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668B1 - 방풍 창호 - Google Patents

방풍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668B1
KR101965668B1 KR1020180112397A KR20180112397A KR101965668B1 KR 101965668 B1 KR101965668 B1 KR 101965668B1 KR 1020180112397 A KR1020180112397 A KR 1020180112397A KR 20180112397 A KR20180112397 A KR 20180112397A KR 101965668 B1 KR101965668 B1 KR 101965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transfer block
window
rai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일수
Original Assignee
박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일수 filed Critical 박일수
Priority to KR1020180112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6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15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being moved to a retracted position by elastic means, e.g.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2007/202Actuator connected to wing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풍 창호는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이 형성되는 창틀 프레임; 상기 창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창문 프레임; 및 상기 창문 프레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상기 창문 프레임과 상기 레일 사이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방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방풍수단은, 상기 창문 프레임의 내측에 수용되어 수직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 가능한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지지되고 상기 이송부의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레일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창문 프레임과 상기 레일 사이의 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창문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이송부를 지지하고, 상기 이송부를 선택적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창문 프레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창문 프레임과 레일 사이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방풍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창호의 기밀성, 단열성, 방음성 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사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방풍 창호{WINDPROOF WINDOW}
본 발명은 방풍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틀 프레임과 창문프레임 사이로 유입되는 외풍, 소음 및 해충 등을 차단할 수 있는 방풍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실내와 실외를 서로 통하도록 하거나 차단하도록 하는 문과 문틀, 창과 창틀을 모두 통칭하는 것으로서, 대개의 창호는 문틀(창틀)에 형성된 레일과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문(창문)으로 구성되어 실내와 실외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창호는 창틀(문틀)의 레일 위에 문(창문)이 얹힌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문(창문)과 레일 사이에 필연적으로 틈새가 발생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틈새를 통해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거나,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빠져나가게 되어 결로현상이 발생되거나, 난방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창호의 기밀성, 단열성, 방음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창틀 또는 창문에 별도 부착되는 기밀부재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밀부재는 창틀 또는 창문의 외면에 별도 부착되는 모헤어 또는 고무 개스킷 형태로 제작되고, 외부 공간에 노출됨에 따라, 시간이 흐를수록 내구성이 저하되어 기능이 저하됨은 물론, 노후로 인해 형상이 변형되거나, 부식 또는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밀부재의 경우, 최초 설치된 상태로 창틀 또는 창문에 고정됨에 따라, 시공 중 파손 또는 재설치가 필요할 경우, 기존 설치된 기밀부재를 모두 제거한 후 다시 새 제품으로 설치해야하고, 이로 인해 시공이 용이하지 못하고, 추가 비용의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693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풍수단을 창문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방풍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창호의 기밀성, 단열성, 방음성 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사용 수명 및 사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풍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풍 창호는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이 형성되는 창틀 프레임; 상기 창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창문 프레임; 및 상기 창문 프레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상기 창문 프레임과 상기 레일 사이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방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방풍수단은, 상기 창문 프레임의 내측에 수용되어 수직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 가능한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지지되고 상기 이송부의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레일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창문 프레임과 상기 레일 사이의 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창문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이송부를 지지하고, 상기 이송부를 선택적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상기 창문 프레임은, 유리창의 둘레에 설치되는 제1 조립프레임; 및 상기 제1 조립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이송부가 수용되는 제1 수용공간,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개폐부가 수용되는 제2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수용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레일이 수용되는 제3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 조립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공간에는 상기 이송부의 외면을 지지하고, 상기 이송부의 이동 시 상기 이송부를 수직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용공간에는 상기 개폐부의 외면을 지지하고, 상기 개폐부의 이동 시 상기 개폐부의 단부를 상기 레일의 일면 측으로 안내하는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내측에 상기 조작부가 삽입되는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 가이드부의 내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송블록; 및 상기 이송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블록의 상측에 배치되고, 일 측에 상기 개폐부가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이송부의 상향 이동 시 상기 제2 가이드부에 가압되어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절곡되는 유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창문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홈에 수용되어 일면을 통하여 상기 이송블록의 저면을 지지하는 승하강부재; 및 상기 승하강부재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창문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상기 승하강부재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블록의 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이송블록의 저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창문 프레임의 이동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하여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지지부를 상기 이송블록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위치시켜 상기 이송블록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송블록의 저면과 상기 제1 지지부의 일면에는 서로 다른 극성을 띄는 자성체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블록과 상기 제1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기 제2 조립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이송블록의 상향 이동 시 상기 이송블록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하강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블록의 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홈에 수용되고 상기 제1 지지부의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이송블록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고,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지지부의 편심된 부위를 상기 이송블록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위치시켜 상기 이송블록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개폐부의 단부와 상기 레일의 일면에는 서로 다른 극성을 띄는 자성체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창문 프레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창문 프레임과 레일 사이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방풍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창호의 기밀성, 단열성, 방음성 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사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방풍수단을 창문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하여 외부공간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창문 프레임을 조립 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제품의 유지관리가 용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품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제품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풍 창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풍 창호의 방풍수단이 창문 프레임과 레일 사이의 공간을 폐쇄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풍 창호의 방풍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풍 창호에서 방풍수단의 조작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풍 창호의 방풍수단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풍 창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풍 창호의 방풍수단이 창문 프레임과 레일 사이의 공간을 폐쇄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풍 창호의 방풍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풍 창호에서 방풍수단의 조작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풍 창호의 방풍수단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풍 창호(1)(이하 '방풍 창호(1)'라 함)는 창틀 프레임(10)과 창문 프레임(20) 사이로 유입되는 외풍, 소음 및 해충 등을 차단할 수 있는 창호 시스템으로서, 창틀 프레임(1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창틀 프레임(10)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건축물의 개구된 부위(미도시)에 설치되고,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11)이 형성된다. 예컨대, 창틀 프레임(10)은 내부가 중공된 관 구조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한 개의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창틀 프레임(10)을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 계열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방풍 창호(1)는 창문 프레임(20)을 포함한다.
창문 프레임(20)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창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레일(1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예컨대, 창문 프레임(20)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리창(6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창문 프레임(20)은 서로 탈부착 가능한 복수개의 조립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창문 프레임(20)은 유리창(60)의 둘레에 설치되는 제1 조립프레임(21)과, 제1 조립프레임(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는 제2 조립프레임(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립프레임(21)과 제2 조립프레임(22)은 내부가 중공된 관 구조로 형성되고, 제1 조립프레임(21)과 제2 조립프레임(22)의 결합부위에는 제2 조립프레임(22)이 제1 조립프레임(2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결합 가능할 수 있는 체결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조립프레임(21)과 제2 조립프레임(22)의 결합부위에 형성된 체결구조는 후크 또는 요철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체결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조립프레임(22)이 제1 조립프레임(2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결합 가능할 수 있는 조건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2 조립프레임(22)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제2 조립프레임(22)의 내측에는 제1 조립프레임(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고, 내측에 후술할 이송부(31)가 수용되는 제1 수용공간(22a), 제1 수용공간(22a)과 연통되어 후술할 개폐부(32)가 수용되는 제2 수용공간(22b), 및 제2 수용공간(22b)과 연통되어 창틀 프레임(10)의 레일(11)이 수용되는 제3 수용공간(22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조립프레임(22)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 조립프레임(22)의 내측에 형성된 제1 수용공간(22a)에는 이송부(31)의 외면을 지지하고, 이송부(31)의 이동 시 이송부(31)를 수직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 가이드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조립프레임(22)의 내측에 형성된 제2 수용공간(22b)에는 개폐부(32)의 외면을 지지하고, 개폐부(32)의 이동 시 개폐부(32)의 단부를 레일(11)의 일면 측으로 안내하는 제2 가이드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가이드부(222)는 개폐부(32)의 단부가 개폐부(32)의 단부로부터 사선방향에 위치한 레일(11)의 일면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가이드부(222)의 절곡된 부위는 라운드 구조로 형성되어 개폐부(32)와의 접촉 시 개폐부(32)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레일(11)의 일면에 대향 배치되는 제2 조립프레임(22)의 일면에는 레일(11)의 일면에 접촉되어 제2 조립프레임(22)과 레일(11)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보조 방풍수단(22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조 방풍수단(223)은 창문 프레임(20)의 이동 시 레일(11)과 제2 조립프레임(22)의 수평방향의 균형을 유지하여 창문 프레임(20)의 유동을 예방함은 물론, 방풍수단(30)이 창문 프레임(20)과 레일(11) 사이의 공간을 폐쇄시키기 전, 우선적으로 창문 프레임(20)과 레일(11) 사이의 공간을 폐쇄시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바람을 차단할 수 있다. 예컨대, 보조 방풍수단(223)은 모헤어(mohair) 또는 고무 등의 소재로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 가능한 조건 내에서 다양한 소재 및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방풍 창호(1)는 방풍수단(30)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방풍수단(30)은 창문 프레임(2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창문 프레임(20)과 레일(11) 사이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이송부(31), 개폐부(32) 및 조작부(33)를 포함한다.
이송부(31)는 창문 프레임(20)의 내측에 수용되어 수직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송부(31)는 이송블록(311) 및 지지플레이트(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블록(311)은 내측에 조작부(33)가 삽입되는 관통홈(311a)이 형성되고, 제1 가이드부(221)에 수용되어 조작부(33)의 구동 시 제1 가이드부(221)의 내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이송블록(311)의 상측에는 지지플레이트(312)와 결합되어 지지플레이트(312)를 지지하는 지지바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312)는 이송블록(311)에 결합되어 이송블록(31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플레이트(312)의 상측에는 개폐부(32)가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플레이트(312)는 하나의 바디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된 다수의 이송블록(311)에 지지되거나, 복수개의 바디로 형성되어, 각 이송블록(311)에 개별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플레이트(312)가 복수개의 바디로 형성될 경우, 제품을 보다 경량화 할 수 있고, 개별적으로 유지 및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개폐부(32)는 이송부(31)에 지지되고, 이송부(31)의 이동 위치에 따라 레일(11)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창문 프레임(20)과 레일(11) 사이의 공간을 개폐한다.
더 자세하게는, 개폐부(32)는 지지플레이트(312)의 단부에 결합되어 지지플레이트(312)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치되는 판형 구조로 형성되고, 이송부(31)의 상향 이동 시 제2 가이드부(222)를 따라 이동하며 제2 가이드부(222)에 가압되어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예컨대, 개폐부(32)는 러버 또는 실리콘 소재 등과 같이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유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부(32)는 이송부(31)의 다시 하향 이동될 경우에는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개폐부(32)의 단부와 레일(11)의 일면에는 서로 다른 극성을 띄는 자성체(4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부(32)의 단부가 레일(11)의 일면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경우, 자성체(40)들 간의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 개폐부(32)의 단부가 레일(11)의 일면에 자동적으로 접촉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조작부(33)는 창문 프레임(20)을 관통하여 일부는 창문 프레임(20)의 내측에 수용되고, 다른 일부는 창문 프레임(20)의 외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창문 프레임(20)의 내측에 수용된 조작부(33)는 이송부(31)의 관통홈(311a)에 수용되어 이송부(31)를 지지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송부(31)를 선택적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더 자세하게는, 조작부(33)는 창문 프레임(20)을 관통하여 제1 수용공간(22a)에 배치되고, 관통홈(311a)에 수용되어 일면을 통하여 이송블록(311)의 저면을 지지하는 승하강부재(33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33)는 승하강부재(331)의 단부에 결합되어 창문 프레임(2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승하강부재(331)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파지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조작부(33)는 도 5의 (a)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332)가 창문 프레임(20)의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창문 프레임(20)에 설치되거나,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332)가 창문 프레임(20)의 정면으로 돌출되도록 창문 프레임(2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파지부(332)의 위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승하강부재(331)는 선형이동을 통하여 이송블록(311)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승하강부재(331)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블록(311)의 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는 제1 지지부(331a)와, 이송블록(311)의 저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는 제2 지지부(331b)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승하강부재(33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선재에 절곡공정을 수행하여 제작되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구간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2 지지부(331b)가 형성되도록 사출공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승하강부재(331)의 제2 지지부(331b)는 복수개의 제1 지지부(331a) 사이에서 상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태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승하강부재(331)는 창문 프레임(20)의 이동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하여 제1 지지부(331a) 또는 제2 지지부(331b)를 이송블록(311)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위치시켜, 이송블록(311)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6을 참조하면, 이송블록(311)의 저면과 제1 지지부(331a)의 일면에는 서로 다른 극성을 띄는 자성체(4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지지부(331a)의 일면이 상향 이동된 이송블록(311)의 저면에 배치될 경우, 자성체(40)들 간의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 이송블록(311)의 저면 자동적으로 제1 지지부(331a)의 일면에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이송블록(311)과 제1 수용공간(22a)이 형성된 제2 조립프레임(22) 사이에는 이송블록(311)의 상향 이동 시 이송블록(311)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탄성부재(50)는 탄성력을 통하여 제2 조립프레임(22)과 이송블록(311)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제2 지지부(331b)가 이송블록(311)으로부터 이격될 경우 이송블록(311)을 정확하게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승하강부재(331)는 회전을 통하여 이송블록(311)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승하강부재(331)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블록(311)의 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는 제1 지지부(331a)와, 제1 지지부(331a)의 둘레에 형성되어 이송블록(311)의 관통홈(311a)에 수용되고, 제1 지지부(331a)의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된 형태로 형성되어 이송블록(311)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331b)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부재(331)는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지지부(331b)의 편심된 부위를 이송블록(311)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위치시켜, 이송블록(311)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창문 프레임(2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창문 프레임(20)과 레일(11) 사이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방풍수단(30)을 구비함으로써, 창호의 기밀성, 단열성, 방음성 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사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방풍수단(30)을 창문 프레임(20)의 내부에 설치하여 외부공간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창문 프레임(20)을 조립 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제품의 유지관리가 용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품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제품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 방풍 창호
10. 창틀 프레임
11. 레일
20. 창문 프레임
21. 제1 조립프레임
22. 제2 조립프레임
22a. 제1 수용공간
22b. 제2 수용공간
22c. 제3 수용공간
221. 제1 가이드부
222. 제2 가이드부
223. 보조 방풍수단
30. 방풍수단
31. 이송부
311. 이송블록
311a. 관통홈
312. 지지플레이트
32. 개폐부
33. 조작부
331. 승하강부재
331a. 제1 지지부
331b. 제2 지지부
332. 파지부
40. 자성체
50. 탄성부재
60. 유리창

Claims (11)

  1.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이 형성되는 창틀 프레임;
    상기 창틀 프레임에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창문 프레임; 및
    상기 창문 프레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상기 창문 프레임과 상기 레일 사이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방풍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방풍수단은,
    상기 창문 프레임의 내측에 수용되어 수직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 가능한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지지되고 상기 이송부의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레일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창문 프레임과 상기 레일 사이의 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창문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이송부를 지지하고, 상기 이송부를 선택적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부;
    를 포함하되,
    상기 창문 프레임은,
    유리창의 둘레에 설치되는 제1 조립프레임; 및
    상기 제1 조립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는 제2 조립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내측에 상기 조작부가 삽입되는 관통홈이 형성되고, 제1 가이드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 가이드부의 내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송블록; 및
    상기 이송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블록의 상측에 배치되고, 일 측에 상기 개폐부가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방풍 창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립프레임은 내측에 상기 이송부가 수용되는 제1 수용공간,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개폐부가 수용되는 제2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수용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레일이 수용되는 제3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창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공간에는 상기 이송부의 외면을 지지하고, 상기 이송부의 이동 시 상기 이송부를 수직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용공간에는 상기 개폐부의 외면을 지지하고, 상기 개폐부의 이동 시 상기 개폐부의 단부를 상기 레일의 일면 측으로 안내하는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방풍 창호.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이송부의 상향 이동 시 상기 제2 가이드부에 가압되어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절곡되는 유연성 소재로 형성되는 방풍 창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창문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홈에 수용되어 일면을 통하여 상기 이송블록의 저면을 지지하는 승하강부재; 및
    상기 승하강부재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창문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상기 승하강부재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파지부;
    를 포함하는 방풍 창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블록의 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이송블록의 저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창문 프레임의 이동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하여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지지부를 상기 이송블록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위치시켜 상기 이송블록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방풍 창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블록의 저면과 상기 제1 지지부의 일면에는 서로 다른 극성을 띄는 자성체가 각각 구비되는 방풍 창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블록과 상기 제1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기 제2 조립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이송블록의 상향 이동 시 상기 이송블록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방풍 창호.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블록의 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홈에 수용되고 상기 제1 지지부의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이송블록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고,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지지부의 편심된 부위를 상기 이송블록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위치시켜 상기 이송블록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방풍 창호.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의 단부와 상기 레일의 일면에는 서로 다른 극성을 띄는 자성체가 각각 구비되는 방풍 창호.
KR1020180112397A 2018-09-19 2018-09-19 방풍 창호 KR101965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397A KR101965668B1 (ko) 2018-09-19 2018-09-19 방풍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397A KR101965668B1 (ko) 2018-09-19 2018-09-19 방풍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668B1 true KR101965668B1 (ko) 2019-08-27

Family

ID=67807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397A KR101965668B1 (ko) 2018-09-19 2018-09-19 방풍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6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6939U (ko) 2013-10-15 2013-12-03 강민성 창틀용 창호 방풍부재
KR101609579B1 (ko) * 2015-10-13 2016-04-20 차정윤 방풍 부재를 갖는 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6939U (ko) 2013-10-15 2013-12-03 강민성 창틀용 창호 방풍부재
KR101609579B1 (ko) * 2015-10-13 2016-04-20 차정윤 방풍 부재를 갖는 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428B1 (ko) 시스템 창호
KR101348488B1 (ko) 수평밀착창호
KR101342062B1 (ko) 기밀성 슬라이딩 창호
KR101760719B1 (ko) 탄성 풍지 구조와 다중 단열 구조를 갖는 미서기창호
KR20180015197A (ko) 창문 개폐 정도에 따라 기밀성이 조절되는 창호 구조체
KR102242701B1 (ko) 창호의 기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1965668B1 (ko) 방풍 창호
KR101318590B1 (ko) 도어용 오토시일 어셈블리
KR101877471B1 (ko) 복합 미서기 창호
KR20090082966A (ko) 미닫이 창호
KR101569750B1 (ko) 리프트 슬라이딩 밀착식 창호
KR101538499B1 (ko)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
KR101502665B1 (ko) 양개형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KR20210081812A (ko) 단열 및 밀폐구조를 갖는 창호
KR101731038B1 (ko) 단열 및 기밀성능을 갖는 미서기 창호의 가변형 기밀장치
KR102599548B1 (ko) 창호의 기밀장치 및 이를 포함한 창호
KR102276872B1 (ko) 창호용 틈새 방지구
US20200181970A1 (en) Horizontally sliding window
KR102091982B1 (ko)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KR20220063487A (ko) 창호
KR20210123200A (ko) 창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KR102472261B1 (ko)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70951B1 (ko)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69838B1 (ko)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46234B1 (ko)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