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401A - 기록매체, 기록매체 재생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매체, 기록매체 재생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401A
KR20080006401A KR1020060065575A KR20060065575A KR20080006401A KR 20080006401 A KR20080006401 A KR 20080006401A KR 1020060065575 A KR1020060065575 A KR 1020060065575A KR 20060065575 A KR20060065575 A KR 20060065575A KR 20080006401 A KR20080006401 A KR 20080006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ect list
status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vali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박용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5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6401A/ko
Priority to US12/227,603 priority patent/US20090310451A1/en
Priority to EP07746833A priority patent/EP2044590A1/en
Priority to JP2009514201A priority patent/JP2009540480A/ja
Priority to PCT/KR2007/002724 priority patent/WO2007142451A1/en
Publication of KR20080006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4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3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매체, 기록매체 재생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록매체를 재생함에 있어서,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으로부터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유효 결함리스트를 확인하는 단계; 및 유효 결함리스트를 이용하여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재생방법을 제공한다.
기록매체, 결함리스트, 결함리스트 상태정보

Description

기록매체, 기록매체 재생방법 및 장치{Recording medium,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the recording mediu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정의 구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정의 구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할당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가 기록층을 4개 구비한 경우 관리영역에 기록된 관리정보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가 기록층을 4개 구비한 경우 관리영역에 기록된 관리정보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b)는 도 6(a)의 결함리스트의 각 포지션에 기록된 정보의 특성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가 기록층을 4개 구비한 경우 관리영역에 기록된 관리정보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b)는 도 7(a)의 결함리스트의 각 포지션에 기록된 정보의 특성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가 기록층을 4개 구비한 경우 관리영역에 기록된 관리정보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b)는 도 8(a)의 결함리스트의 각 포지션에 기록된 정보의 특성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재생방법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재생방법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기록재생부 11:픽업부
12:제어기 13:신호처리부
14:서보부 15:메모리
16:마이컴 17:AV디코더
18:AV인코더
본 발명은 기록매체, 기록매체 재생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록매체로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디스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최근에는 고화질의 비디오 데이터와 고음질의 오디오 데이터를 장시간 동안 기록하여 저장할 수 있는 새로운 고밀도 기록매체(예를 들어,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 BD))가 개발되고 있다.
차세대 기록매체 기술인 블루레이 디스크(BD)는 기존의 DVD를 현저하게 능가하는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차세대 광기록 솔루션으로 근래에 다른 디지털기기와 함께 이에 대한 세계 표준의 기술사양이 정립되고 있다.
한편, 블루레이 디스크(BD)와 같은 차세대 고밀도 기록매체에 대한 구조와 상기 기록매체에 결함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한 바람직한 관리방법이 제시되지 않아, 본격적인 블루레이 디스크(BD) 기반의 기록재생장치를 개발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결함리스트를 지시하는 정보에 결함 발생시, 유효 결함리스트 정보가 기록된 다음 결함리스트의 포지션을 쉽게 찾을 수 있는 기록매체, 기록매체 재생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관리영역을 구비하되, 상기 관리정보는 결함리스트의 상태를 나타내는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기록매체를 재생함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으로부터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유효 결함리스트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 결함리스트를 이용하여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재생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픽업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으로부터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유효 결함리스트를 확인하며, 상기 유효 결함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매체를 재생하도록 상기 픽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 재생방법 등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기록매체"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거나, 기록가능한 모든 매체 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디스크, 자기테이프 등 기록방식에 상관없이 모든 매체를 포괄하는 의미이다. 이하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록매체로서 디스크(disc) 특히 "블루레이 디스크(BD)"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다른 기록매체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관리영역"은 기록매체의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관리영역으로 디스크 관리영역(Disc Management Area: DMA) 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에서 "결함리스트(Defect List: DFL)"는 디스크의 기록재생시 발생하는 결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록매체는 1회 기록가능한 디스크(BD-R)를 예로 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기록매체에도 적용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기록매체의 기록층이 네 개인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매체에 적용가능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디스크(BD-R)는 디스크 내주로부터 이너 영역(inner zone), 데이터 영역(data zone) 및 아우터 영역(outer zone)으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영역 내에는,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는 유저데이터 영역(user data area)과, 디스크 결함관리를 위한 스페어 영역(spare area)으로서 내주 스페어 영역(ISA) 및 외주 스페어 영역(OSA)이 구비되어 진다. 단, 상기 스페어 영역은 필요에 따라 할당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디스크내에는 디스크 클로징(closing) 이전에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임시 디스크 관리영역(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 이하 'TDMA'라 한다.)과 디스크 클로징시에 최종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디스크 관리영역(Disc Management Area, 이하 'DMA'라 한다.)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TDMA는 이너 영역 및 스페어 영역(ISA, OSA)내에 구비될 수 있고, DMA는 이너 영역 및 아우터 영역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TDMA와 DMA는 다음의 관계를 가진다. 1회 기록 가능한 디스크(BD-R)의 특성상 TDMA내에는 디스크 사용 중에 발생하는 결함관리정보뿐만 아니라 디스크내의 기록상태를 나타내는 일반관리정보가 혼재하여 기록된다. 이후, 디스크가 클로징(closing) 되면 해당 디스크에는 더 이상 기록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TDMA내의 최종 관리정보들이 DMA으로 이전하여 기록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크가 사용중에는 TDMA내에 관리정보가 기록되고, 디스크가 클로징 되면 TDMA내의 최종 관리정보들이 DMA내로 이전 기록되고, 이후 DMA내의 관리정보를 활용하여 해당 디스크를 재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에는 4개의 기록층(L0, L1, L2, L3) 각각의 이너 영역에 DMA2, DMA1을 구비하고, 아우터 영역에 DMA3, DMA4를 구비한다. 또한, 하나의 DMA1이 32클러스터를 가진다면, 도 1의 기록매체에서 전체 DMA1은 128클러스터로 될 수 있다. BD-R에서 디스크 클로징시에 TDMA에 기록된 최종 관리정보들이 디스크내의 4개의 DMA로 이전 기록될 때, 디스크가 클로징 되었다는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DMA 액세서 인디케이터(DMA access indicator)가 기록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정의 구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디스크 정의 구조(disc definition structure: DDS, 이하 'DDS'라 한다.)의 일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특히, 데이터 프레임(data frame)이 31인 경우에 데이터 프레임에서 바이트 포지션(byte position in data frame), 콘텐츠(contents)와 바이트 수(number of bytes)를 나타낸 것이다.
데이터 프레임에서 바이트 포지션(byte position in data frame) 24는 결함리스트 위치정보를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에서 "결함리스트 위치정보"는 관리영역에 기록된 결함리스트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결함리스트 위치정보는 결함리스트 first PSN(이를 'P_DFL'로 표현할 수 있다.)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관련하여, 결함리스트 first PSN 정보는 4바이트가 할당되어 표현할 수 있다.
디스크 정의 구조(DDS)에서 결함리스트 first PSN(P_DFL)은 DMA에 위치하는 결함리스트 포지션 중에서 유효 결함리스트 정보를 가지고 있는 첫 번째 포지션을 지시한다. 다만, 결함리스트 first PSN를 통해 결함리스트 포지션에 어떤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는 알 수 없다.
데이터 프레임에서 바이트 포지션(byte position in data frame) 96은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결함리스트 상태정보(DFL status information)"는 결함리스트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결함리스트의 상태는 유효 결함리스트인지 무효 결함리스트인지 등을 의미한다. 이때,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는 1바이트가 할당되어 표현할 수 있다. 또한, 결함 리스트 상태정보는 결함리스트의 상태를 비트로 표현하는 경우 결함리스트 비트맵(DFL Bitmap)으로 표현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2(b)는 도 2(a)의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비트로 표현한 것이다. 예를 들어, 결함리스트의 포지션 각각에 1비트씩 할당하여, 각 결함리스트의 포지션이 유효 결함리스트인지 아니면 무효 결함리스트, 00h 사용자 데이터(user data),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빈(empty) 영역 중 어느 하나인지 등의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나타낼 수 있게 한 것이다.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나타내는 1바이트 중에서 bo비트는 DFL의 제7포지션(7th position of DFL) 상태정보, b1비트는 DFL의 제6포지션(6th position of DFL) 상태정보, b2비트는 DFL의 제5포지션(5th position of DFL) 상태정보, b3비트는 DFL의 제4포지션(4th position of DFL) 상태정보, b4비트는 DFL의 제3포지션(3rd position of DFL) 상태정보, b5비트는 DFL의 제2포지션(2nd position of DFL) 상태정보, b6비트는 DFL의 제1포지션(1st position of DFL) 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b7비트는 예비(reserved) 영역으로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비트가 나타내는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는 하나의 예이며,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위해 할당된 각 비트의 할당 순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반대로 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예를 들어, b7비트가 1번째 포지션(1st position DFL)의 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정의 구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도 2(a)와 비교하여, 디스크 정의 구조(DDS)에서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2바이트를 할당한 부분에 차이가 있다.
도 3(b)는 도 3(a)의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비트로 표현한 것이다. 예를 들어, 결함리스트의 포지션 각각에 2비트씩 할당하여, 각 결함리스트의 포지션이 유효 결함리스트, 무효 결함리스트, 00h 사용자 데이터(user data),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빈(empty) 영역 중 어느 하나인지를 나타내는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나타낼 수 있게 한 것이다.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나타내는 2바이트 중에서 b1b0비트는 DFL의 제7포지션(7th position of DFL) 상태정보, b3b2비트는 DFL의 제6포지션(6th position of DFL) 상태정보, b5b4비트는 DFL의 제5포지션(5th position of DFL) 상태정보, b7b6비트는 DFL의 제4포지션(4th position of DFL) 상태정보, b9b8비트는 DFL의 제3포지션(3rd position of DFL) 상태정보, b11b10비트는 DFL의 제2포지션(2nd position of DFL) 상태정보, b13b12비트는 DFL의 제1포지션(1st position of DFL) 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b15b14비트는 예비(reserved) 영역으로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위해 할당된 각 두 비트의 할당 순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반대로 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예를 들어, b15b14비트가 1번째 포지션(1st position DFL)의 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도 3에서 살펴본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는 디스크 정의 구조에서 특정 필드에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의 실시예들에서 살펴본 바이트 포지션은 일 예이므로 본 발명이 데이터 프레임에서 바이트 포지션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할당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방법 1은 디스크 정의 구조에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위해 1 바이트가 할당된 경우에 결함리스트의 각 포지션별 정보를 나타낸 것이고, 방법 2는 디스크 정의 구조에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위해 2바이트가 할당된 경우에 결함리스트의 각 포지션별 정보를 나타낸 것을 예로 한 것이다.
방법 1을 살펴보면, 결함리스트의 포지션이 유효 결함리스트(valid DFL)인 경우를 비트로 나타내면 '1b'로 나타내고, 결함리스트의 포지션이 무효 결함리스트(invalid DFL), 00h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빈(empty) 영역인 경우는 '0b'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2를 살펴보면, 결함리스트의 포지션이 유효 결함리스트(valid DFL)인 경우를 비트로 나타내면 '11b'로, 결함리스트의 포지션이 무효 결함리스트(invalid DFL)인 경우를 비트로 나타내면 '10b', 결함리스트의 포지션이 00h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인 경우를 비트로 나타내면 '01b', 결함리스트의 포지션이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빈(empty) 영역인 경우를 비트로 나타내면 '00b'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방법 1, 방법 2 외에서 유효 결함리스트, 무효 결함리스트, 00h 사용자 데이터, 빈(empty) 영역을 비트로 나타내는 여러 다른방법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 도 5 ~ 도 8에서 디스크 기록방식이 연속 기록모드(Sequential Recording Mode: SRM, 이하 'SRM'하 한다.)인 경우에 연속 기록범위 정보를 SRRI(Sequential Recording Range Information: SRRI, 이하 'SRRI'라 한다.)라 하며, 디스크 기록방식이 랜덤 기록모드(Random Recording Mode: RRM, 이하 'RRM'라 한다.)인 경우에는 관리정보를 스페이스 비트맵(Space Bit-Map: SBM, 이하 'SBM'라 한다.)이라 함을 밝혀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가 기록층을 4개 구비한 경우 관리영역에 기록된 관리정보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클러스터1(cluster1)은 DDS+SBM0/SRRI, 클러스터2(cluster2)는 DDS+SBM1/SRRI, 클러스터3(cluster3)은 DDS+SBM2/SRRI, 클러스터4(cluster4)는 DDS+SBM3/SRRI를 포함한다. 클러스터5(cluster5) ~ 클러스터8(cluster8)은 클러스터1 ~ 클러스터4와 SBM의 반대순서로 반복할 수 있는바, 클러스터5(cluster5)는 DDS+SBM3/SRRI, 클러스터6(cluster6)은 DDS+SBM2/SRRI, 클러스터7(cluster7)은 DDS+SBM1/SRRI, 클러스터8(cluster8)은 DDS+SBM0/SRRI를 포함한다. 이때, 각 클러스터에 기록되는 SBM의 순서는 일 예이며, 다른 실시예로 클러스터5(cluster5) ~ 클러스터8(cluster8)은 클러스터1 ~ 클러스터4와 동일하게 관리정보를 기록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클러스터 9 ~ 16은 예비영역이고, 클러스터 17 ~ 32는 결함리스트의 제1포지션으로 결함리스트(DFL)가 기록된 경우이다. 클러스터 33 ~ 48은 결함리스트의 제2포지션, 클러스터 49 ~ 64는 결함리스트의 제3포지션, 클러스터 65 ~ 80은 결함리스트의 제4포지션, 클러스터 81 ~ 96은 결함리스트의 제5포지션, 클러스터 97 ~ 112은 결함리스트의 제6포지션, 클러스터 113 ~ 128은 결함리스트의 제7포지션이다. 결함리스트의 제2포지션에서 제7포지션까지의 클러스터에서 선택적으로 결함리스트를 복사하거나 00h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기록재생장치는 데이터 재생시 DDS의 결함리스트의 first PSN(P_DFL) 정보를 독출하여 결함리스트의 제1포지션에 결함리스트가 기록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가 기록층을 4개 구비한 경우 관리영역에 기록된 관리정보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도 5와 비교하여, 결함리스트의 제1포지션에는 무효 결함리스트(invalid DFL)가 기록되고, 결함리스트의 제2포지션에 유효 결함리스트(valid DFL)가 기록된다. 결함리스트의 제3포지션, 결함리스트의 제4포지션, 결함리스트의 제5포지션, 결함리스트의 제6포지션, 결함리스트의 제7포지션은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빈(empty) 영역이다.
도 6(b)는 도 6(a)의 결함리스트의 각 포지션에 기록된 정보의 특성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특히, 결함리스트의 제1포지션 ~ 결함리스트의 제7포지션에 기록된 정보의 특성을 도 4에서 설명한 방법 1(method 1)과 방법 2(method 2)에 따라 비트로 나타낸 것이다.
도 6(b)의 결함리스트의 제1포지션 ~ 결함리스트의 제7포지션에 기록된 정보의 특성을 방법 1로 나타내면, 결함리스트의 제1포지션은 무효 결함리스트(invalid DFL)이므로 '0b', 결함리스트의 제2포지션은 유효 결함리스트(valid DFL)이므로 '1b', 결함리스트의 제3포지션 ~ 결함리스트의 제7포지션은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빈(empty) 영역이므로 '0b'로 나타낼 수 있다. 도 6(b)의 결함리스트의 제1포지션 ~ 결함리스트의 제7포지션에 기록된 정보의 특성을 방법 2로 나타내면, 결함리스트의 제1포지션은 무효 결함리스트(invalid DFL)이므로 '10b', 결함리스트의 제2 포지션은 유효 결함리스트(valid DFL)이므로 '11b', 결함리스트의 제3포지션 ~ 결함리스트의 제7포지션은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빈(empty) 영역이므로 '00b'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DMA에 결함리스트를 기록시, 결함이 없었던 영역인 결함리스트의 제1포지션에 결함리스트를 기록하고, DDS의 결함리스트의 first PSN 정보는 결함리스트의 제1포지션을 지시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후, 결함리스트의 first PSN 정보가 지시하는 포지션인 결함리스트의 제1포지션에 결함 발생시 유효 DFL 정보가 기록된 다음 포지션을 찾기 위해서 DDS의 결함리스트 상태정보에 따라 결함리스트의 제2포지션에 유효 결함리스트 정보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또는, DDS의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독출하여 결함리스트의 제2포지션에 유효 결함리스트 정보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가 기록층을 4개 구비한 경우 관리영역에 기록된 관리정보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는 도 5와 비교하여, 결함리스트의 제1포지션과 결함리스트의 제2포지션에는 무효 결함리스트(invalid DFL)가 기록되고, 결함리스트의 제3포지션에 유효 결함리스트(valid DFL)가 기록된다. 결함리스트의 제4포지션, 결함리스트의 제5포지션, 결함리스트의 제6포지션, 결함리스트의 제7포지션은 00h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된다.
도 7(b)는 도 7(a)의 결함리스트의 각 포지션에 기록된 정보의 특성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특히, 결함리스트의 제1포지션 ~ 결함리스트의 제7포지션에 기록된 정보의 특성을 도 4에서 설명한 방법 1(method 1)과 방법 2(method 2)에 따라 비트로 나타낸 것이다.
도 7(b)의 결함리스트의 제1포지션 ~ 결함리스트의 제7포지션에 기록된 정보의 특성을 방법 1로 나타내면, 결함리스트의 제1포지션, 결함리스트의 제2포지션은 무효 결함리스트(invalid DFL)이므로 '0b', 결함리스트의 제3포지션은 유효 결함리스트(valid DFL)이므로 '1b', 결함리스트의 제4포지션 ~ 결함리스트의 제7포지션은 00h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이므로 '0b'로 나타낼 수 있다. 도 7(b)의 결함리스트의 제1포지션 ~ 결함리스트의 제7포지션에 기록된 정보의 특성을 방법 2로 나타내면, 결함리스트의 제1포지션, 결함리스트의 제2포지션은 무효 결함리스트(invalid DFL)이므로 '10b', 결함리스트의 제3포지션은 유효 결함리스트(valid DFL)이므로 '11b', 결함리스트의 제4포지션 ~ 결함리스트의 제7포지션은 00h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이므로 '00b'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경우에도 결함리스트 상태정보에 의해서 DMA내에 유효한 결함리스트 정보가 존재하는 위치가 결함리스트의 제3포지션인 클러스터 49 ~ 클러스터 64임을 알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가 기록층을 4개 구비한 경우 관리영역에 기록된 관리정보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는 도 5와 비교하여, 결함리스트의 제1포지션, 결함리스트의 제3포지션, 결함리스트의 제5포지션, 및 결함리스트의 제6포지션에는 유효 결함리스트(valid DFL)가 기록되고, 결함리스트의 제2포지션, 결함리스트의 제4포지션, 및 결함리스트의 제7포지션에는 무효 결함리스트(invalid DFL)가 기록된다.
도 8(b)는 도 8(a)의 결함리스트의 각 포지션에 기록된 정보의 특성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특히, 결함리스트의 제1포지션 ~ 결함리스트의 제7포지션에 기록된 정보의 특성을 도 4에서 설명한 방법 1(method 1)과 방법 2(method 2)에 따라 비트로 나타낸 것이다.
도 8(b)의 결함리스트의 제1포지션 ~ 결함리스트의 제7포지션에 기록된 정보의 특성을 방법 1로 나타내면, 결함리스트의 제1포지션, 결함리스트의 제3포지션, 결함리스트의 제5포지션, 및 결함리스트의 제6포지션은 유효 결함리스트(valid DFL)이므로 '1b', 결함리스트의 제2포지션, 결함리스트의 제4포지션, 및 결함리스트의 제7포지션은 무효 결함리스트(invalid DFL)이므로 '0b'로 나타낼 수 있다. 도 8(b)의 결함리스트의 제1포지션 ~ 결함리스트의 제7포지션에 기록된 정보의 특성을 방법 2로 나타내면, 결함리스트의 제1포지션, 결함리스트의 제3포지션, 결함리스트의 제5포지션, 및 결함리스트의 제6포지션은 유효 결함리스트(valid DFL)이므로 '11b', 결함리스트의 제2포지션, 결함리스트의 제4포지션, 및 결함리스트의 제7포지션은 무효 결함리스트(invalid DFL)이므로 '10b'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경우에도 결함리스트 상태정보에 의해서 유효한 결함리스트 정보가 존재하는 가장 앞선 위치가 결함리스트의 제1포지션인 클러스터 17 ~ 클러스터 32임을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는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데 이터를 재생하는 기록재생부(20)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기(controller: 12)를 포함한다.
기록재생부(20)는 디스크에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기록하거나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픽업부와(11), 픽업부(11)로부터 독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원하는 신호값으로 복원해내거나, 기록될 신호를 디스크에 기록되는 신호로 변조(modulation)하여 전달하는 신호처리부(13)와, 디스크로부터 정확히 신호를 독출해내거나, 디스크에 신호를 정확히 기록하기 위해 픽업부(11)를 제어하는 서보부(14)와, 결함관리정보를 포함한 관리정보 및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메모리(15)와 상기 구성요소들의 제어를 담당하는 마이컴(16)을 포함한다. 관련하여, 기록재생부(20)로만 이루어진 기록재생장치를 "드라이브(drive)"라고도 하며, 이는 컴퓨터 주변기기로 활용될 수 있다.
마이컴(16)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으로부터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유효 결함리스트를 확인하며, 상기 유효 결함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매체를 재생하도록 상기 픽업부를 제어한다.
마이컴(16)은 관리영역으로부터 결함리스트 위치정보를 독출하도록 상기 픽업부를 제어한다. 또한, 마이컴(16)은 결함리스트 위치정보로부터 결함리스트를 확인하여, 상기 결함리스트가 유효 결함리스트가 아니면, 상기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유효 결함리스트를 확인할 수도 있다.
제어기(12)는 전체 구성요소의 제어를 담당하게 되며, 특히 본 발명과 관련 하여서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통해 사용자 명령 등을 수신하고,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재생하기 위한 기록재생 명령을 기록재생부(20)로 전송하게 된다.
AV디코더(17)는 제어기(12)의 제어에 따라 디스크로부터 독출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원하는 정보로 복원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AV인코더(18)는 디스크에 신호를 기록하는 기능의 수행을 위해 제어기(12)의 제어에 따라 입력신호를 특정포맷의 신호, 예를 들어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신호처리부(13)에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어기(controller: 12)와 마이컴(16)의 기능들은 각각 제1제어부(first control unit)와 제2제어부(second control unit)으로 나누어서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제어기(controller: 12)와 마이컴(16)의 기능들은 하나의 제어부(single control unit)로 합쳐져서 동작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재생방법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기록매체가 기록재생장치 내로 로딩되면(S10), 기록재생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으로부터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독출한다(S11). 이때,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는 결함리스트의 각 포지션에 기록된 결함리스트의 정보를 나타낸다.
기록재생장치는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유효 결함리스트를 확인하고(S12), 유효 결함리스트를 이용하여 기록매체를 재생한다(S13).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재생방법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기록매체가 기록재생장치 내로 로딩되면(S20), 기록재생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으로부터 결함리스트 위치정보를 독출한다(S21).
기록재생장치는 결함리스트 위치정보가 지시하는 결함리스트 포지션에 유효 결함리스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22).
상기 단계(S22) 확인결과, 결함리스트 포지션에 유효 결함리스트가 존재하면, 기록재생장치는 유효 결함리스트를 이용하여 기록매체를 재생한다(S23).
상기 단계(S22) 확인결과, 결함리스트 포지션에 유효 결함리스트가 존재하지 않으면, 기록재생장치는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독출하고(S24),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유효 결함리스트를 확인하고(S25), 유효 결함리스트를 이용하여 기록매체를 재생한다(S26).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 재생방법 및 장치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록재생장치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매체에서 유효 결함리스트가 기록된 결함리스트의 포지션을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어, 기록매체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결함리스트 상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좀 더 상세한 포지션 정보를 알 수 있어 기록매체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8)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관리영역을 구비하되,
    상기 관리정보는 결함리스트의 상태를 나타내는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영역은 디스크 관리영역(Disc Management Area: DM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는 1바이트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는 비트로 표현하되, 유효 결함리스트(valid DFL)는 1b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는 비트로 표현하되, 무효 결함리스트(invalid DFL), 00h 사용자 데이터,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빈(empty) 영역은 0b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는 2바이트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는 비트로 표현하되, 유효 결함리스트(valid DFL)는 11b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8. 기록매체를 재생함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으로부터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유효 결함리스트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 결함리스트를 이용하여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재생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영역으로부터 결함리스트 위치정보를 독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재생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리스트 위치정보로부터 결함리스트를 확인하여, 상기 결함리스트가 유효 결함리스트가 아니면, 상기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유효 결함리스트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재생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는 1바이트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재생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는 비트로 표현하되, 유효 결함리스트(valid DFL)는 1b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재생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는 비트로 표현하되, 무효 결함리스트(invalid DFL), 00h 사용자 데이터,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빈(empty) 영역은 0b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재생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는 2바이트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재생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는 비트로 표현하되, 유효한 결함리스트(valid DFL)는 11b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재생방법.
  16. 픽업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으로부터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유효 결함리스트를 확인하며, 상기 유효 결함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매체를 재생하도록 상기 픽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리영역으로부터 결함리스트 위치정보를 독출하도록 상기 픽업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함리스트 위치정보로부터 결함리스트를 확인하여, 상기 결함리스트가 유효 결함리스트가 아니면, 상기 결함리스트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유효 결함리스트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
KR1020060065575A 2006-06-09 2006-07-12 기록매체, 기록매체 재생방법 및 장치 KR2008000640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575A KR20080006401A (ko) 2006-07-12 2006-07-12 기록매체, 기록매체 재생방법 및 장치
US12/227,603 US20090310451A1 (en) 2006-06-09 2007-06-05 Recording medium,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recording medium
EP07746833A EP2044590A1 (en) 2006-06-09 2007-06-05 A recording medium,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recording medium
JP2009514201A JP2009540480A (ja) 2006-06-09 2007-06-05 記録媒体並びに記録媒体の管理方法及び装置
PCT/KR2007/002724 WO2007142451A1 (en) 2006-06-09 2007-06-05 A recording medium,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575A KR20080006401A (ko) 2006-07-12 2006-07-12 기록매체, 기록매체 재생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401A true KR20080006401A (ko) 2008-01-16

Family

ID=39220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575A KR20080006401A (ko) 2006-06-09 2006-07-12 기록매체, 기록매체 재생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64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62242B2 (en) Write-once optical disc,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management information on/from optical disc
JP2009272040A (ja) 追記型光ディスク、追記型光ディスクにおける管理情報の記録方法ならびに装置
KR101041818B1 (ko)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에 관리 정보를기록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RU2382421C2 (ru) Оптический диск однократной записи,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иси/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данных на/с оптического диска
AU20052516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on a recording medium and the recording medium
KR20070058292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와 기록매체클로징 방법
KR20060016055A (ko) 광 저장매체의 기록 재생 방법 및 장치
KR20080006401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재생방법 및 장치
JP2009540480A (ja) 記録媒体並びに記録媒体の管理方法及び装置
KR20080010544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방법 및 장치
KR20080046323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방법 및 장치
KR20080040080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KR20080025843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KR20080006220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방법 및 장치
KR101019480B1 (ko) 고밀도 광디스크의 기록 재생 방법 및 장치
KR20080062287A (ko) 기록 매체와 기록 재생 방법 및 그 장치, 그리고 결함 관리방법
KR20070117866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KR20050106175A (ko) 1회 기록가능한 고밀도 광디스크의 기록재생방법과기록재생장치
KR20080062288A (ko) 기록 매체와 기록 재생 방법 및 그 장치
KR20070010399A (ko)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의 결함관리 방법과 기록매체의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KR20050106174A (ko) 1회 기록가능한 고밀도 광디스크의 파일 할당방법 및 이를이용한 광디스크 기록방법과 기록장치
KR20070064870A (ko) 기록매체 내 hrl 정보 기록방법 및 기록매체재생방법/장치와 기록매체
KR20070043135A (ko)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KR20060004486A (ko) 고밀도 광디스크의 기록 재생 방법 및 장치
KR20100121200A (ko)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그리고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