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1036A -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 및 영상 기록 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 및 영상 기록 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1036A
KR20080011036A KR1020070030888A KR20070030888A KR20080011036A KR 20080011036 A KR20080011036 A KR 20080011036A KR 1020070030888 A KR1020070030888 A KR 1020070030888A KR 20070030888 A KR20070030888 A KR 20070030888A KR 20080011036 A KR20080011036 A KR 20080011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image
video
data
dissimi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0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2939B1 (ko
Inventor
마사야 즈지우치
다카시 모리모토
요시후미 다카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80011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은,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유닛과, 상기 촬영 유닛으로 얻은 영상 데이터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처리 유닛과, 영상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영상 처리 결과에 기초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판독 전에 각각의 추출 대상 영상 데이터가, 촬영 유닛으로 얻은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비유사 영상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비유사 영상 추출 요소와, 상기 비유사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요소와, 상기 비유사 영상 데이터 중에서 추출된 대표 패턴 영상 데이터와 유사한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섬네일 영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섬네일 영상 작성 요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 및 영상 기록 재생 방법 {IMAGE RECORDING AND PLAYING SYSTEM AND IMAGE RECORDING AND PLAY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의 계산 처리 유닛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에서의 영상 삭제 후보 선정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에서의 인덱스 작성 처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에서의 검색 대상 영상과 비유사 영상 간의 비교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a는 검색 대상 영상과 비유사 영상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검색된 비유사 영상과 검색 대상 영상 간의 상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의 비유사 영상 검색 처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의 유사 영상 검색 처리 기능 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의 영상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표시된 영상 데이터의 대표 패턴 영상의 섬네일 영상을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8a는 대표 패턴 영상의 섬네일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에 도시한 대표 패턴 영상의 하나의 섬네일 영상에 포함된 개개의 영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종래의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의 전체 시스템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영상 처리 유닛의 기능 블록도.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그룹화 처리 루틴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
21 : 촬영 유닛
22 : 계산 처리 유닛
23 : 영상 디스플레이 유닛
24 : 영상 데이터 메모리
24a : 영상 테이블 데이터 메모리
26 : 제1 영상 데이터 작성 요소
27 : 제2 영상 데이터 작성 요소
25 : 영상 데이터 메모리 요소
28 : RAM(Random Access Memory)
30 : 계산 처리 기능
31 : 메모리 잔량 판정 기능
32 : 영상 삭제 후보 선정 기능
33 : 인덱스 작성/영상 분석 기능
34 : 비유사 영상 검색 기능
35 : 유사 영상 검색 기능
1. 본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이동 전화기 및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영상을 이용할 수 있는 장치의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메모리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기에 편리한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 및 영상 기록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2. 배경 기술
종래의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으로서 이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재생 및 소거가 용이하고, 많은 경우에 인물 등의 동일 피사체의 다수의 영상(영상 데이터)이 캡쳐된다. 그렇기 때문에, 메모리가 부족한 경우에, 사용자 자신은 다수의 영상들 중에서 삭제할 영상을 선택하여 영상 데이터를 삭제한다. 즉, 사용자가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는 경우에, 먼저 사용자는 영상 데이터마다 체크해야 한다.
전술한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은 일본 특허 공개 2000-13772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일본 특허 공개 2000-137722호 공보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자신에 의해 사진 촬영(촬상)하여 얻은 데이터를 자동으로 프린트 아웃하기 위한 실험 시스템(laboratory system)에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1)을 적용한 예를 개시하고 있다.
도 9는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1)의 전체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영상 처리 유닛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그룹화 처리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1)은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 유닛(2)과,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컨버터(3)과, 변환된 영상 데이터의 미리 정해진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 유닛(4)과, 영상 처리 후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유닛(5)과,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고 임의의 모드를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유닛(6)과, 원하는 영상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유닛(7)과, 프린트 요금을 계산하는 요금 계산 유닛(8)과, 미리 정해진 요금의 입력 여부를 판정하는 요금 입력 유닛(9)과, 각 블록(2 내지 9)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유닛(10)을 포함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영상 처리 유닛(4)은 특징 추출 요소(11)와, 유사도 판정 요소(12)와, 그룹화 요소(10)와, 촬영 상태 판정 요소(14)를 포함한다.
전술한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1)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룹화 처리 루틴에 따라 영상 처리가 수행된다. 즉, 처리가 개시되고,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 상에서 그룹화 모드의 선택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1).
그룹화 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판정되면, 그룹화 기준이 장면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2).
그룹화 기준이 장면이라고 판정되는 경우, 입력된 RGB 데이터를 HSB 데이터로 변환한다(단계 S3).
그리고, 각 영상의 H(색상), S(채도), B(명도)마다 히스토그램이 작성된다(단계 S4).
제1 페이지에서 영상 데이터의 히스토그램을 완료한 후에, 이 작성된 히스토그램의 데이터를 메모리 유닛에 저장한다. 제1 페이지에 후속하는 페이지에 대하여, 히스토그램 데이터가 순차로 작성되어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며, H, S, B의 패턴이 모든 페이지의 영상 데이터마다 작성되어 저장된다(단계 S5).
모든 페이지의 영상 데이터에 대한 H, S, B의 히스토그램 패턴이 메모리 유닛으로부터 판독된다(단계 S6).
계속해서, 페이지의 영상마다 패턴 매칭이 실행된다(단계 S7).
비교 대상 영상들의 히스토그램 패턴 간의 차분이 임계값보다 작은지의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8).
단계 S8에서 그 차분이 임계값보다 작다고 판정되면, 페이지의 영상들이 동일한 장면을 촬영하여 얻은 영상을 갖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9).
이상의 히스토그램 패턴 판독, 패턴 매칭 실행, 및 동일 장면 판정 처리는 전체 페이지의 영상 데이터마다 반복된 후에 종료된다(단계 S10).
모든 영상에 대한 동일 장면의 판정이 종료한 후에는, 동일 장면을 갖는 것으로 판정된 사진 영상이 메모리 유닛 상에서 그룹화된다(단계 S11).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1)에 따르면, 대량의 사진 데이터가 있더라도, 수동 작업 없이도 단계 S1 내지 S11의 처리는 사진 데이터를 유사 장면마다 자동으로 그리고 용이하게 그룹화할 수 있다.
종래의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1)에 따르면, 대량의 사진 데이터가 있더라도, 그 사진 데이터는 수동 작업 없이도 유사 장면마다 자동으로 그리고 용이하게 그룹화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영상을 선택할 때, 영상 데이터를 그룹마다 대략 검색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보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와, 삭제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를 비교적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1)에 따르면, 데이터를 그룹마다 대략 검색할 수 있더라도, 사용자는 검색 대상인 대량의 미처리 영상 데이터 모두를 그룹 단위에 기초하여 하나씩 눈으로 체크해야 하며, 영상 데이터량이 많은 경우에는, 그 체크 작업이 번거롭고 상당한 노동력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항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인 카메라로써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대량의 영상 데이터의 검색 작업의 자동화를 향상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 검색 작업이 더욱 용이 할 수 있는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 및 영상 기록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유닛과, 이 촬영 유닛으로 촬영하여 얻은 영상 데이터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 유닛과, 이 영상 처리 유닛으로 영상 처리하여 얻은 영상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유닛과, 영상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 데이터 메모리를 포함하는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영상 처리 유닛은, 추출 대상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각 추출 대상 영상 데이터가 상기 촬영 유닛으로 촬영하여 얻은 영상 데이터에 대해 비유사(dissimilar) 영상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비유사 영상 데이터로서 판정된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비유사 영상 추출 요소와, 비유사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 데이터 저장 요소와, 영상 데이터 저장 요소에 저장된 비유사 영상 데이터 중 하나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영상 데이터를 대표 패턴 영상 데이터로서 설정하며, 상기 대표 패턴 영상 데이터와 동일한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섬네일(thumbnail) 영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섬네일 영상 작성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비유사 영상 데이터를 검색하는 비유사 영상 데이터 검색 단계와, 상기 비유사 영상 데이터 검색 단계에서 얻은 영상 데이터로부터 대표 패턴영상 데이터를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대표 패턴 영상 데이터와 유사한 섬네일 영상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와, 검색된 섬네일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섬네일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표시된 섬네일 영상마다 유사 영상을 그룹화하는 단계와, 기준으로서 불선명도(unsharpness)에 기초하여, 그룹화된 복수의 영상을 상대적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기록 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기록된 영상 데이터의 비유사 영상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 단계와, 상기 검색 단계에서 얻은 영상 데이터 중에서 대표 패턴 영상 데이터를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대표 패턴 영상 데이터와 유사한 섬네일 영상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와, 검색된 섬네일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섬네일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표시된 섬네일 영상마다 유사 영상을 그룹화하는 단계와, 기준으로서 불선명도에 기초하여, 그룹화된 복수의 영상을 상대적으로 판정하여 판정 결과를 상기 복수의 영상별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기록 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에서는 영상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대량의 영상 데이터를 섬네일 영상으로서 영상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영상 데이터의 검색 작업과 불필요한 영상의 삭제 작업을 용이하고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는,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 및 영상 기록 재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2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20)에서의 계산 처리 유닛(22)의 기능(이하, "계산 처리 기능 "이라고 부름)(30)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20)에서의 영상 삭제 후보 선정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20)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예컨대 전하 결합 소자(Charge Coupled Device)(이하, CCD라고 함) 카메라 또는 이동 전화기 등의 카메라 기능을 갖는 장치에 설치되는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이다.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20)은,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유닛(21)과, 이 촬영 유닛(21)으로 촬영하여 얻은 영상 데이터 "a"의 계산 처리를 수행하는 계산 처리 유닛(22)과, 이 계산 처리 유닛(22)으로 계산 처리하여 얻은 영상 처리 데이터 "a"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유닛(23)과, 상기 계산 처리 유닛(22)으로 계산 처리하여 얻은 영상 처리 데이터 "a′"를 저장하는 영상 데이터 메모리(24)를 포함한다. 부수적으로 도면 부호 24a는 영상 테이블 데이터 메모리를 나타낸다.
촬영 유닛(21)은, CCD 등의 렌즈 및 촬영 요소(도시 생략)를 포함하고, 정지 화상 및 동영상을 취득하는 광학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계산 처리 유닛(22)은 촬영 유닛(21)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 "a"에 기초한 영상의 비유사 영상 데이터 "a1"을 저장하는 영상 데이터 저장 요소(25)와, 영상 데이터 저장 요소(25)에 저장된 비유사 영상 데이터 "a1"로부터 특정의 대표 패턴 영상 데이터 "ax"를 추출하고 추출한 영상 데이터 "ax"와 유사한 영상 데이터 "a11"을 작성하는 영상 데이터 제어 요소(이하, "제1 영상 데이터 작성 요소 "라고 함)(26)와, 대표 패턴 영상 데이터 "ax"와 유사한 복수의 영상 데이터 "a11"을 추출하여 섬네일 영상 데이터 "a4"를 작성하는 영상 데이터 처리 요소(이하, "제2 영상 데이터 작성 요소"라고 함)(27)와, 각종 영상 처리에 이용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이하, "RAM"이라고 함)(28)를 포함한다. 즉, RAM(28)은, 비유사 영상 데이터와 검색 대상 영상 데이터 사이에서, 예컨대 영상의 색상 공간의 H(색상), S(채도), 및 B(명도) 등의 컬러 히스토그램의 계산 값(차분 값) 등의, 각종 영상 처리를 이용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영상 디스플레이 유닛(23)은 계산 처리 유닛(22)으로부터의 각종 영상 데이터 출력, 즉 영상 처리 데이터 "a′", 비유사 영상 데이터 "a1"(a11), 섬네일 영상 데이터 "a4", 및 대표 패턴 영상 데이터 "ax"를 수신하여 화면 상에 표시한다.
또한, 영상 데이터 메모리(24)는 제1 영상 데이터 작성 요소(26)에 의해 인식되는 복수 부분의 대표 패턴 영상 데이터 "ax"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데이터 메모리(24)는 사용자가 임의대로 선정 가능한, 4 부분의 대표 패턴 영상 데이터 "ax"를 저장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저장 요소(25)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기능이 있으며, 비유사 영상 데이터 "a1" 등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영상 데이터 작성 요소(26)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모리 잔량 판정 기능(31) 및 영상 삭제 후보 선정 기능(32)을 포함한다.
메모리 잔량 판정 기능(31)은 계산 처리 유닛(22)의, 예컨대 영상 데이터 저 장 요소(25)에 설치되며, 판정 기준으로서, 하나의 영상을 촬영하는데 필요한 메모리 용량을 이용할 수 있다. 부수적으로, 메모리 잔량 판정 기능(31)은 RAM(28)에 설치될 수 있고, 영상 데이터 저장 요소(25) 및 RAM(28)과 공조하여 기능할 수도 있다.
또한, 영상 삭제 후보 선정 기능(32)은 인덱스 작성/영상 분석 기능(33), 비유사 영상 검색 기능(34), 및 유사 영상 검색 기능(35)을 갖는다. 예컨대, 인덱스 작성/영상 분석 기능(33) 및 비유사 영상 검색 기능(34)은 제1 영상 데이터 작성 요소(26)에 의해 실현되고, 유사 영상 검색 기능(35)은 제2 영상 데이터 작성 요소(27)에 의해 실현된다.
인덱스 작성/영상 분석 기능(33)은 영상 검색/영상의 선명도[셰이킹(shaking), 포커스 이탈(out-of-focusing) 및 콘트라스트 불량 등]의 판정을 실행할 때에, 필요한 인덱스 데이터를 작성하는 모듈이다. 즉,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덱스 데이터는 영상 판독 처리(단계 S21), 영상 사이즈 변경(resizing) 처리(단계 S22), 색상 공간 변환 처리(단계 S23), 히스토그램(예컨대, 영상의 색상 히스토그램) 변환 처리(단계 S24a), 엣지 검색 처리(단계 S24b), 및 파일 출력 처리(단계 S25)에 의해 작성된다.
구체적으로, 영상 판독 처리(단계 S21)에 의해 판독되는 영상 파일은, 예컨대 BMP 등의 비압축 영상 데이터, 또는 JPEG에 기초한 영상 등의 (불/가역) 압축 영상일 수 있다.
영상 사이즈 변경 처리(단계 S22)에 있어서, 영상 사이즈를 변경(스케일 재 조정)하기 위해 원래 영상으로부터 픽셀을 추출(thin-out)하여 영상을 축소함으로써 메모리 소비가 억제될 수 있고, 계산량을 줄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영상 사이즈를 변경하는 사이즈는 예컨대 32× 32 픽셀일 수 있다.
색상 공간 변환 처리(단계 S23)에 있어서, RGB(또는 YCbCr) 색상 공간에서의 영상 데이터는 HSB 공간(색상, 채도, 명도)의 색상으로 변환된다.
또한, 히스토그램 계산 처리(단계 S4a)에 있어서, 색상 공간 변환 처리를 받는 사이즈 변경된 영상을 종횡 방향으로 3 분할하여 얻은 영역의 모든 영상마다 H(색상), S(채도) 및 B(명도)에 대한 히스토그램이 획득된다.
또한, 엣지 검출 처리(단계 S4b)에는 2가지 방법이 있다. 2가지 방법 중 임의의 방법으로 계산된 값은 영상의 선명도로서 설정될 수 있다. 2가지 방법 중 하나에 따르면, 엣지는 웨이브렛(Wavelet) 변환에 의해 검출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단계 S24b), 색상 공간 처리 후에, 예컨대 종횡 방향으로 3 분할로 영역이 분할되고, 그 영역의 모드 영상마다 H(색상) 성분이 웨이브렛 변환된다. 그리고, 그렇게 얻은 웨이브렛 계수의 대각 성분의 합계가 계산된다.
계속해서, 다른 방법에 따르면, 엣지는 라플라스 필터(Laplacian filter) 등의 엣지 검출 필터를 이용해서 검출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서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영상 사이즈 변경 처리(단계 S24)의 다음 단계로부터 엣지 검색 처리(단계 S24b)에 진입한다. 즉, 영상 사이즈 변경 처리를 수행한 후에, 영역은 종횡 방향으로 3 분할되고, 예컨대 영역의 R, G, B 성분은 라플라스 필터링 처리(영상의 엣지 처리)를 받는다. 그리고, 라 플라스 필터링을 통과한 성분의 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그 영역은 엣지로서 판정되고 엣지로서 카운트업된다.
또한, 파일 출력 처리(단계 25)에 있어서, 얻은 히스토그램 계산 값과 엣지 검출 값이 파일로서 출력된다.
또한, 비유사 영상 검색 기능(34)은 도 5a와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유사 영상을 검색하는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비유사 영상을 검색하기 위해, 먼저 비유사 영상 검색 기능(34)은 사용자가 제공한 비유사 영상 데이터 "a1"(도 5a에 도시하는 비유사 영상 A)인 비유사 영상 데이터 A에 대해, 원하는 임계값 이하이고 최저의 유사도를 갖는 비유사 영상 데이터 "a2"(도 5a에 도시하는 검색 대상 영상 B)를 판정한다.
그리고, 비유사 영상 데이터 검색 기능(34)은 비유사 영상 데이터 "a1"로서 비유사 영상 데이터 A와 비유사 영상 데이터 "a3"으로서 대상 영상 데이터 C 간의 유사도와, 비유사 영상 데이터 "a2"로서 비영상 데이터 B와 비유사 영상 데이터 "a3"으로서 대상 영상 데이터 C 간의 유사도가 각각 원하는 임계값 이하이며 그 각각의 유사도의 합계가 최소화되는 경우, 비유사 영상 데이터 "a3"을 판정한다. 비유사 영상 검색 기능(34)은 비유사 영상 데이터 a1, a2, a3을 대표 패턴 영상 데이터 "as"로서 설정하는 기능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유사 영상 데이터 검색 기능(34)은 비유사 영상 데이터 검색 처리를 수행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특정된 검색 대상 영상들 "a" 중에서 어느 한 영상을 단계 S31에서 비유사 영상으로서 임의 로 등록한다. 계속해서, 비유사 영상 데이터 "a1"의 한 부분과 유사한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유사도 비교 및 계산 처리가 단계 S32에서 수행된다. 이 처리의 결과에 따라, 유사도가, 미리 기준으로서 결정된 임계값 안에 있는 값을 갖는다면, flag=1이 설정되고, 처리는 누적 유사도 계산 단계로 진행한다.
계속해서, 누적 유사도가 적정한가(예컨대, 최소값)의 여부가 단계 S33에서 체크된다. flag=1이 설정되고 누적된 유사도가 적정한 경우(단계 S33에서 YES인 경우), 검색 대상 영상은 단계 S34에서 비유사 영상으로서 임시 등록된다. 계속해서, 검색 대상 영상이 모두 검색되었는지의 여부가 단계 S35에서 체크된다. 부수적으로, 단계 S33에서 flag=0이면(단계 S33에서 NO인 경우), 처리는 단계 S35로 진행한다.
계속해서, 단계 S35의 수행을 완료한 후에는, 최적(최고)의 누적 유사도를 갖는 검색 대상 영상을 단계 S36에서 비유사 영상으로서 등록한다.
다음에, 단계 S36에서 등록된 비유사 영상의 수가 지정된(원하는) 값에 도달하는지의 여부가 단계 S37에서 체크된다.
단계 S36에서 등록된 비유사 영상의 수가 지정된(원하는) 값에 도달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면(단계 S37에서 NO인 경우), 처리는 단계 S32로 되돌아간다. 즉, 검색 대상 영상 데이터로부터 하나의 영상 데이터가 판독된다(단계 S38).
다음에, 단계 S37에서 등록된 비유사 데이터로부터 하나의 영상 데이터가 판독된다(단계 S39). 그리고, 계산된 유사도에 대한 데이터가 RAM(28)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체크가 이루어진다(단계 S40). 즉, RAM(28) 상에 이미 비유 사 영상 데이터와 검색 대상 영상 데이터 간의 히스토그램의 차분값(계산값)이 유지되어 있는 경우, 그 유사도가 임계값 내에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41). 유사도가 임계값 내에 있다고 판정되면, flag=1이 설정되고, 누적 유사도가 계산된다(단계 S42). 유사도가 임계값 밖에 있다고 판정되면, flag=0이 설정되고, 처리는 중지된다. 계속해서, 등록된 비유사 영상 데이터가 모두 검색되었는지의 여부가 체크된다(단계 S43).
RAM(28) 상에 차분 값이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검색 대상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비유사 영상 데이터와 검색 대상 영상 데이터 간의 히스토그램의 차분을 계산한다(단계 S44). 그리고 나서, 단계 S45에서 유사도를 RAM(28)에 저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유사 영상 검색 기능(34)은 단계 S31 내지 단계 S43, 또는 단계 S1 내지 단계 S45를 수행함으로써 비유사 영상 검색 기능을 실현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유사 영상 검색 기능(35)은, 촬영 유닛(21)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 "a"와 영상 데이터 저장 요소(25)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a" 중에서 하나의 비유사 영상 데이터 "a1"을 특정하고, 그 특정된 비유사 영상 데이터 "a1"을 대표 패턴 영상 데이터 "ax"로서 인식하며[특정된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 저장 요소(25)에 저장] 그 인식된 대표 패턴 영상 데이터 "ax"와 유사한 영상 데이터 "a"를 검색하는 기능을 갖는다.
유사 영상 검색 기능(35)은, 촬영 유닛(21)으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 "a"와 영상 데이터 저장 요소(25)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a" 중에서 하나의 비유사 영상 데이터 "a1"을 특정하고, 그 특정된 비유사 영상 데이터 "a1"을 대표 패턴 영상 데이터 "ax"로서 인식하며, 도 7에 도시하는 유사 영상 검색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그 인식된 대표 패턴 영상 데이터 "ax"와 유사한 영상 데이터 "a"를 검색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저 키(key) 영상으로서 임의의 한 영상을 단계 S51에서 판독한다. 단계 S51에서, 실제 판독된 데이터는 임의의 영상에 대응하는 인덱스 작성/영상 분석 기능(33)에 의해 얻은 인덱스 데이터이다. 단계 S52a의 유사도 비교 및 계산 처리에 있어서, 검색 대상 영상에 대응하는 인덱스 데이터가 단계 S52b에서 판독되고, 판독된 인덱스 데이터와 키 영상 간의 히스토그램의 차분이 계산된다.
단계 S52c에서는 이때 임계값 이상의 차분을 갖는 영상이 유사 영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한편, RAM(28)은 제1 영상 데이터 작성 요소(26)에 등록된 하나의 비유사 영상 데이터 "a1"과 유사한, 미리 정해진 개수의 영상 데이터 "a11"의 유사도 비교 및 계산 처리에서 유사도 레벨 기준이 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데이터에 대하여, 사용자는 임의대로 선정하며 유사도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 내지 도 3, 그리고 도 8a와 도 8b를 참조하여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2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a와 도 8b는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20)의 영상 디스플레이 유닛(23) 상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 "a"의 대표 패턴 영상의 섬네일 영상 "as"를 예시하는 도면들로서, 도 8a는 대표 패턴 영상의 섬네일 영상 "as"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에서의 하나의 대표 섬네일 영상 "as1"에 포함된 복수의 영상(예컨대, 6개의 영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영 유닛(21)은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 유닛(21)은 피사체 영상의 영상 데이터 "a"를 작성하여 그 작성된 데이터를 계산 처리 유닛(22)에 송신한다. 영상 데이터 "a"를 수신하는 계산 처리 유닛(22)에 있어서, 제1 영상 데이터 작성 요소(26)는 메모리 잔량을 판정하여 영상 삭제 후보를 선정한다. 제1 영상 데이터 작성 요소(26)에서 메모리 잔량이 필요량보다 작다고 판정하면, 제1 영상 데이터 작성 요소(26)는 영상 삭제 후보 선정 기능(32)을 작업한다. 영상 삭제 후보 선정 기능(32)으로 영상 삭제 후보를 선정할 때, 먼저 도 2에 도시하는 인덱스 작성/영상 분석 기능(33)은 인덱스 작성/영상 분석을 수행한다. 그리고 나서, 도 3에 도시하는 영상 삭제 후보 선정 처리가 수행된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인덱스 작성/영상 분석 처리에 후속하는 처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하는 인덱스 작성/영상 분석 기능(33)을 이용한 인덱스 작성/영상 분석에 의해, 미리 정해진 기준(임계값) 이하의 값을 갖는 영상 데이터 "a1"이 단계 S15에서 추출된다.
이어서, 단계 S16에서는, 추출된 영상 데이터 "a1"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원하는 부분의 대표 패턴 영상 데이터 "ax"를 선정하여, 이 대표 패턴 영상 데이터 "ax"와 유사한 영상 데이터 "a1"을 검색하여 추출한다.
추출된 영상 데이터 "a1"은 단계 S17에서 엣지 판정 처리를 받는다.
도 8a를 참조하면, 비유사 영상을 포함하는 섬네일 영상 "as"(영상 A 내지 F)는 단계 S18에서 영상 디스플레이 유닛(13)의 화면 상에 표시된다.
계속해서, 섬네일 영상 "as" 중에서 예컨대 A 영상 "as1"이 선택되고, 복수의 영상(예컨대, 6개의 영상 A1 내지 A6)이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된다. 복수의 A 영상 "as1"(영상 A1 내지 A6) 중에서, 영상 A1 내지 A3은 단계 S19에서,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는 삭제 후보 아이콘 I1 내지 I3을 표시한다.
삭제 후보 아이콘 I1 내지 I3은, 영상 품질 레벨이 상대적으로 낮은 A 영상 "as1"에 자동으로 부가된다. 따라서, 영상 A1 내지 A3 중 어느 것, 또는 이들 전부가 필요 없다면,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20)의 사용자는 삭제 후보 아이콘 I1 내지 I3을 클릭하여 불필요한 영상을 삭제할 수 있다.
기준 심볼 x/y는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섬네일 영상(복수의 영역으로 사이즈 변경되는 그림을 갖는 영상) "as"로서 기능하는 영상 A 내지 F에 부가되며, 파라미터 y(예컨대 6개 영상)에 대한 삭제 후보 대상인 불선명한 영상의 수 x(예컨대, 3개 영상)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20)은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유닛(21)과, 이 촬영 유닛(21)으로 촬영하여 얻은 영상 데이터 "a"의 계산 처리를 수행하는 계산 처리 유닛(22)과, 이 계산 처리 유닛(22)으로 계산 처리를 수행하여 얻은 영상 처리 데이터 "a′"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유닛(23)과, 상기 영상 처리 데이터 "a′"를 저장하는 영상 데이터 메모리(24)를 포함한다. 계산 처리 유닛(22)은 촬영 유닛(21)으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 "a"에 기초 한 영상의 인덱스 작성/영상 분석 결과로부터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의 값을 갖는 영상 데이터 "a" 중에서 미리 정해진 영상 데이터 "a1"을 기록하는 영상 데이터 저장 요소(27)와, 이 영상 데이터 저장 요소(27)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a1" 중 하나를 추출하여 추출된 데이터를 대표 패턴 영상 데이터 "ax"로서 설정하며, 이 대표 패턴 영상 데이터 "ax"와 유사한 복수의 영상 데이터 "a1"을 추출하여 섬네일 영상 데이터 "a4"를 작성하는 영상 데이터 작성 요소(26, 27)를 포함한다. 이에, 영상 데이터 메모리(24)에 저장된 다수의 영상 데이터 "a"가 섬네일 영상 "as"로서 설정되어 영상 디스플레이 유닛(23) 상에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영상 데이터 "a"의 검색 작업 및 불필요한 영상의 삭제 작업을 용이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20)에 따르면,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인 카메라(20)로 촬영하여 얻어 영상 데이터 메모리(24)에 저장된 다수의 영상 데이터 "a"의 검색 작업의 자동화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종래의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과 비교하여 영상 데이터 "a"의 검색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20)의 제2 영상 데이터 작성 요소(27)는 비유사 영상 데이터 "a1" 중에서 특정된 대표 패턴 영상 데이터 "ax"와 유사한 복수의 영상 데이터 "a11"를 추출하여 그룹화하며, 이 그룹화된 영상 데이터 "a11"에 대하여, 예컨대 엣지 판정 방법으로 선명한지의 여부를 상대적으로 판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 결과로 형성된 데이터는 영상 디스플레이 유닛(23)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 추출된 영상 데이터 "a11"의 영상의 선명도 향상으로 인해, 영상 기록 재 생 시스템인 카메라(20)의 사용자는 영상 데이터의 검색 작업을 한층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 유사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해 영상 디스플레이 유닛(23)이 대표 패턴 영상 데이터 "ax"와 유사한 영상 데이터를 판정하는 경우, 영상 디스플레이 유닛(23)은 (도시 생략된) 대표 패턴 영상 "as"와 유사한 영상을 보고 삭제하기 위한 삭제 후보 아이콘을 구비한다. 이에, 영상 디스플레이 유닛(23)의 동작은 한층 개선된다.
더욱,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20)의 영상 기록 재생 방법은, 기록된 영상 데이터의 비유사 영상 데이터 "a1"을 검색하는 단계와, 이 검색 단계에서 얻은 영상 데이터 "a1"로부터 대표 패턴 영상 데이터 "ax"를 선정하는 단계와, 이 대표 패턴 영상 데이터 "ax"와 유사한 섬네일 영상 데이터 "a4"를 검색하는 단계와, 이 검색된 섬네일 영상 데이터 "a4"에 기초한 섬네일 영상 "as"를 표시하는 단계와, 이 표시된 섬네일 영상 "as"와 유사 영상을 그룹화하는 단계와, 그룹화된 복수의 영상 "as1"의 불선명도를 상대적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영상 디스플레이 유닛(23)이 섬네일 영상 "as"로서, 영상 데이터 메모리(24)에 저장된 대량의 영상 데이터 "a"를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영상 데이터에 대해 용이하고 간편하게 검색할 수 있고 불필요한 영상을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20)의 영상 기록 재생 방법은 기록된 영상 데이터 "a"의 비유사 영상 데이터 "a1"을 검색하는 단계와, 이 검색 단계에서 얻은 영상 데이터 "a1"로부터 대표 패턴 영상 데이터 "as"를 선정하는 단계와, 이 대표 패턴 영상 데이터 "as"와 유사한 섬네일 영상 데이터 "a4"를 검색하는 단계와, 이 검색된 섬네일 영상 데이터 "a4"에 기초한 섬네일 영상 "as"를 표시하는 단계와, 이 표시된 섬네일 영상 "as"별로 유사한 영상을 그룹화하는 단계와, 이 그룹화된 복수의 영상 "as1"을 기준으로서 불선명도에 기초하여 상대적으로 판정하는 단계와, 이 판정 결과를 상기 복수의 영상 "as1"마다 영상으로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자동 추출된 영상 데이터 "a11"의 선면도의 향상에 의해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인 카메라(20)의 사용자는 영상 데이터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섬네일 영상 "as"가 불선명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어 사용자는 용이하게 영상 품질을 시각적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 영상 디스플레이 유닛(23)은, 영상 데이터 메모리(24)에 저장된 대량의 영상 데이터 "a"에 기초한 섬네일 영상 "as"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는 영상 데이터 "a"의 검색 작업 및 불필요한 영상의 삭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부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20)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으로서 예시한 카메라(20)는 반드시 촬영 유닛(21)을 구비할 필요는 없으며, 영상 처리 재생 전용 장치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20)에 있어서, 인덱스 작성/영상 분석 기능(33) 및 비유사 영상 검색 기능(34)은 제1 영상 데이터 작성 요소(26)에 의해 실현되고, 유사 영상 검색 기능(35)은 제2 영상 데이터 작성 요소(27)에 의해 실현된다. 그러나, 3가지 기능(33, 34, 35)은 2개의 영상 데이터 작성 유닛(26, 27)에 특정될 수 없다. 명백하게는 2개의 작성 요소(26, 27) 중 임의의 것 또는 하나의 유닛으로서 2개의 유닛(26, 27)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 작성 요소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에서는 영상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대량의 영상 데이터를 섬네일 영상으로서 영상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영상 데이터의 검색 작업과 불필요한 영상의 삭제 작업을 용이하고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는,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 및 영상 기록 재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으로서,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유닛과;
    상기 촬영 유닛으로 촬영하여 얻은 영상 데이터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 유닛과;
    상기 영상 처리 유닛으로 영상 처리하여 얻은 영상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영상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 데이터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처리 유닛은,
    추출 대상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각 추출 대상 영상 데이터가 상기 촬영 유닛으로 촬영하여 얻은 영상 데이터에 대해 비유사 영상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상기 비유사 영상 데이터로서 판정된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비유사 영상 추출 요소와;
    상기 비유사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 데이터 저장 요소와;
    상기 영상 데이터 저장 요소에 저장된 비유사 영상 데이터 중 하나를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 데이터를 대표 패턴 영상 데이터로서 설정하며, 상기 대표 패턴 영상 데이터와 유사한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섬네일 영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섬네일 영상 작성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인,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네일 영상 작성 유닛은, 상기 대표 패턴 영상 데이터와 유사한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 데이터를 그룹화하며, 그룹화된 영상 데이터의 각각의 영상 데이터가 선명한지의 여부를 상대적으로 판정하는 기능을 갖는 것인,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유닛은, 섬네일 영상의 개개 영상을 삭제하기 위해, 삭제 후보 아이콘을 상기 개개 영상에 첨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인,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
  4. 영상 기록 재생 방법으로서,
    저장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비유사 영상 데이터를 검색하는 비유사 영상 데이터 검색 단계와;
    상기 비유사 영상 데이터 검색 단계에 의해 얻어진 영상 데이터로부터 대표 패턴 영상 데이터를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대표 패턴 영상 데이터와 유사한 섬네일 영상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섬네일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섬네일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표시된 섬네일 영상마다 유사 영상을 그룹화하는 단계와;
    기준으로서 불선명도(unsharpness)에 기초하여, 그룹화된 복수의 영상을 상대적으로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기록 재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별로 판정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기록 재생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으로서 상기 불선명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그룹화된 영상에 삭제 후보 아이콘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기록 재생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 후보 아이콘 동작에 의해 상기 복수의 표시된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기록 재생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으로서 상기 불선명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그룹화된 영상을 상대적으로 판정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이하의 불선명도를 가진 영상에 삭제 후보 아이콘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기록 재생 방법.
KR1020070030888A 2006-07-28 2007-03-29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 및 영상 기록 재생 방법 KR1008629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05622A JP4327827B2 (ja) 2006-07-28 2006-07-28 映像記録再生システムおよび映像記録再生方法
JPJP-P-2006-00205622 2006-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036A true KR20080011036A (ko) 2008-01-31
KR100862939B1 KR100862939B1 (ko) 2008-10-14

Family

ID=38681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0888A KR100862939B1 (ko) 2006-07-28 2007-03-29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 및 영상 기록 재생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60249B2 (ko)
EP (1) EP1884950A3 (ko)
JP (1) JP4327827B2 (ko)
KR (1) KR1008629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7440A (ko) * 2012-09-18 2014-03-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영상의 피쳐 정보를 이용한 음악 재생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5831B2 (en) * 2008-12-22 2013-03-12 Ricoh Production Print Solutions LLC Color conversion with toner/ink limitations
JP2010177894A (ja) * 2009-01-28 2010-08-12 Sony Corp 撮像装置、画像管理装置及び画像管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JP2010226453A (ja) * 2009-03-24 2010-10-07 Toshiba Corp 静止画記憶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2011054075A (ja) * 2009-09-04 2011-03-17 Olympus Imaging Corp 画像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39028B1 (ko) 2012-02-24 2019-10-31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공유 장치 및 방법
US8995727B2 (en) * 2012-08-14 2015-03-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mage advocacy in portable computing devices
CN105808586B (zh) * 2014-12-29 2021-04-06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图片数据处理方法和装置
CN106294798B (zh) * 2016-08-15 2020-01-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缩略图的图像分享方法和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8925A (en) * 1995-11-14 2000-09-12 Hitachi Denshi Kabushiki Kaisha Method of and system for confirming program materials to be broadcasted and then broadcasting the program materials,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in a procedur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JP2000137722A (ja) 1998-10-30 2000-05-16 Minolta Co Ltd 画像処理装置
JP2003304492A (ja) * 2002-02-08 2003-10-24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US7043474B2 (en) * 2002-04-15 2006-05-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image similarity based on semantic meaning
JP2004280254A (ja) 2003-03-13 2004-10-07 Sanyo Electric Co Ltd コンテンツ分類方法および装置
US7152209B2 (en) * 2003-03-28 2006-12-19 Microsoft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adaptive video fast forward
CN1816879A (zh) * 2003-07-03 2006-08-0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视频处理装置、视频处理装置的ic电路、视频处理方法和视频处理程序
JP2005039579A (ja) 2003-07-16 2005-02-10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管理装置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2005223854A (ja) 2004-02-09 2005-08-18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表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デジタルカメラ
JP2005236646A (ja) 2004-02-19 2005-09-02 Fuji Xerox Co Ltd 画像表示装置および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594177B2 (en) * 2004-12-08 2009-09-22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browsing using a cluster index
JP2006059353A (ja) 2005-08-15 2006-03-02 Sanyo Electric Co Ltd 電子アルバム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7440A (ko) * 2012-09-18 2014-03-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영상의 피쳐 정보를 이용한 음악 재생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84950A2 (en) 2008-02-06
JP2008035149A (ja) 2008-02-14
KR100862939B1 (ko) 2008-10-14
JP4327827B2 (ja) 2009-09-09
EP1884950A3 (en) 2009-09-30
US7760249B2 (en) 2010-07-20
US20080024799A1 (en) 200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939B1 (ko) 영상 기록 재생 시스템 및 영상 기록 재생 방법
US8983229B2 (en) Method, medium, and system with a combinational photograph thumbnail
KR101346730B1 (ko) 화상 처리 시스템,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 및기록 매체
CN102855906B (zh) 图像处理设备和图像处理方法
US7835550B2 (en) Face image recording apparatus, image sensing apparatus and methods of controlling same
US20060078315A1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storing image display program
KR101475939B1 (ko) 이미지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과 이미지 처리 장치, 이미지파일
KR20070079330A (ko)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JP4474885B2 (ja) 画像分類装置及び画像分類プログラム
CN101287089B (zh) 摄像设备、图像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CN111353965B (zh) 图像修复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3649468B2 (ja) 撮影機能付き電子アルバムシステム
JP2007036737A (ja) 画像表示装置
JP4725854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US20050134708A1 (en) Control method of digital camera
JP2007265149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撮像装置
JP4371219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5366522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を有するデジタルカメラ
JP4591038B2 (ja) 電子カメラ、画像分類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06016461A1 (ja) 撮像装置
JP2005057623A (ja) 画像データ処理装置
JP4227638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0187119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用プログラム
JP2007288409A (ja) 画像データ分類機能を備えた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6662590A (zh) 一种图库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