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7643A - 프린트 헤드 장착 어셈블리, 및 운반기 프레임구조물에프린트 헤드를 장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프린트 헤드 장착 어셈블리, 및 운반기 프레임구조물에프린트 헤드를 장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7643A
KR20080007643A KR1020077027767A KR20077027767A KR20080007643A KR 20080007643 A KR20080007643 A KR 20080007643A KR 1020077027767 A KR1020077027767 A KR 1020077027767A KR 20077027767 A KR20077027767 A KR 20077027767A KR 20080007643 A KR20080007643 A KR 20080007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 head
mounting
print
tile
shu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7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8563B1 (ko
Inventor
데 뷘켈 베르너 반
알버트 브랄스
바르트 베르호에스트
바르쏠로메우스 베를린덴
Original Assignee
아그파 그래픽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그파 그래픽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아그파 그래픽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80007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7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5Arrangement thereof
    • B41J2/15Arrangement thereof for serial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4Bodily-changeable print heads or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01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heads
    • B41J2202/19Assembling head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01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heads
    • B41J2202/20Modules

Landscapes

  • Ink Jet (AREA)
  • Common Mechanisms (AREA)

Abstract

인쇄 시스템(1)에 장착되기에 적합한 프린트 헤드 운반 프레임구조물(44) 상에 프린트 헤드(64)를 장착 및 위치선정하기 위한 프린트 헤드 장착 어셈블리 및 방법이 제공된다. 프린트 헤드 장착 어셈블리는: 프린트 헤드(64)를 수용하는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59); 및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59)가 장착되는 장착 표면을 갖는 프린트 헤드 장착 타일 (58);을 포함한다. 프린트 헤드 장착 타일(58)은, 프린트 헤드 운반 프레임구조물(44)이 인쇄 시스템(1)에 장착된 때에 기준 인쇄 표면(2)과 동등한 높이에 있는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59)를 위한 장착 표면을 제공하도록, 프린트 헤드 운반 프레임구조물(44) 상에 조정가능하게 장착된다.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59)는,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59)에 수용되는 프린트 헤드(64)가 프린트 헤드 장착 타일(58)의 장착 표면 상에 정확히 위치선정되도록, 프린트 헤드 장착 타일(58) 상에 조정가능하게 장착된다.

Description

프린트 헤드 장착 어셈블리, 및 운반기 프레임구조물에 프린트 헤드를 장착하는 방법{A print head mounting assembly and method for mounting a print head onto a carriage framework}
본 발명은 프린트 헤드 운반기 프레임구조물 상에 프린트 헤드를 장착 및 위치선정(position)하기 위한 해결책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덜 정확한 프린트 헤드 운반기 프레임구조물에 잉크젯 프린트 헤드를 정확하게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인쇄 적용분야에 있어서, 인쇄 처리량은 인쇄 장치의 중요한 특성이다. 예를 들어 광폭 포맷 잉크젯 프린터(wide format ink jet printer)와 같은 왕복형 프린트 헤드 구성을 이용하는 디지털 프린터에 있어서의 인쇄 처리량을 결정하는 파라미터(parameter)들 중의 하나는, 프린트 헤드 셔틀(print head shuttle)의 크기이다. 프린트 헤드 셔틀의 폭이 넓을 수록, 인쇄 매체를 가로지르는 프린트 헤드 셔틀의 단일의 인쇄 스트로크(stroke) 또는 통과(pass)에 의하여 인쇄되는 인쇄 매체 상의 면적이 넓게 된다. 디지털 프린터 구성에서 더 큰 프린트 헤드 셔틀을 사용할 때에는 몇가지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프린트 헤드 셔틀이 커질 수록, 그것은 더 무거워지는데, 이것은 셔틀의 신속 및 정확한 이동을 곤란하게 한다. 프린트 헤드 셔틀이 커질수록, 프린터 프레임에 대한 셔틀의 좌우 맞닿음이 분기(diverge)하고, 셔틀 구조물은 굽힘과 비틀림에 더 취약하게 된다. 프린트 헤드 셔틀이 더 커질수록, 단일의 인쇄 스트로크의 인쇄 폭이 증가하고, 인쇄 매체(printing medium)의 인쇄 표면과 프린트 헤드의 인쇄요소(예를 들어, 잉크젯 노즐(ink jet nozzle))들 간의 거리로 정의되는 투사-거리(throw-distance)가 전체 인쇄 스트로크를 가로질러서 허용가능한 오차 내로 제어되는 것이 더 어려워진다. 프린트 헤드 셔틀이 커지면, 셔틀은 더 많은 프린트 헤드들을 운반하게 되고, 셔틀의 전체 폭(full width)에 걸친 프린트 헤드의 정확한 위치선정은 더 어렵게 된다.
상기 문제점들은, 산업용 인쇄 장비를 위한 현존하는 프린트 헤드 셔틀 개념의 것을 치수확대(scaling up)할 때에 발생하는 문제점들 중의 일부일 뿐이다.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볼 때, 프린트 헤드들 상호 간과 프린트 헤드의 인쇄 표면에 대한 장착 정확도를 양보하지 않으면서도 셔틀의 제조 오차를 여유있게 하는 방법으로서, 셔틀 상에 프린트 헤드를 장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전술된 목적은 청구항 1 에 기재된 특정의 특징들을 갖는 프린트 헤드 장착 어셈블리 및 청구항 10 에 기재된 프린트 헤드 를 장착하는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 헤드 장착 어셈블리에 의하면, 프린트 헤드 운반기 프레임구조물의 제조 공차(manufacturing tolerances)는 공지의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를 이용하는 프린트 헤드를 정확하게 위치선정하기에 적합한 범위로 좁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위한 구체적인 특징들은 독립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들과 실시예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들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 헤드 셔틀을 이용한 디지털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과 관련된 프린트 헤드 셔틀의 사시도이다.
도 3a 는 프린트 헤드 셔틀 프레임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3b 는 프린트 헤드 셔틀 프레임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프린트 헤드 셔틀 상의 프린트 헤드 위치들의 대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a 는 프린트 헤드 셔틀 프레임구조물에 사용되는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5b 는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6a 는 프린트 헤드 셔틀 프레임구조물을 위한 냉각 채널(cooling channel)들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 6b 는 프린트 헤드 셔틀 프레임구조물의 단면도 상에서 냉각 채널들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6c 는 베이스 플레이트 냉각 채널 위치(base plate cooling channel location)들의 상세도이다.
도 6d 는 교량형 냉각 채널(bridge cooling channel)들의 상세도이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되지만, 본 발명이 그 실시예들에 한정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디지털 프린터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
본 발명을 구현하는 디지털 프린터가 도 1 에 도시되어 있다. 디지털 프린터(1)는 디지털 인쇄 중에 인쇄 매체(3)을 지지하는 인쇄 테이블(2)을 포함한다. 인쇄 테이블은 실질적으로 편평하고, 수 센티미터에 달하는 두께를 가진 뻣뻣한 기판들(예를 들어, 하드 보드(hard board), PVC, 판지(carton) 등) 뿐만 아니라, 수십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두께를 가진 유연한 시트형 매체(예를 들어, 종이, 투명 호일(transparency foil), 접착성 PVC 시트, 등)도 지지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린트 헤드를 포함하는 프린트 헤드 셔틀(4)은, 고속스캔 방향(fast scan direction; FS)으로 인쇄 테이블을 가로질러 앞뒤로 왕복하고 고속스캔 방향에 수직한 저속스캔 방향(slow scan direction; SS)으로 인쇄 테이블을 가로질러 재위치선정(reposition)하도록 설계된다. 인쇄는 프린트 헤드 셔틀이 고속스캔 방향으로 왕복 작동하는 중에 수행된다. 프린트 헤드 셔틀의 선택적인 재위치선정은 프린트 헤드 셔틀의 왕복 작동들 사이에 수행되는데, 이것은 프린트 헤드 셔틀을 인쇄 매 체의 인쇄되지 않거나 또는 부분적으로만 인쇄된 영역과 선을 이루도록 위치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프린트 헤드 셔틀이 전체-폭 인쇄 매체를 단일의 고속 스캔 작동에 의하여 인쇄하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프린트 헤드 셔틀의 재위치선정이 불필요하다. 인쇄 중에, 인쇄 테이블(printing table)과 그 위에 지지된 인쇄 매체는 고정된 위치에 머무른다. 지지 프레임(support frame; 5)은 프린트 헤드 셔틀의 왕복 작동 중에 프린트 헤드 셔틀을 안내 및 지지한다. 인쇄 매체 이송 시스템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트 헤드 셔틀의 고속스캔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시트 공급 방향(sheet feeding direction; FF)을 따라서 개별의 인쇄용 시트들을 디지털 프린터로 공급할 수 있다. 인쇄 매체 이송 시스템은, 디지털 프린터를 통하는 "터널" 또는 "관통 안내구(guide through)"로서 설계되는바, 매체를 프린터의 일 측(도 1 의 입력 단부)으로부터 공급하고, 그 시트를 인쇄를 위하여 인쇄 테이블 상에 위치선정할 수 있으며, 그 시트를 반대측(도 1 에서의 방출 단부)에서 프린터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시트-기반의 매체 이송 시스템(sheet-based medium transport system)(예를 들어, 자동화된 플랫 베드 스크린 인쇄용 인쇄기(automated flat bed screen printing presses)로부터 알려진 파지기 바아 이송 시스템(gripper bar transport system; 6))에 대해 대체적으로(alternatively), 디지털 프린터는 웹-기반의 매체 이송 시스템(web-based medium transport system)에 관하여도 사용될 수 있다. 인쇄 매체 이송은, 디지털 프린터의 입력 단부에 있는 롤-오프부(roll-off)로부터 디지털 프린터의 방출 단부에 있는 롤-온부(roll-on)를 향하여 웹 매체를 디지털 프린터 내로 공급할 수 있다. 디지털 프린터의 내부에서, 그 웹은 인쇄 중에 인쇄 매체를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인쇄 테이블을 따라서 이송된다. 저속스캔 방향과 동일한 인쇄 매체 공급 방향을 갖는 특정한 웹-기반의 매체 이송의 경우, 저속스캔 방향을 따른 프린트 헤드 셔틀의 재위치선정은 공급 방향으로의 웹의 재위치선정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다. 그러면, 프린트 헤드 셔틀은 고속스캔 방향으로 웹을 가로질러 앞뒤로 왕복하기만 한다.
본 발명은, 프린트 헤드들이 고정되고 인쇄 매체가 프린트 헤드들을 따라서 이동하는 단일 통과 인쇄 시스템(single pass printing systems)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이 대체적인 프린터 구성의 경우, 도 1 에 도시된 셔틀은 지지 프레임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프린트 헤드 운반기(print head carriage)에 의하여 교체된다. 시트 매체(Sheet media) 또는 웹 매체(web media)는 고정된 프린트 헤드 운반기 프레임 아래에서 방향(FS)로 공급되고, 단일의 통과에서 인쇄된다.
셔틀 구조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프린터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프린트 헤드 셔틀은 지지 프레임에 의하여 안내 및 지지된다. 지지 프레임은, 기본적으로, 고속 스캔 이동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그리고 각 단부에서 프린트 헤드 셔틀을 지지하는 이중 빔 구조물(double beam construction)이다. 도 1 의 디지털 프린터에서 사용될 수 있는 프린트 헤드 셔틀이 도 2 에 도시되어 있다. 프린트 헤드 셔틀(4)은 좌측 지지 단부(42) 및 우측 지지 단부(43) 사이에 중앙 교량부(central bridge; 41)를 갖는다. 프린트 헤드 운반기(44)는 상기 교량부(41) 아래에 매달린다. 프린트 헤드 운반기는 전방부(45) 및 후방부(46)로 구분된다. 운반기에는, 프린트 헤드 위치(49)들이 제공되는데, 프린트 헤드 위치(49)에는 4 X 16 의 행렬(즉, 고속스캔 방향 또는 y방향으로 4개의 프린트 헤드들이 나란히 있고, 저속스캔 방향 또는 x 방향을 따라서 16개의 프린트 헤드들이 나란히 있는 배열)을 이루는 총 64 개의 프린트 헤드들이 장착된다. 상기 64개의 프린트 헤드 위치들은 운반기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걸쳐서 균등하게 나누어져 있다. 고속스캔 방향에 있는 프린트 헤드 위치들, 즉 일 열의 4개의 위치들은, 프린트 헤드 셔틀의 단일의 고속스캔 이동에서 4개의 색상을 동시에 인쇄하기 위하여, 즉 예를 들면 시안색(Cyan), 마그네타색(Magenta), 황색(Yellow), 및 검정색(blacK)을 동시에 인쇄함으로써 한번의 통과에 의하여 모든 공정 색상을 인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저속스캔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16 개의 프린트 헤드 위치들은, 프린트 헤드 셔틀이 인쇄 매체의 실질적인 폭에 걸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2 에 도시된 셔틀의 프린트 헤드 운반기의 x 방향을 따른 폭은 대략 2m 이고, x 방향을 따른 인쇄 테이블의 폭을 덮을 수 있도록 선택된다. 그러므로, 인쇄 시트들은 전체 폭으로 인쇄될 수 있다. 프린트 헤드 운반기의 y 방향을 따른 깊이는 대략 0.5m 이다. 교량부를 제외한, 프린트 셔틀 운반기의 높이도 대략 0.5m 이다.
셔틀 제작
전체적인 프린트 헤드 셔틀은 시트 금속 부품(sheet metal part)들로 된 뼈대 또는 프레임구조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시트 금속 부품들은 짝지워진 펜(pen) 및 슬롯(slot)이 함께 용접됨으로써 프레임구조물에 위치선정될 수 있다. 시트 금속 부품들은, 기계 가공된 부품들보다 종종 가볍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시트 금속 기술은 프레임구조물 구조를 형성하기가 용이하고, 프레임구조물의 굽힘, 비틀림, 진동 등에 대한 전체적인 강성을 증대시키는 삽입물을 고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3a 에는 구조의 전체적인 강성을 증대시키는 셔틀 프레임구조물의 일부 상세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일부 외부 부품들은 내부 구조의 도시를 위하여 제거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첨부된 도 3b 는 도 3a 에 도시된 평면 A 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3a 에는 프린트 헤드 셔틀의 지지 단부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선형 슬라이드(linear slide)들의 장착을 위한 두 개의 장착 베이스(mounting base; 47)들이 제공된다. 장착 베이스들 중의 하나는 은선으로서 표시되었는데, 이는, 그것이 도 3a 에서는 보이지 않는 각도에 있기 때문이다. 장착 베이스들은 프레임구조물의 기저 표면(ground surfaces) 상에 장착된다. 이 위치들에서, 프레임구조물은, 시트 금속 부품인 직교 구조물(51)을 이용하여 그 강성이 강화된다. 이 시트 금속 부품들은 선형 슬라이드들을 프린트 헤드 셔틀의 전체 프레임구조물에 확고히 고정(anchor)시키는 구조물을 형성한다. 프린트 헤드 셔틀의 지지 단부와 프린트 헤드 운반기의 측벽 사이에는, 추가적인 대각 시트 부품(52)가 사용되어 프레 임구조물의 코너부분(corner)을 강화시킨다. 코너부분의 강성(뻣뻣함)은, 프린트 헤드 프레임구조물의 x 축 중심으로의 토크 모멘트(torque moment)를 프린터 프레임에 대한 셔틀의 맞닿음 부분으로 전달하되, 그 맞닿음 부분에서 수평의 전단력 성분을 도입하지 않고서 전달함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코너부분의 강성은 중요한 전제요건이 된다.
x 축에 수직을 이루도록 방향잡히고 x 축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선정된 수직의 칸막이(partition; 53)들은 프린트 헤드 운반기의 굽힘에 대한 추가적인 저항력을 제공한다. 이 칸막이들은 yz 평면에서 운반기의 전방부(45)로부터 운반기의 후방부(46)로 연장되고, xz 평면에 있는 프린트 헤드 운반기의 복수의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방향잡힌 시트 부품들에 부착된다. 그들은 프린트 헤드 셔틀의 전체적인 강성을 증가시키는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구조물을 추가적으로 형성한다.
프린트 헤드 운반기 높이의 중간 정도에서,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방향잡힌 스트립(strip; 54)들이, 프린트 헤드 셔틀의 전체 폭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방향잡힌 운반기 벽(55)들에 부착된다. 스트립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운반기의 수직 벽들에 추가적인 강성을 제공하고, 자유 벽 표면을 둘로 나눔으로써 이 벽들의 고유진동수를 증가시킨다. 프린트 헤드 운반기의 바닥측에 있는 프린트 헤드 위치들의 열(row)들 사이에는, 프린트 헤드 운반기의 전체 폭을 따라서 x 방향으로 사각형 빔(56)들이 장착되어, 운반기의 바닥측 영역에 굽힘 및 비틀림에 대한 저항력을 추가한다. 사각형 빔들은,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50)를 통하여 함께 연결된다. 이것은 프린트 헤드들이 장착되는 영역이고, 그러므로, 이 영 역의 강성은 매우 중요하다.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및 방향 공차의 관점에서, 시트 금속 프레임구조물의 이 영역에서의 강직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이 사각형 빔들을 구비한 시트 금속 프레임구조물의 이 영역에서의 강성을 증대시킴에 의하여 달성된다.
직전 부분에서 일부 사항들이 상세히 설명된 프린트 헤드 셔틀 프레임구조물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전술된 치수로 제작되면 대략 200kg 의 중량을 갖는 시트 금속 프레임구조물이 제조된다. 64 개의 프린트 헤드들 및 프린트 헤드들을 따라서 왕복할 필요가 있는 모든 필요한 공급물들을 포함하는 완전히 적재된 프린트 헤드 셔틀은 적어도 300kg 의 하중을 갖는다. 이와 같은 크기 및 하중을 갖는 프린트 헤드 셔틀은 굽힘, 비틀림, 진동 등에 대한 특별한 염려를 낳는다는 것이 명백하다. 전술된 설계사항들은 이러한 염려에 대한 해답을 제시한다.
도 2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16 개의 프린트 헤드들이 인쇄 매체의 전체 폭을 덮도록 서로의 옆에 위치선정될 수 있다. 16 개의 프린트 헤드들의 단일의 고속 스캔 이동에 의하여 인쇄될 수 있는 16 개의 스와스(swath)들은 인쇄 매체의 전체 폭을 덮을 수 있지만, 단일 고속 스캔 이동에 의하여 전체 폭(full width)의 인쇄된 이미지를 제공하지는 않는데, 이것은 스와스들이 x 방향을 따라서 서로 연결되어 접하지 않기 때문이다. 프린트 헤드 셔틀의 단일 통과(또는 대체적으로는, 고정된 프린트 헤드 구성을 통과하는 인쇄 매체의 단일 통과)에 의하여 전체 폭의 이미지를 인쇄하여, 인쇄 시간을 저감시키고 처리량 및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기 위해서는, 프린트 헤드 셔틀의 대체적인 실시예(= 대체예; alternative embodiment)에 엇갈려 배치된 프린트 헤드 위치들이 제공될 수 있다. 그 엇갈림(staggering)은 엇갈려 배치된 프린트 헤드들의 인쇄된 스와스들이 서로 접하게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예가 도 4 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6 개의 프린트 헤드(49)들이 x 방향의 한 선을 따라서 배치된 것이 아니고, x 방향의 2개 열을 따라서 엇갈려 배치되어 있다. 그 엇갈림은 프린트 헤드들의 스와스(47)들이 단일의 전체 폭으로 인쇄된 이미지로서 접해 연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2 의 프린트 헤드 셔틀 실시예에서는, x 방향을 따라 있는 16 개의 프린트 헤드 위치들이, 스와스 폭과 실질적으로 같은 거리를 갖도록 서로에 대해 이격된 스와스들을 인쇄 매체에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이와 같은 설정은, 프린트 헤드 셔틀의 두 개의 고속 스캔 이동들 간에 저속스캔 방향을 따라 스와스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로 프린트 헤드 셔틀을 이동시킴으로써 인쇄되지 않은 스와스를 채우기 위한 직진성(straightforward) 인터레이싱(interlacing)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을 갖는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프린트 헤드 셔틀 전체가 가볍고 강성이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시트 금속 부품들의 프레임구조물로서 제작된다. 다른 프린트 헤드 셔틀 구조 또는 다른 소재의 이용도 유사한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대체예는, 시트 금속 부품들을 구비한 기계가공된 알루미늄 부품을 갖는 프레임구조물일 수 있다. 기계가공된 알루미늄 부품은 시트 금속에서는 구현되기 어려운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그 프레임구조물은 합성 소재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가볍고, 또한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와 같은 실시예들을 관통하는 공통점은, 프린트 헤드 셔틀 구조의 실질적인 부분이 프레임구조물이라는 것이다.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전술된 프린트 헤드 셔틀의 크기를 갖는 시트 금속 프레임구조물의 편평성 정확도(flatness accuracy)는 보통 수 밀리미터에 불과하다. 그러나, 프린트 헤드 셔틀에서의 프린트 헤드들의 삼차원(3D) 위치는, 허용가능한 드롭렛 착지(droplet landing)의 위치 정확도 및 그와 관련된 인쇄 품질을 달성하기 위하여 마이크로미터(micrometer) 및 밀리라디안(milliradian) 단위의 범위 내에 있을 필요가 있다. 디지털 이미지는 소정의 래스터(raster) 상의 개별의 픽셀(pixel)들로서 인쇄되기 때문에, 드롭렛 착지는 잉크젯 인쇄(ink jet printing)에 있어서 중요한 것이다. 그 래스터로부터 일 픽셀이 벗어나는 것은 인쇄 오류가 되고 육안에 의하여 보일 수 있다.
디지털 프린터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프린트 헤드들을 이용하는데, 그들 모두는 단일의 셔틀 또는 운반기 상에 장착된다. 그들은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에 의하여 셔틀 또는 운반기의 공통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예를 들어 전술된 프린트 헤드 셔틀의 시트 금속 부품으로서, 각 프린트 헤드 위치에 절개부(cutout)를 갖는 것일 수 있다.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의 예로서는, 알. 이손(R. Ison) 등의 미국 특허 제6,796,630호, 유럽 출원번호 제04106837.0호에 개시된 것들이 있으며, 이들은 참조로서 여기에 포함된다.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는 프린트 헤드의 베이스 플레이트 자체 또는 프린터 프레임 상의 어떤 참조 기준물들(reference data)에 대한 위치를 조정하는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위치선정 조정 특징은 매우 정확하게 설계되지만, 그것의 조정 범위에 제한된다. 이 범위는 종종,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조 공차(예를 들어, 편평도)를 보상하기에 불충분한데, 그 제조 공차는 큰 구조물의 경우에는 수 밀리미터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장착 플레이트(mounting plate)(예를 들어, 프린트 헤드 셔틀 프레임구조물의 시트)의 편평도와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정확도 간의 3차원 공간에 있어서의 상세사항 비호환성(specification incompatibility)의 문제는, 도 5a 및 도 5b 에 도시된 장착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의하여 해결된다. 도 5a 는 전술된 프린트 헤드 운반기의 일 부분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은 프린트 헤드 위치만을 도시한다. 도 5a 의 좌표계에 의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a 의 바닥측은 인쇄 매체를 대면한다. 도 5b 는, 프린트 헤드 운반기를 향하는 인쇄 매체 측으로부터 본 것으로서, 프린트 헤드 운반기에 있는 일련의 프린트 헤드 위치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 에 도시된 장착 어셈블리는 각 프린트 헤드 위치를 위한 추가적인 프린트 헤드 장착 타일(mounting tile; 58)을 포함한다. 그래서, 64개의 프린트 헤드 위치들을 포함하는 프린트 헤드 셔틀에는 64개의 타일들이 제공된다. 각 개별의 타일들은 대응하는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를 위한 장착 참조기준(mounting references) 및 장착 기능(mounting functionality)을 베이스 플레이트(57)로부터 전달받는다. 각 타일은, 타일 상에서의 위치 공차를 좁히도록 베이 스 플레이트 상에서의 큰 제조 공차가 저감될 수 있도록, 3차원으로 제어될 수 있는 위치선정 수단을 이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장착된다. 그러므로, 타일의 위치선정 수단은, 잉크젯 인쇄 공정의 상세사항에 따른 정확한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이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의 작동 범위 내에서 실행가능하도록, 타일 자체 상에 좁은 위치선정 공차가 설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타일(58)은 스테인레스 스틸 플레이트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소재로 부터 제작될 수 있다. 타일은 베이스 플레이트(57)에 있는 절개부와 일렬을 이루는 절개부(60)를 갖는데, 이것을 통하여 프린트 헤드가 위치선정될 수 있다. 타일(58)은 베이스 플레이트(57)와 타일(58) 상에 있는 기계적인 참조 기준물을 이용하고 스프링이 장전된 조정 스크류(63)를 이용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57)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타일의 xy 위치는 두 개의 부싱(bushing; 61)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그 중의 하나는 타일 상의 V-홈 형태의 기준물과 협력하고, 다른 하나는 타일 상의 직선형 기준물과 협력한다. 타일들은 스프링(62)에 의하여 이 부싱에 대해 고정된다. 도 5b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두 개의 타일들은 동일한 부싱들을 이용하고 동일한 스프링에 의하여 고정된다. 부싱들이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의 위치들은 부싱들의 z 방향으로의 실질적인 수직의 위치선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연마된다. 부싱들의 이와 같은 수직의 위치선정은, 부싱들을 따른 타일의 z 위치 와는 독립적으로, 타일의 xy 위치가 정확하게 되는 것을 보장한다.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상대적인 타일의 평면상 위치는, 세 개의 스프링이 장전된 스크류(screw; 63)들을 이용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스크류들은 장착 어셈블리의 양 측으로부터 작동가능한바, 즉 프린트 헤드의 인쇄측 또는 바닥측으로부터 작동될 수 있고, 프린트 헤드의 공급측 또는 상측으로부터 작동될 수도 있다. 타일 상의 기계적 기준물과 협력하는 부싱(61), 스프링(62), 및 스크류(63)는, 베이스 플레이트(57) 상의 기계적인 장착 참조기준들이 타일(58)로 전달되고 베이스 플레이트(57)의 제조 공차가 타일(58)의 위치선정 공차로 좁혀질 수 있도록 타일이 3차원 공간에서 위치선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그 타일(58)의 위치선정 공차는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59)에 수용되는 프린트 헤드(64)의 위치를 미세조정(fine tuning)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59)의 위치선정 조정 특징사항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59)는 각 타일(58)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59)의 타일(58)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는 두 개의 스프링이 장전된 조정 스크류(65)들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다. 그 조정은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59)가 장착되는 타일(58)의 장착 표면과 동일 평면에서 이루어진다. 도 5a 에서, 이 장착 표면은 도시된 좌표계의 xy 평면과 평행하다. 그 장착 표면은 전술된 바와 같이 세 개의 스프링이 장전된 스크류(63)들에 의하여 xy 평면과 평행하게 될 수 있다. 레버 시스템(lever system; 미도시)을 통하여, 제1 스크류(65)가 사용됨으로써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의 위치가 x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고, 제2 스크류(65)가 사용됨으로써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의 xy 평면으로의 각도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타일(58) 상에 그리고 간접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57) 상에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59)의 위치가 선정됨에 따라,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59)에 수용 및 고정되는 프린트 헤드(64)의 위치도 결정된다.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의 위치조정 가능성의 상세사항들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 유럽 특허출원 제04106837.0호에 개시되어 있다. 스크류(65)들은 대향하는 측들로부터 작동될 수 있는바, 즉 프린트 헤드의 인쇄측 또는 바닥측으로부터 작동될 수 있고, 프린트 헤드의 공급측 또는 상측으로부터 작동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장착 어셈블리의 특정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이용될 수 있다. 첫 단계로서, 프린트 헤드 장착 타일(58)이 프린트 헤드 운반 프레임구조물(44)의 베이스 플레이트(57) 상에 장착된다. 그것의 위치는,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가 장착되는 타일(58)의 장착 표면이 기준 인쇄 표면(reference printing surface)과 동등한 높이로 조정된다. 이 기준 인쇄 표면은 디지털 프린터(1)의 인쇄 테이블(2)의 표면일 수 있다. 기준 인쇄 표면은 라인으로부터 떨어져서, 즉, 프린트 헤드 운반 프레임구조물(44)이 인쇄 시스템(1)에 장착되지 않은 때에 디지털 프린터(1)의 지지 프레임(5) 상에 프린트 헤드 운반 프레임구조물(44)을 장착하는 데에 사용되는 기계적인 참조기준(47)을 참조함으로써 수립될 수도 있다. 프린트 헤드 운반 프레임구조물(44)은 측량 테이블(calibration table) 상에 장착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측량 테이블의 표면이 기준 인쇄 표면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면들에서, 기준 인쇄 표면은 좌표계의 xy 평면과 평행하다. 기준 인쇄 표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타일(58)의 위치는 부싱(61), 타일 상의 기계적 기준물, 및 스프링(62)에 의하여 제어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기준 인쇄 표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타일의 xy 위치의 위치 정확도는 0.2mm 이내일 수 있고, 기준 인쇄 표면과의 그 높이동등도(levelness)는 20μm 이내일 수 있다. 그 후,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59)가 프린트 헤드 장착 타일(58) 상에 장착된다. 타일의 장착 표면과 상대적이고 동일한 평면을 이루고 따라서 기준 인쇄 표면과 평행한 그것의 위치는, 조정 스크류(65)들과 관련된 위치선정 수단(예를 들어, 앞서 언급된 레버 시스템)의 해상도(resolution)로 조정된다. 특정 실시예에서는,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가 대략 3μm의 해상도, 및 프린트 헤드 운반기(44) 상의 고정된 참조부 또는 인접한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에 대해 상대적으로 대략 ±5μm의 정확도로 위치선정될 수 있다. 유럽 특허출원 제04106837.0호에 개시된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의 특정 실시예에서는, 프린트 헤드의 인쇄 표면(예를 들어, 잉크젯 노즐 플레이트(ink jet s nozzle plate))이 타일(58)의 편평도 및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59)의 위치를 물려받는다. 프린트 헤드의 인쇄 표면이 20μm 미만의 편평도를 가지고 프린트 헤드의 xy 위치 정확도가 대략 ±3 내지 ±5μm 보다 양호하다면, 고품질의 잉크젯 인쇄를 행하기에 충분하다.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59)의 스크류(65)들의 조정 범위가, 베이스 플레이트(57) 또는 프린트 헤드 운반기(44)에 대한 프린트 헤드 장착 타일(58)의 위치선정의 부정확성을 보상하기에 불충분하다면, 프린트 헤드의 인쇄 표면은 허용가능한 인쇄 품질을 제공하도록 위치선정될 수 없다. 그러면, 베이스 플레이트(57) 또는 프린트 헤드 운반기 프레임(44)과 프린트 헤드의 인쇄 표면 사이에 공차 간극(tolerance gap)을 연계(bridge)하는 추가적인 위치선정 수단이 요망된다. 잉크젯 인쇄에 있어서는, 작동적인 잉크젯 인쇄 노즐(operational inkjet printing nozzle)들의 범위를 잉크젯 프린트 헤드 내의 가용한 잉크젯 인쇄 노즐(available inkjet printing nozzle)의 범위 내에서 변경함으로써, 추가적인 위치선정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잉크젯 프린트 헤드가 1/360 인치의 노즐간 거리(노즐 피치(nozzle pitch))를 갖는 배열로 배치된 764 개의 노즐들을 갖는다면, 2 인치의 인쇄 폭에 764 개의 노즐들 중 720 작동 노즐들로 이루어진 연속인접 세트(contiguous set)가 구비될 수 있다. 그 연속인접 세트는 프린트 헤드 제어 회로에 있는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그 선택을 위한 한 노즐만큼의 쉬프트(shift)로 인하여,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59) 또는 장착 타일(58)의 조정없이도 x 위치가 1/360 인치만큼 쉬프트(평행이동)된 720개의 작동 노즐들로 이루어진 다른 연속인접 세트가 선택된다. 그러므로, 인쇄 중에 잉크젯 프린트 헤드에 있는 모든 노즐들이 작동되는 것이 아니라면, 노즐들의 작동하는 세트를 적당하게 선택함으로써, 인쇄 매체 상에의 최종 픽셀들의 추가적인 위치 조정, 즉 인쇄 매체 상에 인쇄된 픽셀을 위한 복수의 노즐 피치(nozzle pitch) 만큼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프린트 헤드에서의 노즐들의 작동 세트를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의 위치를 x 방향으로 일 노즐 피치 거리만큼(즉, -1/2 노즐 피치로부터 +1/2 노즐 피치로) 조정할 수 있는 조정능력을 위해 요망되는 범위가 저감된다. 이러한 접근은, 높은 위치 정확도 및 넓은 조정능력 범위가 요구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부정확한 시트 금속 프레임구조물들과 매우 정확한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상세사항들 간의 간극을 좁히는 다른 프린트 헤드 장착 및 위치선정 방법들과 어셈블 리들이 고안될 수 있다. 상기 어셈블리(assembly)의 개별적인 부품들 간의 복수의 상대적인 위치들을 제어하고 복수의 방향들로 작용하는 것으로서, 스크류, 부싱, 및 스프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복수의 위치 조정 수단들은,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및 궁극적으로는 인쇄 매체 상에 인쇄된 픽셀의 위치선정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중간 타일들 및/또는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를 이용하는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위치 조정 수단에 의하여 대체되거나 또는 그 어셈블리의 다른 부분들 간에 채택될 수 있다.
열적 안정성
종래 기술에서, 잉크젯 인쇄 공정들에 있어서의 핫멜트 잉크(hot melt ink) 또는 자외선-경화가능한 잉크(UV-curable ink)의 잉크 온도가 중요한 인쇄 품질 및 인쇄 신뢰성을 결정하는 파라미터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잉크 공급부 및 잉크젯 프린트 헤드 모두에 있어서, 이러한 잉크젯 공정들에서의 잉크 온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많은 접근법들이 설명되어 왔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잉크젯 프린트 헤드의 개별적 잉크젯 챔버들을 작동시킴에 의한 국지적인 열 발생이 열 관리를 방해하고 인쇄 공정에 영향(예를 들어 드롭렛 크기가 변화될 수 있음)을 미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잉크젯 프린트 헤드에 의하여 분사(jet)될 잉크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많은 수의 해결법들이 잉크 공급부 및 프린트 헤드 레벨(level)에서 이미 제공되었다.
종래 기술에서 별로 접근되지 않은, 잉크젯 프린터들의 열적 안정성 문제는, 장착 프레임(mounting frame) 또는 프린트 헤드 셔틀의 열적 안정성, 특히 프린트 헤드의 정확한 위치선정을 위하여 사용되는 프레임 또는 셔틀 상의 참조부의 열정 안정성이다. 기계 구조물에 있어서의 온도 변화는, 그 구조물의 치수적 불안정성을 야기하는 응력을 발생시킨다. 장착 또는 프린트 헤드 셔틀 프레임구조물에 있어서, 기계적 구조물에서의 온도 변화는, 상승된 온도에서 작동되는 잉크 공급 시스템의 부품들(예를 들어, 45℃로 공급되는 자외선-경화가능한 잉크 또는 대략 100℃ 이상의 온도로 공급되는 핫멜트 잉크)을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온도 변화는, 분사 직후에 잉크의 경화 또는 건조를 위하여 헤드 셔틀에 있는 프린트 헤드들과 함께 또는 동기적으로 앞뒤로 왕복하는 방사식 경화 또는 건조 유니트들의 작동에 의하여도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경화 시스템은 자외선 광 뿐만 아니라 상당량의 적외선 광도 방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적외선 광은 주위로 발산되고, 프린트 헤드 셔틀 프레임구조물을 포함한 주변 구조물들을 가열시킨다. 프린트 헤드 셔틀 프레임구조물의 가열은, 프레임구조물의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용 참조부의 위치 이동(positional drift)으로 이어질 수 있다. 위치 이동에 대한 해결책은,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용 참조부의 치수적 안정성에 기여하는 위치에 있는 셔틀 프레임구조물을 능동적으로 냉각시킴에 의하여 제공된다. 도 6a 에는 능동적인 냉각 채널들이 전술된 프린트 헤드 셔틀의 시트 금속 프레임구조물 내에 제공될 수 있는 위치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프린트 헤드 셔틀 자체는 거기에 능동적인 냉각 채널들이 도입될 수 있는 투명한 모델로서 도시되었다. 세 개의 베이스 플레이트 냉각 채널(70)들이 프린트 헤드 운반기의 바닥측에 가깝게 배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와 열적으로 접촉된다. 베이스 플레이트 채널들은, 프린트 헤드 운반기의 그 영역에 있는 경화 유니트 또는 다른 열원의 발산된 적외선 광에 의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온도 상승에 맞서는 냉각을 제공할 수 있다. 잉크젯 프린트 헤드들로 가열된 잉크를 배분 및/또는 수집하기 위한 유틸리티 바(utility bar)가 장착되는 위치들에 있는 교량부에는 두 개의 교량형 냉각 채널(71)들이 부착되어 있다. 채널(71)들은 그 교량부와 유틸리티 바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유틸리티 바로부터 그 교량부의 시트 금속 프레임구조물로이 열전달을 방지한다. 도 6b 에는 도 6a 에 도시된 프린트 헤드 셔틀의 단면도로서 x 축에 수직한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6c 및 도 6d 는 냉각 채널들의 위치를 도시하는 상세도들이다. 도 6c 에는 프린트 헤드 셔틀의 후방부(46)에 있는 프린트 헤드 위치들의 선을 따라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 냉각 채널(70)들의 위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c 에 도시된 도면은 도 5a 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 프린트 헤드 장착 타일(58)들 및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59)들이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57)가 도시되었다. 냉각 채널(70)들은 프린트 헤드 열(row)의 양 측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열적으로 접촉하도록 제공된다. 그들은 브래킷(bracket; 72)들을 이용하여 부착된다. 도 6a 의 검토로 되돌아가 보면, 냉각 채널(70)은 프린트 헤드 셔틀의 전방부(45)에서 프린트 헤드 위치들의 제1 열 앞에, 프린트 헤드 위치들의 제1 열과 제2 열 사이에, 그리고 프린트 헤드 위치들의 제2 열 뒤에 제공된다. 이와 유사한 구성이 프린트 헤드 셔틀의 후방부(46)에 제공된다. 도 6d 에는 교량형 냉각 채널(71)들의 위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냉각 채널(71)들은 교량부(41)의 시트 금속 플레이 트(74) 상의 브래킷(73)들로 장착된다. 프린트 헤드 셔틀 냉각 채널들의 이 특정 실시예에서는 8mm 의 내경을 갖는 구리 파이프가 사용된다. 그러나, 냉각 채널들은 대체적인 개념의 것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대체예들로서는, 프린트 헤드 프레임구조물의 시트 금속 부품들에 고정되어 냉각 채널들과 함께 시트 금속 부품의 샌드위치를 형성하는 돌출부들 또는 기계가공된 사각 채널들일 수 있다. 교량형 냉각 채널들은 교량부의 내측에 위치되거나 또는 외측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그 냉각 채널들은 구리가 아닌 다른 소재로 제작될 수있다. 물을 포함하여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의 냉각용 유체가 사용될 수 있다. 구조물의 치수적인 안정성에 중요한 프린트 헤드 셔틀 상의 위치들로부터 열 에너지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냉각 채널들이 냉각용 유체의 공급부에 연결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그 공급 시스템은 그 냉각용 유체로부터 열을 인출하기 위한 열 교환기를 포함하는 폐쇄형 루프 순환 시스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순환 시스템에 있어서의 냉각용 유체의 유동속도는 조정가능한 것일 수 있다. 프린트 헤드 셔틀에 냉각용 회로가 기계적으로 구현되면, 그 열 교환기의 설정 및 냉각용 유체의 유동속도는 냉각 효율을 제어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고, 그러므로 프린트 헤드 셔틀 프레임구조물의 온도가 제어될 수 있다. 적용의 많은 경우들에 있어서, 프린트 헤드 셔틀은 다수의 위치들에서의 그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능동 냉각을 필요로 할 것이다. 그러나, 그 냉각 회로는 냉각 회로를 따른 위치들에서 프린트 헤드 셔틀을 가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프린트 헤드 셔틀 및 프레임구조물의 치수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프린트 헤드 셔틀의 다수의 위치들이 온도제어되는 것은 중요 하다.
프린트 헤드 셔틀 장착
도 2 를 참조하면, 프린트 헤드 셔틀의 일 지지 단부는 다른 지지 단부보다 크다. 프린트 헤드 셔틀의 좌측 지지 단부의 바닥측에서, 프린트 헤드 셔틀은 저속스캔 방향으로 방향잡힌 두 개의 선형 슬라이드들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베이스들(도 2 에서는 보이지 않음)을 포함한다. 우측 지지 단부의 바닥측에서, 프린트 헤드 셔틀은 동일한 저속스캔 방향으로 방향잡힌 단일의 선형 슬라이드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베이스(47)로서 표시된 하나의 장착 베이스를 포함한다. 선형 슬라이드들은 프린트 헤드 셔틀이 저속스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프린트 헤드 셔틀의 저속스캔 방향을 따른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선형 슬라이드들에 대해 하나가 연결된) 선형 모터(linear motor)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선형 슬라이드들은, 저속스캔 선형 슬라이드들을 포함하여 전체 프린트 헤드 셔틀을 고속스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고속스캔 구동 시스템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 연결에 있어서는, 이동 중에 프린트 헤드 셔틀 프레임구조물에 비틀림을 야기하거나 또는 고속스캔 구동 시스템에 응력을 야기하지 않고 프린트 헤드 셔틀의 제한된 비뚤어짐(skew) 또는 흔들림을 허용하는 볼 조인트(ball joints)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린트 헤드 셔틀의 인쇄 테이블에 대해 상대적인 고속스캔 이동 및 저속스캔 이동 둘 다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른 실시예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 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첨부된 청구항들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들이 창출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트 헤드를 정확하게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 어셈블리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인쇄 시스템(1)에 장착되기에 적합한 프린트 헤드 운반 프레임구조물(44) 상에 프린트 헤드(64)를 장착 및 위치선정하기 위한 프린트 헤드 장착 어셈블리로서, 프린트 헤드 장착 어셈블리는:
    프린트 헤드(64)를 수용하는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59); 및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59)가 장착되는 장착 표면을 갖는 프린트 헤드 장착 타일 (58);을 포함하고,
    프린트 헤드 운반기 프레임구조물(44) 상에 조정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린트 헤드 장착 타일(58) 상에는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59)가 조정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헤드 장착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프린트 헤드 운반 프레임구조물 (44)은, 프린트 헤드 운반 프레임구조물(44)에 대해 프린트 헤드 장착 타일(58)을 위치선정하기 위한 기계적인 참조부(61)를 포함하는, 프린트 헤드 장착 어셈블리.
  3. 앞선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린트 헤드 운반 프레임구조물(44)이 인쇄 시스템(1)에 장착된 때에 프린트 헤드 장착 타일(58)의 장착 표면이 기준 인쇄 표면(2)과 동등한 높이에 있도록 프 린트 헤드 장착 타일(58)의 위치를 프린트 헤드 운반 프레임구조물(44)에 대해 조정하기 위한 높이동등화 수단(leveling means; 63)을 더 포함하는, 프린트 헤드 장착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높이동등화 수단(63)은, 프린트 헤드 장착 타일(58)과 프린트 헤드 운반 프레임구조물(44) 사이에 배치되고 스프링이 장전된 스크류를 포함하는, 프린트 헤드 장착 어셈블리.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프린트 헤드 장착 타일(58)의 장착 표면은 20μm 이내의 범위로 기준 인쇄 표면(2)과 동등한 높이에 있는, 프린트 헤드 장착 어셈블리.
  6. 앞선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린트 헤드 장착 타일(58)의 장착 표면 상에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59)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위치선정 수단(65)을 더 포함하는, 프린트 헤드 장착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59)가 3μm 이하의 해상도, 및 프린트 헤드 운반 프레임구조물(44) 상에 장착된 다른 프린트 헤드 장착 어셈블리의 다른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에 대해 5μm 이하의 정확도로 위치선정되는, 프린트 헤드 장착 어셈블리.
  8. 앞선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프린트 헤드 장착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프린트 헤드 셔틀(4)로서, 프린트 헤드 셔틀(4)은 기준 인쇄 표면(2)과 동일 평면에 위치된 인쇄 매체(3)를 가로질러 왕복하기 위한 것인, 프린트 헤드 셔틀 (4).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프린트 헤드 장착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1).
  10. 프린트 헤드(64)를 프린트 헤드 운반 프레임구조물(44) 상에 장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프린트 헤드(64)를 수용하기 위한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59)를 제공하고, 프린트 헤드(64)를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59)에 장착하는 단계; 및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59)의 장착을 위한 장착 표면을 갖는 프린트 헤드 장착 타일(58)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프린트 헤드 장착 타일(58) 상에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59)를 조정가능하게 장착하는 단계, 및 프린트 헤드 운반 프레임구조물(44) 상에 프린트 헤드 장착 타일(58)을 조정가능하게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 린트 헤드를 장착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헤드 장착 타일(59)을 조정가능하게 장착하는 단계는, 프린트 헤드 운반 프레임구조물(44)이 인쇄 시스템(1)에 장착된 때에 프린트 헤드 장착 타일(58)의 장착 표면이 기준 인쇄 표면(2)과 동등한 높이에 있도록 프린트 헤드 장착 타일(59)의 장착 표면의 높이를 맞추는 것을 포함하는, 프린트 헤드를 장착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59)를 조정가능하게 장착하는 단계는 프린트 헤드 장착 타일(58)의 장착 표면 상에 프린트 헤드 위치선정 장치(59)의 위치를 선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프린트 헤드를 장착하는 방법.
KR1020077027767A 2005-05-30 2006-05-30 프린트 헤드 장착 어셈블리, 및 운반기 프레임구조물에프린트 헤드를 장착하는 방법 KR100948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104627.4 2005-05-30
EP05104627 2005-05-30
US69219905P 2005-06-20 2005-06-20
US60/692,199 2005-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7643A true KR20080007643A (ko) 2008-01-22
KR100948563B1 KR100948563B1 (ko) 2010-03-18

Family

ID=36691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7767A KR100948563B1 (ko) 2005-05-30 2006-05-30 프린트 헤드 장착 어셈블리, 및 운반기 프레임구조물에프린트 헤드를 장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37298B2 (ko)
EP (2) EP1890885B1 (ko)
KR (1) KR100948563B1 (ko)
AT (1) ATE438513T1 (ko)
DE (1) DE602006008300D1 (ko)
ES (1) ES2329080T3 (ko)
WO (2) WO20061288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0186A (ko) 2016-03-09 2018-11-05 가부시키가이샤 도우사 고가쿠 겐큐쇼 설페이트기 및/또는 포스페이트기를 갖는 당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582526T3 (en) * 2010-06-18 2014-12-08 Padaluma Ink Jet Solutions Gmbh & Co Kg Print-head module
CN102490471B (zh) * 2011-11-25 2014-11-05 深圳市润天智数字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喷头定位装置及应用该装置的喷绘打印机
US20170173946A1 (en) * 2015-12-18 2017-06-22 Ricoh Company, Ltd. Head device and liquid discharge apparatus including the head device
JP2017209975A (ja) * 2015-12-18 2017-11-30 株式会社リコー ヘッドユニット、液体を吐出する装置
WO2018017058A1 (en) 2016-07-19 2018-01-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systems
WO2018017063A1 (en) 2016-07-19 2018-01-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lasma treatment heads
US10532582B2 (en) 2016-07-19 2020-01-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systems
US20190135007A1 (en) * 2016-07-19 2019-05-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systems
EP3414096A4 (en) 2016-07-19 2019-05-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SYSTEMS
US10500792B2 (en) 2017-07-27 2019-12-10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oll alignment of a multi-nozzle extruder in three-dimensional object printers using cross-process measurements
US10493696B2 (en) 2017-07-27 2019-12-03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lignment of a multi-nozzle extruder in three-dimensional object printer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6849A (en) * 1990-04-06 1996-01-23 Canon Kabushiki Kaisha Thermal recording device with heat exchanger
US5880757A (en) * 1991-11-04 1999-03-09 Hewlett-Packard Company Print resolution enhancement by adjusting printhead position
EP0870622A1 (en) * 1997-04-07 1998-10-14 Xerox Corporation Ink jet printer with improved printhead cooling system
GB0003760D0 (en) 2000-02-17 2000-04-05 Xaar Technology Ltd Droplet deposition apparatus
JP4631253B2 (ja) * 2002-06-17 2011-02-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
EP1674279A1 (en) 2004-12-22 2006-06-28 Agfa-Gevaert Position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0186A (ko) 2016-03-09 2018-11-05 가부시키가이샤 도우사 고가쿠 겐큐쇼 설페이트기 및/또는 포스페이트기를 갖는 당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90885A1 (en) 2008-02-27
ES2329080T3 (es) 2009-11-20
EP1890885B1 (en) 2009-08-05
WO2006128854A1 (en) 2006-12-07
EP1890886A1 (en) 2008-02-27
ATE438513T1 (de) 2009-08-15
DE602006008300D1 (de) 2009-09-17
KR100948563B1 (ko) 2010-03-18
WO2006128859A1 (en) 2006-12-07
US20100002050A1 (en) 2010-01-07
US7837298B2 (en) 2010-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8563B1 (ko) 프린트 헤드 장착 어셈블리, 및 운반기 프레임구조물에프린트 헤드를 장착하는 방법
US20080273910A1 (en) Print Head Shuttle with Active Cooling
EP2228219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full-width wide format inkjet printing
EP1534528B1 (en) Multi-printhead digital printer
EP1918113B1 (en) Three-dimensional printer
US8882243B2 (en) Ink jet printer
JPH0825703A (ja) 移動可能なプリントヘッドを有するプリンタ
CN101171136A (zh) 用于数字打印机的移动底板介质传输
KR20150118535A (ko) 잉크젯 프린터용 모듈형 프린트 바 조립체
CN101171135A (zh) 用于数字打印机中的步进介质传输系统的介质保持辅助器
US7845769B2 (en) Ink jet printhead
US9592685B2 (en) Scanning inkjet printing system
US817236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full-width wide format inkjet printing
EP3077208B1 (en) Scanning inkjet printing system
JP2008179081A (ja) 液滴吐出装置及び液滴吐出装置の製造方法
JP2008062434A (ja) 液滴吐出装置
CN1454149A (zh) 利用额外墨点纠正喷墨错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