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9917A -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 및 그의 다이렉트인쇄방법 - Google Patents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 및 그의 다이렉트인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9917A
KR20080009917A KR1020060069724A KR20060069724A KR20080009917A KR 20080009917 A KR20080009917 A KR 20080009917A KR 1020060069724 A KR1020060069724 A KR 1020060069724A KR 20060069724 A KR20060069724 A KR 20060069724A KR 20080009917 A KR20080009917 A KR 20080009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arget image
print target
printing
pr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9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9917A/ko
Priority to US11/703,715 priority patent/US20080024816A1/en
Priority to CNA200710089110XA priority patent/CN101115111A/zh
Publication of KR20080009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9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Direct printing, e.g. sending document file, using memory stick, printing from a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1Improving printing performance
    • G06F3/1212Improving printing performance achieving reduced delay between job submission and print sta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9Print job monitoring, e.g. job st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7Job repository, e.g. non-scheduled jobs, delay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7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rinting apparatus, e.g. a laser beam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35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 H04N1/32486Storage for making a plurality of copies or reprodu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15Control of image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ed apparatus, e.g. signall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0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communication or activity log or re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1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 H04N2201/322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of processing required or performed, e.g. forwarding, urgent or confidential hand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4Storage or retrieval of pre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 및 그의 다이렉트 인쇄방법이 개시된다. 통신부는 이미지 제공장치로부터 인쇄대상 이미지의 인쇄잡 요청신호를 수신하며, 저장부는 인쇄된 이력을 가지는 다수 이미지를 저장하며, 제어부는 인쇄잡이 요청된 인쇄대상 이미지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며, 여기서, 통신부는 저장부에 인쇄대상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미지 제공장치에게 인쇄대상 이미지를 전송하지 말 것을 알리기 위하여 인쇄잡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한다.
픽트브릿지, pictbridge, 인쇄

Description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 및 그의 다이렉트 인쇄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direct printing and method for direct print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가 적용된 다이렉트 이미지 인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쇄장치에 의한 다이렉트 인쇄방법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인쇄장치에 의한 다이렉트 인쇄방법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디지털 촬상장치 150 : 모바일폰
200 : 인쇄장치 210 : 동작패널부
220 : 통신 인터페이스부 222 : 제1통신포트
224 : 픽트브릿지 통신모듈 226 : 제2통신포트
228 : PC 통신부 229 : 카드 인터페이스부
250 : 엔진 제어부 260 : 인쇄 엔진부
270 : 저장부 280 : 메인 제어부
본 발명은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 및 그의 다이렉트 인쇄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픽트브릿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이미지 제공장치가 동일한 이미지를 여러번 전송하는 것을 방지하고 한 번 전송된 이미지를 복수매 또는 다수 인쇄할 수 있는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 및 그의 다이렉트 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픽트브릿지(Pictbridge) 기능은 개인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고 디지털 촬상장치에 저장된 이미지를 인쇄장치로 다이렉트로 전송하여 인쇄하는 기능을 말한다. 사용자는 픽트브릿지에 의해,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을 이용하여 인쇄장치와 디지털 촬상장치를 연결한 후, 디지털 촬상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다수의 이미지 중 인쇄를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함으로써 디지털 촬상장치로 촬영한 이미지를 쉽고 빠르게 인쇄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촬상장치로부터 동일 이미지에 대하여 복수의 인쇄매수가 요청되는 경우, 종래의 인쇄장치는 동일한 이미지임에도 불구하고 요청된 인쇄매수만큼의 이미지를 디지털 촬상장치로부터 전송받는다. 즉, 종래의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는 복수의 인쇄매수가 요청되는 경우, 요청된 인쇄매수만큼의 인쇄가 완료될때까지 이미지가 인쇄될 때마다 디지털 촬상장치로부터 동일한 이미지를 전송받아 인쇄잡을 수행한다.
이로써 종래의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는 요청된 인쇄매수만큼 동일한 이미지를 디지털 촬상장치로부터 전송받아 인쇄함으로써 인쇄를 시작하기까지의 시간이 지연되며, 이미지 전송과 관련된 프로토콜 타임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요청한 인쇄매수만큼의 인쇄가 완료될 때까지 종래의 인쇄장치와 디지털 촬상장치 간의 연결을 종료할 수 없음으로써 사용자는 디지털 촬상장치의 다른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대상 이미지가 기저장되어 있는 경우 이미지 제공장치로부터 인쇄대상 이미지를 여러번 재전송받지 않고 인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써 인쇄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이미지 제공장치와의 연결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빠르게 이미지 제공장치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 및 그의 다이렉트 인쇄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는, 이미지 제공장치로부터 인쇄대상 이미지의 인쇄잡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인쇄된 이력을 가지는 다수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인쇄잡이 요청 된 인쇄대상 이미지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인쇄대상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미지 제공장치에게 상기 인쇄대상 이미지를 전송하지 말 것을 알리기 위하여 상기 인쇄잡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 엔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에 상기 인쇄대상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인쇄대상 이미지를 인쇄하도록 상기 인쇄 엔진부를 제어한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인쇄대상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미지 제공장치에게 상기 인쇄대상 이미지의 전송을 요청하여 수신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이미지 제공장치로부터 상기 인쇄대상 이미지의 복수인쇄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인쇄대상 이미지를 초기 수신한 후 상기 인쇄대상 이미지의 재전송을 요청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 제공장치와 상기 통신부는 픽트브릿지(Pictbridge)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특히, 상기 이미지 제공장치와 상기 통신부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상기 이미지 제공장치와 상기 통신부가 상기 유선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제공장치와 상기 통신부는 IEEE1394 케이블, USB 케이블 및 Parallel 케이블 중 하나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이미지 제공장치와 상기 통신부가 상기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경 우, 상기 이미지 제공장치는 IrDA 방식에 의해 상기 인쇄대상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에게 전송한다.
상기 이미지 제공장치는 디지털 촬상장치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의 다이렉트 인쇄방법에 있어서, (a) 이미지 제공장치로부터 인쇄대상 이미지의 인쇄잡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인쇄잡이 요청된 인쇄대상 이미지가 기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인쇄대상 이미지가 기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미지 제공장치에게 상기 인쇄대상 이미지를 전송하지 말 것을 알리기 위하여 상기 인쇄잡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인쇄대상 이미지가 기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d) 상기 기저장된 인쇄대상 이미지를 인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인쇄대상 이미지가 기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e) 상기 이미지 제공장치에게 상기 인쇄대상 이미지의 전송을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f) 상기 수신된 인쇄대상 이미지를 인쇄하는 단계; 및 (g) 상기 수신된 인쇄대상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이미지 제공장치로부터 상기 인쇄대상 이미지의 복수인쇄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인쇄대상 이미지를 수신한 후 상기 이미지 제공장치에게 상기 인쇄대상 이미지의 재전송을 요청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 가 적용된 다이렉트 이미지 인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200)는 픽트브릿지(Pictbridge)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200)는 디지털 촬상장치(100) 또는 모바일폰(150)과 같은 이미지 제공장치로부터 다이렉트로 전송되는 이미지를 인쇄한다. 디지털 촬상장치(100)의 예로는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등을 들 수 있으며, 모바일폰(150)의 예로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인쇄장치(200)와 이미지 제공장치는 유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인쇄장치(200)와 디지털 촬상장치(100)는 픽트브릿지 프로토콜에 의해 이미지를 전송받아 인쇄하되, 이미지는 USB 케이블과 같은 유선 케이블(10)을 통해 전송된다. 또한, 인쇄장치(200)와 모바일폰(150)은 픽트브릿지 프로토콜 방식에 의해 이미지를 전송받아 인쇄하되, 모바일폰(150)은 적외선 통신 방식(IrDA 방식)을 이용하여 적외선 포트가 구비된 인쇄장치(200)에게 무선으로 이미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디지털 촬상장치(100)가 IrDA 방식을 지원하는 경우 디지털 촬상장치(100)도 무선으로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모바일폰(150)에 유선 케이블(10)이 장착되는 포트가 구비되는 경우 모바일폰(150)도 유선으로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디지털 촬상장치(100)와 모바일폰(150)은 픽트브릿지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로서, 이미지 제공장치는 픽트브릿지 통신을 지원하며 이미지, 문서 데이터 등의 전송이 가능한 모든 전자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200)는 동작패널부(210), 통신 인터페이스부(220), 이미지 처리부(230), 스캐닝부(240), 엔진 제어부(250), 인쇄 엔진부(260), 저장부(270) 및 메인 제어부(280)를 포함한다.
동작패널부(210)는 사용자와 인쇄장치(200) 간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사용자 조작부(212) 및 표시부(214)를 갖는다. 사용자 조작부(212)는 인쇄장치(200)에서 지원하는 각 기능을 선택, 조작 및 요청하기 위한 신호를 메인 제어부(280)로 출력하며, 각종 기능키,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다. 특히, 사용자 조작부(212)는 자동저장모드 및 선택저장모드 중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출력한다. 자동저장모드는 디지털 촬상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를 자동으로 저장하는 모드이며, 선택저장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모드이다.
또한, 사용자 조작부(212)는 인쇄대상 이미지의 인쇄옵션, 예를 들어,해상도, 가로×세로 규격 등을 설정한다. 설정되는 인쇄옵션은 메인 저장부(272)에 저장된다.
표시부(214)는 메인 제어부(280)의 제어를 받아 인쇄장치(200)의 현재상태, 현재 인쇄 중인 파일의 속성정보 등을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214)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CRT(Cathode Ray Tube), PDP(Plasma Display Panel) 등에 의해 구현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제1통신포트(222), 픽트브릿지 통신모듈(224), 제2통신포트(226), 퍼스널 컴퓨터(Persnal Computer : PC) 통신부(228), 및 카드 인터페이스부(229)를 포함한다.
제1통신포트(222)는 유선 케이블(10)이 연결되는 포트로서 디지털 촬상장치(100)와 같은 기기로부터 인쇄대상 이미지 또는 인쇄잡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인쇄대상 이미지 또는 인쇄잡 요청신호를 픽트브릿지 통신모듈(224)로 제공한다. 유선 케이블(10)의 예로는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1394 케이블 및 Parallel 케이블 등을 들 수 있으며, 케이블의 종류 별로 제1통신포트(222)는 적합한 형태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USB 케이블을 통해 제1통신포트(222)와 디지털 촬상장치(100)가 연결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픽트브릿지 통신모듈(224)은 픽트브릿지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전자통신기기, 예를 들어, 디지털 촬상장치(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픽트브릿지 통신모듈(224)은 제1통신포트(2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메모리(224a), 통신 제어부(224b) 및 프로토콜 생성부(224c)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통신포트(222)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메인 제어부(280) 또는 통신 제어부(224b)로 안내하는 인터페이스의 도시는 생략된다.
메모리(224a)는 픽트브릿지 프로토콜에 의한 통신을 제어 또는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통신 제어부(224b)는 디지털 촬상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프로토콜을 분석하여 현재 상태에 적합한 프로토콜을 생성하도록 프로토콜 생성부(224c)를 제어한다. 즉, 통신 제어부(224b)는 인쇄잡 요청신호가 디지털 촬상장치(100)로부터 수신되면 인쇄잡의 시작을 통지하거나 첫번째 장의 인쇄가 시작되었음을 통지하거나 또는 인쇄가 완료되었음을 통지하는 프로토콜을 생성하도록 프로토콜 생성부(224c)를 제어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224b)는 디지털 촬상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인쇄대상 이미지를 인쇄하도록 엔진 제어부(250)에게 제공한다.
특히, 통신 제어부(224b)는 디지털 촬상장치(100)로부터 동일한 인쇄대상 이미지에 대해 복수매의 인쇄가 요청되는 경우에도, 단 한 번만 인쇄대상 이미지의 전송을 요청한다. 이로써 복수매 인쇄할 때마다 인쇄대상 이미지가 전송되는 것을 방지하여 복수매 인쇄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프로토콜 생성부(224c)는 메모리(224a)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지털 촬상장치(100)와 통신하기 위한 각종 프로토콜을 생성한다. 생성된 각 프로토콜은 제1통신포트(222) 및 유선 케이블(10)을 통해 디지털 촬상장치(100)로 전송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디지털 촬상장치(100)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10)이 제1통신포트(222)에 연결된 후, 디지털 촬상장치(100)로부터 인쇄할 인쇄대상 이미지의 인쇄를 요청하는 인쇄잡 요청신호가 전송되면, 프로토콜 생성부(224c)는 인쇄잡의 시작을 통지하는 제1프로토콜 및 첫번째장의 인쇄 시작을 통지하는 제2프로토콜을 생성한다.
또한, 프로토콜 생성부(224c)는 인쇄대상 이미지가 인쇄장치(200)의 메인 저장부(272)에 기저장되어 있다는 판단결과를 메인 제어부(280)로부터 통지받으면, 인쇄가 요청된 인쇄대상 이미지의 인쇄잡이 시작되거나 인쇄대상 이미지가 1매 인쇄되는 도중 또는 인쇄대상 이미지가 1매 인쇄된 후 인쇄잡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하는 제3프로토콜을 생성한다. 즉, 인쇄장치(200)는 이미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과정없이 인쇄잡의 완료를 디지털 촬상장치(100)에게 통지한다.
또한, 프로토콜 생성부(224c)는 인쇄장치(200)에 인쇄대상 이미지가 기저장되어 있지 않다는 판단결과를 메인 제어부(280)로부터 통지받으면, 인쇄대상 이미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제4프로토콜을 생성한다.
제2통신포트(226)는 USB 케이블과 같은 유선 케이블을 통해 PC와 연결되며, PC에서 작성된 문서의 인쇄데이터를 전송받는다.
PC 통신부(228)는 제2통신포트(226)를 통해 전송된 인쇄데이터를 엔진 제어부(250)에게 제공한다. PC 통신부(228)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etwork Interface Card : NIC)를 사용할 수 있다.
카드 인터페이스부(229)는 미디어 카드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 HDD)가 장착되는 인터페이스로서, 메인 제어부(280)는 미디어 카드 또는 HDD에 저장된 파일 구조에 접근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미디어 카드 또는 HDD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미디어 카드의 예로는 스마트 미디어 카드, 메모리 스틱, 컴팩트 플래쉬 메모리 등이 있다.
이미지 처리부(230)는 카드 인터페이스부(229)에 장착된 미디어 카드 또는 HDD로부터 이미지를 읽어오는 경우, 이미지의 해상도, 파일 포맷 등을 인쇄장치(200)에 적합하도록 변환처리한다. 변환처리된 이미지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메인 저장부(272)에 저장되거나 PC로 전송되거나 또는 인쇄 엔진부(260)에 의해 인쇄된다.
스캐닝부(240)는 원고 독취대(미도시)에 놓여진 원고를 스캐닝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한다. 스캔 이미지는 필요에 따라 이미지 처리부(230)에서 해상도 등이 조절된 후 메인 저장부(272)에 저장되거나 인쇄 엔진부(260)에 의해 인쇄된다.
엔진 제어부(250)는 스캔 이미지, PC로부터 전송되는 인쇄데이터 또는 디지털 촬상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인쇄대상 이미지를 설정된 인쇄옵션에 따라 인쇄하도록 인쇄 엔진부(26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인쇄 엔진부(260)는 엔진 제어부(250)에 의해 구동되어 종이와 같은 인쇄 용지에 화상을 형성한다. 인쇄잡을 수행하기 위하여, 인쇄 엔진부(260)는 인쇄 용지를 적정 온도로 가열 및 가압함으로써 인쇄 용지에 화상을 정착시킨다.
저장부(270)는 메인 저장부(272), ROM(274) 및 RAM(276)을 포함한다.
메인 저장부(272)는 외부기기, 예를 들어, 디지털 촬상장치(100), 미디어 카드, HDD, 스캐닝부(24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메인 저장부(272)는 디지털 촬상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 이미지의 식별정보(ID) 및 디지털 촬상장치(100)의 식별정보(ID)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디지털 촬상장치(100)의 식별정보(ID)를 저장하는 이유는, 다수의 디지털 촬상장치(미도시)가 촬상한 이미지가 동일한 식별정보를 가지는 경우, 메인 저장부(272)에 저장되는 이미 지를 보다 쉽게 식별하기 위함이다.
ROM(274)은 인쇄장치(200)의 기능, 동작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각종 제어 프로그램, 특히, 픽트브릿지 통신모듈(224)과의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RAM(276)은 인쇄장치(200)의 동작 수행 중에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예를 들어, RAM(276)은 디지털 촬상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인쇄대상 이미지의 속성정보를 임시저장한다.
메인 제어부(280)는 인쇄장치(200)의 동작을 기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어하며, 상술한 각 블록의 신호 입출력을 제어한다.
특히, 메인 제어부(280)는 디지털 촬상장치(100)와 제1통신포트(222)가 유선 케이블(10)에 의해 연결된 후, 디지털 촬상장치(100)로부터 인쇄대상 이미지의 속성정보 및 인쇄잡 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전송된 인쇄대상 이미지의 속성정보를 임시저장하도록 RAM(276)을 제어한다. 여기서, 속성정보는 인쇄대상 이미지의 식별정보 및 디지털 촬상장치(1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280)는 RAM(276)에 임시저장된 속성정보와 동일한 속성정보가 메인 저장부(272)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픽트브릿지 통신모듈(224)의 통신 제어부(224b)에게 출력한다.
먼저, 동일한 속성정보가 메인 저장부(272)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메인 제어부(280)는 메인 저장부(272)로부터 동일한 속성정보를 가지는 이미지를 독출하여 엔진 제어부(250)에게 제공하며, 제공되는 이미지를 인쇄하도록 엔진 제어부(250)를 제어한다. 이로써, 엔진 제어부(250)는 제공되는 이미지를 설정된 인쇄옵션에 따라 인쇄하도록 인쇄 엔진부(260)를 제어한다. 그리고, 통신 제어부(224b)는 디지털 촬상장치(100)에게 인쇄대상 이미지의 전송을 요청하지 않는다. 즉, 통신 제어부(224b)는 인쇄잡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하는 제3프로토콜을 생성하도록 프로토콜 생성부(224c)를 제어하며, 이로써 인쇄대상 이미지를 전송하지 않아도 됨을 디지털 촬상장치(100)에게 알린다.
다음, 인쇄대상 이미지의 속성정보와 동일한 속성정보가 메인 저장부(272)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통신 제어부(224b)는 메인 저장부(272)에 인쇄대상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인쇄대상 이미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제4프로토콜을 생성하도록 프로토콜 생성부(224c)를 제어한다. 인쇄대상 이미지가 디지털 촬상장치(100)로부터 전송되면, 메인 제어부(280)는 인쇄대상 이미지를 인쇄하도록 엔진 제어부(250)를 제어한다.
한편, 메인 제어부(280)는 인쇄장치(200)에 설정된 모드에 따라 디지털 촬상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신규한 이미지, 즉, 메인 저장부(272)에 저장되어 DLKt지않은 이미지의 저장을 제어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메인 제어부(280)는 디지털 촬상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가 신규한 이미지인 경우, 인쇄장치(200)의 모드가 자동저장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신규한 이미지, 이미지의 식별정보 및 신규한 이미지를 전송한 디지털 촬상장치(100)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도록 메인 저장부(272)를 제어한다.
또한, 인쇄장치(200)의 모드가 선택저장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메인 제어 부(280)는 신규한 이미지의 저장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생성한 후, 표시부(214)를 제어하여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한다. 사용자 조작부(212)로부터 신규한 이미지의 저장이 요청되면, 메인 제어부(280)는 신규한 이미지, 이미지의 식별정보 및 신규한 이미지를 전송한 디지털 촬상장치(100)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도록 메인 저장부(272)를 제어하며, 저장이 요청되지 않으면 신규한 이미지를 RAM(276)에 임시저장한 후 인쇄완료되면, RAM(276)에 임시저장된 인쇄대상 이미지를 삭제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쇄장치에 의한 다이렉트 인쇄방법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유선 케이블(10)을 통해 제1통신포트(222)와 연결된 이미지 제공장치, 예를 들어, 디지털 촬상장치(100)로부터 인쇄대상 이미지의 속성정보 및 인쇄잡을 요청하는 인쇄잡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통신 제어부(224b)는 버스(미도시)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속성정보를 메인 제어부(280)에게 출력한다(S305).
메인 제어부(280)는 수신된 인쇄대상 이미지의 속성정보를 RAM(276)에 임시저장한 후, 임시저장된 속성정보가 메인 저장부(272)에 기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인쇄대상 이미지의 기저장여부를 판단한다(S310).
S310단계에서 인쇄대상 이미지의 속성정보가 메인 저장부(272)에 기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메인 제어부(280)는 인쇄대상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통신 제어부(224b)에게 출력한다. 이로써 통신 제어부(224b)는 인쇄잡의 시작을 통지하는 제1프로토콜을 생성하도록 프로토콜 생성 부(224c)를 제어하며, 제1통신포트(222)는 제1프로토콜을 디지털 촬상장치(100)에게 전송한다(S315).
그리고, 통신 제어부(224b)는 인쇄를 원하는 인쇄대상 이미지의 첫번째 장 인쇄가 시작되었음을 통지하는 제2프로토콜을 생성하도록 프로토콜 생성부(224c)를 제어하며, 제1통신포트(222)는 제2프로토콜을 디지털 촬상장치(100)에게 전송한다(S320).
메인 제어부(280)는 수신된 속성정보에 대응되는 인쇄대상 이미지를 메인 저장부(272)로부터 독출하여 엔진 제어부(250)에게 전달하며, 전달되는 인쇄대상 이미지를 인쇄하도록 엔진 제어부(250)를 제어한다(S325). 이로써, 엔진 제어부(250)는 독출된 인쇄대상 이미지를 기설정된 인쇄옵션에 맞춰 인쇄하도록 인쇄 엔진부(26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와 함께, 통신 제어부(224b)는 인쇄잡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하는 제3프로토콜을 생성하도록 프로토콜 생성부(224c)를 제어하며, 제1통신포트(222)는 제3프로토콜을 디지털 촬상장치(100)에게 전송한다(S330). 이로써, 디지털 촬상장치(100)는 인쇄대상 이미지를 인쇄장치(200)에게 전송하지 않는다. 여기서, S330단계는 S325단계 이전에 또는 S325단계가 동작 중인 경우에도 실행가능하다.
반면, S310단계에서 인쇄대상 이미지의 속성정보가 메인 저장부(272)에 기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메인 제어부(280)는 인쇄대상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통신 제어부(224b)에게 출력한다. 이로써 통신 제어부(224b)는 인쇄대상 이미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제4프로토콜을 생성 하도록 프로토콜 생성부(224c)를 제어하며, 제1통신포트(222)는 메인 제어부(280)의 제어하에 제4프로토콜을 디지털 촬상장치(100)에게 전송한다(S335).
디지털 촬상장치(100)로부터 인쇄대상 이미지가 전송되면 통신 제어부(224b)는 인쇄대상 이미지를 메인 제어부(280)에게 제공하며, 메인 제어부(280)는 전송된 인쇄대상 이미지를 저장하도록 메인 저장부(272)를 제어한다(S340). S340단계에서, 디지털 촬상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인쇄대상 이미지는 인쇄대상 이미지의 속성정보 및 디지털 촬상장치(100)의 속성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메인 저장부(272)는 인쇄대상 이미지 뿐만 아니라 각 속성정보를 매핑저장한다.
S340단계가 수행되면, 통신 제어부(224b)는 인쇄잡의 시작을 통지하는 제1프로토콜을 생성하도록 프로토콜 생성부(224c)를 제어하며, 제1통신포트(222)는 메인 제어부(280)의 제어하에 제1프로토콜을 디지털 촬상장치(100)에게 전송한다(S345).
그리고, 통신 제어부(224b)는 인쇄를 원하는 인쇄대상 이미지의 첫번째 장 인쇄가 시작되었음을 통지하는 제2프로토콜을 생성하도록 프로토콜 생성부(224c)를 제어하며, 제1통신포트(222)는 메인 제어부(280)의 제어하에 제2프로토콜을 디지털 촬상장치(100)에게 전송한다(S350).
메인 제어부(280)는 S340단계에서 저장된 인쇄대상 이미지를 인쇄하도록 엔진 제어부(250)를 제어한다(S355). 이로써, 엔진 제어부(250)는 독출된 인쇄대상 이미지를 기설정된 인쇄옵션에 맞춰 인쇄하도록 인쇄 엔진부(26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와 함께, 통신 제어부(224b)는 인쇄잡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하는 제3프로토 콜을 생성하도록 프로토콜 생성부(224c)를 제어하며, 제1통신포트(222)는 제3프로토콜을 디지털 촬상장치(100)에게 전송한다(S360). S305단계에서 인쇄대상 이미지의 복수매 인쇄가 요청된 경우에도, 통신 제어부(224b)는 인쇄대상 이미지를 한 번 수신한 후, S355단계를 수행한다. 이로써, 디지털 촬상장치(100)는 인쇄대상 이미지를 인쇄장치(200)에게 재전송하지 않는다. 여기서, S360단계는 S355단계 이전에 또는 S355단계가 동작 중인 경우에도 실행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하면, 인쇄장치(200)는 인쇄대상 이미지의 기저장여부를 먼저 확인하고, 기저장되어 있으면 디지털 촬상장치(100)에게 인쇄잡의 시작과 완료를 통지하면서 인쇄잡을 실행한다. 또한, 기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인쇄장치(200)는 인쇄대상 이미지를 디지털 촬상장치(100)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한 후, 디지털 촬상장치(100)에게 인쇄잡의 시작과 완료를 통지하면서 인쇄잡을 실행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인쇄장치에 의한 다이렉트 인쇄방법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유선 케이블(10)을 통해 제1통신포트(222)와 연결된 이미지 제공장치, 예를 들어, 디지털 촬상장치(100)로부터 인쇄대상 이미지의 속성정보 및 인쇄잡을 요청하는 인쇄잡 요청신호가 수신되면(S405), 통신 제어부(224b)는 인쇄잡의 시작을 통지하는 제1프로토콜을 생성하도록 프로토콜 생성부(224c)를 제어하며, 제1통신포트(222)는 제1프로토콜을 디지털 촬상장치(100)에게 전송한다(S410). 또한, S405단계에서 통신 제어부(224b)는 버스(미도시)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속성정보를 메인 제어부(280)에게 출력한다.
S410단계가 수행되면, 통신 제어부(224b)는 인쇄를 원하는 인쇄대상 이미지의 첫번째 장 인쇄가 시작되었음을 통지하는 제2프로토콜을 생성하도록 프로토콜 생성부(224c)를 제어하며, 제1통신포트(222)는 제2프로토콜을 디지털 촬상장치(100)에게 전송한다(S415).
메인 제어부(280)는 S405단계에서 수신된 인쇄대상 이미지의 속성정보를 RAM(276)에 임시저장한 후, 임시저장된 속성정보가 메인 저장부(272)에 기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인쇄대상 이미지의 기저장여부를 판단한다(S420).
S420단계에서 인쇄대상 이미지의 속성정보가 메인 저장부(272)에 기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메인 제어부(280)는 속성정보에 대응되는 인쇄대상 이미지를 메인 저장부(272)로부터 독출하여 엔진 제어부(250)에게 전달하며, 전달되는 인쇄대상 이미지를 인쇄하도록 엔진 제어부(250)를 제어한다(S425). 엔진 제어부(250)는 독출된 인쇄대상 이미지를 기설정된 인쇄옵션에 맞춰 인쇄하도록 인쇄 엔진부(26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와 함께, 통신 제어부(224b)는 인쇄잡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하는 제3프로토콜을 생성하도록 프로토콜 생성부(224c)를 제어하며, 제1통신포트(222)는 제3프로토콜을 디지털 촬상장치(100)에게 전송한다(S430). 이로써, 디지털 촬상장치(100)는 인쇄대상 이미지를 인쇄장치(200)에게 전송하지 않는다. 여기서, S430단계는 S425단계 이전에 또는 S425단계가 동작 중인 경우에도 실행가능하다.
반면, S420단계에서 인쇄대상 이미지의 속성정보가 메인 저장부(272)에 기저 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메인 제어부(280)는 인쇄대상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통신 제어부(224b)에게 출력한다. 이로써 통신 제어부(224b)는 인쇄대상 이미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제4프로토콜을 생성하도록 프로토콜 생성부(224c)를 제어하며, 제1통신포트(222)는 메인 제어부(280)의 제어하에 제4프로토콜을 디지털 촬상장치(100)에게 전송한다(S435).
디지털 촬상장치(100)로부터 인쇄대상 이미지가 전송되면 통신 제어부(224b)는 인쇄대상 이미지를 메인 제어부(280)에게 제공하며, 메인 제어부(280)는 수신된 인쇄대상 이미지를 인쇄하도록 엔진 제어부(250)를 제어한다(S440).
통신 제어부(224b)는 인쇄잡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하는 제3프로토콜을 생성하도록 프로토콜 생성부(224c)를 제어하며, 제1통신포트(222)는 제3프로토콜을 디지털 촬상장치(100)에게 전송한다(S445). S445단계에서 인쇄대상 이미지의 복수매 인쇄가 요청된 경우에도, 통신 제어부(224b)는 인쇄대상 이미지를 한 번 수신한 후, S440단계에서 동일한 인쇄대상 이미지를 복수매 인쇄한다. 이로써, 디지털 촬상장치(100)는 인쇄대상 이미지를 인쇄장치(200)에게 재전송하지 않는다. 여기서, S445단계는 S440단계 이전에 또는 S440단계가 동작 중인 경우에도 실행가능하다.
S445단계가 수행되면, 메인 제어부(280)는 수신된 인쇄대상 이미지를 저장하도록 메인 저장부(272)를 제어한다(S450). S450단계에서, 디지털 촬상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인쇄대상 이미지는 인쇄대상 이미지의 속성정보 및 디지털 촬상장치(100)의 속성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메인 저장부(272)는 인쇄대상 이미지 뿐만 아니라 각 속성정보를 매핑저장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의하면, 인쇄장치(200)는 인쇄잡의 시작을 디지털 촬상장치(100)에게 통지한 후, 인쇄대상 이미지의 기저장여부를 먼저 확인한다. 그리고, 인쇄대상 이미지가 기저장되어 있으면 디지털 촬상장치(100)에게 인쇄잡의 완료를 통지하면서 인쇄잡을 실행한다. 또한, 기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인쇄장치(200)는 인쇄대상 이미지를 디지털 촬상장치(100)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한 후, 디지털 촬상장치(100)에게 인쇄잡의 시작과 완료를 통지하면서 인쇄잡을 실행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및 제2실시예에 의하면, 인쇄장치(200)는 동일한 인쇄대상 이미지를 복수 인쇄하는 경우 또는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한 장씩 인쇄하는 경우 모두에 적용가능하다. 따라서, 인쇄대상 이미지가 인쇄된 이력이 있는 경우, 인쇄장치(200)는 디지털 촬상장치(100)로부터 인쇄대상 이미지를 재전송받지 않고 신속하게 인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는 유선 케이블(10)에 연결된 디지털 촬상장치(10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디지털 촬상장치(100)를 대신하여 모바일폰(150)과 같은 픽스브릿지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모든 기기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는 유선 케이블(10) 뿐만 아니라 적외선 통신 방식에 의해 무선으로 상술한 프로토콜 및 인쇄대상 이미지와 같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는 인쇄장치(200)의 모드가 자동저장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대한 실시예이다. 따라서, 인쇄장치(200)의 모드 가 선택저장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쇄대상 이미지를 저장하기 이전에 상술한 메시지가 표시부(214)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 및 그의 다이렉트 인쇄방법에 의하면, 이전에 인쇄된 이미지의 인쇄가 이미지 제공장치로부터 요청되면, 이미지 제공장치로부터 이미지를 전송받지 않고 기저장된 이미지를 인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하여, 이미지 전송과 관련된 프로토콜 전송시간, 이미지 처리시간 및 시스템 부하 등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제공장치가 요청한 인쇄매수만큼의 인쇄가 완료되기 이전에 이미지 제공장치와의 접속을 종료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이미지 제공장치는 인쇄가 완료될 때까지 인쇄장치와의 접속을 유지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인쇄잡이 수행중인 동안에도 자유자재로 이미지 제공장치의 다른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6)

  1. 이미지 제공장치로부터 인쇄대상 이미지의 인쇄잡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인쇄된 이력을 가지는 다수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인쇄잡이 요청된 인쇄대상 이미지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인쇄대상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미지 제공장치에게 상기 인쇄대상 이미지를 전송하지 말 것을 알리기 위하여 상기 인쇄잡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 엔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에 상기 인쇄대상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인쇄대상 이미지를 인쇄하도록 상기 인쇄 엔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인쇄대상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미지 제공장치에게 상기 인쇄대상 이미지의 전송을 요청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이미지 제공장치로부터 상기 인쇄대상 이미지의 복수인쇄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인쇄대상 이미지를 초기 수신한 후 상기 인쇄대상 이미지의 재전송을 요청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제공장치와 상기 통신부는 픽트브릿지(Pictbridge)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제공장치와 상기 통신부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제공장치와 상기 통신부가 상기 유선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제공장치와 상기 통신부는 IEEE1394 케이블, USB 케이블 및 Parallel 케 이블 중 하나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제공장치와 상기 통신부가 상기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제공장치는 IrDA 방식에 의해 상기 인쇄대상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제공장치는 디지털 촬상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
  10.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의 다이렉트 인쇄방법에 있어서,
    (a) 이미지 제공장치로부터 인쇄대상 이미지의 인쇄잡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인쇄잡이 요청된 인쇄대상 이미지가 기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인쇄대상 이미지가 기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미지 제공장치에게 상기 인쇄대상 이미지를 전송하지 말 것을 알리기 위하여 상기 인쇄잡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인쇄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인쇄대상 이미지가 기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d) 상기 기저장된 인쇄대상 이미지를 인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인쇄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인쇄대상 이미지가 기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e) 상기 이미지 제공장치에게 상기 인쇄대상 이미지의 전송을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f) 상기 수신된 인쇄대상 이미지를 인쇄하는 단계; 및
    (g) 상기 수신된 인쇄대상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인쇄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이미지 제공장치로부터 상기 인쇄대상 이미지의 복수인쇄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인쇄대상 이미지를 수신한 후 상기 이미지 제공장치에게 상기 인쇄대상 이미지의 재전송을 요청하지 않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인쇄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제공장치와 상기 인쇄장치는 픽트브릿지(Pictbridge)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인쇄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제공장치와 상기 인쇄장치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인쇄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제공장치는 디지털 촬상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인쇄방법.
KR1020060069724A 2006-07-25 2006-07-25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 및 그의 다이렉트인쇄방법 KR2008000991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724A KR20080009917A (ko) 2006-07-25 2006-07-25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 및 그의 다이렉트인쇄방법
US11/703,715 US20080024816A1 (en) 2006-07-25 2007-02-08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direct printing function and method of direct printing
CNA200710089110XA CN101115111A (zh) 2006-07-25 2007-03-19 具有直接打印功能的成像设备以及直接打印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724A KR20080009917A (ko) 2006-07-25 2006-07-25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 및 그의 다이렉트인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917A true KR20080009917A (ko) 2008-01-30

Family

ID=38985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724A KR20080009917A (ko) 2006-07-25 2006-07-25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 및 그의 다이렉트인쇄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024816A1 (ko)
KR (1) KR20080009917A (ko)
CN (1) CN10111511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30984B2 (ja) * 2009-10-21 2014-11-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入出力装置及び画像入出力方法
JP6108868B2 (ja) * 2013-02-22 2017-04-05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35821B2 (ja) * 2014-12-04 2018-12-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6628105B2 (ja) * 2017-03-22 2020-01-0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180123397A (ko) * 2017-05-08 2018-11-16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화상 형성 장치에서 부수 인쇄를 제어하는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CN111301021A (zh) * 2018-12-11 2020-06-19 顺启和(深圳)科技有限公司 一种喷印方法及实施该方法的喷印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24816A1 (en) 2008-01-31
CN101115111A (zh) 200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2138B2 (en) Printing control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and image forming method for performing printing in a direct wireless manner
US7609417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notifying method therefor, and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JP6577832B2 (ja)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US10326892B2 (en) Remote support system and recording medium
KR100648665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제어방법
CN1825885B (zh) 信息处理器
US200601463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rinting progress status
JP5732896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20080009917A (ko)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인쇄장치 및 그의 다이렉트인쇄방법
KR100782827B1 (ko) 화상 획득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 형성 방법 및 장치,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2002297506A (ja) データ送信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EP1645991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rect printing
US8891139B2 (en) Image reading system,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reading method
JP5500883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そのプログラム
US857642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to output an image selected from images contained in a file
KR20080054978A (ko)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다이렉트인쇄 방법
JP2005006012A (ja) 画像入力装置、画像出力装置、および画像出力システム
US1183182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responding to image transmission request issued before image accumulation, method of controlling same, image process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JP5315939B2 (ja)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58161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ユーザー認証方法、管理サーバー、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JP3735955B2 (ja) 画像読み取り装置および画像読み取り方法
JP202307427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80114012A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JP2004086564A (ja) 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10679138A (zh) 用于控制图像形成设备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图像形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