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582U - 버스 커넥터 - Google Patents

버스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582U
KR20080006582U KR2020070013559U KR20070013559U KR20080006582U KR 20080006582 U KR20080006582 U KR 20080006582U KR 2020070013559 U KR2020070013559 U KR 2020070013559U KR 20070013559 U KR20070013559 U KR 20070013559U KR 20080006582 U KR20080006582 U KR 2008000658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connector
latch
shell
tongu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35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5625Y1 (ko
Inventor
카이-웬 쳉
푸-후앙 린
Original Assignee
롱웰 컴패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롱웰 컴패니 filed Critical 롱웰 컴패니
Publication of KR200800065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5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6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6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0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쪽으로 각각 신장되어 있는 상부 쉘 및 하부 쉘의 두 측면에 구성되어 있는 상부 텅 및 하부 텅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텅 및 하부 텅은 버스 커넥터의 조립을 완성하기 위해 암의 제 1 슬롯 및 래치의 홀을 통과하며 서로 맞물려진다. 래치는 래치의 압력부분이 압력을 받을 때 상기 상부 텅 및 하부 텅을 이용하여 한 축으로서 회전한다.
Figure P2020070013559
버스 커텍터, 래치, 텅, 슬롯, 암, 걸쇠부분, 맞물림슬릿

Description

버스 커넥터{Bus Connector}
본 고안은 전기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버스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과학 및 기술이 발전하고 진행됨에 따른 전자 제품의 기능이 향상됨에 따라 다양성, 운반편리성, 가볍고, 얇고, 콤팩트한 트랜드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켜야 했다. 그리하여, 커넥터 리셉터클과 결합된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과 함께 버스 커넥터가 유연성 및 높은 전달 능력의 장점때문에 전자 제품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고안의 하나의 목적은 다양성, 운반편리성, 가볍고, 얇고, 콤팩트한 트랜드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켜주는 축소된 사이즈가 가능한 버스 커넥터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버스 커넥터는 상부 쉘(shell) 및 하부 쉘에 통합적 형성되어 있는 상부 텅(tongue) 및 하부 텅을 포함한다. 래치(latch)가 상부 및 하부 텅을 통해 상부 및 하부 쉘에 회전하게 되어 있어서, 래치는 상부 및 하부 텅을 이용하여 한 축으로서 회전될 수 있다. 그래서, 버스 커넥터의 사이즈는 축소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쉬운 결합, 단순한 조립 공정 및 낮은 코스트의 장점을 갖기 위해 각각 상부 텅 및 하부 텅을 포함하는 상부 쉘 및 하부 쉘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앞서 본 고안의 목적에 따라, 버스 커넥터가 제공되는데 , 버스 커넥터는 제 1 표면 및 반대편에 배치된 제 2 표면을 갖고 있으며 ; 각각 하우징의 두 측면에 배열되는 두 개의 암(arm), 각 암은 제 1 슬롯(slot) ;두개의 래치, 각 래치는 압력(press) 부분 및 상부단 부분으로부터 신장되어 있는 버클(buckle)을 갖고 있으며, 상기 버클은 하나의 홀을 포함하며; 하우징의 제 1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버스; 자신의 두개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쪽으로 신장되어 있는 상부 텅을 포함하는 상부 쉘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부 텅은 자신의 한 측면에 형성된 제 1 맞물 림 슬릿(slit)을 포함하면서 암의 제 1 슬롯 및 래치의 홀을 통과하며; 하부 쉘은 자신의 두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쪽으로 신장되어 있는 하부 텅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텅은 자신의 한 측면에 형성된 제 2 맞물림 슬릿을 포함하면서 암의 제 1 슬롯 및 래치의 홀을 통과하며, 하부 텅의 제 2 맞물림 슬릿은 상부 텅의 맞물림 슬릿과 맞물려진다. 래치는 래치의 압력 부분이 압력을 받을 때 상부 및 하부 텅을 이용하여 한 축으로서 회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장점은 첨부된 관련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예시 및 보기, 실시예에 의해 제시된 다음에 기술되는 내용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버스 커넥터의 디자인은 쉬운 결합공정, 단순한 제조 공정, 및 저렴한 비용의 장점을 갖는다. 게다가, 리벳먼트 및 암의 공간 같은 디자인은 몰드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대량 생산공정의 높은 생산성 및 조립비용의 감소의 장점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커넥터의 분해 조립도이다. 버스 커넥터는 버스(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와 같은)와 함께 제 1 표면(182)을 포함하는 하우징(18)과 제 1 표면(182)의 반대편에 있는 제 2 표면(184);상부 쉘(14); 버스 및 하우징(18)의 제 2 표면(184)에 구성된 하부 쉘(16); 및 하우징(18)의 두 측면에 구성된 두개의 암(20)과 두개의 래치(22)를 포함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도 1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 상부 쉘, 부분 하부 쉘, 암, 및 버스 커넥터의 래치의 구조를 나타낸다.제 1 슬롯(202)은 + 형태이며 및 각각 암(20)에 형성되어 있는 두개의 제 2 슬롯(204,204')를 갖고 있으며, 암의 외부 사이드는 제 1슬롯(202)에 연결된 스르우(trough,206)을 갖고 있으며, 암(20)의 하부는 공간(209)을 형성하는 리벳먼트(revetment,208)로 신장되어 있다. 래치(22)는 탄력 부분(228) 및 래치의 상부 면으로부터 신장되어 있는 버클(222)을 갖고 있으며, 상기 버클(222)은 홀(226)을 포함한다. 상부 쉘(14)의 두개 측면의 상부 테두리는 상부 걸쇠부분(146) 및 상부 걸쇠부분과 대응하는 하부 걸쇠부분(148)을 포함하며, 하부 쉘(16)은 상부 걸쇠부분(166) 및 대응하는 하부 걸쇠부분(168)을 포함한다. 상부 걸쇠부분(146,166) 및 하부 걸쇠부분(148,168)은 굽여져 있으며 하우징(18)쪽으로 신장되고 각각 암(20)의 제 2 슬롯(204,204')을 통과하는 데, 상부 쉘(14)의 상부 걸쇠부분(146) 및 하부걸쇠부분(148)은 각각 대응되어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분(147,149 도 1c참조)을 갖고 있으며, 하부 쉘(16)의 상부 걸쇠부분(166) 및 하부 걸쇠부분(168)은 상부 쉘(14) 및 하부 쉘(16)을 채우기 위해 개구(169)를 포함하고 있다.
상부 쉘(14)의 두 측면은 각각 하우징(18)쪽으로 신장된 상부 텅(142) 및 상부 텅(142)의 터미널에 형성된 제 1 맞물림 슬릿(144)을 포함하고 있다. 하부 쉘(16)의 두 측면은 각각 하우징(18)쪽으로 신장된 하부 텅(162) 및 하부 텅(162)의 터미널에 형성된 제 2 맞물림 슬릿(164)을 포함하고 있다. 상부 텅(142) 및 하부 텅(162)은 암의 제 1 슬롯(202) 및 래치(22)의 홀(226)을 통과하며, 상부 텅(42)의 제 1 맞물림 슬릿(1440는 하부 텅(162)의 제 2 맞물림 슬릿(164)의 맞물 림으로써 래치(22)는 상부 쉘(14) 및 하부 쉘(16)에 회전축적으로 연결되며, 버클(222)은 래치(22)의 압력 부분(224)이 압력을 받을 때 상부 및 하부 텅을 이용하여 축으로서 회전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222)을 암(20)의 스르우(206)에 끼워 넣을 때 홀(226) 및 제 1 슬롯(202)는 서로 중첩되며, 래치(22) 및 암(20)은 상부 텅(142) 및 하부 텅(162)이 제 1 슬롯(202) 및 홀(226)을 통과하게 되도록 한다.
조립된 버스 커넥터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버스 커넥터를 커넥터의 리셉터클(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연결할 때, 래치(22)의 압력 부분(224)은 상부 텅 및 하부 텅을 이용하여 축으로서 회전될 수 있도록 압력을 받으며, 그리하여 래치(22)는 홀(226)을 거쳐 각각 상부 텅 및 하부 텅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버스 커넥터는 리셉터클로 삽입되며 커넥터의 리셉터클에 연결된다. 다음에, 압력 부분(224)의 압력은 해제되어 버클(222)은 탄력 부분(228)의 탄력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되돌려지게 되며, 도 1b에 도시된 공간(209)에 위치된다. 그리하여, 버클(222) 및 커넥터의 리셉터클을 안전하게 조이게 된다.
그밖에, 도 1b를 참조하여, 앞서 리벳먼트(208) 및 암(20)의 공간(209)은 반대되어지게 설계된다. 즉, 한쪽 암(20)의 리벳먼트(208)는 공간(209)의 위에 위치되며, 다른쪽 암(20)의 리벳먼트(208)는 공간(209)의 아래에 위치된다. 이러한 리벳먼트(208)와 공간(209)의 배치는 두개 암(20)에 두개의 래치(22)를 결합하고, 같은 사양의 래치가 사용될 때 유용하며, 상기 래치(22)는 대량 생산 공정을 위해 몰 드를 사용하여 조립될 수 있으며, 이렇게 하여 몰드 비용을 줄이고 조립공정을 단축할 수 있다.
앞서의 설명을 요약할 것 같으면, 본 고안은 버스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상부 텅 및 하부 텅이 래치의 홀을 통과하도록 구성되며, 상부 텅 및 하부텅이 서로 맞물리며 상부 텅 및 하부 텅을 사용하여 래치가 축으로서 회전되도록하며 , 그리하여 래치 및 암의 피해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앞서 특정 실시예의 설명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것이 개시된 상세한 형태로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러한 설명으로 다른 수정이나 변동이 명백히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원리를 가장 잘 설명하기 위하여 선택되고 기술되었으며, 당업자라면 본 고안을 이용하여 특정 목적을 위하여 다른 다양한 실시예를 가능하다고 본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에 해당된다고 보겠다.
도 1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커넥터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1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커넥터의 부분 상부 쉘, 부분 하부 쉘, 암 및 래치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c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커넥터의 상부 쉘의 우측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2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커넥터의 결합도를 나타낸 도면
도 2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래치의 압력 부분을 나타낸 버스 커넥터의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8: 하우징 14: 상부 쉘 16: 하부 쉘
20: 암 22: 래치 169: 개구
146,166: 상부 걸쇠부분 148,168: 하부 걸쇠부분
144: 제 1 맞물림 슬릿 164: 제 2 맞물림 슬릿
142: 상부 텅 162: 하부 텅
182: 제 1 표면 184: 제 2 표면
202; 제 1 슬롯 204,204': 제 2 슬롯
208: 리벳먼트 209: 공간
206: 스루우 226: 홀
222: 버클

Claims (9)

  1. 버스 커넥터에 있어서,
    제 1 표면 및 상기 제 1 표면에 반대쪽에 위치한 제 2 표면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두 측면에 각각 배열되고 각각 제 1 슬롯을 갖는 두 개의 암;
    두 개의 래치, 상기 각 래치는 압력 부분 및 상기 래치의 상부쪽으로 신장되어 있는 버클을 포함하며, 상기 버클은 하나의 홀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제 1 표면에 구성된 버스;
    상부 쉘, 상부 쉘의 두 측면은 각각 상기 하우징쪽으로 신장되어 있는 상부 텅을 각각 갖으며, 상기 상부 텅은 자신의 터미널에 형성된 제 1 맞물림 슬릿을 포함하며 상기 암의 제 1 슬롯 및 상기 래치의 홀을 통과하며; 및
    하부 쉘, 하부 쉘의 두 측면은 상기 하우징쪽으로 신장되어 있는 하부 텅을 각각 갖으며, 상기 하부 텅은 자신의 터미널에 형성된 제 2 맞물림 슬릿을 각각 갖으며, 상기 암의 제 1 슬릿 및 상기 래치의 홀을 통과하며;
    상기 하부 텅의 제 2 맞물림 슬릿은 상기 상부 텅의 제 1 맞물림 슬릿과 맞물려지며, 상기 버클은 상기 래치의 압력부분이 압력을 받을 때 상기 상부 텅 및 하부 텅을 사용하여 한 축으로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암은 두 개의 제 2 슬롯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쉘 및 상기 하부 쉘은 상부 걸쇠부분 및 상기 상부 걸쇠부분에 대응하는 하부 걸쇠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걸쇠부분 및 하부 걸쇠부분은 각각 상기 제 2 슬롯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 쉘 및 하부 쉘을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걸쇠부분 및 상부 쉘의 하부 걸쇠부분은 대응되는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걸쇠부분 및 하부 쉘의 하부 걸쇠부분은 상기 상부 쉘 및 하부 쉘을 채우기 위해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커넥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을 끼워 넣기 위해서 상기 암의 한 쪽면에 스르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커넥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의 압력 부분은 상기 암으로부터 신장되어 있는 리벳먼트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위치한 탄력부분으로 신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커넥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먼트의 신장된 부분과 상기 암의 상기 공간은 서로 반대편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버스 커넥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롯은 + 형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버스 커넥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는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버스 커넥터.
KR2020070013559U 2007-06-22 2007-08-16 버스 커넥터 KR20044562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6210150U TWM330615U (en) 2007-06-22 2007-06-22 Bus connector
TW096210150 2007-06-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582U true KR20080006582U (ko) 2008-12-26
KR200445625Y1 KR200445625Y1 (ko) 2009-08-19

Family

ID=43286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3559U KR200445625Y1 (ko) 2007-06-22 2007-08-16 버스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135786U (ko)
KR (1) KR200445625Y1 (ko)
TW (1) TWM330615U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38031A2 (en) * 1995-05-26 1996-11-28 Rambus, Inc. Chip socket assembly and chip file assembly for semiconductor chi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625Y1 (ko) 2009-08-19
JP3135786U (ja) 2007-09-27
TWM330615U (en) 2008-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0750B2 (en) Board-to-board connector
TWI539680B (zh) Substrate to substrate connector
US9240654B2 (en) Circuit-terminal connecting device
JP4308259B2 (ja) 基板対基板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20180287291A1 (en) Connector
CN100492778C (zh) 电连接器组件
CN109119785B (zh) 电源连接器
US20080090457A1 (en) Electrical connector
US9379475B2 (en) Electric connector
CN102474044A (zh) 连接器
JP2011526721A (ja) 高密度矩形相互接続
US20060035520A1 (en) Latching arrangement for electrical connector
CN105048136A (zh) 柔性线缆连接器
JP2007242251A (ja) 電気コネクタ
US9832898B2 (en) Modular USB flash drives with replaceable housings
CN201097421Y (zh) 电连接器
US20160079713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KR20080006582U (ko) 버스 커넥터
US7393234B1 (en) Connector with locking mechanism
KR101307483B1 (ko) 커넥터
KR101389064B1 (ko) 커넥터용 단자 장치
TWM627761U (zh) 板對板電連接器
CN103155300A (zh) 连接器
US8861223B2 (en) Electronic device with connecting assemblies
WO2010113069A1 (en) An electric connector and the manufacture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