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9556A - 점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점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9556A
KR20080009556A KR1020060069306A KR20060069306A KR20080009556A KR 20080009556 A KR20080009556 A KR 20080009556A KR 1020060069306 A KR1020060069306 A KR 1020060069306A KR 20060069306 A KR20060069306 A KR 20060069306A KR 20080009556 A KR20080009556 A KR 20080009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sensitive adhesive
pigment
adhesive composition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문기
문승호
안덕기
Original Assignee
삼성코닝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코닝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코닝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9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9556A/ko
Publication of KR20080009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5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근적외선 차폐용 색소 화합물; 및 아크릴계, 실리콘계, 왁스계, 폴리아민아마이드의 카르복실릭산염계, 및 파라핀상 미네랄 오일계와 친유성분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색소를 안정화시켜 단일코팅(one coater) 방식을 사용하여도 색소의 분산성과 점착제 내에서의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PDP 필터에 적용되어 우수한 근적외선 차폐 기능을 나타낸다.
점착제 조성물, 색소, 아크릴계, 단일코팅, PDP 필터, 근적외선 차폐

Description

점착제 조성물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점착 필름의 고온의 조건에서 적용한 전후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점착 필름의 고온고습의 조건에서 적용한 전후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점착 필름의 고온의 조건에서 적용한 전후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점착 필름의 고온고습의 조건에서 적용한 전후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색소를 안정화시켜 단일코팅(one coater) 방식을 사용하여도 색소의 분산성과 점착제 내에서의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PDP 필터에 적용되어 우수한 근적외선 차폐 기능을 나타내는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PDP(Plasma display panel)에서 요구되는 800∼1,100 ㎚ 영역의 근적외선을 차단해주기 위해서는 프탈로시아닌이나 나프탈로시아닌, 니켈 디티올 등의 900 ㎚ 전후의 영역을 흡수하는 근적외선 흡수 색소와 1,000 ㎚ 영역을 넓게 흡수해주는 디이모늄 계열의 색소를 2 종 이상 혼합해 사용한다. 이 중 디이모늄 계열의 색소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높은 투과율을 갖으면서 근적외선 영역을 효과적으로 차단해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디이모늄 계열의 색소는 고온과 고습에 약해 오랜 시간 고온,고습 환경에 방치시 색상변화와 근적외선 차폐 기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낮은 유리전이온도(Tg)와 수산기(-OH), 카르복실기(-COOH) 등 색소에 영향을 미칠만한 반응기를 가지고 있는 점착제에 아직까지 적용되지 않고 있으며, 90 ℃ 이상의 비교적 높은 유리전이온도와 작용기가 적은 고내구성을 갖는 아크릴, 에스테르, 카보네이트 등의 고분자 수지에 섞어 코팅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색소를 안정화시켜 단일코팅(one coater) 방식을 사용하여도 색소의 분산성과 점착제 내에서의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PDP 필터에 적용되어 우수한 근적외선 차폐 기능을 나타내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근적외선 차폐 기능이 우수한 디스플레이용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근적외선 차폐용 색소 화합물; 및 아크릴계, 실리콘계, 왁스계, 폴리아민아마이드의 카르복실릭산염계, 및 파라핀상 미네랄 오일계와 친유성분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기능성 필름들; 및 상기 기능성 필름들의 적어도 일 층간에 형성되고, ⅰ) 근적외선 차폐용 색소 화합물 및 ⅱ) 아크릴계, 실리콘계, 왁스계, 폴리아민아마이드의 카르복실릭산염계, 및 파라핀상 미네랄 오일계와 친유성분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층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 필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색필름 제조시 점착 수지에 의한 색소의 파괴 없이 단일코팅(one coater) 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특정 화합물을 이용하여 색소를 캡슐화시킨 결과, 점착 수지의 이온성 관능기에 의한 색소 파괴 없이 색소를 보호, 근적외선 흡수 색소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등 색소가 안정화됨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근적외선 차폐용 색소 화합물; 및 아크릴계, 실리콘계, 왁스계, 폴리아민아마이드의 카르복실릭산염계, 및 파라핀상 미네랄 오일계와 친유성분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점착 수지 100 중량부; 근적외선 차폐용 색소 화합물 0.5 내지 4 중량부; 아크릴계, 실리콘계, 왁스계, 폴리아민아마이드의 카르복실릭산염계, 및 파라핀상 미네랄 오일계와 친유성분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화합물 0.01 내지 50 중량부; 경화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용매 200 내지 40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점착 수지는 상온에서 점착성을 발현하는 수지라면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으며, 특히 투명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에틸 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메탈 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또는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등의 모노머들의 공중합에 의하여 합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metaacrylate); 메타아크릴산 하이드록시메틸(hydroxymethyl metaacrylic acid); 또는 메타아크릴산 2-하이드록시 에틸(20hydroxy ethyl metaacrylic aci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가시광 영역에서 투과도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이와 공중합 가능한 지방족 에스테르계 수지, 방향족 올레핀계 수지, 폴리비닐계 수지, 지방족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아크릴계 수지 전체 함량에 최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근적외선 차폐용 색소 화합물은 근적외선을 흡수하 1기 위한 색소 화합물이면 그 종류가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색소 화합물로는 코발트계 색소 화합물, 철계 색소 화합물, 크롬계 색소 화합물, 티탄계 색소 화합물 등과 같은 무기계 안료 화합물이나 디이모늄계 색소 화합물, 안트라퀴논계 색소 화합물, 아미늄계 색소 화합물, 폴리메틴계 색소 화합물, 아조계 색소 화합물, 디티올계 금속 착물계 색소 화합물 등과 같은 유기계 안료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광학필름에는 투명성의 문제로 인해 유기계 염료 화합물이 주로 사용되며, 색감 등을 고려하여 폴리메틴계 및 디이모늄계 색소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근적외선 색소 화합물 이외에 오렌지광(570∼610 ㎚) 흡수 색소, 조색용 색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오렌지광 흡수 색소 및 조색용 색소는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색소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색소 화합물은 색소의 흡수계수, 필름의 두께, NIR 흡수정도, 가시광선 투과율 등에 그 사용함량이 각각 다르지만, 점성 수지(고형분 함량 대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4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색소함량이 적어 NIR 차폐 능력이나 오렌지광 흡수 능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4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가시광선 투과율에 영향을 미쳐 전체적인 투과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아크릴계, 실리콘계, 왁스계, 폴리아민아마이드의 카르복실릭산염계, 또는 파라핀상 미네랄 오일계와 친유성분의 혼합물 등의 화합물은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 내에서 상기 근적외선 차폐용 색소 화합물 성분의 표면을 둘러 쌓음으로서 점착 수지의 낮은 유리전이온도나 이온성 관능기(-OH, -COOH 등)에 의한 색소가 파괴되는 것을 막아 색소를 보호하고, 근적외선 흡수 색소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이로부터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이 근적외선 흡수 및 570∼610 ㎚ 영역의 흡수 기능을 갖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화합물은 아크릴계, 실리콘계, 왁스계, 폴리아민아마이드의 카르복실릭산염계, 또는 파라핀상 미네랄 오일계와 친유성분의 혼합물 등을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화합물은 아크릴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변성 아크릴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화합물 중 실리콘계 화합물은 아크릴 변성 실리콘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근적외선 흡수 색소의 보호 및 내구성 향상에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산가나 아민가 등 관능기가 높은 이온성 화합물을 사용할 경우 근적외선 차폐용 색소 화합물에 악영향을 미쳐 근적외선 흡수력이 저하되며, 산가나 아민가 등 관능기가 없는 비이온성 화합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색소를 분산시키는 기능이 이온성에 비해 떨어지지만 색소에는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그 종류를 적절히 선택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 중 색소에 대한 영향을 고려할 경우 비이온성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특히 디스플레이용으로 적용시 투명성을 고려하여 아크릴 변성계 비이온성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아크릴계, 실리콘계, 왁스계, 폴리아민아마이드의 카르복실릭산 염계, 또는 파라핀상 미네랄 오일계와 친유성분의 혼합물 등의 화합물은 점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색소를 충분히 감싸지 못해 색소보호효과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점착제의 점착력을 떨어뜰릴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경화제는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경화제 성분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경화제는 점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점착수지의 관능기와 충분한 가교효과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화제가 색소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성분 이외에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용매는 할로겐계, 알코올계, 케톤계, 에스테르계, 지방족 탄화수소계, 방햐족 탄화수소계, 에테르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점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0 내지 4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하며, 이 함량은 목적하는 점착제의 농도나 작업성 등을 고려하여 그 함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성분 이외에 조성물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레벨링제, 핀홀 방지제, 흐름방지제 등의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기능성 필름들; 및 상기 기능성 필름들의 적어도 일 층간에 형성되고, 점착층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 필터를 제공한다.
상기 점착층은 근적외선 차폐용 색소 화합물; 및 아크릴계, 실리콘계, 왁스계, 폴리아민아마이드의 카르복실릭산염계, 및 파라핀상 미네랄 오일계와 친유성분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며, 특히 상기 근적외선 차폐용 색소 화합물의 표면은 상기 화합물에 의하여 둘러 쌓여 있다.
즉,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복수의 기능성 필름들을 갖는 PDP 필터 등의 광학 필터의 층간에서 점착제로서 작용하여 인접하는 두 개의 층을 결합시킴과 동시에 점착제 조성물이 갖는 기능성으로 인하여 상기 광학 필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기능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응한 기능을 갖는 별도의 층 부재를 생략할 수 있어 광학 필터를 보다 단순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패널 어셈블리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전자파 차폐층, 외광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방지층, 전자파 차폐층의 상부 또는 하부, 반사방지층의 하부 등 광학 필터의 적어도 하나의 층간에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점착제는 광학 필터의 층간뿐만 아니라 단독으로 경화됨으로써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확산판 등의 광학 부재의 표면에 형성되어 단독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 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디이노늄 색소(FDRH, 일본칼릿사 제조) 0.1 g에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MEK)으로 색소를 5 % 용액이 되도록 녹인 후, 아크릴계 점착 수지(고형분 함량 30 %, 일본 Soken사 제조) 16 g에 혼합하고, 여기에 비이온성 폴리 아크릴레이트(독일 BYK-CHemie사 제조) 5 g을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점착제 조성물에 최대 흡수 파장이 870 ㎚인 프탈로시아닌 색소 0.02 g을 추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의 점착제 조성물에 570∼600 ㎚(max.λ=590 ㎚)에서 선택적 흡수 기능을 갖는 폴리메틴계 색소를 추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디이노늄 색소(FDRH, 일본칼릿사 제조) 0.1 g, 최대 흡수 파장이 870 ㎚인 프탈로시아닌 색소 0.02 g, 및 570∼600 ㎚(max.λ=590 ㎚)에서 선택적 흡수 기능을 갖는 폴리메틴계 색소 0.01 g을 아크릴계 점착 수지(고형분 함량 30 %, 일본 Soken사 제조) 20 g에 혼합하고, 여기에 이온성 저분자 불포화 폴리카르복실릭 산 폴리머 용액(독일 BYK-CHemie사 제조) 5 g을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점착제 조성물을 100 ㎛ 두께의 PET 필름에 bar를 이용하여 코팅한 후, 100 ℃의 건조 오븐에서 5 분간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점착 코팅면에 이형필름을 붙여 근적외선 차폐 기능의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점착제 조성물을 반사방지 필름의 반사방지 반대면에 코팅한 후, 투명기판의 일면에 상기 방사방지 필름을 붙이고, 투명 기판의 다른 일면에는 전자파 차폐용 금속 메쉬 필름(mesh film)을 붙여 PDP용 광학 필터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4와 동일 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6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점착 필름을 60 ℃의 온도에서 3 일간 숙성시시키고, 고온(80 ℃), 고온고습(60 ℃, 상대습도 90 %) 조건의 항온항습기에 방치 전후의 투과율 및 색좌표를 통해 내구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 내지 4에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실시예 6의 점착 필름의 경우 비이온성 폴리 아크릴레이트를 적용하여 색소의 표면을 감싸주어 캡슐화함으로써 색소의 분산효과를 증가시키고, 고온(80 ℃), 고온고습(60 ℃, 상대습도 90 %)의 조건에서 800∼1,100 ㎚의 근적외선 흡수 영역의 기능저하가 전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이온성 폴리 아크릴레이트를 대신하여 이온성 저분자 불포화 폴리카르복실릭 산 폴리머 용액을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NIR 흡수 기능이 현저히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4 내지 6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점착 필름을 고온(80 ℃), 고온고습(60 ℃, 상대습도 60 %)의 조건에서 500 시간 경과 전후의 가시광선과 근적외선(850 ㎚, 950 ㎚) 영역의 투과율 변화값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가시광선 투과율 (△T) 850 ㎚에서의 투과율 (△T) 950 ㎚에서의 투과율 (△T)
실시예 4 고온 0.7 % 2.0 % 2.2 %
고온다습 0.8 % 2.9 % 2.5 %
실시예 5 고온 0.9 % 2.4 % 2.5 %
고온다습 1.2 % 3.4 % 3.0 %
실시예 6 고온 1.1 % 2.7 % 2.9 %
고온다습 1.4 % 3.8 % 3.6 %
비교예 2 고온 4.5 % 31.9 % 32.3 %
고온다습 5.9 % 50.8 % 59.4 %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실시예 4 내지 6의 점착 필름의 경우에는 투과율 변화량이 고온 및 고온고습의 조건에서 5 % 이내로 안정적인 내구성을 나타낸 반면, 비교예 2의 경우에는 근적외선 영역인 850 ㎚, 950 ㎚에서 고온 및 고온고습의 조건 모두 투과율이 30 % 이상 증가하였으며, 특히 고온고습의 조건에서는 50 % 이상 큰 폭으로 투과율이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같은 결과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특정의 아크릴계, 실리콘계, 왁스계, 폴리아민아마이드의 카르복실릭산염계, 및 파라핀상 미네랄 오일계와 친유성분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화합물이 근적외선 흡수 효과를 가지는 색소 표면을 감싸 캡슐화함으로써 색소의 파괴 없이 그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특정한 화합물을 사용하여 색소를 안정화시켜 단일코팅(one coater) 방식을 사용하여도 색소의 분산성과 점착제 내에서의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PDP 필터에 사용하여 우수한 근적외선 차폐 기능을 나타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 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0)

  1. 근적외선 차폐용 색소 화합물; 및
    아크릴계, 실리콘계, 왁스계, 폴리아민아마이드의 카르복실릭산염계, 및 파라핀상 미네랄 오일계와 친유성분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점착 수지 100 중량부;
    근적외선 차폐용 색소 화합물 0.5 내지 4 중량부;
    아크릴계, 실리콘계, 왁스계, 폴리아민아마이드의 카르복실릭산염계, 및 파라핀상 미네랄 오일계와 친유성분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화합물 0.01 내지 50 중량부;
    경화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용매 200 내지 4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수지가 아크릴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수지가 지방족 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방향족 올레핀계 수지, 폴리비닐계 수지, 지방족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수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차폐용 색소 화합물이 코발트계 색소 화합물, 철계 색소 화합물, 크롬계 색소 화합물, 티탄계 색소 화합물, 디이모늄계 색소 화합물, 안트라퀴논계 색소 화합물, 아미늄계 색소 화합물, 폴리메틴계 색소 화합물, 아조계 색소 화합물, 및 디티올계 금속 착물계 색소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화합물이 아크릴 변성 실리콘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오렌지광(570∼610 ㎚) 흡수 색소, 조색용 색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레벨링제, 핀홀 방지제, 및 흐름방지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9. 복수의 기능성 필름들; 및
    상기 기능성 필름들의 적어도 일 층간에 형성되고, ⅰ) 근적외선 차폐용 색소 화합물; 및 ⅱ) 아크릴계, 실리콘계, 왁스계, 폴리아민아마이드의 카르복실릭산염계, 및 파라핀상 미네랄 오일계와 친유성분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층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 필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차폐용 색소 화합물의 표면이 상기 ⅱ)의 화합물에 의하여 둘러 쌓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 필터.
KR1020060069306A 2006-07-24 2006-07-24 점착제 조성물 KR200800095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306A KR20080009556A (ko) 2006-07-24 2006-07-24 점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306A KR20080009556A (ko) 2006-07-24 2006-07-24 점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556A true KR20080009556A (ko) 2008-01-29

Family

ID=39221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306A KR20080009556A (ko) 2006-07-24 2006-07-24 점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95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650B1 (ko) * 2009-02-12 2011-02-22 박용식 재사용 가능한 점착식 브라 날개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재사용 가능한 점착식 브라 날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650B1 (ko) * 2009-02-12 2011-02-22 박용식 재사용 가능한 점착식 브라 날개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재사용 가능한 점착식 브라 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911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
KR100758862B1 (ko) 광학 필름용 조성물, 및 광학 필름
KR101253373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광학 필터
TWI387790B (zh) 紅外線吸收薄膜
JP3880965B2 (ja) 眩しさ防止コーティング組成物
KR101143761B1 (ko) 근적외선 투과율 제어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필터
JPWO2005088587A1 (ja) 透明積層体
KR20160095996A (ko) 블루라이트 흡수제를 포함하는 편광판
JP2008209574A (ja) 近赤外線遮蔽用の両面粘着フィルム及びpdp用光学フィルター
JP2009227851A (ja) 光学フィルタ用粘着剤組成物及び光学フィルタ
TWI386471B (zh) 黏著劑組成物
JP2007017742A (ja) 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及びディスプレイ
JP2007078786A (ja) 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ム
KR20080009556A (ko) 점착제 조성물
JP5185508B2 (ja) 近赤外線吸収用の両面粘着フィルム及びpdp用光学フィルター
JP2015001649A (ja) 光学フィルタ
KR100715096B1 (ko) 장시간 색안정성이 우수한 착색 점착제 조성물, 그리고이를 이용한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JP2008083378A (ja) 近赤外線遮蔽用フィルム及びpdp用光学フィルター
KR20080107302A (ko) 반사 방지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전면판
JP2008107825A (ja) 光学フィルタ、複合フィルタ、及び画像表示装置
KR20180111345A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3129701A (ja) 粘着剤組成物、粘着フィルムおよび光学フィルタ
JP2008120924A (ja) 近赤外線吸収粘着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前面フィルター
JP4916930B2 (ja) 近赤外線遮蔽粘着フィルム及びpdp用光学フィルター
KR20170034044A (ko) 비산 방지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