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0522A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0522A
KR20010060522A KR1019990062918A KR19990062918A KR20010060522A KR 20010060522 A KR20010060522 A KR 20010060522A KR 1019990062918 A KR1019990062918 A KR 1019990062918A KR 19990062918 A KR19990062918 A KR 19990062918A KR 20010060522 A KR20010060522 A KR 20010060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substrate
crystal display
substrates
crystal molec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2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7690B1 (ko
Inventor
이창훈
심정욱
문중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62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690B1/ko
Publication of KR20010060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0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6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07Structures for producing distorted electric fields, e.g. bumps, protrusions, recesses, slits in pixel 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7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the liquid crystal having positive dielectric anisotrop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상부 및 하부 기판을 포함하며, 각 기판의 안쪽 면 위에는 액정 분자를 구동하기 위해 전기장을 생성하는 제1 및 제2 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전극 각각의 상부에는 무질서하게 돌기들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전극 상부에는 돌기를 덮는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배향막은 액정 분자를 기판에 대하여 거의 평행하게 배향시킬 수 있는 수평형 배향막이며, 두 기판의 배향막 사이에는 유전율 이방성이 양인 네마틱 액정 물질층이 주입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 및 하부 배향막 표면 바로 위의 액정 분자들은 돌기의 경사면을 따라 누워있는 동시에 상부 기판에서 하부기판에 이르기까지 구부러짐 배열을 이루고 있으며, 기판의 면에 대하여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방사형으로 액정 분자를 다중 영역으로 분할 배향함으로써 어느 방향에서도 균일한 시야각을 가질 수 있으며. 계조 반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투과되는 빛에 대한 지연(retardation)을 대칭적으로 보상되도록 하여 넓은 시야각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S}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야각이 넓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전기장을 생성하는 전극을 가지고 있는 두 기판 사이에 액정 물질을 주입해 놓고 두 전극에 서로 다른 전위를 인가함으로써 전계를 형성하여 액정 분자들의 배열을 변경시키고, 이를 통해 빛의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현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응답 속도 및 좁은 시야각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었는데, 두 기판에 수평 및 수직 배향막을 가지는 HAN(hybrid aligned nematic) 방식 또는 OCB(optically compensated bend)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는 액정 분자가 수직 배열에서 수평으로 변하는 하이브리드(hybrid) 배열을 가지는 HAN 방식은 빠른 응답 속도를 가지는 장점이 있으나, 여전히 시야각이 좁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OCB 방식에서는 두 기판 면의 중심면에 대하여 대칭이면서 기판에서 두 기판의 중심면에 이르기까지 수평 배열에서 수직 배열 구조를 가지므로 넓은 시야각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액정 배열을 얻기 위해서는 같은 방향으로 배향 처리된 수형 배향제를 사용하여 초기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구부러짐(bend) 배열을 얻고 있지만, 초기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구부러짐(bend) 배열을 얻는 것이 어렵고, 구부러짐 배열의 안정성이 떨어지므로 일정 전압 이하에서는 구부러짐 배열이 깨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야각이 넓은 동시에 안정된 구부러짐 배열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빠른 응답 속도를 가지는 동시에 시야각이 넓은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부러짐 배열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 및 구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배열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 및 구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배열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배열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는 기판의 면에 대하여 액정 분자가 방사형 또는 동심원으로 배열되도록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다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전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및 제2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기판을 포함하며, 마주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부에는 경사각을 가지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는 수평 배향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기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는 동시에 돌기에 의해 선경사각을 가지고 있어 돌기 사이의 중심선과 기판의 중심면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열되어 있는 액정 분자들로 이루어진 액정 물질층이 주입되어 있다.
이때, 제1 및 제2 기판의 돌기는 각각 마주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주하는 제1 및 제2 기판 사이의 각각에는 액정 물질층을 수평 배향하기 위한 제1 및 제2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배향막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향 처리될 수 있으며, 액정 물질층은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바깥쪽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편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편광판의 투과축은 서로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액정 분자들은 제1 및 제2 기판 면에 대하여 돌기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된다.
여기서, 액정 물질층에는 전기장에 의해 액정 분자가 균일한 방향으로 돌아가도록 카이럴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제1 및 제2 기판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는 제1 기판에서 상기 제2 기판에 이르기까지 제1 및 제2 기판에 대한 액정 분자의 경사각이 점차 증가하는 하이브리드 배열을 포함하는 액정 물질층이 주입되어 있다. 또한, 마주하는 제1 및 제2 기판의 상부에는 경사면을 가지고 있으며, 제1 및 제2 기판 면에 대하여 액정 분자를 방사형 또는 동심원 모양으로 배열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액정 물질층은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기판에 인접한 액정 분자는 돌기의 경사면을 따라 배열되거나 돌기의 동심원을 따라 기판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제2 기판에 인접한 액정 분자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마주하는 제1 및 제2 기판 각각에 액정 분자를 수평 및 수직으로 배향하기 위한 제1 및 제2 배향막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돌기에 의해 액정 분자가 두 기판의 중심면에 대하여 대칭적인 배열되는 구부러짐 배열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부러짐 배열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 및 구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a는 전압을 인가한 후의 단면도이고, 도 1b는 두 기판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먼저, 도 1a 및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돌기에 의해 구부러짐(bend) 배열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상부 및 하부 기판(11, 12)을 포함하며, 각 기판(11, 12)의 안쪽 면 위에는 액정 분자(31)를 구동하기 위해 전기장을 생성하며,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등의 투명한 도전 물질 또는 불투명한 도전 물질로 이루어진 전극(41, 4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전극(41, 42) 각각의 상부에는 무질서하게 돌기(51, 52)들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전극(41, 42) 상부에는 돌기(51, 52)를 덮는 배향막(21, 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돌기(51, 52)들은 임의의 간격을 가지며 배열될 수도 있으며, 돌기(51, 52)는 연속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여기서, 배향막(21, 22)은 액정 분자(31)를 기판에 대하여 거의 수평하게 배향시킬 수 있는 수평형 배향막이다. 두 기판(11, 12)의 배향막(21, 22) 사이에는 유전율 이방성이 양인 네마틱 액정 물질층(32)이 주입되어 있다. 이때, 상부 및 하부 배향막(21, 22) 표면 바로 위의 액정 분자(31)들은 돌기(51, 52)의 경사면(501, 502)과 기판(11, 12) 면이 이루는 경사각(θ)으로 인하여 각각 기판(11, 12) 면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선경사각을 가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다르게, 배향막(21, 22)은 돌기(51, 52)의 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전극(41, 42)의 하부에 돌기(51, 52)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배향막(21, 2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같이 배향 처리를 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임의의 방향의 시야각을 고려하여 액정 분자(31)들의 구부러짐 배열을 만들어 주기 위하여 돌기(51, 52) 경사면(501, 502) 각각에는 돌기(51, 52)의 꼭지점 방향으로 배향 처리 방향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배향 처리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돌기(51, 52)의 모양은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원뿔 또는 모서리를 가지는 다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으로 나타나지 않았지만 각각의 투명 기판(11, 12)의 바깥 면에는 통과하는 빛을 편광시키는 두 장의 편광판이 각각 부착될 수 있으며, 편광판은 광투과축 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서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a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액정 분자(31)는 임의의 방향으로 돌아갈 수 있으며, 액정 물질층(32)은 액정 분자(31)가 균일한 방향으로 돌아가도록 카이럴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전압을 인가하면,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배향막(21, 22)에 인접한 액정 물질층(32)의 액정 분자(31)들은 수평형 배향막(21, 22)의 성질 또는 배향력으로 인하여 돌기(51, 52)의 경사각(θ)을 따라 상하 기판(11, 12) 면에 대하여 임의 각을 가지면서 배열되며, 두 기판(11, 12)의 중심면으로 갈수록 액정 분자(31)들은 배향력과 기판(11, 12)에 수직한 전기장의 영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하게 되어 구부러짐 배열을 가지게 된다. 이때,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기판(11, 12)의 중심면(B)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열하는 두 영역이 만들어지는 동시에 돌기(51, 52)들 사이의 중심선(A)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열하는 두 영역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액정층(32)을 통과하는 빛에 대한 위상 지연(phase retardation)이 상하 좌우 대칭적으로 보상되는 효과가 있으므로 시야각은 넓어진다.
또한,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판(11, 12) 상부에서 바라보면, 액정 분자(31)들은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있어 넓은 시야각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균일한 시야각을 얻을 수 있다.
이때, 하부 기판(12), 액정층(32) 및 상부 기판(11)을 통과한 빛은 위상 지연의 차이로 인하여 편광 방향이 바뀌게 된다. 여기서, 빛의 편광 방향을 90°정도 바뀌도록 유전율 이방성과 셀 간격을 조절하면, 이 빛은 편광 방향이 바뀐 상태에서 수직한 투과축을 가지도록 배열된 편광판을 통과하여 화이트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두 개의 전극(41, 42) 중 하부 전극(42)은 각각의 단위 화소마다 다른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화소 전극이며, 제2 전극(41)은 전체 화소에 공통된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공통 전극이다. 또한, 각각의 화소 전극은 각각의 화소에 형성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같은 스위칭 소자의 한 단자와 연결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종래의 OCB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와 달리 구부러짐 배열을 얻기 위해 돌기(51, 52)를 이용함으로써 초기에 고전압을 인가할 필요가 없으며, 안정된 구부러짐 배열을 얻을 수 있다.
물론, 어두운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두 전극(41, 42)에 충분한 크기의 전압을 인가하여 대부분의 액정 분자(31)들을 두 기판(11, 12)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열되도록 하여 위상 지연이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상부 및 하부 배향막(21, 22)에 인접한 부분에서는 가해진 전기장에 의한 힘보다는 배향막(21, 22)의 배향력이 강하므로, 이 부분에 액정 분자(31)들은 선경사각(θ)을 가지며 배열된 원래의 상태를 유지하려고 한다.
다음은, 도 2를 참조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배향 처리를 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부분의 구조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다.
하지만, 돌기(51, 52)가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돌기(51, 52)들의 제1 돌기면(501)이 액정 분자(31)들이 선경사각을 가지도록 배향 처리 방향 1로 배향 처리되어 있으며, 돌기면(502)은 배향 처리 방향 1의 반대 방향인 배향 처리 방향 2로 배향 처리되어 있다.
이때, 액정 분자(31)들은 돌기(51, 52) 사이의 중심선(A)과 두 기판(11, 12) 사이의 중심면(B)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열되어 있어,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여기서, 배향 처리 방향 1 및 2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러빙(rubbing) 또는 자외선을 이용한 광 배향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은, 하이브리드 배열을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 및 구동 원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배열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 및 구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전압을 인가하기 전과 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3a 및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배열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상부 및 하부 기판(11, 12)을 포함하며, 각 기판(11, 12)의 안쪽면 위에는 배향막(21, 2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각 기판(11, 12)과 각 배향막(21, 22) 사이에는 액정 분자(31)를 구동하기 위해 전기장을 생성하는 전극(41, 4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부 기판(11)에 도포되어 있는 배향막(21)은 액정 분자(31)를 기판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향시킬 수 있는 수직형 배향막이며, 하부 기판(12)에 형성되어 있는 배향막(22)은 상부 기판(11)의 배향막(21)과 달리 액정 분자(31)를 기판에 대하여 수평하게 배향시킬 수 있는 수평형 배향막이다. 두 기판(11, 12)의 배향막(21, 22) 사이에는 유전율 이방성이 양인 네마틱 액정 물질층(32)이 주입되어 있다.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 배향막(21)에 인접한 액정 물질층(32)의 액정 분자(31)들은 기판(11)에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배열되지만, 하부 배향막(22)에 인접한 액정 물질층(32)의 액정 분자(31)들은 기판(12)에 거의 평행하게 배열된다. 따라서 액정 분자(31)들은 하부 기판(12)으로부터 상부 기판(11) 쪽으로 갈수록 기판(11, 12)에 수직한 직선에 대한 경사각이 커지는 하이브리드 배열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 상부 및 하부 배향막(21, 22) 표면 바로 위의 액정 분자(31)들은 각각 기판(11, 12)에 수직한 직성 및 기판(11, 12)면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선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부 기판(11)에 수직형 배향막을 형성하고 하부 기판(12)에 수평형 배향막을 형성하였으나, 반대로 상부 기판(11)에 수평형 배향막을, 하부 기판(12)에 수직형 배향막을 도포할 수도 있다.
다음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전극(41, 42)에 충분한 크기의 전압을 인가하면 기판(11, 12)에 수직한 전기장이 형성되는데,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는 네마틱 액정 분자(31)들은 전기장에 의해 나란하게 배열되려 하므로 두 기판(11, 12)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열된다. 그러나, 두 배향막(21, 22)에 인접한 부분에서는 가해진 전기장에 의한 힘보다는 배향막(21, 22)의 배향력이 강하므로 하부 기판(12) 근처의 액정 분자(31)들은 전압이 인가되더라도 수평하게 배열된 원래의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구조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초기 상태에서도 상당 부분의 액정 분자가 기판(11, 12)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열되어 있으므로 전압 인가시 액정 분자(31)들이 기판에 수직일 상태가 되는 속도가 빠르고, 전압이 사라져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는 속도도 빠르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의 응답 속도가 빠르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의 시야각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부 또는 하부 기판(11, 12)에 돌기를 형성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배열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기판 면의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b는 기판의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액정 분자(31)들은 상부 기판(11)에서 하부 기판(12)에 이르기까지 하이브리드 배열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도 3a 및 도 3b와 달리 상부 기판(11)의 상부에는 돌기(5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액정 분자(51)들은 돌기면(501)을 경사를 따라 선경사각(θ)을 가지며 누워있는 동시에 하부 기판(12)까지 하이브리드 배열을 이루고 있으며,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사형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액정 물질층(32)을 통과하는 빛의 위상 지연은 방사형으로 배열된 액정 분자(31)들에 의해 균일하게 형성되므로 넓은 시야각을 얻을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배열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a는 기판 면의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b는 기판의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액정 분자(31)들은 상부 기판(11)에서 하부 기판(12)에 이르기까지 하이브리드 배열을 이루고 있으며,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기판(11)의 돌기(51)가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 4a 및 도 4b와 달리 액정 분자(51)들은 돌기(51) 사이의 계곡을타고 누운 동시에 하부 기판(12)까지 하이브리드 배열을 이루고 있어,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액정 분자(51)들은 동심원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액정 물질층(32)을 통과하는 빛의 위상 지연은 동심원으로 배열된 액정 분자(31)들에 의해 균일하게 형성되므로 넓은 시야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돌기를 이용하여 액정 분자에 선경사각을 가지도록 하여 방사형 또는 동심원 모양으로 분할 배향함으로써 균일한 위상 지연을 얻을 수 있어 휘도가 급격하게 변하는 계조 반전(gray inversion)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돌기를 형성하여 액정 분자에 선경사각을 가지도록 하는 동시에 방사형 또는 동심원으로 액정 분자를 구부러짐 배열 또는 하이브리드 배열을 이루도록 하여 액정 분자를 다중 영역으로 분할 배향함으로써 어느 방향에서도 균일한 시야각을 가질 수 있으며. 계조 반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투과되는 빛에 대한 지연(retardation)을 대칭적으로 보상되도록 하여 넓은 시야각을 가질 수 있다.

Claims (16)

  1. 제1 전극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마주하며,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장을 형성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제2 기판,
    마주하는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각을 가지는 돌기,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주입되어 수평 배향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기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돌기에 의해 선경사각을 가지고 있어 상기 돌기 사이의 중심선과 상기 기판의 중심면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열되어 있는 액정 분자들로 이루어진 액정 물질층,
    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의 상기 돌기는 각각 마주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1항에서, 마주하는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액정 물질층을 수평 배향하기 위한 제1 및 제2 배향막을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3항에서, 제1 및 제2 배향막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향 처리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액정 물질층은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바깥쪽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편광판을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편광판의 투과축은 서로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액정 분자들은 상기 제1 및 제2 기판 면에 대하여 상기 돌기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액정 물질층에는 상기 전기장에 의해 상기 액정 분자가 균일한 방향으로 돌아가도록 카이럴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전극은 불투명한 도전 물질 또는 투명한 도전 물질인 ITO 또는 IZO로 이루어진 액정 표시 장치.
  11. 서로 마주보고 있는 제1 및 제2 기판,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주입되어 있고, 상기 제1 기판에서 상기 제2 기판에 이르기까지 상기 제1 및 제2 기판에 대한 액정 분자의 경사각이 점차 증가하는 하이브리드 배열을 포함하는 액정 물질층, 및
    마주하는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의 상부에 경사면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기판 면에 대하여 상기 액정 분자를 방사형 또는 동심원 모양으로 배열하기 위한 돌기
    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액정 물질층은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13. 제11항에서, 상기 제1 기판에 인접한 상기 액정 분자는 상기 돌기의 상기 경사면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14. 제11항에서, 상기 제1 기판에 인접한 상기 액정 분자는 상기 돌기의 동심원을 따라 상기 기판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15. 제11항에서, 제2 기판에 인접한 상기 액정 분자는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16. 제11항에서, 마주하는 상기 제1 및 제2 기판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액정 분자를 수평 및 수직으로 배향하기 위한 제1 및 제2 배향막을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9990062918A 1999-12-27 1999-12-27 액정 표시 장치 KR100777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918A KR100777690B1 (ko) 1999-12-27 1999-12-27 액정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918A KR100777690B1 (ko) 1999-12-27 1999-12-27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0522A true KR20010060522A (ko) 2001-07-07
KR100777690B1 KR100777690B1 (ko) 2007-11-21

Family

ID=19630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2918A KR100777690B1 (ko) 1999-12-27 1999-12-27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769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888B1 (ko) * 2000-03-27 2008-01-14 휴렛-팩커드 컴퍼니(델라웨어주법인) 액정 배향
KR100820785B1 (ko) * 2002-07-10 2008-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US7515236B2 (en) 2004-11-26 2009-04-07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OCB mode liquid crystal laye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7649600B2 (en) 2004-11-26 2010-01-19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OCB mode liquid crystal layer
US7826013B2 (en) 2004-11-26 2010-11-02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OCB mode liquid crystal laye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143003B1 (ko) * 2005-05-16 2012-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5418B2 (ja) * 1994-05-18 2000-01-31 三洋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H09105941A (ja) * 1995-10-13 1997-04-22 Stanley Electric Co Ltd 液晶表示装置
TWI271590B (en) * 1997-06-12 2007-01-21 Sharp Kk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888B1 (ko) * 2000-03-27 2008-01-14 휴렛-팩커드 컴퍼니(델라웨어주법인) 액정 배향
KR100820785B1 (ko) * 2002-07-10 2008-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US7515236B2 (en) 2004-11-26 2009-04-07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OCB mode liquid crystal laye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7649600B2 (en) 2004-11-26 2010-01-19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OCB mode liquid crystal layer
US7826013B2 (en) 2004-11-26 2010-11-02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OCB mode liquid crystal laye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143003B1 (ko) * 2005-05-16 2012-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7690B1 (ko) 2007-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6707B2 (en) Fringe field switching mode LCD
KR100259474B1 (ko) 하이브리드배열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US826993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JP3850002B2 (ja) 液晶電気光学装置
US8860920B2 (en)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100259712A1 (en) Display Device with Enhanced Display Quality
KR100807922B1 (ko) 액정 표시 장치
CN101256318A (zh) 液晶装置及电子设备
KR100288766B1 (ko) 광시야각액정표시장치
US7948596B2 (en) 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 liquid crystal display
CN101498871B (zh) 视角可控液晶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100777690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10081454A (ko) 광시야각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제조방법
US667101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only portion of the long axes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are arranged in radial configuration
KR100601173B1 (ko) 액정 표시 장치
US2004012527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US7466386B2 (en) Multi-domai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656526B2 (ja) 液晶電気光学装置
KR100737671B1 (ko) Ocb 모드 액정표시장치
KR101957920B1 (ko) 고속 응답 액정표시장치
KR100601161B1 (ko) 액정 표시 장치
JP2002040457A (ja) 液晶表示装置
KR20020057671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494684B1 (ko) 수직배향된 강유전성 액정의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
KR20000073286A (ko) 광시야수직배향 액정표시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