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1977A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1977A
KR20080011977A KR1020060072811A KR20060072811A KR20080011977A KR 20080011977 A KR20080011977 A KR 20080011977A KR 1020060072811 A KR1020060072811 A KR 1020060072811A KR 20060072811 A KR20060072811 A KR 20060072811A KR 20080011977 A KR20080011977 A KR 20080011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sheet
display panel
backligh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2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우
김희섭
이창훈
이혁진
강석환
이승훈
한은희
윤성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2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1977A/ko
Publication of KR20080011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9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1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 regula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 G02F1/133784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by rubb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 G02F1/139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the birefringence of the liquid crystal being electrically controlled, e.g. ECB-, DAP-, HAN-, PI-LC cells
    • G02F1/1395Optically compensated birefringence [OCB]- cells or PI-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02F1/133507Films for enhancing the lumin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Abstract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액정 표시 패널 사이에 배향막의 러빙 방향과 일치하는 비등방 rod 형태의 패턴이 일면에 배치되는 광학시트를 배치한다. 이 경우, 상기 광학시트는 액정 표시 장치의 상하좌우 전 방향의 시야각의 대칭성과 휘도를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액정 패널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휘도 향상 시트의 모양을 개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단위 렌즈패턴을 단축방향으로 잘랐을 때 단면에 대한 광학 개념도이다.
도 5a는 배향막의 러빙 방향과 서로 직교하는 편광필름의 투과축의 방향과 휘도 향상 시트에 형성된 비등방 패턴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b는 배향막의 러빙 방향과 서로 평행하는 편광필름의 투과축의 방향과 휘도 향상 시트에 형성된 비등방 패턴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액정 패널 어셈블리 101 :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102 : 컬러필터 기판 103 : 액정층
130 : 보상필름 140 : 편광필름
150 : 상부 수납용기 160 : 하부 수납용기
200 : 구동부 300 : 백라이트 어셈블리
310 : 램프 321 : 광학 플레이트
323 : 휘도 향상 시트 400 : 수납 프레임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액정 표시장치의 시야각, 시야각의 대칭성 및 휘도를 높일 수 있는 광학 시트를 포함하고 있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상 정보를 화면을 통하여 나타내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널리 사용되어왔던 브라운관 표시 장치가 평판 표시 장치로 점차 대체되고 있는 추세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 중의 하나로서, 전극이 형성된 두 장의 유리기판과 그사이에 배치된 액정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 층의 액정 분자들을 재배열시켜 투과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표시 장치이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의 한 기판에는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스위칭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을 포함하는 배선, 외부로부터 인가 받은 신호를 상기 배선으로 전달하는 패드, 그리고 게이트선과 데이터선이 교차하는 화소 영역에 형성되어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화소 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한 기판에는 블랙 매트릭스, 각 화소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배열된 적색, 녹색, 청색의 색필터 및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공통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 중에서 응답 속도 및 시야각을 개선하기 위해서 다양 한 방법이 제시되었으며, 그 예로 OCB(Optically Compensated Bend)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를 들 수 있다.
OCB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는 마주하는 두 기판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전극과 기판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액정 분자를 기판과 수평하게 배향하기 위한 배향막을 포함한다. 이러한 OCB 방식의 액정 표시장치에서는 두 기판에 전기장이 인가되었을 때 액정 분자가 두 기판의 중심면에 대하여 대칭이면서 기판에서 중심면에 이르기까지 수평 배열에서 수직 배열 구조를 취하고 있으므로 넓은 시야각을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액정 분자의 배열을 얻기 위해서는 두 기판의 배향막을 같은 방향으로 처리하고 처음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구부러짐(bend) 배열로 한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데이터전극과 공통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에 전계를 생성하고, 이 전계의 세기를 조절하여 액정층을 통과하는 빛의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영상정보를 화상으로 나타낸다. 이때 액정층에 한 방향의 전계가 오랫동안 인가됨으로써 발생하는 액정의 열화를 막기 위해서 프레임, 행, 또는 화소별로 공통 전압에 대한 데이터 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킨다.
이러한 반전시 액정의 느린 응답속도로 인해 액정 축전기가 목표 전압에 도달하기까지 충전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어 이 기간 동안 화면이 흐릿해지는(blurring)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짧은 시간 동안 블랙 화면을 삽입하는 임펄시브(impulsive) 구동 방식을 개발하였으나 이러한 방식은 백라이트 램프가 꺼지는 시간 동안 듀티비(duty ratio)에 따라 필연적으로 휘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OCB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는 러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는 시야각 및 시야각 대칭성이 우수하지만, 러빙 방향에 대해서는 시야각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야각을 넓히고, 시야각의 대칭성 및 휘도를 높일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액정 표시 장치는 본 발명에 따라,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상부에 위치하며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원과 광원 하부에 위치하는 반사시트, 광원 상부에 위치하는 광학플레이트와 확산 시트, 그리고 일면에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집광하는 비등방 로드(rod)형 또는 타원형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패턴의 장축 방향이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배향막의 러빙 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휘도 향상 시트들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OCB모드로 개재되는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원과 광원 하부에 위치하는 반사시트, 광원 상부에 위치하는 광학플레이트와 확산 시트, 그리고 일면에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집광하는 비등방 로드(rod)형 또는 타원형 패턴이 형성된 한 장 이상의 휘도 향상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은 상기 패턴의 장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러빙된 배향막을 포함하는 한 쌍의 표시판과, 상기 표시판 사이에 개재되고 벤드(Bend)형태로 배향되는 액정층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300), 액정 패널 어셈블리(100), 상부 수납 용기(150) 및 하부 수납용기(160)를 포함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300)는 램프(310), 광학 플레이트(321), 광학 시트들(322) 및 반사 시트(330)를 포함한다.
램프(310)는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EEFL(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LED(Light Emitted Diode)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시된 램프(310)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램프 구동전압에 의해서 광을 발생하고, 액정 표시 패널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며, 균일한 거리로 이격되어 동위상 병렬 연결된 직하형 구조를 가진다.
광의 휘도 균일성 향상을 주 목적으로 하는 광학 플레이트(321)는 램프(3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반사 시트(330)는 램프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부로 방출되는 광을 상부로 반사한다.
광학 시트들(322)은 확산 시트(diffusion sheet), 제 1 휘도 향상 시트, 제 2 휘도 향상 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광학시트들(322)은 광학 플레이트(321)상부에 설치되며, 램프(310)로부터 전달되는 광을 확산하고 집광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광학 시트들(322) 중 제 1 휘도 향상 시트 및 제 2 휘도 향상 시트는 적어도 일면에 단축 및 장축을 갖는 복수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의 장축과 상기 액정의 배향막의 러빙방향이 같으며, 상기 장축방향의 일면이 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휘도 향상 시트상에 형성되는 상기 패턴들은 규칙적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무작위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액정 패널 어셈블리(100)는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01), 컬러필터 기판(102), 및 구동부(200)를 포함하며, 구동부(200)는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01) 상의 각 게이트 라인에 접속되는 게이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201),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01) 상의 각 데이터 라인에 접속되는 데이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202) 및 게이트 구동신호 및 데이터 구동신호를 모두 처리하기 위한 여러 구동부품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203)을 포함한다. 도시된 구동부(200)는 공지의 다른 방식으로 대체가 가능하며 또한, 배선형성과정에서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상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액정 패널 어셈블리(100)는 광학시트들(322) 위에 설치되며, 백라이트 어셈블리(300)와 함께 수납 프레임(400)의 지지를 받으며 수납 용기(160)에 수납된다. 여기서 백라이트 어셈블리(300) 및 액정 패널 어셈블리(100)를 수용하는 방법에 따 라서 상기 수납 프레임(400) 및 하부 수납 용기(16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부 수납 용기(150)는 하부 수납 용기(160)에 수납된 액정 패널 어셈블리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하부 수납 용기와 결합된다. 상부 수납 용기(150)는 나사 결합 또는 후크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하부 수납용기와 결합될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패널(100)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패널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1), 컬러필터 기판(102), 이들 두 기판 사이에 주입되어 있는 액정층(103), 두 기판의 바깥쪽에 형성되어 있는 보상필름(130), 보상필름의 바깥쪽에 부착되어 있는 편광필름(140)을 포함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상에는 절연기판(111) 위에 게이트 배선(113), 게이트 절연막(114), 반도체층(115), 저항성 접촉층(117), 데이터 배선(118), 보호막(119) 및 화소전극(104)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화소전극(104)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최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화소전극(104)과 대향하는 위치에 컬러필터 기판(102)이 위치하며 화소전극(104) 위에는 액정층을 배향할 수 있는 배향막이 도포되어 있다. 컬러필터 기판(102)은 절연기판(112)위에 블랙매트릭스(121), 각 화소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배열된 적색, 녹색, 청색의 색필터 및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공통전극(10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통전극이 컬러필터 기판(102)의 최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화소전극(104)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화소전극(104)과 공통전극(105) 사이에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층(103)이 개재된 다.
액정층(103)은 네마틱 액정을 스프레이(splay)배향하고,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밴드(bend) 배향으로 전환시킨 후, 인가전압을 조절함으로써 광 투과율을 제어하는 OCB(Optically Compensated Bend)모드로 구동될 수 있도록 배향되어 있다. 화소전극(104)과 공통전극(105) 표면에 배향막을 형성하고, 러빙을 통하여 액정분자를 소정의 방향으로 배향한다. 스프레이배향을 위해서는 화소전극(104) 및 공통전극(105)의 표면에 형성하는 배향막을 동일한 방향으로 러빙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1)과 컬러필터 기판(102)의 외측에는 각각 편광필름(140)이 설치되고, 두 기판과 편광필름(140)의 사이에는 보상필름(130)이 설치된다.
두 편광필름의 투과축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거나,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배향막의 러빙 방향과는 45도 또는 135도를 이룰 수 있도록 배치된다.
보상필름(130)은 녹색광을 기준으로 하여 보상 특성이 최적화되도록 조정되어 있는데, 디스코틱(discotic)층과 그 지지체인 TAC(triacetate cellulose)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외에 다양한 형태의 보상필름의 적용이 가능하다.
배향막의 러빙방향과 편광필름(140)의 편광축의 방향과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휘도향상 시트에 형성된 비등방 패턴의 장축방향과의 관계는 도 5a와 도 5b를 통하여 후에 설명한다.
도 3을 통해 상기 휘도 향상 시트에 적용 가능한 패턴의 예를 개시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휘도 향상 시트는 적어도 일면에 단축 및 장축을 갖는 복수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장축 방향의 일면이 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턴은 규칙적으로 배치되거나 무작위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a, b, c 및 d를 통하여 상기 패턴을 구체적으로 도시화 하였다. 도 3의 a 및 b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타원형 렌즈 형상의 패턴이 규칙적으로 배치된 형태의 휘도 향상 시트이다. 도 3의 c는 동일한 렌즈 형상의 패턴이 무작위로 배치된 형태의 휘도 향상 시트이다. 도 3의 d는 장축 방향이 마주보는 변을 같고 양변의 끝부분이 라운드진 형태로 만나는 렌즈 형상의 패턴을 같은 휘도 향상 시트로, 도면과 같이 규칙적인 패턴을 가질 수 도 있으며, 불규칙적인 패턴을 가질 수 도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 렌즈 열들의 장축은 서로 평행하나 홀수번째 타원형 렌즈 열들의 단축은 짝수번째 타원형 렌즈 열들의 단축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 렌즈 열들의 장축과 단축은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도 3의 (c)에 도시된 휘도 향상 시트는 타원형 렌즈를 무작위로 배치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의 (d)에 도시된 휘도 향상 시트는 기본적으로 도 3의 (b)와 동일한 렌즈 배열을 가지되, 각 렌즈의 장축 방향의 끝부분은 라운드진 형태이고 장축방향의 두 모서리는 평행한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단위 렌즈패턴을 단축방향 AB로 잘랐을 때 단면에 대한 광학 개념도이다. 본 도면에서 빛의 진행방향을 화살표로 표기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 중심에서 45도 이외의 각도로 입사되는 직진광은 렌즈에 의해 상부로 집광되어 휘도가 증대된다. 상기 각 렌즈패턴은 장축과 단축을 가진 비등방 형태이므로 휘도 향상 시트에 대해서 상기 렌즈패턴의 장축 방향과 단축 방 향을 서로 직교하는 두 축으로 구분할 때 상대적으로 단축방향에서 휘도증가 효과가 높아진다. 그러므로, 러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는 시야각 및 시야각 대칭성이 우수한 반면, 러빙 방향에 대해서는 시야각이 감소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OCB 모드의 액정 표시 패널의 러빙 방향과 휘도 향상 시트의 렌즈패턴의 장축 방향을 갖도록 하면 액정 표시 패널의 광특성을 개선 할 수 가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배향막의 러빙방향(R)과 편광필름의 투과축의 방향(P)과 휘도향상 시트에 형성된 비등방 패턴의 장축방향(Y) 및 단축방향(X)와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a는 액정 표시 패널의 상면과 하면에 부착되는 편광필름의 투과축의 방향이 서로 수직한 경우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5b는 투과축의 방향이 서로 평행한 경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5a 및 5b에서,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1)과 컬러필터 기판(102)으로 이루어진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하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 위에는 각각 배향막이 도포되어 있다. 각 배향막은 화살표의 러빙방향(R)과 같이 액정 표시 패널의 가로방향에 대하여 45도 기울어진 방향으로 러빙되어 있으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1)과 컬러필터 기판(102)의 러빙 방향은 동일하다. 이러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공통전극 기판 사이에는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는 액정층이 삽입되어 있으며,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선경사각을 가지고 표시판에 대하여 수평 배향되어 있다가 전압이 인가될 때 액정분자는 구부러짐 구조를 갖는 배열을 나타낸다. 즉 두 표시판 사 이에 충분한 크기의 전기장이 형성되면 액정 분자는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액정의 장축이 전기장에 나란하게, 즉 두 표시판에 수직이 되도록 배열하려고 한다. 그리고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1)과 컬러필터 기판(102)의 각 바깥쪽 면에는 편광필름이 부착되어 있다. 편광필름(140)의 투과축(P)은 서로 수직하거나(도 5a) 평행하며(도 5b) 인접한 기판의 배향막의 러빙방향(R)과 실질적으로 45도 또는 135도를 이룬다. 즉 투과축은(P)은 액정 표시 패널의 가로 또는 세로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휘도 향상 시트(323)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1)의 하부에 위치한 편광필름(14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휘도 향상 시트(323)에 상의 비등방 패턴의 장축방향(Y)은 각 기판 상에 위치하는 배향막의 러빙방향(R)과 같은 방향을 갖는다.
상기의 예에서 제시한 배치 방법 이외에도 배향막의 러빙방향(R)과 휘도 향상 시트(323)에 형성된 비등방 패턴의 장축방향(Y)을 일치시키는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액정 표시 패널에 대한 배향막의 러빙방향(R)과 편광필름의 투과축(P)의 방향은 제작의 용이성 측면, 액정 및 보상필름의 특성 등에 따라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액정 표시 패널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작에 있어서 광학시트류는 1개의 확산시트와 1개의 휘도 향상 시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보다 높은 휘도 특성을 요구할 경우 1개의 확산시트와 2개의 휘도 향상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하면, 시야각, 시야각 대칭성 및 휘도를 높일 수 있다.

Claims (14)

  1. 광을 발생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 상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플레이트 및 휘도 향상 시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적어도 두 개의 기판, 상기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 상기 액정을 배열하는 배향막을 갖는 액정 표시 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을 수납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휘도 향상 시트는 적어도 일면에 단축 및 장축을 갖는 복수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의 장축과 상기 액정의 배향막의 러빙방향이 같으며, 상기 장축방향의 일면이 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러빙 방향은 액정의 상부 및 하부에 있는 기판에 있어서 동일한 액정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향상 시트는 상면과 하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광원과 마주보는 방향을 하면이라고 할 때 광원의 반대편 방향인 상면에 상기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향상 시트 상에 형성되는 상기 패턴들은 규칙적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무작위로 배치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부착된 한 쌍의 편광필름을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편광필름의 투과축은 상기 러빙 방향에 대하여 45도 또는 135도를 이루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휘도 향상 시트 상부에 위치하는 1개의 광 확산시트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적어도 두 개의 기판, 상기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 상기 액정을 배열하는 배향막, 상기 두 기판의 외면에 배치되는 2매의 편광필름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을 수납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액정층은 OCB모드로 개재되고,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적어도 일면에 단축 및 장축을 갖는 복수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의 장축과 상기 액정층의 배향막의 러빙 방향이 같으며, 상기 장축방향의 일면이 곡면인 1매 이상의 휘도 향상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러빙 방향은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가로방향에 대하여 45도 또는 135도를 이루고, 상기 편광필름의 투과축의 방향은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가로방향과 같은 액정 표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러빙 방향은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가로방향에 대하여 0도 또는 90도를 이루고, 상기 편광필름의 투과축의 방향은 상기 러빙 방향과 45도 또는 135도를 이루는 액정 표시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향상 시트 상에 형성되는 상기 패턴들은 규칙적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무작위로 배치되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향상 시트 들은 상면과 하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광원과 마주보는 방향을 하면이라고 할 때 광원의 반대편 방향인 상면에 상기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휘도 향상 시트의 상부에 1매 이상의 광 확산시트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과 상기 각각의 편광필름의 사이에는 보상필름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60072811A 2006-08-02 2006-08-02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119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811A KR20080011977A (ko) 2006-08-02 2006-08-02 액정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811A KR20080011977A (ko) 2006-08-02 2006-08-02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977A true KR20080011977A (ko) 2008-02-11

Family

ID=39340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2811A KR20080011977A (ko) 2006-08-02 2006-08-02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19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4253A (ko) * 2014-12-11 2022-04-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4253A (ko) * 2014-12-11 2022-04-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5859B2 (en) Backlight assembly having fluorescent and LED light source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060021558A (ko) 바텀 섀시의 강도를 향상시킨 액정표시장치
JP2000047208A (ja) 液晶表示装置
KR101172665B1 (ko) 광시야각과 협시야각의 모드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및그 제조방법
JP3556478B2 (ja) 液晶表示装置
KR20070056781A (ko) 액정 표시 장치
CN109884824A (zh) 一种用于双畴显示的光配向方法、装置、及液晶面板
KR20080011977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081656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2006126773A (ja) マルチドメイン垂直配向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10060522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292582B1 (ko)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모듈
JP2007199577A (ja) 液晶表示装置
KR20070013574A (ko) 액정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150077584A (ko) Led 패키지, 그 제조 방법, led 패키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JP3849399B2 (ja) 液晶表示装置
KR20040057268A (ko) 배향용 광 조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 배향 방법
KR20140089267A (ko) 액정표시장치
CN214335400U (zh) 一种显示装置
KR20020028374A (ko)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0860240B1 (ko) 광굴절부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CN109870861A (zh) 一种液晶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0972498B1 (ko) 액정표시소자
KR101429902B1 (ko) 횡전계 방식의 액정표시장치
KR10094326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