기 무선주파수부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와 통신채널 형성하고,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를 상기 컨텐츠 서버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라이센스 저장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DRM 컨텐츠 재생에 따른 상기 라이센스 갱신이 발생할 경우,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를 새롭게 작성하고, 새로 작성된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를 상기 컨텐츠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라이센스 저장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서버는 상기 새로 수신된 라이센스 리스트를 기반으로 기 저장된 라이센스 리스트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라이센스 저장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 기간을 주기로 메모리에 저장된 라이센스들을 검사하여, 라이센스 갱신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DRM 컨텐츠 재생에 따른 상기 라이센스 갱신이 발생할 경우,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를 새롭게 작성하고, 새로 작성된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를 상기 컨텐츠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라이센스 저장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DRM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DRM 컨텐츠의 라이센스 및 상기 라이센스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라이센스 리스트를 저장하는 사용자 식별 모듈;
    상기 라이센스 리스틀 상기 컨텐츠 서버에 전송하는 무선주파수부; 및
    상기 무선주파수부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와 통신채널 형성하고,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를 상기 컨텐츠 서버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라이센스 저장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은
    상기 라이센스를 저장하는 저장 영역; 및
    상기 제어부와 통신하는 중앙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라이센스 저장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은
    상기 장치로부터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라이센스 저장 시스템.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통신모듈;
    상기 휴대 단말기가 전송하는 라이센스 리스트를 저장하는 백업 메모리; 및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수신된 라이센스 리스트를 상기 백업 메모리에 전달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라이센스 저장 시스 템.
  13. DRM 컨텐츠의 라이센스를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라이센스 백업 모드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및
    라이센스 백업 모드 설정 시, 라이센스를 사용자 식별 모듈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라이센스 저장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센스가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에 저장되기 이전에 저장된 메모리에서 상기 라이센스를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라이센스 저장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센스 백업 모드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라이센스를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에 직접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라이센스 저장 방법.
  16. DRM 컨텐츠의 라이센스를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라이센스 백업 모드 설정 여부에 따라, 저장된 라이센스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라이센스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를 외부 컨텐츠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를 백업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라이센스 저장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센스 갱신 발생을 검사하는 과정;
    상기 라이센스 갱신 발생 시,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를 갱신하는 과정;
    상기 갱신된 라이센스 리스트를 상기 컨텐츠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갱신된 라이센스 리스트를 기반으로 기 저장된 라이센스 리스트를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라이센스 저장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일정 기간 주기로 라이센스 갱신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라이센스 갱신 발생 시,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를 갱신하는 과정;
    상기 갱신된 라이센스 리스트를 상기 컨텐츠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갱신된 라이센스 리스트를 기반으로 기 저장된 라이센스 리스트를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라이센스 저장 방법.
  19. DRM 컨텐츠의 라이센스를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라이센스 백업 모드 설정 여부에 따라, 라이센스를 사용자 식별 모듈에 저장 하는 과정;
    상기 저장된 라이센스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라이센스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를 외부 컨텐츠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를 백업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라이센스 저장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센스 갱신 발생을 검사하는 과정;
    상기 라이센스 갱신 발생 시,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를 갱신하는 과정;
    상기 갱신된 라이센스 리스트를 상기 컨텐츠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갱신된 라이센스 리스트를 기반으로 기 저장된 라이센스 리스트를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라이센스 저장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일정 기간 주기로 라이센스 갱신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라이센스 갱신 발생 시, 상기 라이센스 리스트를 갱신하는 과정;
    상기 갱신된 라이센스 리스트를 상기 컨텐츠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갱신된 라이센스 리스트를 기반으로 기 저장된 라이센스 리스트를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라이센스 저장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센스가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에 저장되기 이전에 저장된 메모리에서 상기 라이센스를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라이센스 저장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센스 백업 모드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라이센스를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에 직접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라이센스 저장 방법.
KR1020070048533A 2007-05-18 2007-05-18 Drm 라이센스 저장 장치, 저장 시스템 및 저장 방법 KR100807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533A KR100807739B1 (ko) 2007-05-18 2007-05-18 Drm 라이센스 저장 장치, 저장 시스템 및 저장 방법
US12/152,433 US20080289044A1 (en) 2007-05-18 2008-05-14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DRM licen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533A KR100807739B1 (ko) 2007-05-18 2007-05-18 Drm 라이센스 저장 장치, 저장 시스템 및 저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7739B1 true KR100807739B1 (ko) 2008-02-28

Family

ID=39383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533A KR100807739B1 (ko) 2007-05-18 2007-05-18 Drm 라이센스 저장 장치, 저장 시스템 및 저장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289044A1 (ko)
KR (1) KR1008077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34393B2 (en) 2004-09-20 2023-08-22 Warner Bros. Entertainment Inc. Content distribution with renewable content protection
US8079077B2 (en) * 2006-08-08 2011-12-13 A10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multi-processing security gateway
US8332925B2 (en) 2006-08-08 2012-12-11 A10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multi-processing security gateway
KR100850576B1 (ko) * 2007-01-23 2008-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drm 파일 공유 방법 및 시스템
US8428649B2 (en) * 2008-08-20 2013-04-23 Sandisk Technologies Inc. Memory device upgrade
KR20100050338A (ko) * 2008-11-05 2010-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EP2401867A4 (en) * 2009-02-25 2013-11-13 Secure Content Storage Ass Llc CONTENT DISTRIBUTION WITH RENEWABLE CONTENTS
US9276935B2 (en) * 2009-05-27 2016-03-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omain manager for extending digital-media longevity
US8510851B2 (en) * 2010-12-21 2013-08-13 Stmicro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content protected media streams
US9031498B1 (en) 2011-04-26 2015-05-12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Automotive multi-generation connectivity
US9439240B1 (en) 2011-08-26 2016-09-06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dentity pairing
US9118618B2 (en) 2012-03-29 2015-08-25 A10 Networks, Inc. Hardware-based packet editor
US9398454B1 (en) 2012-04-24 2016-07-19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In-car head unit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subscription initialization
US9596286B2 (en) 2012-05-25 2017-03-14 A10 Networks, Inc. Method to process HTTP header with hardware assistance
US9135449B2 (en) * 2012-07-24 2015-09-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USIM data using mobile trusted module
US10021174B2 (en) 2012-09-25 2018-07-10 A10 Networks, Inc. Distributing service sessions
CN108027805B (zh) 2012-09-25 2021-12-21 A10网络股份有限公司 数据网络中的负载分发
US9032547B1 (en) * 2012-10-26 2015-05-12 Sprint Communication Company L.P. Provisioning vehicle based digital rights management for media delivered via phone
JP6291826B2 (ja) * 2013-02-06 2018-03-14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ライセンス管理方法
US9173238B1 (en) 2013-02-15 2015-10-27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Dual path in-vehicle communication
US9110774B1 (en) 2013-03-15 2015-08-18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of utilizing driving profiles via a mobile device
US10027761B2 (en) 2013-05-03 2018-07-17 A10 Networks, Inc. Facilitating a secure 3 party network session by a network device
US10489132B1 (en) 2013-09-23 2019-11-26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Authenticating mobile device for on board diagnostic system access
US10020979B1 (en) 2014-03-25 2018-07-10 A10 Networks, Inc. Allocating resources in multi-core computing environments
US9806943B2 (en) 2014-04-24 2017-10-31 A10 Networks, Inc. Enabling planned upgrade/downgrade of network devices without impacting network sessions
US9252951B1 (en) 2014-06-13 2016-02-02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Vehicle key function control from a mobile phone based on radio frequency link from phone to vehicle
US9591482B1 (en) 2014-10-31 2017-03-07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Method for authenticating driver for registration of in-vehicle telematics unit
US9649999B1 (en) 2015-04-28 2017-05-16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Vehicle remote operations control
US9444892B1 (en) 2015-05-05 2016-09-13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Network event management support for vehicle wireless communication
US9604651B1 (en) 2015-08-05 2017-03-28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Vehicle telematics unit communication authorization and authentic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provisioning
TWI621964B (zh) * 2016-04-11 2018-04-21 群暉科技股份有限公司 透過行動裝置所執行的授權碼認證方法及相關的電腦程式產品
JP2019219794A (ja) * 2018-06-18 2019-12-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サーバ装置及びライセンス管理システム
US20220150241A1 (en) * 2020-11-11 2022-05-12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Permissions for backup-related operation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009A (ko) * 2002-07-26 2004-02-05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아이씨 칩을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저작권 보호 방법
KR20040034076A (ko) * 2002-10-21 2004-04-28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엠피쓰리 플레이어 및 엠피쓰리 제공 서버 및 엠피쓰리파일 재생방법
KR20060020470A (ko) * 2004-08-31 2006-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소리 백업 방법
KR20070015807A (ko) * 2005-08-01 2007-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권리 객체 암호화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 및그 방법
KR100765480B1 (ko) 2006-10-23 2007-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drm 파일 재생 시스템 및 시스템 운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3746A1 (fr) * 2002-03-29 2003-10-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eil de reproduction de contenu et procede de commande de reproduction de contenu
JP4343542B2 (ja) * 2003-01-30 2009-10-1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0493900B1 (ko) * 2003-08-21 200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간 콘텐츠에 대한 권한정보의 공유방법
US7389273B2 (en) * 2003-09-25 2008-06-17 Scott Andrew Irwin System and method for federated rights management
KR100643278B1 (ko) * 2003-10-22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저장 장치의 디지털 저작권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50193145A1 (en) * 2004-02-26 2005-09-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viding a portion of an electronic mail message based upon digital rights
KR101254209B1 (ko) * 2004-03-22 2013-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와 휴대용 저장장치간에 권리 객체를 이동,복사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60056324A1 (en) * 2004-09-10 2006-03-16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to provide mobile music appliance with subscription-based play-list service
US8660961B2 (en) * 2004-11-18 2014-02-25 Contentguard Holdings, Inc.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license-centric content consump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009A (ko) * 2002-07-26 2004-02-05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아이씨 칩을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저작권 보호 방법
KR20040034076A (ko) * 2002-10-21 2004-04-28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엠피쓰리 플레이어 및 엠피쓰리 제공 서버 및 엠피쓰리파일 재생방법
KR20060020470A (ko) * 2004-08-31 2006-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소리 백업 방법
KR20070015807A (ko) * 2005-08-01 2007-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권리 객체 암호화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 및그 방법
KR100765480B1 (ko) 2006-10-23 2007-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drm 파일 재생 시스템 및 시스템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89044A1 (en) 2008-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7739B1 (ko) Drm 라이센스 저장 장치, 저장 시스템 및 저장 방법
EP1881439B1 (en) Data backup system
US10645573B2 (en) Postponed carrier configuration
KR101448122B1 (ko) 시간 기반 drm 권한 관리 장치 및 방법
US89846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anagement of applications downloaded to a personal portable wireless appliance
JP4874288B2 (ja) モバイル機器およびユーザー・モジュールへのデータの格納およびアクセス
EP2060990A2 (en) Rights sharing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US8904546B2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method and digital rights management-enabled portable device
NO326152B1 (no) Innretning og fremgangsmate for begrensning av adgang til innhold og lager
CN107919964B (zh) 一种基于动态认证信息进行数据同步的方法及系统
US20130111610A1 (en) Temporally controlling access to software assets on user devices
EP2533150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access to computing resources
JP2005086253A (ja) 移動体通信端末
JP4162468B2 (ja) 情報通信端末における暗号鍵情報の管理方法及び情報通信端末
JP4392035B2 (ja) 移動体通信端末
KR20090089756A (ko) 휴대 단말기의 라이센스 위탁 통지 방법 및 시스템
KR100823892B1 (ko)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방법
JP2002197006A (ja) 携帯電話用ウィルスチェック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3085186A (ja) 通信端末及び端末制御方法
KR20080012414A (ko) Sms전송기능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자동백업방법 및 시스템
JP2009038597A (ja) 携帯情報端末装置、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