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1606A - Torsion beam suspension system of vehicle - Google Patents
Torsion beam suspension system of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11606A KR20080011606A KR1020060072389A KR20060072389A KR20080011606A KR 20080011606 A KR20080011606 A KR 20080011606A KR 1020060072389 A KR1020060072389 A KR 1020060072389A KR 20060072389 A KR20060072389 A KR 20060072389A KR 20080011606 A KR20080011606 A KR 200800116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rsion beam
- vehicle
- actuator
- connector
- trailing ar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6—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62—Toe-in/ou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7/00—Means on vehicles for adjusting camber, castor, or to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토션 빔 현가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ypical torsion beam suspension device.
도 2는 도 1에 의한 현가장치의 작동도.2 is an operation of the suspension according to FIG.
도 3은 토션 빔의 형상에 따른 회전중심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enter of rota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orsion beam.
도 4는 토션 빔의 형상에 따른 회전중심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rota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orsion beam.
도 5는 하방 오픈형 빔의 토우 변화를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a change in the tow of the downward open beam;
도 6은 후방 오픈형 빔의 토우 변화를 나타낸 도면.6 is a view showing a tow change of the rear open beam;
도 7은 상방 오픈형 빔의 토우 변화를 나타낸 도면.7 is a view showing a tow change of an upward open beam;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현가장치의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spe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발명의 요부 확대도.9 is an enlarged view of main parts of the invention;
도 10은 토션 빔과 모터의 연결 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torsion beam and the motor.
도 11은 본 발명을 운용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1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opera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하여 토션 빔이 후방 오픈형으로 변화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orsion beam is changed to the rear open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토션 빔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 상황에 따라 토션 빔의 오픈 방향을 변화시켜 줌으로써, 토우 특성을 적절히 가변시켜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토션 빔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rsion beam suspension of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a torsion beam suspension of an automobile in which a tow characteristic is appropriately changed by varying an open direction of the torsion beam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Relates to a device.
자동차에 있어서의 현가장치는 차량의 주행중에 발생되는 노면의 불규칙한 입력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탑승자의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하고, 운전자의 운전행위 및 노면의 굴곡에 의해 발생된 차체의 흔들림을 적절히 제어하여 운전 편의성을 제공하여야 하며, 불규칙한 노면의 주행시 타이어 접지면에서의 수직하중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선회, 제동 구동시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하여야 한다는 기본 조건을 만족시켜야만 한다.Suspension system in the vehicle effectively blocks the irregular input of the road surface generated while driving the vehicle, providing a comfortable ride comfort of the occupant, and appropriately control the shaking of the car body caused by the driver's driving behavior and the curvature of the road, driving convenience When driving on irregular roads, the vertical load on the tire ground plane should b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level to satisfy the basic conditions of ensuring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during turning and braking.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여러종류의 현가장치가 개발되어 실차에 적용되고 있는데, 그 일예로서, 토션 빔 타입 현가장치를 들 수가 있으며, 이 현가장치는 구성이 매우 간단하고, 선회시에는 좌,우륜이 독립 현가장치의 기능을 하고 범프 및 리바운드시에는 일체형 처럼 작동하는 장점을 갖고 있다.In order to satisfy the above conditions, various kinds of suspension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actual vehicles. As an example, a torsion beam type suspension device can be cited.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wheel functions as an independent suspension and acts as an integral part when bumping and rebounding.
이러한 토션 빔 타입 현가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토션 빔(2)의 양측단에 트레일링 아암(4)(6)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트레일링 아암(4)(6)의 후단부 외측에 휠(8)(10)을 지지하는 휠 지지체(12)(14)이 일체로 형성된다.Looking at the general configuration of such a torsion beam type suspension, trailing arms (4) (6) are integral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torsion beam (2) arrang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s shown in Figs. Wheel supports 12 and 14 supporting the
그리고 상기 트레일링 아암(4)(6)의 전단부가 토션 빔(2)의 전측으로 돌출되어 그 선단 부분에 마운트부(16)(18)가 형성되어 이의 마운트 부(16)(18)에는 고무 부시를 개재시켜 차체에 마운트하게 되고, 트레일링 아암(4)(6)의 후측에는 코일 스프링(20)(22)과 쇽 업소오버(24)(26)로 이루어지는 완충수단이 배치된다.The front end of the trailing
이에 따라 노면의 조건 및 차량 운행 상태에 따라 트레일링 아암의 후측 부분이 휠과 함께 승강하게 되면 상기 마운트 부를 힌지로 하여 승강 운동이 이루어지 되며, 이때 상기 완충수단에 의하여 상하 진동 및 충격이 감쇠됨과 동시에 상기 고무부시의 적절한 탄성력에 의하여 유연하게 흡수되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rear portion of the trailing arm moves up and down with the wheel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road surface and the vehicle driving state, the lifting movement is performed by using the mount as a hinge, and the up and down vibration and shock are attenuated by the buffer means. At the same time it is absorbed flexibly by the appropriate elastic force of the rubber bush.
이러한 현가장치에 있어서, 선회시와 같은 롤링시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토션 빔(2)의 중간부분에 회전중심(SHEAR CENTER, SC)이 형성된다.In such a suspension device, the center of rotation (SHEAR CENTER, SC)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상기 회전중심(SC)의 위치는 토션 빔(2)의 형상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도 3은 토션 빔(2)을 반분하여 일측은 하방 오픈형을 도시하고, 타측은 후방 오픈형으로 도시하고 있다.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rotation (SC) will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torsion beam (2), Figure 3 is divided into the torsion beam (2), one side shows a downward open type, the other side is shown as a rear open type.
상기 하방 오픈형은 도3 및 도 4에서와 같이, 회전중심(SC1)이 토션 빔(2)의 상측에 형성되고, 후방 오픈형은 토션 빔(2)의 전측에 회전중심(SC2)이 형성된다.3 and 4, the center of rotation SC1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즉, 회전중심(SC1, 2)이 개구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측에 형성됨을 알 수 있는데, 이의 회전중심은 휠의 지오메트리 특성 특히, 토우 특성에 직접적인 연관되는데, 회전중심이 높은 하방 오픈형의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휠의 범프 또는 리바운드에 대하여 토우 변화가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center of rotation (SC1, 2)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ing direction, the center of rotation is directly related to the geometry characteristics of the wheel, in particular, toe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the lower open type with a high center of rotation As shown in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toe change is large for the bump or the rebound of the wheel.
그리고 후방 오픈형의 경우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하방 오픈형에 비하여 토우 변화는 작지만, 공차시 범프의 경에는 오히려 토우 아웃의 특성까지 나타나며, 상방 오픈형의 경우에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하방 오픈형이나 후방 오픈형과 는 정반대의 토우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In the case of the rear open type, the toe change is smaller than that of the lower open type as in FIG. 6, but the toe-out characteristic appears in the diameter of the bump during tolerance, and the upper open type is the lower open type or the rear as shown in FIG. 7. The open type is opposite to the toe characteristic.
이에 따라 상기 상방 오픈형 및 후방 오픈형의 경우에는 선회 및 직진시 범프나 리바운드에 대하여 토우 인 특성을 가지게 되는 바, 언더 스티어가 유도되어 차량이 안정감 있게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upper open type and the rear open type have toe-in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bumps or rebounds when turning and going straight,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ndersteer is guided and the vehicle can be stably progres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두 시스템은 휠의 거동에 따른 토우 인 특성값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모든 주행 조건을 만족하는 안정감 있는 차량의 자세 제어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However, the two systems as described above have a limited toe-in characteristic value according to the wheel's behavior, and therefore, there is a limit in attitude control of a stable vehicle that satisfies all driving conditions.
즉, 두 시스템이 조건이라면 하방 오픈형이 후방 오픈형 보다 큰 토우 변화를 갖게 되지만, 토우 인 값이 크면 조타력이 크게 되어 조향에 어려움을 주게 되고, 선회 초기에는 약간의 토우 아웃 후에 점점 토우 인을 크게 하는 것이 안정감 있는 주행에 도움을 주지만, 양자 모두 주행의 안정성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한계를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In other words, if the two systems are used, the lower open type has a larger toe change than the rear open type, but if the toe in value is large, the steering force becomes large, which makes steering difficult, and after a little toe-out, the toe-in becomes larger gradually at the beginning of turning. Although it helps to drive a sense of stability, it is true that both have some limits in the stability of the driving.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 상황에 따라 토션 빔의 오픈 방향을 변화시켜 줌으로써, 토우 특성을 적절히 가변시켜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토션 빔 현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ange the open direction of the torsion beam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by appropriately varying the tow characteristics to improve the driving stability To provide a torsion beam suspension of.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토션 빔의 양측단에 트레일링 아암이 연결되고, 상기 트레일링 아암의 후단부 외측으로 휠을 지지하 며, 상기 트레일링 아암의 전단부가 토션 빔의 전측으로 돌출되어 그 선단 부분이 차체에 마운트되는 토션 빔 현가장치에 있어서,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iling arm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torsion beam dispos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supports the wheel to the outside of the rear end of the trailing arm, the front end of the trailing arm torsion beam In the torsion beam suspension device which protrudes to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and its tip portion is mounted to the vehicle body,
상기 토션 빔을 하방 오픈형으로 하되, 그 양단이 트레일링 아암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고 이에 토션 빔 회전수단을 형성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The torsion beam is open downward, but its both ends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trailing arm, and the torsion beam rotating means is formed thereon.
또한, 상기 토션 빔 회전수단은 토션 빔 선단에 부착되어 트레일링 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와, 전자제어유닛에 제어에 의해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상기 커넥터를 회전시켜 줄 수 있는 액튜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torsion beam rotat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attached to the torsion beam tip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trailing arm, and an actuator capable of rotating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vehicle by controlling the electronic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made.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현가장치에 적용되는 토션 빔 어셈블리의 사시도로서, 상기 도 1과 동일 부품으로 구성되지만 본 발명과의 차별을 위하여 다른 부호를 부여함을 전제한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rsion beam assembly applied to the suspe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mposed of the same parts as in FIG.
상기 토션 빔(100)은 양측단에 트레일링 아암(102)(104)이 연결되고, 이 트레일링 아암(102)(104)의 후단부 외측에 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미 도시한 휠 캐리어가 장착되는 브라켓(106)(108)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그리고 상기 트레일링 아암(54)(56)의 전단부가 토션 빔(100)의 전측으로 일정길이 만큼 돌출되어 그 선단 부분에 마운트 부(110)(112)가 형성되며, 이의 마운트 부(110)(112)에는 미 도시한 고무부시를 개재시켜 차체에 마운트하게 된다.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trailing arms 54 and 56 protrude to the front side of the
또한, 상기 휠 캐리어 브라켓(106)(108)의 내측 부분에는 코일 스프링과 쇽 업소오버로 이루어지는 미 도시한 완충수단을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inner portion of the
이와같이 이루어지는 현가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도 9에서와 같이, 토션 빔(100)을 하방 오픈형으로 형성하되, 그 양단이 트레일링 아암(102)(104)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고, 이에 토션 빔 회전수단을 구성하였다.In the suspension device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상기 토션 빔 회전수단은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토션 빔(100) 선단에 부착되어 트레일링 아암(102)(10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120)와, 상기 커넥터(120)를 회전시켜 줄 수 있는 액튜에이터(122)로 이루어진다.9 and 10, the torsion beam rotating means is attached to the tip of the
상기에서 액튜에이터(122)는 모터를 지칭하는데, 모터 이외에도 전자제어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상기 커넥터를 회전시켜 줄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해도 좋다. In the above, the
그리고 상기 커넥터(120)와 액튜에이터(122)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120)의 외측 중심부에 내륜 기어부(124)를 형성하고, 상기 액튜에이터(122)의 회전체(126)는 내륜 기어부(124)에 대응하는 외륜 기어부(128)를 형성하여 상호 스플라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In order to prevent slippage between the
또한, 상기 액튜에이터(122)는 미도시하였으나, 적당한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며, 상기 액튜에이터(122)는 도 11에서와 같이 전자제어유닛(ECU)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의 전자제어유닛(ECU)에 의해 제어된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전자제어유닛(ECU)은 차속센서(130)와 롤 센서(132), 그리고 횡가속 센서(134)등의 검출수단으로부터 차량의 주행 상황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상기 액튜에이터(122)를 제어하게 된다.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controls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현가장치에 의하면 전자제어유닛(ECU)에서 각종 센서(130)(132)(134)로부터 차량의 현재 주행 상황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매핑된 정보와 비교한 후 토션 빔(100)을 어느 정도 회전시킬 것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액튜에이터(122)를 제어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susp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urrent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is precisely measured from
그러면 토션 빔(100)은 도 9에서와 같이 초기 하방 오픈형을 유지하고 있다가 상기 액튜에이터(122)의 작동에 따라 도 12와 같이 후방 오픈형이 되거나, 미도시한 상방 오픈형으로 변하게 된다. Then, the
즉,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적절한 토우 값을 찾아내고, 이의 토우 값을 실현하기 위하여 토션 빔(100)의 오픈 방향을 결정하여 액튜에이터(122)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예를 들면, 선회시 초기에 약간의 토우 아웃을 유도하기 위하여 액튜에이터(122)를 작동시켜 토션 빔(100)이 상방 오픈형이 되도록 한 후, 선회가 진행될수록 토우 인의 특성을 나들기 위하여 후방 또는 하방 오픈형으로 변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For example, the
그리고 토션 빔(100)의 오픈 형태에 따라 도 13과 같이 롤센터 높이도 달라지게 되는 바, 토션 빔(100)의 다양한 위치에 따라 적절한 롤 센터를 갖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height of the roll center is changed as shown in FIG. 13 according to the open shape of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서 오픈형 토션 빔을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토우 특성 및 롤 센터 높이를 가변시킴으로써, 주행 안정성 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invention that can improve the running stability by varying the tow characteristics and the roll center height of the open-type torsion beam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vehicle as a simple structure.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2389A KR100820697B1 (en) | 2006-07-31 | 2006-07-31 | Torsion beam suspension system of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2389A KR100820697B1 (en) | 2006-07-31 | 2006-07-31 | Torsion beam suspension system of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11606A true KR20080011606A (en) | 2008-02-05 |
KR100820697B1 KR100820697B1 (en) | 2008-04-10 |
Family
ID=39340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72389A KR100820697B1 (en) | 2006-07-31 | 2006-07-31 | Torsion beam suspension system of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20697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6414B1 (en) * | 2007-06-21 | 2008-06-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ctive roll control ctba suspension |
KR102223262B1 (en) * | 2019-09-30 | 2021-03-05 | (주)화신 | Variable coupled torsion beam axl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80548U (en) | 1978-11-28 | 1980-06-03 | ||
JPS58104439U (en) | 1982-01-08 | 1983-07-15 | 中央発條株式会社 | torsion bar |
KR100323421B1 (en) * | 1999-07-14 | 2002-02-06 | 이계안 | Torsion bar support assembly |
KR20040052434A (en) * | 2002-12-17 | 2004-06-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oupled torsion beam suspension of vehicle |
-
2006
- 2006-07-31 KR KR1020060072389A patent/KR100820697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6414B1 (en) * | 2007-06-21 | 2008-06-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ctive roll control ctba suspension |
KR102223262B1 (en) * | 2019-09-30 | 2021-03-05 | (주)화신 | Variable coupled torsion beam ax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20697B1 (en) | 2008-04-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627016B (en) | Automobil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arm independent suspension | |
KR100820697B1 (en) | Torsion beam suspension system of vehicle | |
JP2006306247A (en) | Vehicular suspension device | |
KR101339218B1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height of vehicle | |
KR100326663B1 (en) | Multi camber mode suspension | |
KR100507096B1 (en) |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s | |
KR100305851B1 (en) | Suspension of vehicle | |
KR100986080B1 (en) | Rear suspension system of vehicle | |
KR101448796B1 (en) |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s | |
KR100957161B1 (en) | Semi-trailing arm type suspension system of vehicle | |
KR20120008877A (en) | Strut type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 |
KR100412712B1 (en) | Rear multi-link suspension having a dual upper arm | |
KR20070102133A (en) | Short/long arm wishbone type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 |
KR100353941B1 (en) |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 |
KR20090055839A (en) | Rotating device of nuckle for automotive suspension | |
KR100228976B1 (en) |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 |
KR101302908B1 (en) | Rear suspension system | |
KR100962203B1 (en) | Strut type suspension system | |
KR100369149B1 (en) |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 |
KR100498696B1 (en) | Torsion beam type suspension | |
KR20030055449A (en) | multi-link type suspension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 |
KR0139750Y1 (en) | Rear suspension system of a vehicle | |
CN114633594A (en) |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and vehicle | |
KR100863641B1 (en) | Steering control unit of automotive suspension using leaf spring geometry | |
KR100507466B1 (en) | Rear suspension system of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