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847A -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을 함유한 키토산 복합체 및 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을 함유한 키토산 복합체 및 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847A
KR20080006847A KR1020060066107A KR20060066107A KR20080006847A KR 20080006847 A KR20080006847 A KR 20080006847A KR 1020060066107 A KR1020060066107 A KR 1020060066107A KR 20060066107 A KR20060066107 A KR 20060066107A KR 20080006847 A KR20080006847 A KR 20080006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tosan
group
chitosan complex
imidazole group
compl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6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1391B1 (ko
Inventor
조용우
김상윤
문대혁
권익찬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66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1391B1/ko
Priority to PCT/KR2007/003447 priority patent/WO2008007932A1/en
Publication of KR20080006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61K9/5107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51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Dendrimers
    • A61K9/5161Polysaccharides, e.g. alginate, chitosan, cellulose derivative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3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our-membered rings, e.g. tax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6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saccharide or a derivativ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61K9/5192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6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 C08B37/0024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beta-D-Glucans; (beta-1,3)-D-Glucans, e.g. paramylon, coriolan, sclerotan, pachyman, callose, scleroglucan, schizophyllan, laminaran, lentinan or curdlan; (beta-1,6)-D-Glucans, e.g. pustulan; (beta-1,4)-D-Glucans; (beta-1,3)(beta-1,4)-D-Glucans, e.g. lichenan;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272-Acetamido-2-deoxy-beta-glucan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3Chitin, i.e. 2-acetamido-2-deoxy-(beta-1,4)-D-glucan or N-acetyl-beta-1,4-D-glucosamine; Chitosan, i.e. deacetylated product of chitin or (beta-1,4)-D-glucosamine;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을 함유하는 키토산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글리콜 키토산의 아미노기와 중성의 영역에서는 소수성을 갖으나 약한 산성의 영역에서는 친수성을 갖는 히스티딘을 결합하여 중성의 수용액 상에서 안정적인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을 함유하는 키토산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키토산 복합체는 항암제를 포함한 다양한 소수성 약물 및 유전자를 효과적으로 키토산 복합체의 내부로 물리적인 봉입이 가능하여 의료용 약물전달체, 분자 영상학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추적자 및 유전자 전달체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pH 민감성, 나노자기집합체, 글리콜 키토산, 히스티딘, 이미다졸

Description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을 함유한 키토산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Chitosan complex containing pH sensitive imidazole group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키토산 복합체의 세포 내 거동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토산 복합체로 형성된 나노 자기집합체의 입자 크기를 동적광산란법(dynamic light scattering, DLS)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토산 복합체에 항암제인 파클리탁셀을 봉입한 후 암세포주에 처리하여 암세포의 세포주기를 유세포분석기(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ing, FACS)로 측정한 결과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토산 복합체를 방사선 동위원소(131I)로 표지한 후, 종양을 갖고 있는 실험용 쥐의 꼬리 정맥을 통해 주사하여 키토산 복합체의 종양 선택성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을 함유하는 키토산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많은 약물들이 질환 부위에 적절한 약효를 나타내기 위해 필요로 하는 양보다 많은 양을 투약하여 약효를 나타내지만, 적절치 않은 약물의 양으로 인해 그 이외의 부분에서는 부작용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로 인해, 많은 제약회사들은 상기 부작용을 줄이고, 약효를 극대화하도록 하는 제형에 대한 필요성을 갖게 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이하 DDS)에 대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데, 상기 DDS란, 기존 의약품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효능 및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방법이며, 이것은 이전보다 낮은 농도 또는 투약하기 곤란한 약물의 선택성을 개선하는데 유용하다. 투여되는 약물이 물리화학적으로나 약동학적으로 특별한 특성, 예를 들면 높은 수용성, 높은 지용성, 불용해성 등을 보인다면, 특별한 전달체계의 사용이 요구된다.
또한, 특별한 요구사항을 갖는 약물들, 예를 들면, 독성이 심한 일회 투여되는 주사용 약물, 세포독성을 갖는 불안정 약물, 고청소율을 갖는 약물, 생체내에서 쉽게 불활성화되는 약물, 국소적 적용이 요구되는 약물 등은 적절한 DDS를 갖도록 고려되어야 한다. 상기 DDS기술은 70년대부터 선진국들이 첨단기술을 동원해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다. 87년 물질특허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위기의식을 느낀 국내 제약회사들이 평균 15년의 기간과 2억 달러 이상의 비용이 소요되는 신약개발보다는 기존 약물의 단점을 개선한 DDS을 응용한 제품 개발이 새로운 신약개발에 필요한 기간과 비용이 약 1/3로 단축되고 성공 확률도 매우 높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에 많은 제약회사에서 DDS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되었다. 국내에서는 90년부터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특허출원은 92년 이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키토산은 자연계에서 셀룰로오스(cellulose) 다음으로 풍부한 천연 고분자 재료인 키틴(chitin)을 탈아세틸화(deacetylation)하여 얻어지는 화합물을 총칭하는 것으로, 2-아미노-2-디옥시-β-D-글루코피라노오스(2-amino-2-deoxy-β-D-glucopyranose)로 구성된 다당류(polysaccharide)이다. 키토산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다른 다당류와 달리 주쇄에 1차 아민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매우 독특한 성질을 나타내어, 환경, 농업, 의약 등 여러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고, 특히 생체적합성 및 생분해성이 우수하여 유전자 및 약물전달체, 조직공학을 위한 스케폴드, 주입형 하이드로젤 등의 구성요소로서 의약분야에서 집중적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Polym . Int . 1999, 48, 732~734).
나노는 수십 ~ 수백 나노미터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화학적 요소, 올리고 핵산, siRNA, DNA, 단백질 등과 같은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성분들을 나노 크기의 전달체를 사용하여 세포내로 전달시키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 들을 이용한 효과가 분명하게 나타나기 위해서는 세포막 사이에 특이적인 경로 또는 비특이적 경로를 거쳐 세포막의 지질 이중층을 통과하여 세포질 내에 약물의 방출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친수성과 소수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양친성 고분자는 수용액 상에서 계면에너지의 안정화를 위해 소수성 블록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교질입자(micelle) 또는 자기집합체(self-aggregate)를 형성하게 된다. 양친성 고분자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교질입자는 친수성 및 소수성의 정도에 따라 입자의 크기, 분포, 유동학적 성질, 열역학적 안정성 등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교질입자 내부의 소수성 영역(hydrophobic domain)에 여러 가지 소수성 약물을 봉입하여 약물의 선택적 및 효과적인 수송을 유도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Adv. Drug. Deliv. Rev. 2001, 47, 113-131).
이를 응용한 약물 전달 시스템의 종래 기술에는, 일본 동경대의 카타오카 교수 팀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oxide)와 폴리아스파르트산(polyaspartic acid)으로 구성된 블록형 고분자 공중합체에 항암제인 아드리아마이신(adriamycin)을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항암제 함유 교질입자를 개발하였다(J. Control . Release . 2001, 74, 295-302).
또한, 오카노 등은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N-isopropylacrylamide)와 스티렌(styrene)으로 구성된 양친성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는데, 이는 수용액 상에서 상온일 때는 약 20 nm 크기의 교질입자를 형성하고, 32 ℃ 이상의 온도에서 는 교질입자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커다란 집합체를 이루는 특징이 있어 온도에 따른 교질입자의 거동을 이용한 표적형 약물전달체로서의 가능성을 보고하였다(J. Control. Release . 1997, 48, 157-164).
한편, 수나모토 등은 교질입자를 형성하는 콜레스테롤(Cholesterol) 함유 다당류를 개발하여 단백질 약물전달체로서의 응용가능성을 보고하였다(J. Am . Chem . Soc. 1996, 118, 6110-6115).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들에는 생체내 같은 기관에서 다른 pH 분포를 보이는, 예를 들면, 암과 같은, 부위에 선택적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보고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 및 생분해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중성 혹은 염기성에서는 나노자기집합체가 형성되고 산성에서는 나노자기집합체가 해체되면서 그 내부에 봉입된 약물이 세포내로 방출될 수 있는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을 함유한 키토산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용성 키토산의 사슬에 소수성기로서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을 도입하여 나노자기집합체를 형성하는 키토산 복합 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성 키토산에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을 부가하여 아마이드 결합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키토산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자기집합체를 형성하는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을 함유한 키토산 복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키토산 복합체는 수용성 키토산의 아미노기와 상기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의 카복실기가 결합하여 자기집합체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용성 키토산은 수용성 글리콜 키토산, 키토산 올리고머, 아세틸화된 키토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은 히스티딘, N-아세틸 히스티딘, 폴리히스티딘 중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은 키토산 단량체에 대하여 1 내지 30%의 범위로 치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범위에서 DDS 약물을 봉입하기 위한 최적의 자기복합체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을 함유한 키토산 복합체는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의 소수성기와 키토산의 친수성기에 의한 양친성으로 인하여 수계에서 구형 자기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키토산 복합체의 크기는 직경이 50 ㎚ 내지 500 ㎚의 범위가 될 수 있 으며, 상기 키토산 복합체의 크기는 형성된 키토산 복합체가 표적세포로 이동하기에 적절하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성 키토산의 사슬에 소수성 기로서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을 도입하여 자기집합체가 형성된 키토산 복합체에 파클리탁셀이 봉입된 키토산 나노파클리탁셀을 제공한다.
상기 키토산 나노파클리탁셀은 세포이물흡수(endocytosis) 단계를 거치는 동안 엔도좀(endosome) 내 pH 환경이 산성으로 변하여 자기집합체의 히스티딘이 소수성에서 친수성 성질로 바뀌게 된다. 이에 친수성 및 소수성 균형이 무너지게 되면서, 내부에 봉입된 파클리탁셀을 방출하게 된다. 이는 기존의 자기집합체가 세포내로 전달은 되지만, 약물 방출이 너무 느리거나 방출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을 도입함으로서 해결한 것이다.
상기 파클리탁셀의 봉입효율은 30 내지 95%일 수 있다. 이러한 봉입 효율의 증가에 따른 상기 파클리탁셀이 봉입된 키토산 나노파클리탁셀은 증가된 항암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본 발명의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을 함유한 키토산 복합체의 내부에 물리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항암제로서 모든 종류의 소수성 항암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아드리아마이신, 시스-플라틴(cis-platin), 미토마이신-C, 다우노마이신(daunomycin), 5-플루오로우라실(5-fluorouracil)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기집합체(self-aggregate)는 친수성 및 소수성을 모두 가진 양친성 분자가 수용액 상에서 회합하여 형성하는 구형집합체로서 친수성기는 구형 집합체의 외부에 소수성기는 내부에 모이게 된다[Adv. Drug Deliv. Rev., 1996, 21, 107]. 따라서 소수성을 가지는 여러 항암제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체계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기집합체를 형성하는 양친성 고분자를 이용한 약물 전달 방법은 표적세포에 대한 선택성을 충분히 나타내면서 정상세포에의 독성을 현저히 줄이고, 장기간 약물이 지속적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약물 전달체계로서 암과 같은 심각한 질환을 치료하는 새로운 개념의 치료법의 연구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을 함유한 키토산 복합체는 일반 저분자량의 항암제보다 투과 보유성 효과(enhanced permeability and retention, 이하 EPR)에 의하여 암조직에 대한 선택성이 높아, 더 많은 양이 암조직에 축적되어 효과적으로 항암 작용을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주쇄로 사용되어진 친수성 키토산과 결합된 pH 민감성 히스티딘에 의하여 수용액 상에서 수십 ~ 수백 나노미터 크기의 구형 자기집합체를 자발적으로 형성하여 항암제의 전달체로서 표적 지향적이며, 지속적 약물 방출이 가능한 높은 항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약제로서 암 등의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성 키토산에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을 부가하여 아마이드 결합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키토산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반응액에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염산염(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hydrochloride, 이하 EDC) 및 N-하이드로숙신이미드(N-hydrosuccinimide, 이하 NHS)를 첨가하여 상기 아마이드 결합의 유도를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은 히스티딘, N-아세틸 히스티딘, 폴리히스티딘 중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용성 키토산은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에 녹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은 히스티딘 계열의 화합물에 포함된 것으로 인산완충식염수에 녹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은 키토산 단량체에 대하여 1 내지 30%의 범위로 치환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치환되는 pH 민감성 이미다졸에 의해 자기집합체의 형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반응액에 나노파클리탁셀을 부가하여 상기 나노파클리탁셀이 상기 수용액 키토산 복합체의 소수성기인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에 봉입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키토산 복합체는 항암제를 포함한 다양한 소수성 약물 및 유전자를 효과적으로 나노자기집합체 내부로 물리적으로 봉입시킬 수 있으므로 약물전달체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히스티딘을 함유 키토산 복합체의 제조
글리콜 키토산(Mw: 250 kDa) 0.5 g을 100 ㎖의 인산완충식염수에 용해시킨 후, 상기 용액에 글리콜 키토산의 단량체 100 개에 대하여 히스티딘이 5 ~ 30 개가 치환될 수 있는 양을 천천히 적하하였다. EDC 및 NHS는 상기 용액에 첨가된 히스티딘에 대한 몰 비를 기준으로 3 배에 해당하는 양을 천천히 적하시킨 후 상온에서 24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 후 반투과막을 사용하여 탈 이온수에서 4 일간 투석(dialysis)을 진행한 후 동결 건조하여 본 발명의 히스티딘이 함유된 키토산 복합체의 나노자기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N-아세틸 히스티딘 함유 키토산 복합체의 제조
N-아세틸 히스티딘을 상기용액의 글리콜 키토산의 단량체 100 개당 5 ~ 30 개를 치환시킬 양 및 그에 따른 N-아세틸 히스티딘 첨가량의 3배에 해당하는 EDC 및 NHS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N-아세틸 히스티딘이 함유된 키토산 복합체의 나노자기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생체내 추적용 방사성 동위원소가 도입 가능한 히스티딘이 함유된 키토산 복합체
상기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키토산 복합체 0.5 g을 탈 이온수 100 ㎖에 용해시킨 후, N-아세틸 티로신(N-acetyl tyrosine)을 상기용액의 글리콜 키토산의 단량체 100 개당 1 ~ 20 개를 치환시킬 양을 적하하고, 방사선 동위원소 131I을 도입하였다. 반응 완료 후 반투과막을 사용하여 탈 이온수에서 4일간 투석한 후, 동결건조하여, 방사선 동위원소의 도입이 가능한 히스티딘이 함유된 키토산 복합체의 나노자기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생체내 추적용 방사성 동위원소가 도입 가능한 N-아세틸 히스티딘 함유 키토산 복합체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키토산 복합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사선 동위원소 131I을 도입하여 N-아세틸 히스티딘 함유된 키토산 복합체의 나노자기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키토산 복합체의 N-아세틸 히스티딘의 치환도 측정
본 발명의 키토산 복합체의 N-아세틸 히스티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키토산 복합체를 중수(D2O)/디메틸술폭사이 드(dimethylsulfoxide)(d-6)(1/4, v/v) 혼합용매에 1 ㎎/㎖의 농도로 녹여 1H-NMR로 측정한 후, 7 ~ 8 ppm 영역의 히스티딘 특성 피크 및 3.0 ~ 3.3 ppm 영역의 키토산의 C-2 수소의 특성 피크로부터 N-아세틸 히스티딘 치환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공급비율 N-아세틸 히스티딘/키토산 단량체 100개 N-아세틸 히스티딘 치환도(%)
실시예 2 5 3.5
10 6.7
20 12.3
30 17.8
상기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N-아세틸 히스티딘 함유 키토산 복합체의 합성시에 공급되는 N-아세틸 히스티딘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키토산 복합체의 N-아세틸 히스티딘의 치환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pH에 따른 키토산 복합체의 형태 변화
pH의 변화에 따른 키토산 복합체의 수용액 상에서 형성된 나노자기집합체의 입자 크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N-아세틸 히스티딘 함유 키토산 복합체를 수용액 상에 녹인 후, 형성되는 나노자기집합체의 크기를 관찰하기 위하여 키토산 복합체를 pH 7.4인 인산완충식염수에 1 ㎎/㎖의 농도로 녹이고, 동적광산란법(dynamic light scattering, 이하 DLS)을 이용하여 중성 영역에서 형성된 나노자기집합체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pH 7.4 중성의 수용액에서 형성된 나노자기집합체가 보였다. 이에, 상기 나노자기집합체는 중성 영역에서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항암제가 함유된 나노자기집합체의 암세포 독성 실험(in vitro)
항암제가 함유된 나노자기집합체의 암세포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하였다.
항암제인 파클리탁셀(paclitaxel)을 실시예 2의 나노자기집합체 내부에 봉입시킨 후, 이를 인간 폐암세포주(A549) 및 인간 유방암세포주(MDA-MB231)에 처리하였다. 유세포분석기(FACS, 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er)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세포주기를 관찰하여 상기 나노자기집합체의 항암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항암제가 함유된 나노자기집합체를 인간 폐암세포주 및 인간 유방암세포주에 처리했을시, 1시간 내에 G0/G1기는 대조군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후, 6시간부터는 G2/M기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24시간 후에는 G2/M기가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항암제가 함유된 나노자기집합체가 암세포 내로 전달되어, 낮은 pH를 갖는 상기 암세포에서 나노 자기집합체가 해체되면서 항암제가 세포내에 방출되었으며, 이로 인해 세포주기 정지(cell cycle arrest)로 암세포의 괴사를 유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상기 나노자기집합체는 매우 뛰어난 전달체인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나노자기집합체의 종양 선택성 실험(in vivo)
나노자기집합체의 종양 선택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하기와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2를 암세포가 이식된 실험용 쥐의 꼬리 정맥으로 실시예 4에 따른 생체내 추적용 방사선 동위원소가 도입된 N-아세틸 히스티딘 함유 키토산 복합체를 주사하고, 감마카메라 영상을 통한 핵의학 영상화 기술로 나노자기집합체의 종양 선택성을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나노자기집합체에 방사선 동위 원소(131I)를 표지한 상기 나노자기집합체를 감마카메라로 촬영했으며, 이를 통하여 종양이 분포하는 부분에서 상기 방사선 동위원소가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상기 나노자기집합체는 매우 뛰어난 분자 영상학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추적자임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을 함유하는 키토산 복합체, 이의 제조방 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키토산 복합체는 생체 적합성(biocompatibility) 및 생분해성(biodegradability)이 우수하며, 수용액 상에서 표면이 친수성 글리콜 키토산으로 구성되고 내부가 소수성 히스티딘으로 이루어진 수십 ~ 수백 나노미터 크기의 구형 집합체로, 항암제를 포함한 다양한 소수성 약물, 추적자 및 유전자를 효과적으로 나노자기집합체 내부로 물리적인 봉입이 가능하여 의료용 약물전달체, 분자영상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추적자, 유전자 전달체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3)

  1. 수용성 키토산의 사슬에 소수성기로서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을 도입하여 자기집합체를 형성하는 키토산 복합체.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키토산의 아미노기와 상기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의 카복실기가 결합하여 자기집합체를 형성하는 것인 키토산 복합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키토산은 수용성 글리콜 키토산, 키토산 올리고머, 아세틸화된 키토산 중에서 1종 이상이 선택되는 것인 키토산 복합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은 히스티딘, N-아세틸 히스티딘 및 폴리히스티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이 선택되는 것인 키토산 복합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은 키토산 단량체에 대하여 1 내지 30%의 범위로 치환된 것인 키토산 복합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 복합체의 크기는 직경이 50 ㎚ 내지 500 ㎚의 범위인 것인 키토산 복합체.
  7. 제1항에 따른 수용성 키토산의 사슬에 소수성 기로서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을 도입하여 자기집합체가 형성된 키토산 복합체에 파클리탁셀이 봉입된 키토산 나노파클리탁셀.
  8. 수용성 키토산에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을 부가하여 아마이드 결합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키토산 복합체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액에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염산염(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hydrochloride) 및 N-하이드로숙신이미드(N-hydrosuccinimide)를 첨가하여 상기 아마이드 결합의 유도를 더욱 활성화시키는 키토산 복합체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은 히스티딘, N-아세틸 히스티딘 및 폴리히스티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이 선택되는 것인 키토산 복합체의 제조방법.
  11. 제8항 또는 제9항의 상기 반응액에 나노파클리탁셀을 부가하여 상기 나노파클리탁셀이 상기 수용액 키토산 복합체의 소수성기인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에 봉입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키토산 나노파클리탁셀의 제조방법.
  12.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암제 전달체용 키토산 복합체.
  13.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항암제 전달체용 키토산 복합체.
KR1020060066107A 2006-07-14 2006-07-14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을 함유한 키토산 복합체 및 그제조방법 KR100831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107A KR100831391B1 (ko) 2006-07-14 2006-07-14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을 함유한 키토산 복합체 및 그제조방법
PCT/KR2007/003447 WO2008007932A1 (en) 2006-07-14 2007-07-16 Chitosan complex containing ph sensitive imidazole group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107A KR100831391B1 (ko) 2006-07-14 2006-07-14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을 함유한 키토산 복합체 및 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847A true KR20080006847A (ko) 2008-01-17
KR100831391B1 KR100831391B1 (ko) 2008-05-22

Family

ID=38923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6107A KR100831391B1 (ko) 2006-07-14 2006-07-14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을 함유한 키토산 복합체 및 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31391B1 (ko)
WO (1) WO200800793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4914A (ko) * 2010-04-14 2011-10-2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약물 전달을 위한 pH-민감성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19642B1 (ko) * 2009-12-16 2013-10-1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H 민감성 약물 전달용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096318A1 (ko) * 2018-11-05 2020-05-1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H 민감성 탄소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약물전달
CN111821509A (zh) * 2020-08-07 2020-10-27 北京邦塞科技有限公司 具有pH响应的智能化骨水泥载药微球、骨水泥及其制备方法、使用方法
KR20210096931A (ko) * 2020-01-29 2021-08-0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H 민감성 히알루론산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약물전달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231B1 (ko) * 2014-11-12 2016-11-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 제거용 키토산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618793B (zh) * 2020-12-31 2022-12-30 南方医科大学珠江医院 一种pH敏感的抗氧化纳米载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2000A (en) * 1994-09-23 1999-06-15 Zonagen, Inc. Chitosan induced immunopotentiation
JP2005075765A (ja) * 2003-08-29 2005-03-24 Univ Of Tokyo 新規な非天然ヒスチジンアナログアミノ酸
KR100533247B1 (ko) * 2004-03-31 2005-12-02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이미다졸 링을 갖는 키토산 유도체를 이용한 유전자 전달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642B1 (ko) * 2009-12-16 2013-10-1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H 민감성 약물 전달용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14914A (ko) * 2010-04-14 2011-10-2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약물 전달을 위한 pH-민감성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096318A1 (ko) * 2018-11-05 2020-05-1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H 민감성 탄소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약물전달
KR20210096931A (ko) * 2020-01-29 2021-08-0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H 민감성 히알루론산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약물전달체
CN111821509A (zh) * 2020-08-07 2020-10-27 北京邦塞科技有限公司 具有pH响应的智能化骨水泥载药微球、骨水泥及其制备方法、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1391B1 (ko) 2008-05-22
WO2008007932A1 (en) 200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ng et al. Hyaluronic acid-quercetin conjugate micelles: synthesis, characterization, in vitro and in vivo evaluation
Oh et al. A self-organized 3-diethylaminopropyl-bearing glycol chitosan nanogel for tumor acidic pH targeting: In vitro evaluation
Kang et al. Tailoring the stealth properties of biocompatible polysaccharide nanocontainers
Ni et al. Recent research progress on polyphosphazene-based drug delivery systems
KR100831391B1 (ko) pH 민감성 이미다졸 그룹을 함유한 키토산 복합체 및 그제조방법
Wu et al. In vitro drug release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biomimetic polymeric micelles self-assembled from amphiphilic deoxycholic acid–phosphorylcholine–chitosan conjugate
JP2011524446A (ja) ポリグリコールで修飾されたキトサンオリゴ糖脂肪酸グラフト体、その調製方法およびその使用
Yao et al. Platinum-incorporating poly (N-vinylpyrrolidone)-poly (aspartic acid) pseudoblock copolymer nanoparticles for drug delivery
CN105524272B (zh) 硫辛酸修饰的聚乙二醇-聚氨基酸嵌段共聚物的制备和应用
Huo et al. Bio-stimuli-responsive multi-scale hyaluronic acid nanoparticles for deepened tumor penetration and enhanced therapy
Wang et al. Light-activatable dual prodrug polymer nanoparticle for precise synergistic chemotherapy guided by drug-mediated computed tomography imaging
JP2014518862A (ja) 薬物送達用ポリマーナノ粒子
Jaiswal et al. Chitosan modified by organo-functionalities as an efficient nanoplatform for anti-cancer drug delivery process
Zhou et al. Acid-responsive and biologically degradable polyphosphazene nanodrugs for efficient drug delivery
Zhou et al. Engineered borate ester conjugated protein-polymer nanoconjugates for pH-responsive drug delivery
Han et al. Redox-sensitive micelles for targeted intracellular delivery and combination chemotherapy of paclitaxel and all-trans-retinoid acid
Shang et al. Enhancing cancer chemo-immunotherapy by biomimetic nanogel with tumor targeting capacity and rapid drug-releasing in tumor microenvironment
Mukwaya et al. Saccharide‐based nanocarriers for targeted therapeutic and diagnostic applications
Lee et al. Triphenylphosphonium-conjugated glycol chitosan microspheres for mitochondria-targeted drug delivery
EP2978423A1 (en) Stable nanocomposition comprising doxorubici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its us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it
Chen et al. Co-delivery of doxorubicin and oleanolic acid by triple-sensitive nanocomposite based on chitosan for effective promoting tumor apoptosis
Qu et al. Targeted delivery of doxorubicin via CD147-mediated ROS/pH dual-sensitive nanomicelles for the efficient therapy of hepatocellular carcinoma
Zhang et al. Poly (ethylene glycol) shell-sheddable TAT-modified core cross-linked nano-micelles: TAT-enhanced cellular uptake and lysosomal pH-triggered doxorubicin release
Xiao et al. Hybrid polymeric nanoparticles with high zoledronic acid payload and proton sponge-triggered rapid drug release for anticancer applications
Mignani et al. Dendritic macromolecular architectures: dendrimer-based polyion complex micel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