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531A - 인체 교정, 개선 의자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체 교정, 개선 의자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531A
KR20080006531A KR1020077003926A KR20077003926A KR20080006531A KR 20080006531 A KR20080006531 A KR 20080006531A KR 1020077003926 A KR1020077003926 A KR 1020077003926A KR 20077003926 A KR20077003926 A KR 20077003926A KR 20080006531 A KR20080006531 A KR 20080006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calibration program
unit
revision
electronic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3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욱
Original Assignee
김지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욱 filed Critical 김지욱
Publication of KR20080006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5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6Detachable covers for head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4Seat parts with dou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 A61H2203/0431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position, like on a chair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당 목적을 따라 앉은 자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대상 인체를 교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교정, 개선 의자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체 교정, 개선 의자 및 방법{METHOD AND CHAIR FOR CURING BODY STATUS}
본 발명은 해당 목적을 따라 앉은 자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대상 인체를 교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교정, 개선 의자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앉은 자세의 바람직한 것으로는 비교적 고관절, 슬관절이 90˚로 굴곡, 척추를 바로 세운 자세였다(이하 '바른 자세{A}'라 정의한다). 바른 자세{A}의 경우 자세를 비교적 척추, 고관절에 의존하고 타 분절에서 협응이 적은 경향이 있다. 시상면에서 족부와 골반의 거리가 멀수록 척추가 굴곡, 머리가 전굴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비교적 바른 자세{A}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바른 자세{A}는 바람직한 것이나 일부에 있어 부정적인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실제에 있어 바람직한 체형, 자세를 가진 사람의 앉은 자세는; 관상면(frontal plane)에서 양 족부와 골반에 부하된 체중의 무게중심과 머리의 무게중심이 수직선 상에서 일치하고; 시상면(sagittal plane)에서 양 족부와 골반에 부하된 체중의 무게중심과 머리의 무게중심이 비교적 수직선 상에서 일치하는 경향이 있다(B-1). 이에 있어 비교적 긍정적인 자세의 경우 시상면에서 족부와 머리의 무게중심이 비교적 수직선 상에서 일치하는 경향이 있다(B-2). 본 기술사상은 상기 B-1, B-2에 해당하는 자세를 비교적 긍정적인 것으로 보고 이하 '바른 자세{B}'라 정의한다.
종래 의자의 경우 구조적으로 고관절의 신전, 슬관절의 굴곡을 제한하고; 이에 있어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바른 자세{A}를 강요하는 경향이 있다.
기술적 과제
따라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병변, 기형의 방지 및 해당 인체에 교정의 필요가 있을 경우 해당 필요에 따른 자세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인체를 교정, 개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술적 해결방법
본 발명은 하기 받임부(400)에 하기 'edge angle'를 가진다(도 13). 상기 'edge angle'는 바른 자세{B}의 형성이 용이하도록 하며, 척추, 고관절, 슬관절의 굴곡, 신전이 자유롭게 교환될 수 있도록 하여, 바른 자세{A}와 바른 자세{B}가 자유롭게 교환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적용의 일례로 척추측만, TMJ 이상 병변에 의해 요추가 우돌출; 흉추가 좌돌출; 상지대(shoulder girdle)가 좌측경사; 머리가 좌굴; 좌측 하악이 좌, 후, 상방변위; 우측 하악이 좌, 전, 하방변위;된 경우 앉은 자세에서 골반이 우측 경사되어 체중이 오른쪽 hip에 편중, 오른발이 왼발에 비해 전방에 위치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 경우 좌측 팔걸이부(500)를 상방이동, 우측 팔걸이부(500)를 하방이동, 받임부(400)를 좌측경사할 수 있다. 등받이부(600)가 하단등받이(610), 중단등받이(620), 상단등받이(630)로 상기 3개 구조가 결합하여 구성된 경우(도 3) 하단등받이(610)를 전방경사, 중단등받이(620)를 전방이동, 상단등받이(630)를 후방경사할 수 있다(도 2).
상기 조작을 통해 왼쪽 hip에 체중 편중; 요추전만 증가; 흉추후만 감소; 요추 좌돌출; 흉추 우돌출; 머리 우굴; 상지대 우측경사; 좌측 견갑골 굴곡, 하강; 우측 견갑골 굴곡, 거상; 교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유리한 효과
본 발명은 해당 목적을 따라 앉은 자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대상 인체를 교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도 3, 도 4, 도 5는 척추측만을 대상으로 한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edge angle'의 상세한 설명을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전자조절부가 가질수 있는 모터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은 조절부(100), 지지부(200), 발걸이부(300), 받임부(400), 차단부, 팔걸이부(500), 등받이부(600), 허리받임부(400), 벨트부, 전자조절부(800)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각 구조는 필요에 따라 각기 좌, 우 회전(도 6)과 전, 후경사(도 7), 좌, 우측경사(도 8)와 상, 하, 전, 후, 좌, 우 이동 등의 동작(이하 '동작{A}'라 지칭한다. 다수개의 동작{A}가 혼합될 수 있다)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있어 동작{A}의 조절이 가능한 조절부(100)를 가질 수 있으며, 애초 해당 목적을 따라 동작{A}가 조절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구조는 필요에 따라 위치, 개수, 형태, 크기, 소재, 구성을 달리 할 수 있으며 볼트, 너트의 조합,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각 구조는 다수개의 조각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각기 동작{A}가 가능한 해당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일부 구조가 생략될 수 있다.
조절부(100), 전자조절부(800)는 해당 구조의 동작{A}를 조절하는 구조; 지지부(200)는 상기 타 구조를 지지하는 구조; 발걸이부(300), 받임부(400)는 힙(hip), 팔걸이부(500)는 팔, 등받이부(600)는 등, 머리받임부(400)는 머리, 목이 해당 목적을 따라 위치,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다. 벨트부는 인체가 해당 목적을 따라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부(200)는 의자의 다리로 기능하는 것으로 이에 부하되는 하중을 안정되게 지지(이하, '바른 지지 상태{A}'라 정의한다)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지지부(200) 필요에 따라 바른지지 상태{A}에 반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도 9, 일례로 {1}은 바른 지지 상태{A}에 해당하는 위치에 위치한 구조이다. {2}, {3}은 바른지지 상태{A}에 반한 구조를 가진다. {2}의 경우 체중이 받임부의 후측에 부하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바른 자세{A}를 유도, {3}의 경우 체중이 받임부의 좌, 후측에 부하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이에 상응한 척추측만에 있어 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일부 구조가 생략될 수 있다(도 10, 도 9의 {3}과 유사하게 기능할 수 있다).
받임부(400)는 전면의 중앙이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도 13). 이하 지지부(200)의 관상축과 받임부(400)의 좌측 전면이 이루는 각을 'left edge angle', 우측 전면이 이루는 각을 'right edge angle'라 정의하고, 이를 총칭해 'edge angle'라 지칭한다. 상기 'edge angle'은 받임부(400)의 좌, 우회전(도 14, {2}), 도 15∼도 19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있어 상기 전면의 중앙 돌출부위가 생략; 전, 후측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그러할 경우, 생략된 구조는 고관절, 슬관절의 굴곡, 신전이 자유롭도록 하여, 상기 굴곡, 신전이 자유롭게 교환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받임부(410∼450)은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는 받임부(400)의 실시예이다.
받임부(410)은 필요에 따라 edge angle이 조절된 상판을 가진다(도 14).
받임부(420)은 전측상판(421), 중측상판(422), 후측상판(423), 하판(424), 너트부(425), 조절부(120)를 가진다(도 16). 각 상판은 하판에 고정된다. 전측상판은 edge angle를 가진다(도 13). 조절부(120)는 각 상판의 전, 후 이동에 사용된다.
받임부(430)은 상판(431), 하판(432), 날개부(433), 조절부(130)를 가진다(도 17). 상판(431), 하판(432)에 결합된다. 날개부(433)의 좌, 우 회전을 통해 edge angle이 조절될 수 있다.
받임부(440)은 좌측상판(441), 중앙상판(442), 우측상판(443), 하판, 가로지지대(445), 너트부(446), 조절부(140)를 가진다(도 18). 하판은 상판(441, 442, 443)을 지지하는 구조이다. 조절부(100)의 조작을 통해 좌, 우측상판(441, 443)이 전, 후반 이동, edge angle이 조정될 수 있다.
받임부(450)은 좌측상판(451), 중앙상판(452), 우측상판(453), 하판(454), 너트부(455), 조절부(150)를 가진다(도 19). 중앙상판(451)은 내부를 지지하는 다수개 구조(456)를 가진다. 조절부(100)의 조작을 통해 좌, 우측상판(451, 453)이 내, 외 회전되어 edge angle이 조절될 수 있다.
팔걸이부(500)는 편측 또는 양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척추의 굴곡을 제한하는 구조로 기능할 수 있다(도 21, 510).
전자조절부(800)는 유, 무선으로 상기 각 구조의 동작{A}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로써 단말장치(900), Web Site(1000)와 연동될 수 있다. 단말장치(900), Web Site(1000)는 전자조절부(800)으로부터 입력받은 학습데이터를 분석, 평가하여, 해당 필요가 있을 경우 교정프로그램을 수정, 전자조절부(800)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및 장치를 가질 수 있다.
전자조절부(800)은 컨트롤부의 조작 또는 교정프로그램을 따라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교정프로그램(850)은 해당 목적을 따른 자세가 형성될 수 있도록 체중이 부하되어야 할 부위별 정도 및 체중이 부하되지 말아야할 부위별 정도, 분절의 위치, 근력의 크기, 각 장치의 동작{A} 및 제어 내용 등을 가진다.
교정프로그램(850)은 교정프로그램 매니저를 사용, 제작, 수정할 수 있으며, Web Site(1000)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전자조절부(800)는
각 장치를 동작하게 하는 운영시스템;
상기 구조의 동작{A} 제어를 목적으로 해당 장치가 동작하도록 하는 모터부(820), 이에 협응하는 톱니, 밴드 등의 구조;
모터부(820)의 제어가 가능한 컨트롤부(810, 조이스틱{811}, 키보드{812}, 액정화면{813} 등을 가질 수 있다. 도 21);
인터넷프로토콜부;
유(831), 무선 통신 및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뎀, 네트워크 어댑터 등의 장치;
유(831), 무선을 통해 단말장치(900), Web Site(1000)로 교정프로그램(850), 학습데이터(860)을 출력하는 출력부, 입력받는 입력부;
체중 부하 정도를 감지하여 교정프로그램 마스터로 출력하는 체중 감지센서;
해당 분절의 위치 및 근력을 감지, 이를 유, 무선으로 교정프로그램 마스터로 출력하는 분절 위치 감지센서 및 근력 감지센서;
체중, 분절 위치, 근력 감지센서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분석, 처리(이하, '학습데이터'라 지칭한다)하고; 교정프로그램(850)과 비교, 분석하고; 교정프로그램(850)에 입각해 각 장치를 작동하게 하고; 각 장치로 해당 데이터를 출력하는 교정프로그램 마스터;
데이터베이스;
체중이 부하되어야 할 부위별 정도, 부하되지 말아야 할 부위별 정도, 해당 분절의 위치, 해당 근의 근력, 에러 등의 메시지를 사용자에 알리는 신호부(모니 터, 액정화면 등의 영상부; 음성 메시지, 신호음 및 진동으로 해당 메시지를 출력하는 음향부 및 진동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를 확인하고 실행, 취소 등 상응한 동작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
밧데리 또는 어댑터가 연결될 수 있는 Socket;
을 가질 수 있다.
단말장치(900)에는 PC, PDA, 핸드폰 등 하기 동작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가 해당된다.
단말장치(900)는 각 장치를 동작하게 하는 운영시스템;
유, 무선 통신 및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뎀 및 네트워크 어댑터 등의 장치;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
모니터, 액정화면 등의 출력장치;
유, 무선으로 전자조절부(800)로부터 교정프로그램(850), 학습데이터(860)을 입력받는 입력부, 전자조절부(800)로 교정프로그램(850)을 출력하는 출력부;
인터넷프로토콜부, 브라우저(Browser), 데이터베이스;
CGI의 기능을 바탕으로 학습 데이터를 분석, 처리, 필요에 따라 해당 교정프로그램(850)을 제작, 수정, 해당 장치로 출력할 수 있는 CGI프로그램부;
교정프로그램(850)의 작성, 수정이 가능한 교정프로그램 매니저;
를 가질 수 있다.
단말장치(900)는 축약되어 전자조절부(800)에 내, 외장될 수 있다. 그러할 경우 해당 구조는 유, 무선으로 해당 데이터를 교류, 공유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구조가 통합, 불필요한 구조가 생략될 수 있다.
Web Site(1000)는 서버장치를 가진다.
서버장치는 각 장치를 동작하게 하는 운영시스템;
유, 무선 통신 및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뎀 및 네트워크 어댑터 등의 장치;
유, 무선으로 전자조절부(800)로부터 학습데이터(860)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부, 전자조절부(800)로 교정프로그램(850)을 출력할 수 있는 출력부,
인터넷프로토콜부 및 브라우저(Browser);
데이터베이스;
인터넷프로토콜부상에 운영되는 WWW서버부;
CGI의 기능을 바탕으로 학습 데이터를 분석, 처리, 필요에 따라 해당 교정프로그램(850)을 제작, 수정, 해당 장치로 출력할 수 있는 CGI프로그램부;
를 가질 수 있다.
교정프로그램 마스터는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 받은 학습데이터(860)를 분석, 처리하여, 교정프로그램(850)과 비교, 분석하고, 교정프로그램(850)에 입각해 해당 장치가 동작하고; 해당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출력부를 통해 단말장치(900), Web Site(1000)로 출력한다.
교정프로그램 마스터는 주기적으로 해당 Web Site(1000)의 서버장치의 데이 터베이스를 검색, 새로운 교정프로그램(850)이 있을 경우 자동으로 다운로드 받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이에 있어 새로운 교정프로그램이 있을 경우 해당 신호를 발생,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새로운 교정프로그램(850)이 대체될 수 있다.
전자조절부(800)은 해당 목적을 따른 교정프로그램(850)을 가진다.
교정프로그램 마스터가 교정프로그램(850)에 입각해 해당 장치를 작동시킨다. 센서로부터 감지된 데이터가 교정프로그램 마스터로 출력된다. 교정프로그램 마스터는 입력받은 데이터를 분석, 처리 학습데이터(860)로 가공하고, 교정프로그램(850)과 비교, 분석하여; 해당 메시지가 있을 경우 신호부에 해당 신호를 발생할 것을 명령하고; 학습데이터(860)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단말장치(900), Web Site(1000)로 출력한다(도 23).
전자조절부(800) 동작의 일례로 교정프로그램(850)에서 받임부를 좌측경사, 체중이 받임부 좌측에 편중되도록 제한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일정 시간 해당 교정프로그램을 따르지 않을 경우 상기 받임부의 좌측 경사를 증가, 신호를 발생하여 체중이 받임부의 좌측에 편중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앉은 자세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현대인에 있어 효과적인 교정 기회를 제공한다.

Claims (5)

  1. 해당 목적을 따라 앉은 자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대상 인체를 교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교정, 개선 방법.
  2. 제 1항에 있어 조절부, 지지부, 발걸이부, 받임부, 차단부, 팔걸이부, 등받이부, 벨트부, 전자조절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3. 제 2항에 있어 상기 구조는 각기 좌, 우 회전; 전, 후, 좌, 우측경사; 상, 하, 전, 후, 좌, 우 이동의 조절이 가능한 조절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4. 제 3항에 있어 교정프로그램에 입각, 전자조절부에 의해 수,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5. 제 4항에 있어 전자조절부는 단말장치, Web Site와 학습데이터, 교정프로그램을 교유, 공유하며 동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1020077003926A 2004-08-16 2005-08-16 인체 교정, 개선 의자 및 방법 KR200800065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64216 2004-08-16
KR1020040064216 2004-08-16
KR1020040064946 2004-08-18
KR20040064946 2004-08-18
KR20040065281 2004-08-19
KR1020040065281 2004-08-19
KR1020040066101 2004-08-20
KR20040066101 2004-08-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531A true KR20080006531A (ko) 2008-01-16

Family

ID=35907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3926A KR20080006531A (ko) 2004-08-16 2005-08-16 인체 교정, 개선 의자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80006531A (ko)
WO (1) WO20060192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436B1 (ko) * 2012-04-19 2014-09-2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
DE102012208725A1 (de) * 2012-05-24 2013-11-28 Lufthansa Technik Ag Rückenlehne für einen Fahrzeugsitz
US10765582B2 (en) 2013-12-25 2020-09-08 Mopair Technologies Ltd. Apparatus for stimulating synchronized body motions of a user
DE102018005744B4 (de) * 2018-07-23 2020-06-18 lento objekt GmbH Rückenlehne für ein Sitzmöbel
FR3101764B1 (fr) * 2019-10-15 2022-02-18 Health Design Creations Meuble à assise à deux axes d’articulation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17921A (en) * 1975-03-11 1978-07-19 Lewis M Drive mechanism for reclining chairs
US4944554A (en) * 1987-10-02 1990-07-31 Gross Clifford M Active biomechanical chair
US6592185B2 (en) * 2001-03-16 2003-07-15 Richard Lew Inc Seating device for maneuvering a body pa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19241A8 (en) 2006-06-01
WO2006019241A1 (en) 200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18521B (zh) 脑瘫患者坐姿脊柱矫正测量系统
Bot et al. Biomechanical analysis of posture in patients with spinal kyphosis due to ankylosing spondylitis: a pilot study.
KR101709605B1 (ko) 이동 보조기용 컨트롤 시스템
US10918213B2 (en) Ergonomic work station chair
JP2006149468A (ja) 揺動型運動装置
KR20080006531A (ko) 인체 교정, 개선 의자 및 방법
CN106491310B (zh) 一种智能康复医疗装置
CN105616107A (zh) 多功能脊椎侧弯康复训练装置
KR100957594B1 (ko) 고관절 유연성 운동기구
CN111713916A (zh) 人体支撑装置调整方法及其系统
US20220313510A1 (en) Dynamic reactive system and method to support and change sitting postures
US20230149777A1 (en) Processing system,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JP2022530117A (ja) 身体位置決め装置
CN116115972A (zh) 处理系统、处理方法和非暂时性存储介质
KR20070112983A (ko) 인체 교정 의자
Mulcahy et al. Adaptive seating for motor handicap: problems, a solution, assessment and prescription
KR20160143402A (ko) 척추 스트레칭 기구
KR20080015060A (ko) 인체 교정 의자
KR102209492B1 (ko) 교정 의자 및 그의 체형 교정 방법
CN111991760B (zh) 一种骨科用高低肩纠正辅助装置
KR20230160841A (ko) 척추 또는 골격 정렬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방법
CN109480516A (zh) 一种主动智能调整姿态的座椅
KR20210155151A (ko) 자세교정용 의자
TW201706577A (zh) 特指用於人之負載重量分佈偵測裝置
KR20160095886A (ko) 보행 재활로봇에 설치되는 체중분산 보조 하네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