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8123A - 창틀 결합형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창틀 결합형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8123A
KR20080008123A KR1020060067591A KR20060067591A KR20080008123A KR 20080008123 A KR20080008123 A KR 20080008123A KR 1020060067591 A KR1020060067591 A KR 1020060067591A KR 20060067591 A KR20060067591 A KR 20060067591A KR 20080008123 A KR20080008123 A KR 20080008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plate
window frame
support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일
Original Assignee
뉴에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에어텍(주) filed Critical 뉴에어텍(주)
Priority to KR1020060067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8123A/ko
Publication of KR20080008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1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1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by special construction of the fram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0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composed of diaphragms or seg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insertion in flat panels, e.g. in door or window-p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창틀 결합형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에 설치된 창문 섀시를 교체하거나 손상시키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창틀 결합형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면이 창틀의 내측 하부에고정되고, 양 단이 창틀의 양 내측면에 결합되며, 전,후로 환기공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상,하로 이격되어 지지패널이 형성되며, 상면에 유리창이 삽입되는 유리창삽입홈이 형성된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패널의 이격 거리와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며, 프레임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후로 회전되면서 상기 환기구를 개폐시키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부를 회전 작동시키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외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스위치: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서 상기 개폐부가 일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기존의 건물에 창문을 열지 않고서도 환기를 할 수 있는 환기장치의 설치를 더욱 빠른 시간내에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창문, 샤시, 환기장치

Description

창틀 결합형 환기장치{a ventilating apparatus of a window fr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4a는 환기장치의 개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4b는 환기장치의 폐쇄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지지부의 상세 구성을 보인 요부의 사시도.
도 6은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사용상태를 보인 환기장치의 종단면도.
도 8은 종래 환기장치의 일 예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부
11 : 환기공 12 : 지지패널
121 : 개스킷 13 : 유리창삽입홈
20 : 개폐판
21 : 블레이드 22 : 관통공
30 : 스위치
40 : 지지부
41 : 지지핀 411 : 고정부
412 : 걸림편 42a, 42b : 지지링
421a, 421b : 고정축
100 : 창틀 101 : 유리창
본 발명의 창틀 결합형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에 설치된 창문 섀시를 교체하거나 손상시키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창틀 결합형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에 설치되는 환기장치는 위험으로 인해 창문의 개방이 어려운 고층건물 등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창문을 열지 않고서도 실내 공기의 환기가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서, 도 8에서 보인 것과 같이 유리창(101)이 삽입된 창틀(100)이 결합되는 창틀샤시(20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삽입되어 실내,외의 공기가 환기장치(300)를 통해 서로 소통되면서 실내 공기의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환기장치는 창틀샤시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기존의 건물에 환기장치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창틀샤시 전체를 교체하여야 함 에 따라, 설치공사가 매우 힘들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기존에 설치된 창틀 및 창틀샤시는 폐기처분 하여야 함에 따라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실내에 새로이 창틀 및 창틀샤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설치공사를 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으로 인해 아파트 등의 경우 동일 건물의 입주자들에게 불쾌감을 주는 경우도 있었고, 공사 시의 진동으로 인해 건물에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기존에 설치된 창문 섀시를 교체하거나 손상시키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창틀 결합형 환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기장치를 폐쇄할 때 공기의 누출이 최소화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기장치의 개폐판이 최적의 위치로 정확하게 개폐되면서 폐쇄시에 공기의 유입 및 누출이 최소화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판과 지지패널의 접촉 거리가 더욱 증대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판의 처침이 방지되면서도 개폐판이 원활히 개폐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판의 처짐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개폐 판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면이 창틀의 내측 하부에고정되고, 양 단이 창틀의 양 내측면에 결합되며, 전,후로 환기공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상,하로 이격되어 지지패널이 형성되며, 상면에 유리창이 삽입되는 유리창삽입홈이 형성된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패널의 이격 거리와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며, 프레임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후로 회전되면서 상기 환기구를 개폐시키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부를 회전 작동시키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외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스위치: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서 상기 개폐부가 일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판의 양 단에 서로 대향되게 부착되는 연질의 블레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패널의 내측면에 상기 개폐판의 폐쇄상태에서 기밀블레이드와 맞닿는 연질의 개스킷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패널의 내측면이 상기 개폐판의 회전반경과 대응되는 원호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개폐판의 수직방향 양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되고, 상기 지지패널의 이격거리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판의 개방상태에서 양 단이 상기 지지패널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패널의 이격 거리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지지링과, 상기 지지링이 상기 개폐판에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배면도로서,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건물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창틀샤시 및 창틀(100)을 교체하거나 손상시키지 않고서도 기존의 창틀(100)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실내의 환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창틀(100)의 내측 하부에 고정되는 프레임부(10)와, 프레임부(10)의 내측에 결합되어 실내,외의 공기를 순환 및 차단시키는 개폐판(20)과, 상기 개폐판(20)을 개폐 작동 시키는 스위치(30) 및 개폐판(20)의 변형을 방지하는 지지부(40)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부(10)는 환기장치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내측에 후술되는 개폐판(20)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면이 창틀(100)의 내측 하면에 고정되고, 상면으로는 유리창(101)의 하단이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며, 양 단부가 창틀(100)의 양내측 모서리에 지지되며, 전면 및 후면에는 관통되어 형성된 다수의 환기공(11)이 형성되어, 환기공(11)을 통해 실내,외의 공기가 서로 교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폐판(20)은 프레임부(10)의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어 전,후로 회전하면서 상기 환기공(11)을 개폐하는 것으로서, 프레임부(10)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양 단이 상기 프레임부(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스위치(30)는 상기 프레임부(10)의 일측에 돌출 구비되고 내측으로 상기 개폐판(20)과 고정되면서 스위치(30)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킴에 따라 상술한 개폐판(20)이 프레임부(10)의 내측에서 회전하면서 환기공(11)을 개폐시키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4a는 환기장치의 개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4b는 환기장치의 폐쇄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상술한 프레임부(10)는 내측 공간에 프레임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격된 지지패널(12)을 형성하고, 상술한 개폐판(20)의 폭이 상기 지지패널(12)의 이격 거리와 대응되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스위치(30)를 움직여 개폐판(20)이 창틀(100)의 수평 방향으로 놓이도록 하면, 개폐판(20)의 상,하로 공간이 형성되어 프레임부(10)의 전,후에 형성된 환기공(11)을 따라 공기가 순환되어 환기 작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환기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스위치(30)를 움직여 개폐판(20)의 양 측 모서리가 지지패널(12)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하면 개폐판(20)이 프레임부(10)의 전,후에 형성된 환기공(11)을 가로막아 공기의 순환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패널(12)의 내측면은 개폐판(20)의 회전반경을 따라 원호형 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개폐판(20)과 지지패널(12)의 밀착 거리가 더욱 증대되어 견고한 기밀 성능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10)의 상면에는 유리창(101)의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유리창삽입홈(13)을 형성하여 유리창(101)과 환기장치의 틈 사이로 공기가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개폐판(20)의 끝단에는 개폐판(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고무, 실리콘 등의 연질의 재질로 형성된 블레이드(21)를 부착하여 블레이드(21)가 지지패널(12)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환기장치를 폐쇄할 때 공기의 누출을 더욱 견고히 차단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패널(12)의 내측면에는 지지패널(12)의 최대 폐쇄 위치에서 상기 블레이드(21)와 접촉되는 연질의 개스킷(121)을 부착하여 개폐판(20)의 폐쇄 위치에서 블레이드(21)와 개스킷(121)이 서로 밀착되도록 함으로서, 실내 공기의 누출을 더욱 완벽히 차단하여 냉,난방의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개폐판(20)에는 개폐판(20)의 개방 위치에서 양 단이 지지패널(12)에 맞닿는 지지부(40)를 형성하여 긴 길이를 갖는 개폐판(20)이 자중에 의해 처지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공기 흐름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를 설치할 때에는 기존에 설치된 창틀(100) 및 창틀샤시를 교체하거나 손상시키지 않고 유리창(101)을 빼낸 후에 창틀(100)의 내측 하단에 환기장치를 삽입하여 고정시킨 후, 환기장치의 높이만큼 유리창(101)을 절단하여 다시 결합함으로써, 환기장치의 설치가 간편하면서도 환기기 능 및 기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지지부(40)의 상세 구성을 보인 요부의 사시도로서, 상술한 지지부(40)는 도시된 것과 같이 개폐판(20)의 양 단으로 돌출되되, 상술한 지지패널(12)의 이격 거리와 대응되는 길이로 돌출된 지지핀(41)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지지핀(41)의 중앙부에는 상기 개폐판(20)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22)에 삽입되어 밀착되는 고정부(411)를 형성하며, 고정부(411)의 상,하로는 개폐판(20)의 상,하면에 걸림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편(412)을 형성하여 지지핀(41)이 개폐판(20)에 삽입된 상태에서 개폐판(20)의 양 측으로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개폐판(20)이 창틀(100)의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환기장치가 개방될 때에는 지지핀(41)의 양 단이 지지패널(12)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개폐판(20)이 처지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원활한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되고, 개폐판(20)의 영구적인 변형을 방지하여 개폐판(20)의 폐쇄상태에서도 견고한 기밀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지지부(4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사용상태를 보인 환기장치의 종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서의 지지부(40)는 상기 상, 하 지지패널(12)의 이격 거리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지지링(42a)(42b)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개폐판(20)이 상,하로 회전할 때에도 상시 지지링(42a)(42b)이 지지패널(12)의 내측면을 지지하게 되어 개폐판(20)의 변형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뿐만 아니라, 개폐판(20)의 회전 작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지지링(42a)(42b)은 상기 개폐판(20)을 중심으로 반으로 분리되도록 하고, 중앙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고정축(421a)(421b)을 형성하여 고정축(421a)(421b)이 개폐판(20)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22)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지지링(42a)(42b)을 개폐판(20)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면서도, 개폐판(20)과 지지링(42a)(42b)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양측으로 분리되어 형성된 지지링(42a)(42b)을 관통공(22)을 중심으로 삽입하여 결합하면, 지지링(42a)(42b)의 외측면이 상술한 지지패널(12)의 내측면에 맞닿게 되고, 스위치(30)의 작동에 의해 개폐판(20)이 회전 개폐될 때에도 지지링(42a)(42b)이 상시 지지패널(12)의 내측면을 지지하게 되어 개폐판(20)의 변형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개폐판(20)이 회전하여 개폐 작동될 때에는 지지링(42a)(42b)이 개폐판(20)의 회전 작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개폐판(20)이 더욱 부드럽게 회전하여 환기공(11)을 개폐할 수 있게 됨으로써, 환기장치의 사용이 더욱 편리해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된 창문 섀시를 교체하거나 손상시키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창틀 결합형 환기장치를 제공함으로서, 기존의 건물에 창문을 열지 않고서도 환기를 할 수 있는 환기장치의 설치를 더욱 빠른 시간내에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판의 양 단에 연질의 블레이드를 구비하여 환기장치를 폐쇄할 때 공기의 누출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서, 환기장치를 통한 실외 공기의 유입 및 실내 공기의 누출을 차단하여 냉,난방의 손실이 줄어드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패널의 내측면에 연질의 개스킷을 구비하여 환기장치의 개폐판이 최적의 위치로 정확하게 개폐되면서 폐쇄시에 공기의 유입 및 누출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서, 냉,난방의 손실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패널의 내측면을 원호형으로 형성하여, 지지패널과 개폐판의 접촉 거리가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지지패널과 개폐판의 접촉에 의한 환기장치의 폐쇄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판에 지지핀을 구비하여 개폐판의 처침이 방지되면서도 개폐판이 원활히 개폐되도록 함으로서, 개폐판의 개폐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공기의 순환 및 차단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개폐판의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를 지지링으로 형성하여 개폐판의 처짐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개폐판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개폐판의 회전시에 발생되는 걸림을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개폐판의 변형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하면이 창틀(100)의 내측 하부에 고정되고, 양 단이 창틀(100)의 양 내측면에 결합되며, 전,후로 환기공(11)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상,하로 이격되어 지지패널(12)이 형성되며, 상면에 유리창(101)이 삽입되는 유리창삽입홈(13)이 형성된 프레임부(10):와
    상기 프레임부(10)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패널(12)의 이격 거리와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며, 프레임부(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후로 회전되면서 상기 환기공(11)을 개폐시키는 개폐판(20):과
    상기 개폐부를 회전 작동시키도록 상기 프레임부(10)의 외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스위치(30):와
    상기 프레임부(10)의 내측에서 상기 개폐부가 일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40):를 포함하는 창틀 결합형 환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20)의 양 단에 서로 대향되게 부착되는 연질의 블레이드(2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결합형 환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12)의 내측면에 상기 개폐판(20)의 폐쇄상태에서 상기 블레이 드(21)와 맞닿는 연질의 개스킷(12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결합형 환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12)의 내측면이 상기 개폐판(20)의 회전반경과 대응되는 원호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결합형 환기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0)는;
    상기 개폐판(20)의 수직방향 양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되고, 상기 지지패널(12)의 이격거리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판(20)의 개방상태에서 양 단이 상기 지지패널(12)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핀(4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결합형 환기장치.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0)는;
    상기 지지패널(12)의 이격 거리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지지링(42a)(42b)과, 상기 지지링(42a)(42b)이 상기 개폐판(20)에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결합형 환기장치.
KR1020060067591A 2006-07-19 2006-07-19 창틀 결합형 환기장치 KR200800081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591A KR20080008123A (ko) 2006-07-19 2006-07-19 창틀 결합형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591A KR20080008123A (ko) 2006-07-19 2006-07-19 창틀 결합형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123A true KR20080008123A (ko) 2008-01-23

Family

ID=39221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591A KR20080008123A (ko) 2006-07-19 2006-07-19 창틀 결합형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81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167B1 (ko) * 2009-01-23 2009-09-15 (주)삼우인더스트리 당김줄에 의한 당김식 원터치 개폐수단을 갖는 자연환기구
KR101143268B1 (ko) * 2009-09-16 2012-05-11 (주)이엔쓰리 환경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167B1 (ko) * 2009-01-23 2009-09-15 (주)삼우인더스트리 당김줄에 의한 당김식 원터치 개폐수단을 갖는 자연환기구
KR101143268B1 (ko) * 2009-09-16 2012-05-11 (주)이엔쓰리 환경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8895B2 (en) Door sealing system
KR200414567Y1 (ko) 환풍기 이동장치
KR20180015197A (ko) 창문 개폐 정도에 따라 기밀성이 조절되는 창호 구조체
KR20080008123A (ko) 창틀 결합형 환기장치
JP2007225248A (ja) 換気装置
KR102159867B1 (ko) 창틀용 환풍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문 조립체
TWI693368B (zh) 換氣裝置以及門窗
KR20160061119A (ko) 행거식 미서기창이 구비된 커튼월
KR102186400B1 (ko) 창문 개폐 정도에 따라 기밀성이 조절되는 창호 구조체
KR20220063487A (ko) 창호
KR101446523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101811040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JP7377537B2 (ja) 窓装置
JP2004300756A (ja) 換気装置付き窓
KR200160818Y1 (ko) 창문샷시용 방풍 가이드
JP6839008B2 (ja) 換気装置及び建具
JP3436721B2 (ja) 家屋換気装置
KR102028905B1 (ko) 환기 가능한 창틀
JP2003148063A (ja) 自動換気装置付き建具及びそれに使用するガラリ
KR0113543Y1 (ko) 창틀용 환기 장치
KR101811572B1 (ko) 방풍 및 단열이 우수한 방문용 자연환기구
KR101745870B1 (ko) 창호용 환기장치의 레버
KR101965668B1 (ko) 방풍 창호
JP3981955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JP2003065582A (ja) 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