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612U - 구강 세척액 디스펜서용 용기 - Google Patents

구강 세척액 디스펜서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612U
KR20080006612U KR2020070010374U KR20070010374U KR20080006612U KR 20080006612 U KR20080006612 U KR 20080006612U KR 2020070010374 U KR2020070010374 U KR 2020070010374U KR 20070010374 U KR20070010374 U KR 20070010374U KR 20080006612 U KR20080006612 U KR 200800066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dispenser
liquid
sp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3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수
권용호
Original Assignee
바프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프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프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03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6612U/ko
Priority to US11/780,616 priority patent/US20080314859A1/en
Publication of KR200800066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61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62Secondary protective cap-like outer covers for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36Closures with frangible parts adapted to be pierced, torn, or removed, to provide discharge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라서, 신규 구조의 액체 디스펜서용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용기는 액체를 담을 수 있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용기 주둥이부와, 상기 용기 주둥이부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1 뚜껑과, 상기 주둥이부와 상기 제1 뚜껑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주둥이부의 입구에 결합되는 제2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뚜껑에는 외력에 의해 제2 뚜껑이 쉽게 파열되도록 해주는 복수 개의 파열선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파열선이 수렴하는 제2 뚜껑의 중앙부에는 구강 세척액 디스펜서의 돌출부가 끼워지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구강 세척액 디스펜서용 용기{BOTTLE FOR DISPENSER FOR DISPENSING ORAL CLEANING LIQUID}
도 1은 본 고안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에 장착되는 제2 뚜껑의 바람직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를 액체 디스펜서에 장착하는 한 가지 양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를 액체 디스펜서에 장착할 때 용기를 위치 맞춤하여 제2 뚜껑을 파열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용기 본체
20: 제2 뚜껑
20a: 파열선
20b: 파열부
30: 제1 뚜껑
본 고안은 디스펜서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정해진 위치에서 확실하게 용기를 장착하여, 부주의로 용기 내의 액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마련된 디스펜서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소정량의 음용수가 담겨 있는 용기를 장착하여 액체를 배출하는 정수기 등이 사무실, 은행, 관공서 등에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정수기는 레버를 작동시키면 연속적으로 액체를 배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정수기 외에 최근에는 구강 세척액 배출 장치를 화장실 벽 등에 장착하여 편리하게 구강 세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강 세척액 배출 장치에는 소정량의 구강 세척액이 담겨 있는 용기를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구강 세척액 용기를 상기 장치에 장착할 때 여러 가지 불편함 및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즉, 구강 세척액 용기는 정수기용의 정수통과는 달리 사용자가 손에 쥘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용기의 입구에는 통상 단순히 뚜껑만을 이용하여 덮어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상기 구강 세척액 배출 장치에 장착할 때 뚜껑을 개방하여 거꾸로 소정의 위치에 장착하여야 한다. 그러나, 뚜껑이 개봉된 용기를 거꾸로 소정의 위치에 장착하는 것은 사실상 힘든 작업이며, 이러한 장착 과정에서 많은 구강 세척액이 누설되는 일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용기 입구에 알루미늄 포일과 같은 얇은 부재를 부착하여, 배출 장치에 장착시 거꾸로 들어도 구강 세척액이 흐를 염려가 없으나, 얇은 알루미늄 포일이 찢어지면서 구강 세척액이 누설되는 일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본 고안의 한 가지 목적은 구강 세척액 용기의 뚜껑을 개봉하여도 용기 내부의 액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강 세척액 디스펜서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뚜껑 개봉 후 용기를 구강 세척액 디스펜서에 장착할 때 사용자가 정확한 위치에서 용기를 장착하여, 부주의하게 용기 내의 액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구강 세척액 디스펜서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라서, 구강 세척액 디스펜서용 용기가 제공된다. 액체를 담을 수 있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용기 주둥이부와, 상기 용기 주둥이부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1 뚜껑과, 상기 주둥이부와 상기 제1 뚜껑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주둥이부의 입구에 결합되는 제2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뚜껑에는 외력에 의해 제2 뚜껑이 쉽게 파열되도록 해주는 복수 개의 파열선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파열선이 수렴하는 제2 뚜껑의 중앙부에는 구강 세척액 디스펜서의 돌출부가 끼워지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구강 세척액 디스펜서용 용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구강 세척액 디스펜서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구강 세척액 디스펜서용 용기의 전체적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세척액 디스펜서용 용기는 크게, 구강 세척액을 담는 용기 본체(10)와, 용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용기 주둥이부에 결합되는 2개의 뚜껑(20, 30)을 포함한다.
제1 뚜껑(30)은 흔히 사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뚜껑으로서 그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용기 본체(10)의 나사형 주둥이부(10a)에 맞물려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제1 뚜껑(30)과 주둥이부 사이에 주둥이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 뚜껑(20)이 추가로 제공된다.
제2 뚜껑(20)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뚜껑(20)에는 외력에 의해 제2 뚜껑이 쉽게 파열되도록 해주는 복수 개(본 실시예의 경우, 4개)의 파열선(20a)이 소정의 간격(본 실시예에서는, 90도)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파열선이 수렴하는 제2 뚜껑의 중앙부에는 구강 세척액 디스펜서의 돌출부, 즉 덮개 파열부(400)가 끼워지는 홈부(20b)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용기를 구강 세척액 디스펜서에 장착하는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장착되어 사용되는 구강 세척액 디스펜서의 전체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펜서는 크게, 벽에 설치된 브라켓(100)의 체결부(100a)와 결합되는 체결공(200a)이 형성된 제1 하우징 구조체(200)와,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체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 구조체(300)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 구조체(200)에는 용기 내의 구강 세척액을 배출시키는 배출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출 기구는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브라켓(100)은 그 후면에 접착력이 큰 양면 테이프가 제공되어 있어, 사용자 는 양면 테이프를 매개로 브라켓(100)을 벽에 부착할 수 있다. 벽에 부착된 브라켓(100)의 체결부(100a)에 제1 하우징 구조체(200)의 체결공(200a)을 결합하면, 제1 하우징 구조체가 브라켓에 안정적으로 장착된다. 그 후, 본 고안의 용기(10)를 디스펜서에 구비된 덮개 절개구(400)를 통해 파열시키면서 장착하면 된다.
이러한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 기술에 따르면, 별도의 밀봉 뚜껑이 제공되지 않아 뚜껑을 개봉한 후 용기를 거꾸로 하여 디스펜서에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알루미늄 포일과 같은 것을 용기 입구에 부착하면 용기 내의 액체가 쏟아져 버리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나, 용기의 장착시 덮개 절개구(300a)에 의해 쉽게 파열되어 순간적으로 액체의 누설이 야기되는 등 용기의 장착이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르면, 일단 플라스틱 재질의 제2 뚜껑(20)이 용기의 주둥이에 장착되어 있어, 제1 뚜껑(30)을 개봉하여도 용기 내의 액체가 쏟아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뚜껑(20)에는 홈부(20b)가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용기를 디스펜서에 장착할 때, 디스펜서의 덮개 절개구(400)를 홈부(20b)에 위치 맞춤한 후 내리 누르면(도 4의 (a) 참조), 파열선(20b)을 따라 제2 뚜껑이 파열되어 용기 내의 구강 세척액이 누설되는 일이 없이 디스펜서 내로 공급된다(도 4의 (b) 참조). 즉, 홈부(20b)를 통해 사용자는 용기를 디스펜서의 덮개 절개구(400)에 쉽게 위치맞춤시킬 수가 있고, 이 홈부에 덮개 절개구를 삽입한 후 내리 누르면, 파열선을 따라 제2 뚜껑이 파열되면서 용기 내의 액체가 누설되는 일이 없이 디스펜서 내부로 공급된다.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에 속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특히, 본 고안을 구강 세척액을 담고 있는 용기로서 설명하였으나, 구강 세척액 외에 기타 액체를 담을 수 있는 용기에도 본 고안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에 본래 제공되는 뚜껑 외에, 밀봉 기능, 위치 맞춤 기능을 갖는 별도의 제2 뚜껑이 용기에 제공된다. 따라서, 구강 세척액 용기를 디스펜서에 장착할 때, 사용자가 디스펜서의 절개부를 용기의 어느 부분에 대고 용기를 장착하여햐 하는지를 쉽게 알려줌으로써, 용기를 쉽게 장착할 수가 있다. 또한, 용기의 장착시 디스펜서의 절개부와 정확히 위치 맞춤된 후 용기를 내리 누르면, 파열선을 따라 뚜껑이 파열되므로, 부주의하게 용기 내의 액체가 누설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구강 세척액 디스펜서용 용기로서,
    액체를 담을 수 있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용기 주둥이부와,
    상기 용기 주둥이부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1 뚜껑과,
    상기 주둥이부와 상기 제1 뚜껑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주둥이부의 입구에 결합되는 제2 뚜껑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뚜껑에는 외력에 의해 제2 뚜껑이 쉽게 파열되도록 해주는 복수 개의 파열선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파열선이 수렴하는 제2 뚜껑의 중앙부에는 구강 세척액 디스펜서의 돌출부가 끼워지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세척액 디스펜서용 용기.
  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파열선은 상기 홈부를 기준으로 90°간격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세척액 디스펜서용 용기.
KR2020070010374U 2007-06-25 2007-06-25 구강 세척액 디스펜서용 용기 KR20080006612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374U KR20080006612U (ko) 2007-06-25 2007-06-25 구강 세척액 디스펜서용 용기
US11/780,616 US20080314859A1 (en) 2007-06-25 2007-07-20 Bottle For Dispenser For Dispensing Oral Cleaning Liqu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374U KR20080006612U (ko) 2007-06-25 2007-06-25 구강 세척액 디스펜서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612U true KR20080006612U (ko) 2008-12-31

Family

ID=40135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374U KR20080006612U (ko) 2007-06-25 2007-06-25 구강 세척액 디스펜서용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314859A1 (ko)
KR (1) KR20080006612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635464S1 (en) * 2009-08-19 2011-04-05 G.K. Packaging, Inc Bottle
USD632581S1 (en) * 2009-10-14 2011-02-15 Gk Packaging, Inc. Bott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8390A (en) * 1987-07-24 1990-07-03 Markva Neil F Liquid storage container with dispensing closure
US4767016A (en) * 1987-08-18 1988-08-30 Adolph Coors Company Liquor bottle capping assembly
US4949857A (en) * 1988-12-05 1990-08-21 Russell Carl D Manual pressure breaking seal and breaking pattern
US5687867A (en) * 1996-07-22 1997-11-18 Crealise Packaging Inc. One-piece cap for liquid dispenser container
US6457613B1 (en) * 2001-01-08 2002-10-01 Eugene Ennalls Patterson Container equipped with protective seal
US7048154B2 (en) * 2004-03-20 2006-05-23 Phillips Edward W Breathable rupturable closure for a flexible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314859A1 (en) 2008-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4085B2 (ja) 分注システムのための分注ライン
WO2006124798A3 (en) Frangible attachment for thermoformed lid spout closure
RU2437813C2 (ru) Герметично запечатанный мешок для жидкости с приварным штуцером для питья или дозировки
JP5087336B2 (ja) 液体注出容器
TW200744911A (en) Fluid container
GB2361250A (en) Dispensing liquids
JPH03503273A (ja) 液体容器の支持体および液体の衛生的ディスペンス機構
WO2007019848A3 (en) Device for connecting a flexible container to a beverage dispenser
AR030235A1 (es) CIERRE EXPENDEDOR CON PANEL DE TAPA QUE INDICA SU VIOLACIoN
CA2477666A1 (en) Wet tissues dispenser
EA022676B1 (ru) Опора
CA2522671C (en) Dispensing cap
KR20080006612U (ko) 구강 세척액 디스펜서용 용기
WO2001049583A1 (en)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closure receptacle for fluid
US20050167391A1 (en) Stopper device for containers, such as cylinders, equipped with a neck of the water fountain type
WO2020012663A1 (ja) 水素水生成ポット、水素水生成ポットによる水素水の生成及び水素水ポットの使用方法、及び水素水生成ポットに用いられる吐出部
US20090095766A1 (en) Hands-free lid removal
JP2005193946A (ja) スリット式逆止弁付き容器
JP5111738B2 (ja) 保護カバー付き注出器
JPH08113261A (ja) 容器用蓋部材
JP5373554B2 (ja) 注出栓
CN210028328U (zh) 防止喷溢的易拉罐
JP2006298498A (ja) 液体注出容器
JPH11124153A (ja) 容器用キャップ装置
JP2006102569A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