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436B1 -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 - Google Patents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436B1
KR101443436B1 KR1020120040782A KR20120040782A KR101443436B1 KR 101443436 B1 KR101443436 B1 KR 101443436B1 KR 1020120040782 A KR1020120040782 A KR 1020120040782A KR 20120040782 A KR20120040782 A KR 20120040782A KR 101443436 B1 KR101443436 B1 KR 101443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ating surface
chair
hand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7983A (ko
Inventor
박주환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40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436B1/ko
Publication of KR20130117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4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asymmetric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6/00Stand-alone rests or supports for feet, legs, arms, back or head
    • A47C16/02Footstools; Foot-rests; Leg-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24Upholstered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2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detach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사용자가 의자에 앉거나 의자와 함께 능동적인 움직임을 하는 동안 사용자의 자세를 사용자가 오른손을 우성으로 사용하는 오른손잡이 인지 또는 왼손을 우성으로 사용하는 왼손잡이 인지에 따른 신체의 좌우부분의 비대칭적인 운동패턴에 대응하는 안전하고 보완적인 비대칭 자세로 변경시켜줄 수 있는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가 개시된다.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는, 사용자가 앉았을 때 사용자가 우성으로 사용하는 제1 손 방향 쪽 엉덩이를 지지하는 제1 착석면과 사용자가 우성으로 사용하지 않는 제2 손 방향 쪽 엉덩이를 지지하는 제2 착석면을 구비하고, 제1 착석면과 제2 착석면이 서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된 좌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Asymmetric function chair}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운동패턴에 맞추어 사용자의 앉는 자세를 수정할 수 있는 기능성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거나 의자와 함께 능동적인 움직임을 하는 동안 나타나는 문제가 되는 사용자의 자세, 사용자가 오른손을 우성으로 사용하는 오른손잡이 인지 또는 왼손을 우성으로 사용하는 왼손잡이 인지에 따른 신체의 좌우부분의 비대칭적인 운동패턴 등에 대응하는 안전하고 보완되는 비대칭 자세로 변경시켜 줄 수 있는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척추측만증 환자, 특히, 초, 중, 고등학생들의 척추측만증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척추측만증은 척추에 구조적인 변형이 서서히 진행하는 질병으로 대부분 책상에서 서적을 보거나 컴퓨터를 사용할 때 의자에 비대칭적으로 앉는 자세가 주요원인이 된다.
의자에서의 잘못된 자세는 대부분 오른손을 우성으로 사용하는 오른손잡이 인지 또는 왼손을 우성으로 사용하는 왼손잡이 인지에 따른 신체의 좌우부분의 비대칭적인 운동패턴으로부터 비롯된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의자들은 모두 좌우가 같은 대칭적인 형태로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대칭형 의자는 신체의 좌우부분의 비대칭적인 운동패턴 때문에 사용자가 책상에서 서적을 보거나 컴퓨터를 사용할 때 잘못된 자세로 앉게 한다. 이와 같이 장시간 동안 잘못된 자세로 앉아 있으면, 요통이 발생하거나 척추측만증이 진행하게 되고, 요통과 척추측만증은 심할 경우 허리 디스크로 발전하게 된다.
예를 들어 오른손잡이가 책상을 앞에 두고 의자에 앉은 자세를 분석해 보면, 오른손잡이는 오른쪽 손을 안정적으로 더 많이 사용하기 위해 왼쪽으로 체중심을 이동시킨다. 이 자세는 신체의 왼쪽부분을 고정된 축으로 사용하여 오른쪽 부분의 운동성을 확보하게 하여 오른쪽 팔과 몸통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오른손잡이의 운동패턴은 골반에서 하부척추가 1차적으로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를 보상하기 위해, 상부척추는 2차적으로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척추는 최초의 I자형에서 C자형으로 변형되게 되고, 다시 더욱 진행하게 되면 S자형의 척추측만증으로 진행하게 된다.
만약, S자형의 척추 측만증 환자의 하부의 C형 척추보다 상부의 C 형척추가 커지게 되면, 하부의 척추는 상부의 척추의 무게를 이기지 못해서 왼쪽으로 무너지게 되어 환자는 자신의 몸을 바로 세우지 못하고 구부정한 자세로 생활하게 된다. 또한, 척추가 삐뚤어지면, 주위 근육은 이를 보상하기 위해 근긴장도가 증가하게 되면서 요통이 발생한다. 일단, 근육의 길이가 변화하게 되면 치료하기가 어려워진다. 성장을 멈춘 성인의 경우, 요통과 척추측만증이 나타나는 과정에서 척추가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면, 유연성을 잃은 디스크가 압박을 받아서 탈출하게 되어 허리 디스크로 발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하는 요통, 척추측만증은 통상 스트레칭 운동에 의해 예방되고, 신체의 골반, 척추 등의 특정부분에 대해 압박하거나 고정하는 교정기구를 사용하여 치료된다. 하지만, 스트레칭 방법은 스트레칭 동작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필요로 할 뿐 아니라 척추측만증의 진행 정도에 따라 스스로 실시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교정기구는 전문가의 진단, 처방 등이 필요할 뿐 아니라 신체의 특정부분을 교정하면 다른부분에서 비뚤어지는 의학적인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의자에 앉거나 의자와 함께 능동적인 움직임을 하는 동안 사용자의 자세를 사용자의 신체의 좌우부분의 비대칭적인 운동패턴에 대응하는 보완적인 비대칭 자세로 교정해 줌으로서 요통, 척추측만증 등을 예방하거나 증상의 감소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양상에 따르면,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는, 사용자가 앉았을 때 사용자가 우성으로 사용하는 제1 손 방향 쪽 엉덩이를 지지하는 제1 착석면과 사용자가 우성으로 사용하지 않는 제2 손 방향 쪽 엉덩이를 지지하는 제2 착석면을 구비하고, 제1 착석면과 제2 착석면이 서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된 좌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착석면과 제2 착석면은 제1 손 방향 쪽으로 사용자의 체중심이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착석면은 제1 손 방향 쪽 골반을 후 하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고, 제2착석면은 제2 손 방향 쪽 골반을 전 하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착석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되고, 제2 착석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착석면은 지면반발력을 작게 하기 위해 상면에 탄성력을 갖는 제1 쿠션이 배치되고, 제2 착석면은 상면에 제1 쿠션에 비해 작은 탄성력을 갖는 제2 쿠션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쿠션과 제2 쿠션은 전체적으로 평평한 평면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착석면은 제1 손 방향 쪽 엉덩이가 닿는 면적을 줄여 제1 손 방향 쪽 엉덩이의 척추의 근긴장도를 높이기 위해 제2 착석면 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는 사용자의 제1 손 방향 쪽 등을 지지하는 제1 등지지면과 제2 손 방향 쪽 등을 지지하는 제2 등지지면을 구비하고, 제1 등지지면과 제2 등지지면이 서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된 등받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등지지면은 제1 손 방향 쪽 골반의 후 하방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후방으로 후퇴된 형태로 형성되고, 제2 등지지면은 제2 손 방향 쪽 골반의 전 하방 이동을 만들어 주기 위해 전방으로 전진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등받이부는 S자를 옆으로 눕힌 형태의 평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는 사용자의 제1 손 방향 쪽 팔을 지지하는 제1 팔걸이와 제2 손 방향 쪽 팔을 지지하는 제2 팔걸이를 구비하고, 제1 팔걸이와 제2 팔걸이가 서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된 팔걸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팔걸이는 제1 손 방향 쪽 견갑골의 전 상방 이동을 촉진하기 위해 제2 팔걸이 보다 더 높고 제2 팔걸이 보다 더 전방으로 전진되게 배치되고, 제2 팔걸이는 제2 손 방향 쪽 견갑골의 후 하방 이동을 촉진하기 위해 제1 팔걸이 보다 더 낮고 제1 팔걸이 보다 더 후방으로 후퇴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팔걸이는 팔꿈치 이상의 높이로 의자의 전후 길이의 1/2 이상 전방으로 위치하고, 제2 팔걸이는 팔꿈치 이하의 높이로 의자의 전후 길이의 1/2 이상 후방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는 좌석부의 제1 착석면을 바닥에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다리와 제2 착석면을 바닥에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다리를 구비하고, 제1 다리와 제2 다리는 서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된 다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다리부의 제1 손 방향 쪽 바닥 지지면의 면적을 넓게 하여 충격량을 분산하기 위해, 제1 다리는 C자 형태로 형성되고, 제2 다리는 I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 양상에 따르면, 발지지대는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의 보조 기구로서, 사용자가 우성으로 사용하는 제1 손 방향 쪽 발을 지지하는 제1 발판과 사용자가 우성으로 사용하지 않는 제2 손 방향 쪽 발을 지지하는 제2 발판을 구비하고, 제1 발판과 제2 발판이 서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1 발판은 사용자의 제1 손 방향 쪽 발을 올려서 체중을 지지할 수 있는 발 레스트를 포함하고, 제2 발판은 제2 손 방향 쪽 발의 발목을 걸을 수 있는 발걸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 양상에 따르면,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는 사용자가 앉았을 때 사용자가 우성으로 사용하는 제1 손 방향 쪽 엉덩이를 지지하는 제1 착석면과 사용자가 우성으로 사용하지 않는 제2 손 방향 쪽 엉덩이를 지지하는 제2 착석면을 구비하고, 제1 착석면과 제2 착석면은 서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된 좌석부; 및 위에 서술한 발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에 따르면, 좌석부의 제1 착석면과 제2 착석면, 등받이부의 제1 등지지면과 제2 등지지면, 팔걸이부의 제1 팔걸이와 제2 팔걸이, 다리부의 제1 다리와 제2다리, 및/또는 발지지대의 제1 발판과 및 제2 발판은 사용자가 의자에 앉았을 때 우성으로 사용하는 손 방향으로 체중심이 이동하도록 서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았을 때 사용자의 자세를 사용자의 신체의 좌우부분의 비대칭적인 운동패턴에 대응하는 보완적인 비대칭 자세로 변경시켜 줌으로서 요통, 척추측만증 등을 예방하거나 증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는 사용자가 의자의 등받이부, 팔걸이부, 발지지대 등을 이용하여 자신의 자세를 능동적으로 자신의 신체의 좌우부분의 비대칭적인 운동패턴에 대응하는 보완적인 비대칭 자세로 교정하는 자가운동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의 수동적인 스트레칭과 신체의 특정부분에 대해 압박하거나 고정하는 교정기구와 달리 의자에 앉거나 의자와 함께 능동적인 움직임을 하는 동안 스스로 몸 전체의 균형을 맞추고 척추측만증의 교정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를 좌측 위쪽에서 바라 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를 우측 위쪽에서 바라 본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의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의 발지지대를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사시도, 및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도 1의 선 III-III 및 선 IV-IV을 따라 도시한 좌석부의 제1 및 제2 착석면의 단면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1)가 개략적인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1)는,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인 경우 사용자가 의자에 앉거나 의자와 함께 능동적인 움직임을 하는 동안 사용자의 자세를 사용자의 신체의 좌우부분의 비대칭적인 운동패턴에 대응하는 보완적인 비대칭 자세로 변경해 줌으로서 요통, 척추측만증 등을 예방하거나 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능성 의자로서, 좌석부(10), 등받이부(20), 팔걸이부(30), 다리부(40), 및 발지지대(50)를 포함한다.
좌석부(10)는 사용자가 의자(1)에 앉았을 때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한다. 이를 위해, 좌석부(10)는 사용자가 우성으로 사용하는 우측방향 쪽 엉덩이를 지지하는 제1 착석면(11)과 사용자가 우성으로 사용하지 않는 좌측방향 쪽 엉덩이를 지지하는 제2 착석면(13)을 구비한다.
제1 착석면(11)과 제2 착석면(13)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의 좌우부분의 비대칭적인 운동패턴에 대응하는 보완적인 비대칭 자세로 교정해 주기 위해 의자(1)의 좌우방향의 대략 중앙을 횡단하는 면을 기준으로 좌우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오른손잡이는 일반적으로 책상에 대해 의자에 앉았을 때, 오른쪽 손을 안정적으로 더 많이 사용하기 위해 왼쪽으로 체중심을 이동시킨다. 이 자세에서, 머리는 왼쪽으로 돌려지고, 우측 견갑골은 후 상방으로 이동하여 우측 팔을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좌측 견갑골은 전 후방으로 이동하여 좌측 팔로 체중을 지지하게 한다. 또한, 우측 골반은 전 하방으로 이동하여 체중이 다리로 내려가게 하고, 동시에, 좌측 골반은 후 상방으로 이동하여 체중이 골반으로 내려가게 한다. 이 자세는 앞의 발명의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신체의 왼쪽부분을 고정된 축으로 사용하여 오른쪽 부분의 운동성을 확보하게 하여 오른쪽 팔과 몸통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지만, 장시간 유지시 요통을 발생하고 척추측만증을 진행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제1 착석면(11)과 제2 착석면(13)은 오른손잡이 사용자의 앉은 자세를 오른손잡이 사용자의 신체의 좌우부분의 비대칭적인 운동패턴에 대응하는 보완적인 비대칭 자세로 교정해 주기 위해 오른쪽으로 사용자의 체중심이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1 착석면(11)은 우측 골반을 후 하방으로 이동시켜 체중이 골반으로 내려가도록 하기 위해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고, 제2 착석면(13)은 좌측 골반을 전 하방으로 이동시켜 체중이 다리로 내려가도록 하기 위해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착석면(11)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도면의 좌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되고, 제2 착석면(13)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착석면(11)은 상면에 착석면의 지면반발력을 작게 하기 위해 탄성력을 갖는 제1 쿠션(11‘)이 배치되고, 제2 착석면(13)은 상면에 제1 쿠션(11‘)보다 작은 탄성력을 갖는 제2 쿠션(13’)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쿠션(11‘)과 제2 쿠션(13’)은 전체적으로 편평한 평면을 구성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자(1)의 좌석부(10)에 앉게 되면, 서로 다른 제1 및 착석면(11, 13)으로 인해 골반은 우측으로 기울어지고 체중심이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또한, 사용자의 대뇌에서는 양쪽 착석 골조면으로 입력되는 감각의 차이로 인해 골반의 좌,우를 서로 다르게 인식하고, 좌,우 골반을 분리하여 반응 및 동작하게 된다.
또한, 제1 착석면(11)은 우측 엉덩이가 닿는 바닥지지면(base of support; BOS) 면적을 줄여 우측 엉덩이의 척추의 근긴장도를 높이기 위해 제2 착석면(13) 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된다.
즉, 인체는 BOS가 작아질수록 근긴장도가 증가하고 BOS가 커질수록 근긴장도가 감소한다. 실제로, 사람이 의자에 앉게 되었을 때 의자의 바닥면에 닿는 대둔근과 슬괵근의 크기에 따라 인체의 근긴장도가 달라진다. 따라서, 제1 착석면(11)을 제2 착석면(13) 보다 작게 형성하면, 인체의 우측 근육은 긴장도가 증가하고, 좌측 근육은 긴장도가 감소한다. 또한, 강하게 수축하는 우측 근육은 척추를 당기는 역할을 하게 된다. 실제로, 오른손잡이 척추측만증 환자는 척추의 좌측이 비정상적으로 과긴장되어 있는데, 제1 착석면(11)의 BOS를 감소시킴에 따라 척추의 우측의 근긴장도가 높아지게 되고, 그 결과, 좌우측의 척추의 근긴장도는 발런스를 맞추게 된다.
등받이부(20)는 좌석부(10)의 후방에서 좌석부(10)와 수직으로 연결되게 배치되고, 사용자의 우측 등을 지지하는 제1 등지지면(21)과 좌측 등을 지지하는 제2 등지지면(23)을 구비한다.
제1 등지지면(21)과 제2 등지지면(23)은 좌석부(10)의 제1 착석면(11)과 제2 착석면(13)과 마찬가지로, 오른손잡이 사용자의 앉은 자세를 오른손잡이 사용자의 신체의 좌우부분의 비대칭적인 운동패턴에 대응하는 보완적인 비대칭 자세로 교정해 주기 위해 의자(1)의 좌우방향의 대략 중앙을 횡단하는 면을 기준으로 좌우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등지지면(21)은 우측 골반의 후 하방 이동을 허용하여 체중이 골반으로 내려가도록 돕기 위해 후방으로 후퇴된 형태로 형성되고, 제2 등지지면(23)은 좌측 골반의 전 하방 이동을 만들어 주어 체중이 다리로 내려가도록 돕기 위해 전방으로 전진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등받이부(20)의 제1 등지지면(21)과 제2 등지지면(23)은 S자를 옆으로 눕힌 형상의 평단면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팔걸이부(30)는 좌석부(10)의 양측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우측 팔을 지지하는 제1 팔걸이(31)와 좌측 팔을 지지하는 제2 팔걸이(33)를 구비한다.
제1 팔걸이(31)와 제2 팔걸이(33)는 좌석부(10)의 제1 착석면(11)과 제2 착석면(13)과 마찬가지로, 오른손잡이 사용자의 앉은 자세를 오른손잡이 사용자의 신체의 좌우부분의 비대칭적인 운동패턴에 대응하는 보완적인 비대칭 자세로 교정해 주기 위해 의자(1)의 좌우방향의 대략 중앙을 횡단하는 면을 기준으로 좌우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팔걸이(31)는 우측 팔을 지지할 때 우측 견갑골을 전 상방 이동시켜서 우측 팔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2 팔걸이(33) 보다 더 높고 제2 팔걸이(33) 보다 더 전방으로 전진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팔걸이(31)는 팔꿈치 이상의 높이로 의자(1)의 전후 길이의 1/2 이상 전방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팔걸이(31)는 하부에 고정된 제1 지지부(35)에 의해 좌석부(10)의 제1 착석면(11)의 일측에 나사 등의 고정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35)의 앞쪽 부분은 후술하는 제1다리(41)의 앞쪽 다리와 일체로 형성되고, 뒷쪽 부분은 제1다리(41)의 뒷쪽 다리와 별도로 형성된다.
제2 팔걸이(33)는 좌측 팔을 지지할 때 좌측 견갑골을 후 하방 이동시켜서 좌측 팔로 체중을 지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1 팔걸이 (31)보다 더 낮고 제1 팔걸이(31) 보다 더 후방으로 후퇴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팔걸이(33)는 팔꿈치 이하의 높이로 의자의 전후 길이의 1/2 이상 후방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팔걸이(33)는 하부에 고정된 제2 지지부(37)에 의해 좌석부(10)의 제2 착석면(13)의 일측에 나사 등의 고정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팔걸이(31)의 우측 팔꿈치에 대한 BOS를 증가시켜 우측 팔꿈치 및 견갑골 근육의 근긴장도를 낮추고 제2 팔걸이(33)의 좌측 팔꿈치에 대한 BOS를 감소시켜 좌측 팔꿈치 및 견갑골 근육의 근긴장도를 높힘으로서 좌우 근긴장도의 발란스를 유지하기 위해, 제1 팔걸이(31)는 제1 팔걸이(31) 보다 팔꿈치가 닿은 면적이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팔걸이(31, 33)의 높이와 위치 및 모양은 상 요추부와 흉추부에 나타나는 척추측만증의 만곡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다리부(40)는 좌석부(10)의 하부에 고정되어 좌석부(10)를 바닥에 지지한다. 이를 위해, 다리부(40)는 좌석부(10)의 제1 착석면(11)을 바닥에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다리(41)와 제2 착석면(13)을 바닥에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다리(43)를 구비한다.
제1 다리(41)와 제2 다리(43)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좌석부(10), 등받이부(20), 및 손잡이부(30)의 구성에 따라 의자(10)에 앉은 사용자의 체중심이 우측으로 많이 몰리기 때문에, 의자(1)의 우측을 더 큰 힘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서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즉, 제1 다리(41)는 구부러진 C자 형태로 형성되고, 제2 다리(43)는 직선을 유지하는 I자 형태로 형성된다. 제1 다리(41)를 구부러진 C자 형태로 형성하는 이유는 다리부(40)의 바닥에 대한 우측 BOS의 면적을 넓게 하여 의자(1)의 우측으로 몰리는 충격량을 분산 감소시킴과 동시에 지레 팔의 길이를 길게 하여 바닥에 대한 지면반반력을 크게 하기 위해서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다리(41)와 제2 다리(43)는 각각, 좌석부(10)의 제1 및 제2 착석면(11, 13)의 일측의 앞뒤 모서리들에 나사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된 두 개의 다리로 구성된다. 제1 다리(41)의 앞쪽다리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35)의 앞쪽 부분과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다리부(40)의 구조는 의자(1)의 우측을 더 큰 힘으로 지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발지지대(50)는 척추측만증의 예방과 만곡의 감소를 위한 자가운동을 위해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의자(1)의 보조 기구로서, 다리부(40)와 일체로 결합 구성되거나, 또는 필요시 의자(1)와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별도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발지지대(50)은 지지판(51), 제1 발판(53), 및 제2 발판(55)을 구비한다.
지지판(51)은 제1 발판(53)과 제2 발판(55)이 움직이지 않게 지지하는 것으로, 사각형 판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지지판(51)은 발지지대(50)가 다리부(40)와 일체로 결합 구성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삽입 고정홈, 나사 등과 같은 고정수단(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다리부(40)의 제1 다리(41)와 제2 다리(43)를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발판(53)과 제2 발판(55)은 지지판(51) 위에 고정되고, 오른손잡이 사용자가 의자(1)에 앉았을 때 의자(1)와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오른손잡이 사용자의 신체의 좌우부분의 비대칭적인 운동패턴에 의해 나타나는 우측 골반의 전하방 이동과 좌측 골반의 후 상방 이동을 교정해 주기 위한 자가운동을 위해, 좌석부(10)의 제1 착석면(11)과 제2 착석면(13)과 마찬가지로, 서로 비대칭적인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제1 발판(53)은 우측 발을 지지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우측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 레스트(54)를 포함한다. 척추측만증의 예방과 만곡의 감소를 위한 자가운동시, 사용자는 사용자의 우측 발을 발 레스트(54) 위에 올려놓고 우측 발을 능동적으로 누르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신체의 체중심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때, 중력과 우측 다리의 힘에 의해 우측골반이 후 하방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오른손잡이 사용자의 신체의 좌우 비대칭적인 운동패턴에 의한 척추측만증의 원인이 되는 우측 골반의 전 하방 움직임을 교정하여 척추측만증의 예방 및 증상완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제2 발판(55)은 좌측 발을 지지하는 것으로, 좌측 발의 발목을 걸을 수 있는 발걸이(56)를 포함한다. 자가운동시, 사용자는 우측 발로 지지판(51)을 지지하거나 우측 발을 제1 발판(53)의 발 레스트(54)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좌측 발의 발목을 걸어서 공을 차는 것과 같이 다리를 들어올리는 왼쪽 슬관절신전, 왼쪽 발목의 배측굴곡 등의 등척성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등척성 운동으로 좌측 골반이 전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간접적으로 우측 골반이 후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촉진된다. 그 결과, 오른손잡이 사용자의 신체의 좌우부분의 비대칭적인 운동패턴에 의한 척추측만증의 원인이 되는 좌측 골반의 후 상방 움직임과 전 하방 움직임을 교정하여 척추측만증의 예방 및 증상완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1 발판(53) 및/또는 제2 발판(55)을 이용한 자가운동은 제2 팔걸이(33)를 사용하여, 좌측 견갑골을 후 하방 이동시켜 좌측 팔로 체중을 지지하지 않도록 좌측 팔로 제2 팔걸이(33)를 후 하방으로 밀어내는 좌측 팔의 후하방 신전 등의 등척성 운동을 동시에 시행할 경우 척추측만증의 만곡이 감소되면서 우측으로 체중이동이 일어나게 되어 척추측만증의 예방 및 증상완화 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1)에 따르면, 좌석부(10)의 제1 착석면(11)과 제2 착석면(13), 등받이부(20)의 제1 등지지면(21)과 제2 등지지면(23), 팔걸이부(30)의 제1 팔걸이(31)와 제2 팔걸이(33), 다리부(40)의 제1 다리(41)와 제2다리(43), 및/또는 발지지대(50)의 제1 발판(53)과 및 제2 발판(55)은 사용자가 의자(1)에 앉았을 때 사용자가 우성으로 사용하는 손 방향, 즉, 우측으로 체중심이 이동하도록 서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1)는 사용자가 책상에 대해 의자(1)에 앉거나 의자(1)와 함께 능동적인 움직임을 하는 동안 사용자의 자세를 사용자의 신체의 좌우부분의 비대칭적인 운동패턴에 대응하는 보완적인 비대칭 자세로 변경해 줌으로서 요통, 척추측만증 등을 예방하거나 증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1)는 사용자가 의자(1)의 등받이부(20), 팔걸이부(30), 발지지대(50) 등을 이용하여 능동적으로 자신의 신체의 좌우부분의 비대칭적인 운동패턴에 대응하는 보완적인 비대칭 자세로 교정하는 자가운동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의 수동적인 스트레칭과 신체의 특정부분에 대해 압박하거나 고정하는 교정기구와 달리 의자(1)에 앉거나 의자(1)와 함께 능동적인 움직임을 하는 동안 스스로 몸 전체의 균형을 맞추고 척추측만증의 교정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1)는 오른손잡이 사용자의 앉은 자세를 오른손잡이 사용자의 척추측만증의 원인이 되는 신체의 좌우부분의 비대칭적인 운동패턴에 대응하는 보완적인 비대칭 자세로 교정해 주기 위한 기능성 의자인 것으로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1)는 위에서 설명한 구성 및 동작과 동일한 원리를 사용하여 좌우로 정반대되는 구조로 변경됨으로서 왼손잡이 사용자의 자세를 왼손잡이 사용자의 척추측만증의 원인이 되는 신체의 좌우부분의 비대칭적인 운동패턴에 대응하는 보완적인 비대칭 자세로 교정해 주기 위한 기능성 의자로도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 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들에게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 10: 좌석부
11, 13: 착석면 11‘, 13’: 쿠션
20: 등받이부 21, 23: 등지지면
30: 팔걸이부 31, 33: 팔걸이
40: 다리부 41, 43: 다리
50: 발 지지대 53, 55: 발판
54: 발 레스트 56: 발걸이

Claims (14)

  1. 사용자가 앉았을 때 사용자가 우성으로 사용하는 제1 손 방향 쪽 엉덩이를 지지하는 제1 착석면과 사용자가 우성으로 사용하지 않는 제2 손 방향 쪽 엉덩이를 지지하는 제2 착석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착석면은 상기 제2 착석면 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된 좌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착석면은 상면에 탄성력을 갖는 제1 쿠션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착석면은 상면에 제1 쿠션 보다 작은 탄성력을 갖는 제2 쿠션이 배치되며,
    상기 좌석부의 하부의 사용자의 발이 놓여지는 위치에는 제1 손 방향 쪽 발을 지지하는 제1 발판과 사용자가 우성으로 사용하지 않는 제2 손 방향 쪽 발을 지지하는 제2 발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발판은 사용자의 상기 제1 손 방향 쪽 발을 올려서 체중을 지지할 수 있는 발 레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발판은 상기 제2 손 방향 쪽 발의 발목을 걸을 수 있는 발걸이를 포함하는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석면은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착석면은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1 손 방향 쪽 등을 지지하는 제1 등지지면과 제2 손 방향 쪽 등을 지지하는 제2 등지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등지지면과 상기 제2 등지지면의 평단면이 굴곡을 형성하는 등받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등지지면은 후방으로 후퇴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등지지면은 전방으로 전진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20040782A 2012-04-19 2012-04-19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 KR101443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782A KR101443436B1 (ko) 2012-04-19 2012-04-19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782A KR101443436B1 (ko) 2012-04-19 2012-04-19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983A KR20130117983A (ko) 2013-10-29
KR101443436B1 true KR101443436B1 (ko) 2014-09-23

Family

ID=49636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782A KR101443436B1 (ko) 2012-04-19 2012-04-19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4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7308A (en) * 1980-02-29 1983-03-22 Antonio Pisanu Asymmetrical anatomic arm-chair, particularly for odontological use
US6910736B2 (en) * 2001-06-14 2005-06-28 Factory Design Limited Seats with twistable seat elements
WO2006019241A1 (en) * 2004-08-16 2006-02-23 Ji-Woog Kim Method and chair for curing body status
US20090189432A1 (en) * 2008-01-26 2009-07-30 Sergey Anikin Self-inflatable footres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7308A (en) * 1980-02-29 1983-03-22 Antonio Pisanu Asymmetrical anatomic arm-chair, particularly for odontological use
US6910736B2 (en) * 2001-06-14 2005-06-28 Factory Design Limited Seats with twistable seat elements
WO2006019241A1 (en) * 2004-08-16 2006-02-23 Ji-Woog Kim Method and chair for curing body status
US20090189432A1 (en) * 2008-01-26 2009-07-30 Sergey Anikin Self-inflatable footre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983A (ko) 2013-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0303B2 (en) Rehabilitation training and exercise chair
US10918213B2 (en) Ergonomic work station chair
Pynt Rethinking design parameters in the search for optimal dynamic seating
JPWO2006027822A1 (ja) 着座機構及び椅子
KR101091283B1 (ko) 자세교정용 의자
WO2019064321A1 (en) PERSONALIZED PELVIC SUPPORT FOR CORRECTING AN ASSISTED POSITION
US11166564B2 (en) Ergonomically configured muscle release office chair
KR101647461B1 (ko) 안장형 척추 건강 의자
JP2007098007A (ja) 椅子
KR101502128B1 (ko) 요가 의자
KR101443436B1 (ko) 비대칭형 기능성 의자
KR20170068837A (ko) 척추부담을 줄인 자세교정기구
KR101945833B1 (ko)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용 의자
KR20210155151A (ko) 자세교정용 의자
JP6970994B1 (ja) 椅子
KR20130000030A (ko) 기능성 의자
JP6112768B2 (ja) 着座器具
WO2013045481A1 (en) Ergonomic therapeutic seat structure
JP3161619U (ja) 座椅子
KR100887312B1 (ko) 골반고정식착석물
JP2009072292A (ja) 着座具及び椅子
RU2262914C1 (ru) Кресло-сиденье для реабилитации больного церебральным параличом
JP2023019217A (ja) ストレッチ器具
Almandrawy Ergonomics Design Metal Chair for the Elderly
KR20210103097A (ko) 요가 자세 교정용 의자형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