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3135A -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3135A
KR20070043135A KR1020050099044A KR20050099044A KR20070043135A KR 20070043135 A KR20070043135 A KR 20070043135A KR 1020050099044 A KR1020050099044 A KR 1020050099044A KR 20050099044 A KR20050099044 A KR 20050099044A KR 20070043135 A KR20070043135 A KR 20070043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dma
layer
order
recording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9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3135A/ko
Publication of KR20070043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1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36Auxiliary data, e.g. lead-in, lead-out, Power Calibration Area [PCA], Burst Cutting Area [BCA], control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20/1873Temporary defect structures for write-once discs, e.g. TDDS, TDMA or TDF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3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has a specific layer structure
    • G11B2220/235Multilayer discs, i.e. multiple recording layers accessed from the same sid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1Blu-ray discs; Blue laser DVR disc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 레이어(Multi-layer)가 구비된 디스크에서 디스크 관리(Disc Management) 정보가 기록되는 복수 개의 임시결함관리영역(TDMA : 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를 액세스함에 있어, 상기 멀티 레이어를 트래킹(tracking)하는 순서에 따라 TDMA를 액세스(access)하도록 사용 순서를 정함으로써 상기 멀티 레이어가 구비된 디스크를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멀티 레이어가 구비된 기록매체에(를) 기록/재생함에 있어서도 상기 디스크의 안정화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기록매체(Recording Medium), 디스크 관리, 임시결함관리영역(TDMA), 멀티 레이어

Description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recording/reproducing data to/from the Recording Medium}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싱글 레이어에서의 스페어 영역의 가능한 위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듀얼 레이어에서의 스페어 영역의 가능한 위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멀티 레이어에서의 스페어 영역의 가능한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싱글 레이어 디스크에서 TDMA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듀얼 레이어 디스크에서 TDMA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멀티 레이어 디스크에서 TDMA의 위치 및 사용 순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멀티 레이어 디스크에서 TDMA의 위치 및 사용 순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멀티 레이어 디스크에서 TDMA의 위치 및 사용 순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멀티 레이어 디스크에서 TDMA의 위치 및 사용 순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기록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재생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기록재생부 11: 픽업
12: 제어부 13: 신호처리부
14: 서보 15: 메모리
16: 마이컴 17: 디코더
18: 인코더
본 발명은 기록매체 및 상기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기록매체 내 디스크 관리에 관한 것이다.
대용량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기록매체는 기록용량의 증가와 더불어 씨디(CD : Compact Disc), 디브이디(DVD : Digital Versatile Disc)를 거쳐 최근에는 고화질의 비디오 데이터와 고음질의 오디오 데이터를 장시간 동안 기록하여 저장할 수 있는 새로운 고밀도 기록매체 즉, 차세대 기록매체로 계속적인 기술발전을 이룩하고 있다.
또한, 상기 광디스크는 기록 용량의 증가뿐만 아니라 기록 재생 속도의 향상을 통해 더욱 편리하게 사용 가능한 저장매체로 발전하고 있다.
상기 차세대 기록매체 기술 중 하나인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 이하 ‘BD’라 한다)는 기존의 디브이디를 현저하게 능가하는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차세대 광기록 솔루션으로 근래에 다른 디지털 기기와 함께 이에 대한 세계 표준의 기술사양이 논의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아직 세계 표준의 기술 사양이 확립되지 못해 차세대 기록매체 기술을 이용하여 기록매체를 기록/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멀티 레이어가 구비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되, 상기 기록매체 내 디스크 관리 정보를 효율적으로 기록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멀티 레이어가 구비된 기록매체에(를) 기록/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는 데이터가 기록되는 멀티 레이어를 구비하되, 상기 각 레이어 내에는 디스크 관리에 관한 정보가 기 록되는 관리 영역이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하고, 상기 존재하는 관리 영역은 상기 각 레이어를 트래킹하는 순서에 따라 액세스(Access)할 수 있도록 사용 순서가 정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기록매체 내 각 레이어는 이너 존(Inner Zone), 데이터 존(Data Zone)과 아우터 존(Outer Zone)으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리 영역은 임시결함관리영역(TDMA :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TDMA는 상기 각 레이어의 이너 존에 있는 TDMA를 먼저 액세스한 후 상기 데이터 존의 TDMA를 액세스하도록 사용 순서가 정해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멀티 레이어를 4개 레이어씩 TDMA를 액세스하도록 사용 순서가 정해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멀티 레이어를 2개의 레이어씩 TDMA를 액세스하도록 사용 순서가 정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레이어의 데이터 존에는 이너 스페어 영역(ISA : Inner Spare Area), 유저 데이터 영역(User Data Area)과 아우터 스페어 영역(OSA : Outer Spare Area)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TDMA의 최대 크기는 상기 TDMA가 속한 해당 스페어 영역의 크기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멀티 레이어는 3개 이상의 레이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기록방법은 멀티 레이어가 구비된 기록매체에 데이 터를 기록함에 있어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유저 데이터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기록 과정에서 발생하는 디스크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update)하기 위해 상기 각 레이어의 트래킹 순서에 따라 사용 순서가 정해진 TDMA 중 현재 사용하고 있는 TDMA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TDMA에 상기 발생되는 디스크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재생방법은 멀티 레이어가 구비된 기록매체를 재생함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의 현재 사용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각 레이어의 트래킹 순서에 따라 사용 순서가 정해진 TDMA 중 마지막으로 사용된 TDMA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TDMA에서 최종 디스크 관리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되는 디스크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기록장치는 멀티 레이어가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함에 있어서, 상기 멀티 레이어의 각 레이어를 트래킹하는 순서에 따라 사용 순서가 정해진 TDMA 중 현재 사용되는 TDMA 내에 기록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디스크 관리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픽업부를 제어하는 마이컴(Micom or Microprocessor)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재생장치는 멀티 레이어가 구비된 기록매체를 재생함에 있어서,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픽업(Pick-Up)부와; 상기 멀티 레이어의 각 레이어를 트래킹하는 순서에 따라 사용 순서가 정해진 TDMA 내에 존재하는 최종 디스크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픽업부를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 이컴의 제어에 의해 상기 픽업부에서 독출하는 신호를 원하는 신호 값으로 복원(Demodulation)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복원된 신호를 복호(decoding)하는 디코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됨을 밝혀 두고자 한다.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기록매체"의 의미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매체를 총칭한 것으로 예를 들어, 광디스크, 자기디스크, 자기테이프 방식을 모두 포함한다.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멀티 레이어"의 의미는, 상기 기록매체 내 레이어가 3개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이때, 상기 레이어에는 커버 레이어(Cover layer), 스페이서 레이어(Spacer layer)와 리코딩 레이어(Recording layer)의 3 개의 레이어가 존재하고, 본 발명에서 특히 리코딩 레이어에 한정하여 이를 레이어라고 정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및 상기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기록매체는 광디스크 중에서 1회 기록 가능한 디스크(BD-R)의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멀티 레이어가 구비된 기록매체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본 발명에 따라 멀티 레이어가 구비된 기록매체에서, 상기 레이어가 1 개인 경우는 싱글 레이어(Single Layer), 2 개인 경우는 듀얼 레이어(Dual Layer)라고 정의한다. 상기 레이어의 수가 증가하면 기록매체에 기록할 수 있는 용량은 증가하나, 그만큼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은 복잡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레이어가 구비된 1회 기록 가능한 기록매체에서, 상기 각 레이어에 존재하는 디스크 관리(Disc Management)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는 TDMA의 사용 순서를 정하여 디스크의 효율을 높이고자 한다.
관련하여, 상기 디스크 관리에 대해 살펴보면, BD-R의 경우 상기 디스크 관리는 결함 관리(Defect Management)와 기록 관리(Recording Management)의 두 가지 과정을 포함하고 있는 개념으로 사용한다.
상기 결함 관리는 디스크를 사용하는 동안 발생하는 디스크 상의 결함(Defect)과 중첩적기록(Overwrite)들을 다루기 위해, 상기 기록 관리는 디스크에 기록하기 위한 방법을 정의하고 제어하기 위해 사용한다.
상기에서 결함 관리는 디스크 상에 손상(damage)이나 오염(contamination)을 통하여 손상되거나 신뢰할 수 없게 되는 영역들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된 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호스트(Host)에 보고 후 상기 호스트의 제어에 따르는 방법이 있으나, 본 발명은 드라이브(Drive) 자체적으로 결함 관리를 수행하는 것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상기 결함 관리에는 또 논리적 중첩기록(LOW : Logical OverWrite)이 있다. 즉,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는 디스크의 전 영역에서 오직 1회만 기록가능함에 따라서, 재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와 달리 물리적으로 중첩적 기록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도 기록된 데이터를 편집하거나, 해당 부분만을 수정하고자 하거나 또는 사용자나 호스트 등의 편의를 위해, 중첩기록이 필요한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로부터 이미 기록된 영역에 데이터 기록 요청이 수신되면, 드라이브는 상기 수신된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다른 대체 영역(replacement area)을 재지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LOW는 결함과 같은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의 요청을 취급하여 대체 영역을 재지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재지정과 관련된 정보는 결함 리스트(Defect list)에 저장이 된다. 따라서, 상기 LOW를 결함 관리에 포함시켜 취급한다.
상기 1회 기록 가능한 BD-R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기록을 하고 나면 다시 재기록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사용자로부터 중첩적기록 요청이 오거나 상기 결함 리스트에 손상이 발생하면 상기 중첩적기록된(overwritten) 위치를 스페어 영역 내지는 다른 유저 데이터 영역으로 대체하기 위해 재지정하여야 한다.
상기 1회 기록 가능한 BD-R은 하나의 결함 리스트가 있다. 상기 결함 리스트는 손상된 클러스터(cluster)와 중첩적기록된 클러스터의 선형 대체(linear replacement)에 적용된다. 만약 쓰기, 쓰기 후 확인과 읽기 동작을 하는 동안 손상된 영역이 검출되면, 상기 손상된 클러스터는 결함 리스트에 추가된다. 그리고 이미 기록된 클러스트에 대한 중첩적기록 요청이 있으면, 상기 중첩적기록된 클러스터는 상기 결함 리스트에 추가된다.
상기 1회 기록 가능한 BD-R은 SRM(Sequential Recording Mode)과 RRM(Random Recording Mode) 두 개의 기록 모드를 지원한다. 상기 두 개의 기록 모드를 이용하여 기록 관리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SRM은 SRRI(Sequential Recording Range Information) 구조에 의해서 다루어지고, 상기 RRM은 SBM(Space Bit Map) 구조에 의해서 다루어진다.
또한, 상기 기록 모드는 호스트의 요청에 따라 디스크 초기화 시에 선택되면 더 이상 변하지 않는다.
관련하여, 상기 결함 관리와 기록 관리를 포함하고 있는 디스크 관리는 스페어 영역을 이용한다. 상기 스페어 영역에 대해 살펴보면,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싱글 레이어(Single layer)에서의 스페어 영역의 가능한 위치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듀얼 레이어(Dual layer)에서의 스페어 영역의 가능한 위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서 싱글 레이어 디스크는 리드-인 존, 데이터 존 0와 리드-아웃 존으 로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 존 0은 스페어 영역과 유저 데이터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스페어 영역은 데이터 존 0의 안쪽에 위치하는 ISA 0와 데이터 존 0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OSA 0으로 나뉜다.
상기 ISA 0은 4096 피지컬 클러스터(physical cluster)의 고정된 크기를 가진다. 이때, 만약 스페어 클러스터가 전혀 없다면 상기 ISA 0은 크기가 0이 될 것이다. 그리고 OSA 0은 N*256 피지컬 클러스터의 다양한 크기를 가진다. 이때, 상기 N은 0에서 768까지 가진다.
상기 도 2는 두 개의 레이어가 존재하는 듀얼 레이어 디스크이고, 상기 도 1의 싱글 레이어 디스크와는 상이하다. 즉, 상기 두 개의 레이어 중 레이어 0(L0)의 경우 존 0, 데이터 존 0과 아우터 존 0으로 구성되고, 레이어 1(L1)의 경우 이너 존 1, 데이터 존 1과 아우터 존 1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각 데이터 존은 상기 도 1의 싱글 레이어 디스크와 같이 스페어 영역과 유저 데이터 영역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이어 0(L0) 내의 데이터 존 0은 상기 싱글 레이어 디스크의 데이터 존 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레이어 1(L1) 내의 데이터 존 1은 ISA 1과 OSA 1을 가진다.
상기 ISA 1은 K*256 피지컬 클러스터를 가진다. 이때, 상기 K는 0에서 64까지이다. 그리고 상기 OSA 1은 상기 레이어 0(L0)의 OSA 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스페어 영역의 최대 크기는 데이터 존의 최대 스페어 용량의 50%까지 이다.
상기 도 1과 도 2에서는 싱글 레이어와 듀얼 레이어 디스크에서 스페어 영역의 위치 및 구조에 대해 살펴보았다. 상기 스페어 영역은 손상된 클러스터와 상기 손상된 클러스터의 대체 영역에 대한 정보인 디스크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TDMA의 재할당을 위한 것으로, 디스크 상의 싱글 레이어 또는 듀얼 레이어 영역은 상기 디스크가 초기화될 때 유보된다.
상기에서는 싱글 레이어와 듀얼 레이어에서의 스페어 구조를 살펴보았다.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라 멀티 레이어가 구비된 경우에 대해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멀티 레이어에서의 스페어 영역의 가능한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은 레이어가 3개 이상인 멀티 레이어의 경우로 상기 도 1과 도 2 개념을 확장한 것이다.
도 3에서는 상기 멀티 레이어로 상기 레이어가 4개인 경우를 일 예로 든다. 이때, 상기 도 3의 레이어 0(L0)과 레이어 1(L1)은 상술한 도 2의 레이어 0(L0)과 레이어 1(L1)과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도 3의 레이어 2(L2)와 레이어 3(L3)은 상기 도 2의 레이어 1(L1)과 동일하다. 이는 상기 레이어의 개수가 증가하여도 상기 스페어 구조를 유추할 수가 있다.
즉, 상기 도 3의 각 레이어는 이너 존, 데이터 존과 아우터 존으로 구성되고, 상기 레이어 2(L2)와 레이어 3(L3)의 데이터 존의 내부 구성은 상기 레이어 1(L1)의 데이터 존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ISA 2, 3과 OSA 2, 3은 각각 상기 ISA 1과 OSA 1과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크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스페어 영역은 임의 정의 가능한 것으로, 상기 레이어 수를 증가하더라도 상기와 같은 개념을 이용하여 확장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1회 기록 가능한 BD-R은 기록과정에서 상기 유저 데이터 영역에 손상으로 인해 손상된 영역이 발생하면, 상기 손상된 영역을 상기 스페어 영역 내의 대체 영역으로 옮겨 대체한다. 이때, 상기 대체 후에는 상기 대체로 인해 발생한 디스크 관리 정보를 기록하여야만 상기 기록매체를 기록/재생함에 있어서 반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1회 기록 가능한 BD-R에는 상기 디스크 관리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결함관리영역(DMA : Disc Management Area)와 TDMA가 존재한다. 관련하여, 상기 DMA와 TDMA에 대해 살펴보면,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싱글 레이어 디스크에서 TDMA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DMA는 상기 기록매체에 더 이상 기록하지 않는 클로우징(Closing) 상태가 되면, 상기 클로우징 상태일 때의 디스크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이다. 이때, 상기 DMA는 디스크 상에서 4개의 DMA 존이 존재하고, 상기 디스크가 클로우즈드(closed)되었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DMA 액세스 인디케이터(DMA Access Indicator)가 존재한다.
상기와 같이 디스크 클로우즈드 상태가 아닌 즉, 기록 또는 재생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상된 영역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디스크 관리 정보는 업데이트(Update)를 하여 디스크의 현재 사용 상태를 반영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디스크가 사용되는 동안에는 상기 TDMA가 이용된다.
즉, 상기 디스크가 클로우즈드 상태가 아니라면, 계속하여 기록 또는 재생 과정에서 상기 디스크 관리 정보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디스크 관리 정보들을 업데이트 하지 않아 현재 디스크의 정확한 사용 상태(Status)를 설명해주지 않는다면, 상기 디스크를 적절하게 기록하거나 재생할 수가 없다.
따라서, 상기 현재 디스크의 정확한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디스크 관리 정보를 상기 TDMA에 업데이트한다.
관련하여, 본 발명과 관련하여 BD-R에서 상기 디스크를 기록하는 동안에 발생하는 디스크 관리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상기 디스크의 각 레이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하는 TDMA에 대해 살펴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 관리에는 결함(defect)과 기록 관리 정보가 있고, 상기 각 정보는 상기 각 레이어에 기록이 된다. 특히, 각 레이어의 이너 존의 TDMA를 제외하고는 상기 레이어의 데이터 존 내의 스페어 영역에 저장이 된다.
관련하여, 상기 1회 기록 가능한 BD-R에서는 상기 DMA에 계속하여 쓰고 지우기를 할 수 없으므로, 상기 디스크를 사용하는 동안에는 별도의 TDMA를 할당하여 상기 디스크 관리 정보의 업데이트를 계속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1회 기록 가능한 BD-R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기록하는 동안에 발생하는 디스크 관리에 대한 정보를 상기 TDMA에 저장하나, 사용자 등으로부터 클로우징 요청이 있으면 그때까지 상기 TDMA에 저장된 디스크 관리 정보를 DMA로 저장을 하여 상기 최종 디스크의 사용 상태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각 스페어 영역 내의 클러스터들은 연속적이고, PSN(Physical Sector Number)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사용한다.
상기 결함 리스트 등의 추가적인 업데이트를 위해서는 더 많은 TDMA의 용량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스페어 영역 내에 TDMA를 할당하여 추가적인 TDMA로 사용한다. 이때, 상기 스페어 영역의 크기와 TDMA의 크기를 초기화하고 나면 더 이상 변하지 않는다.
상기 TDMA는 각 레이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레이어의 이너 존에는 반드시 TDMA가 존재하나, 데이터 존에는 반드시 존재할 필요가 없다.
관련하여, 상기 도 4의 리드-인 존에 존재하는 TDMA 0 내에는 TDMA 액세스 인디케이터가 존재한다. 상기 TDMA 액세스 인디케이터는 상기 레이어 내 현재 사용 중인 TDMA의 개수 등을 알려 주는 것으로, 상기 TDMA 0 내에 일정 클러스터를 할당하여 상기 정보를 제공한다.
즉, 상기 도 4의 경우 하나의 레이어 내에 3개의 레이어가 존재하므로, 상기 TDMA 0 내의 3개의 클러스터를 할당하여 상기 TDMA 액세스 인디케이터로 이용한다. 이때, 상기 현재 사용 중인 TDMA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3개의 클러스터 중 만약 첫 번째 클러스터에 어떠한 내용이 기록되면, 상기 TDMA 0가 현재 사용 중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상기 3개의 클러스터 중 만약 2개의 클러스터에 어떠한 내용이 기록되면, 현재 사용 중인 TDMA는 TDMA 1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각 레이어에서 현재 사용 중인 TDMA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임의 정의 가능하다.
상기 TDMA 액세스 인디케이터의 경우 후술하는 멀티 레이어에서도 상기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어, 듀얼 레이어에 TDMA가 만약 6개면 상기 듀얼 레이어에서 6개의 클러스터를 할당하여 상기 TDMA 액세스 인디케이터로 이용하게 된다.
관련하여,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듀얼 레이어 디스크에서 TDMA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4와 도 5에서는 TDMA가 각 레이어의 이너 존에 하나 존재하고, 데이터 존의 ISA와 OSA에 각 1개씩 존재하는 것을 가정하고 설명하겠다. 또한, 상기 DMA는 이하 상술한 내용과 동일한바, 이하 생략하겠다.
상기 TDMA는 상기 ISA와 OSA에 반드시 존재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ISA와 OSA에 존재하는 TDMA는 추가적이다. 만약 상기 TDMA가 ISA나 OSA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TDMA의 크기를 0으로 설정하면 된다.
그러나 만약 결함과 기록 관리 정보를 계속하여 업데이트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공간이 필요하다. 이때에는 상기 업데이트를 위해 더 많은 공간을 조성하여 정의하면 된다. 예를 들면, 계속하여 발생되는 결함 리스트의 업데이트를 위해 더욱 로버스트(robust) 디자인이 필요하고, 상기와 같이 더욱 빈번한 업데이트를 위해 TDMA를 더욱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TDMA는 ISA의 안쪽과 OSA의 바깥쪽에 할당될 것이다. 이때, 상기 TDMA의 취급을 편하게 하기 위해 모든 TDMA는 비록 그들의 크기가 0이라고 하더라도 존재하는 것처럼 취급한다.
먼저, 상기 싱글 레이어 디스크의 경우에는 이너 존에 하나의 TDMA 0가 존재하고, 추가로 상기 데이터 존의 스페어 영역에 TDMA가 존재한다.
상기 도 4의 경우에는 이너 존에 하나의 TDMA가, 데이터 존의 ISA 0과 OSA 0에 각각 한 개씩 TDMA가 존재하는 것을 예로 들었다. 그리고 ISA 0의 TDMA를 TDMA 1로, OSA 0의 TDMA를 TDMA 2로 정의한다.
상기 TDMA 0 내지 TDMA 2는 상기 TDMA의 사용 순서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기록매체를 기록/재생함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은 순서로 액세스를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TDMA 사용 순서는 임의로 정의 가능하다.
이때, 상기 각 TDMA의 크기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이너 존에 존재하는 TDMA 0의 경우에는 2048 피지컬 클러스터의 고정된 크기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TDMA 1은 m*256 피지컬 클러스터의 크기를 가지고, 상기 m은 0에서 16까지이다. 그리고 상기 TDMA 1의 최대 크기는 상기 ISA 0의 크기와 같아진다.
상기 TDMA 2는 n*256 피지컬 클러스터의 크기를 가지고, 상기 n은 0에서 N까지이다. 그리고 상기 TDMA 2의 최대 크기는 상기 OSA 0의 크기와 같아진다.
다음으로, 상기 도 5의 듀얼 레이어 디스크의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듀얼 레이어의 경우 구성이 상이하다. 상기 싱글 레이어 디스크의 경우에는 리드-인 존, 데이터 존과 리드-아웃 존으로 구분하였으나, 듀얼 레이어 디스크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이너 존, 데이터 존과 아우터 존으로 구분하고 있다.
상기 듀얼 레이어 디스크에서는 레이어 0(L0)의 경우 이너 존에 하나의 TDMA가 존재하고, 상기 데이터 존 0의 스페어 영역에 TDMA가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레이어 1(L1)의 경우에는 이너 존에 TDMA가 하나 존재하고, 상기 데이터 존 1의 스페어 영역에 TDMA가 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도 5의 경우를 보면, 상기 레이어 0(L0)의 이너 존에 있는 TDMA를 TDMA 0으로, 데이터 존 0의 ISA 0에 있는 TDMA를 TDMA 2, OSA 0에 있는 TDMA를 TDMA 3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레이어 1(L1)의 이너 존에 있는 TDMA를 TDMA 1로, 데이터 존 1의 ISA 1에 있는 TDMA를 TDMA 5, OSA 1에 있는 TDMA를 TDMA 4로 정의한다.
이는 상기 싱글 레이어 디스크와는 상이하다. 상기 TDMA의 사용 순서를 살펴보면, 먼저 레이어 0(L0)의 이너 존에 있는 TDMA 0을 액세스하고, 다음으로 레이어 1(L1)의 이너 존에 있는 TDMA 1을 액세스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레이어 0(L0)에 있는 데이터 존 0의 TDMA 2와 TDMA 3을 액세스하고, 다음으로 레이어 1(L1)의 데이터 존 1에 있는 TDMA 4와 TDMA 5를 액세스하게 된다.
즉, 상기 싱글 레이어의 경우에는 TDMA 0 → TDMA 1 → TDMA 2의 순서이고, 상기 듀얼 레이어의 경우에는 TDMA 0 → TDMA 1 → TDMA 2 → TDMA 3 → TDMA 4 → TDMA 5이다. 상기 듀얼 레이어의 경우에는 TDMA 0, TDMA 2와 TDMA 3은 레이어 0(L0)에 위치하고, TDMA 1, TDMA 4와 TDMA 5는 레이어 1(L1)에 위치하므로 상기와 같이 TDMA를 액세스하면 레이어 점프(layer jump)를 하게 된다.
즉, 상기 TDMA 0와 TDMA 1 사이에 한 번의 레이어 점프가 있고, TDMA 1과 TDMA 2 사이에 또 한 번의 레이어 점프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TDMA는 연속적이고 PSN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채워지며, 상기 정해진 사용 순서에 따르므로, 상기 도 3의 싱글 레이어의 경우에는 TDMA 1과(또 는) TDMA 2의 크기는 0이 되고, 상기 도 4의 듀얼 레이어의 경우에는 TDMA 2와(또는) TDMA 3과 TDMA 4와(또는) TDMA 5의 크기는 0이 된다.
관련하여,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멀티 레이어 디스크에서 TDMA의 위치 및 사용 순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6에서는 4개의 레이어가 구비된 멀티 레이어 디스크의 경우를 예로 든 것으로, 상기 레이어 0(L0)과 레이어 1(L1)의 구조는 상술한 도 5의 듀얼 레이어 구조와 동일하고, 상기 레이어 2(L2)와 레이어 3(L3)의 구조는 상기 레이어 1(L1)의 구조와 동일하다.
이는 상기 레이어의 수를 증가시키더라도 동일한 개념으로 확장 가능하다. 즉, 상기 레이어의 수가 예로 든 4개보다 더 증가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개념을 이용하면, 상기 레이어 4(L4) 이후 증가되는 레이어의 구조는 상기 레이어 1(L1)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TDMA의 사용 순서를 살펴보면, 상기 도 6에서는 상기 TDMA의 사용 순서를 트래킹 순서에 따라 이용하는 것이다.
즉, 상기 멀티 레이어를 트래킹하는 순서에 따라 TDMA를 시퀀셜(sequential)하게 할당하고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디스크를 트래킹함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 0(L0)에서부터 레이어 3(L3)까지 순차적으로 트래킹을 하는데, 상기 TDMA 역시 상기 트래킹 순서와 동일하게 할당하면 레이어 점프를 하지 않고도 효율적으로 디스크의 TDMA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TDMA의 사용 순서는 상기 싱글 또는 듀얼 레이어에서와 같이 TDMA 0 → TDMA 1 → TDMA 2 → TDMA 3 → TDMA 4 → TDMA 5 → TDMA 6 → TDMA 7 → TDMA 8 → TDMA 9 → TDMA 10→ TDMA 11이다. 그러나 상기 멀티 레이어의 경우에는 상기 싱글 레이어 또는 듀얼 레이어와는 다르다.
관련하여, 도 6에서 상술한 내용은 데이터가 기록되는 레이어를 트래킹하는 순서에 따라 액세스하는 것에 대해 살펴보았으나, 이는 임의로 정의 가능하다.
관련하여, 상기와 같은 멀티 레이어 디스크 구조에서 TDMA의 사용 순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정의하고 그에 따라 상기 TDMA를 액세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각 레이어에서 데이터 존에 위치하는 TDMA는 반드시 존재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이너 존에는 각 레이어에 TDMA가 존재하는지 등의 유무를 알려줘야 하므로 TDMA가 존재하여야 하나, 상기 데이터 존의 추가적인 TDMA의 경우에는 할당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한, 상기 할당이 된다고 하더라도 크기가 0이 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멀티 레이어 디스크에서 TDMA의 위치 및 사용 순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상기 레이어가 4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7은 상기 도 6의 TDMA 사용 순서와는 달리 상기 멀티 레이어를 두 개의 레이어씩 묶어서 사용 순서를 정의한 것이다. 즉, 상기 도 5의 듀얼 레이어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먼저 레이어 0(L0)과 1의 2개의 레이어를 액세스하고 난 후 다음 레이어 2(L2)와 3을 액세스한다.
이때, 각 두 개씩의 레이어의 이너 존에 위치하는 각 TDMA를 먼저 사용한다. 즉, 먼저 L0와 L1의 레이어에 위치하는 TDMA의 사용 순서를 정의하면, L0와 L1의 이너 존에 위치하는 TDMA를 사용하고, 다음으로 데이터 존에 위치하는 TDMA를 사용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존에 위치하는 TDMA의 사용 순서는 각 레이어를 트래킹하는 순서에 따른다. 그리고 다음 2개의 레이어 L2와 L3에 위치하는 TDMA는 상술한 L0와 L1의 TDMA 사용 순서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한다. 이때, 상기 레이어의 개수가 증가하더라도 상기 개념을 이용하여 유추가능하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멀티 레이어 디스크에서 TDMA의 위치 및 사용 순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상기 4개의 레이어를 구비한 멀티 레이어 디스크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8은 상기 도 7에서 2 개의 레이어씩 묶어서 TDMA의 사용 순서를 정의한 것과 달리 4 개의 레이어씩 묶어서 TDMA를 액세스할 수 있도록 사용 순서를 정의하는 경우이다.
상기 도 8에서 정의한 TDMA의 사용 순서를 살펴보면, 먼저 L0 ~ L3까지 4개의 레이어에 위치하고 있는 TDMA의 사용 순서를 정의한다. 이때, 상기 L0 ~ L3까지의 각 레이어의 이너 존에 위치하는 TDMA를 먼저 사용하고 난 후 데이터 존의 TDMA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존에 위치하는 TDMA의 경우에는 각 레이어를 트래킹하는 순서에 따라 TDMA의 사용 순서를 정의한다. 이렇게 하여 상기 4개의 레이어에 대해 TDMA의 사용 순서를 정의하고 나면 다음 위치할 4 개의 레이어에 대해 상기 L0 ~ L3 레이어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TDMA의 사용 순서를 정의한다.
관련하여,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멀티 레이어 디스크에서 TDMA의 위치 및 사용 순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는 8개의 레이어가 구비된 것 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9의 경우에는 상기 도 7과 도 8에서의 2개 내지 4개의 레이어씩 묶는 것이 아니라, 상기 디스크에 구비되는 멀티 레이어 전부를 한 번에 묶어서 이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멀티 레이어에 위치하는 TDMA의 사용 순서를 정의할 때도 상술한 도 7과 도 8의 개념을 이용한다. 즉, 상기 각 레이어의 이너 존에 위치하는 TDMA를 먼저 액세스하도록 사용 순서를 정의하고 난 후 데이터 존에 위치하는 TDMA를 액세스하도록 사용 순서를 정의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존에 위치하는 TDMA의 사용 순서는 각 레이어를 트래킹하는 순서에 의해 액세스한다.
즉, 상기 도 9의 L0 ~ L7의 이너 존에 위치하는 7개의 TDMA에 대해 우선 순위로 사용 순서를 정의하고 다음 데이터 존에 위치하는 나머지 16개의 TDMA의 사용 순서를 정의한다.
상기 도 6 내지 도 9에서는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정의한 TDMA의 사용 순서를 그 순서에 맞게 정의하여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각 레이어 내의 TDMA들은 디스크가 초기화될 때 할당된다. 또한, 상기 TDMA들은 다음과 같은 오더(order) 내에서 순차적으로 사용되어 진다.
상기에서는 멀티 레이어가 구비된 1회 기록 가능한 디스크에서 디스크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TDMA에 대해 살펴본 것으로, 상기 TDMA의 위치 및 사용 순서에 대한 예에 대해 살펴 보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형태로서, 상술한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 법 및 장치에 대해 살펴본다. 도 10의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를 기록/재생하는 장치에 대한 구성 블록도로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포함한 관리정보를 기록/재생하기 위한 픽업부(11)와 상기 픽업부(11)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보(14), 상기 픽업부(11)로부터 수신된 재생신호를 원하는 신호 값으로 복원해내거나 기록될 신호를 광디스크에 기록하기 위해 필요한 형태의 신호로 변조하여 전달하는 신호처리부(13)와 디스크 재생을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5)와, 상기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16)으로 기본 구성된다. 관련하여 상기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이를 "기록재생부(10)" 라고도 하며, 상기 기록재생부(10)는 단일의 제품으로도 제공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2)는 전체 구성요소의 제어를 담당한다.
상기 디코더(decoder)(17)는 상기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출력데이터를 최종적으로 복호(decoding)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인코더(encoder)(18)는 기록매체에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입력 신호를 특정 포맷의 신호, 예를 들어 엠펙2(MPEG2)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으로 변환(transformation)하여 상기 신호처리부(13)에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0은 기록매체의 기록과 재생 장치의 구성 요소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바, 먼저 재생과 관련하여서는 기록매체, 기록 재생부(10)와 디코더(17)가 사용되고, 기록과 관련하여서는 기록매체, 기록 재생부(10), 인코더(18)가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사용될 것이다.
상술한 기록매체에(를) 기록/재생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기록/재생하는 방법 중 먼저 기록매체 기록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기록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로부터 기록 요청이 있으면, 상기 기록매체가 클로우즈드 상태인지 판단한다(S10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디스크가 클로우즈드 상태가 아니라면 상기 디스크는 호스트에서 설정한 기록 모드에 따라 기록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입력되는 데이터를 사용자 등이 원하는 유저 데이터 영역에 기록하기 시작한다(S20 단계).
상기 기록이 시작되면, 상기 기록 과정에서 손상 등으로 인해 손상 영역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손상 영역이 발생하면 이를 스페어 영역 내 대체 영역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상기 대체 과정에서 발생되는 디스크 관리 정보를 TDMA에 기록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TDMA는 상기 각 레이어의 트래킹 순서에 따라 사용 순서에 따라 정해진 TDMA 중 현재 사용 중인 TDMA를 결정하여야 한다(S30 단계).
그리고 상기 결정된 TDMA에 디스크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 하게 된다(S40 단계).
상술한 과정을 거쳐 상기 디스크에 사용자 등이 원하는 정보를 기록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TDMA의 사용 순서는 상기에서는 각 레이어의 트래킹 순서에 따라 사용 순서를 정했으나, 상술한 TDMA 사용 순서 정의 방법을 이용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술한 기록매체를 기록/재생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기록/재생하는 방법 중 먼저 기록매체 재생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재생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상기 기록매체의 재생 요청이 있으면, 상기 디스크가 클로우즈드 상태인지 파악한다. 왜냐하면, 상기 디스크가 클로우즈드 상태이면 본 발명에 따른 TDMA가 아닌 DMA 정보를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이다(S100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만약 디스크가 클로우즈드 상태가 아니라면, 상기 재생 요청에 따라 재생하기 위해 상기 디스크의 사용 상태를 파악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디스크의 사용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상기 디스크 내 각 레이어의 트래킹 순서에 따라 사용 순서가 정해진 TDMA 중 마지막으로 사용한 TDMA를 결정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결정을 위해 TDMA 액세스 인디케이터를 이용한다(S110 단계).
상기 마지막으로 사용한 TDMA가 결정이 되면, 상기 TDMA에서 최종 디스크 관리 정보를 독출한다(S120 단계).
상기 독출되는 TDMA 내 디스크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크를 재생한다(S130 단계).
이때, 상기 디스크 재생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상 등으로 인한 손상된 영역은 대체 영역으로 대체되고, 상기 대체 과정에서 발생되는 디스크 관리 정보는 상기 결정된 TDMA에 업데이트 한다.
이때, 상기 업데이트 시에 만약 TDMA의 남겨진 공간이 없다면 본 발명에 따라 예를 들면, 멀티 레이어가 구비된 디스크의 각 레이어를 트래킹하는 순서에 따 라 TDMA를 액세스하도록 사용 순서가 정해진 바에 의해 다음 TDMA를 이용하여 계속 업데이트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및 상기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상기 기록매체를 사용하는 중에 디스크 관리 정보를 기록하거나 업데이트하여야 하는데 필요한 TDMA를 액세스함에 있어서, 멀티 레이어의 경우에도 레이어 점프 현상을 없애거나 줄여 보다 효율적인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23)

  1. 데이터가 기록되는 멀티 레이어(Multi-layer)를 구비하되, 상기 각 레이어 내에는 디스크 관리(Disc Management)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는 관리 영역이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하고, 상기 존재하는 관리 영역은 상기 각 레이어를 트래킹하는 순서에 따라 액세스할 수 있도록 사용 순서가 정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 내 각 레이어는 이너 존, 데이터 존과 아우터 존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영역은 임시결함관리영역(TDMA : 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TDMA는 상기 각 레이어의 이너 존에 있는 TDMA를 먼저 액세스한 후 상기 데이터 존의 TDMA를 액세스하도록 사용 순서가 정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존의 TDMA의 사용 순서는 각 레이어를 트래킹하는 순서에 따라 정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레이어를 4개 레이어씩 TDMA를 액세스하도록 사용 순서가 정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4개의 레이어 내의 TDMA는 상기 각 레이어의 이너 존에 있는 TDMA를 먼저 액세스한 후 데이터 존의 TDMA를 액세스하도록 사용 순서가 정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존의 TDMA는 각 레이어를 트래킹하는 순서에 따라 액세스하도록 사용 순서가 정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레이어를 2개의 레이어씩 TDMA를 액세스하도록 사용 순서가 정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각 2개의 레이어 내의 TDMA는 상기 각 레이어의 이너 존에 있는 TDMA를 먼저 액세스한 후 데이터 존의 TDMA를 액세스하도록 사용 순서가 정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존에 있는 TDMA는 각 레이어의 트래킹 순서에 따라 액세스하도록 사용 순서가 정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레이어의 데이터 존에는 이너 스페어 영역, 유저 데이터 영역과 아우터 스페어 영역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레이어의 이너 스페어 영역 모두에 TDMA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레이어의 아우터 스페어 영역 모두에 TDMA가 존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TDMA의 최대 크기는 상기 TDMA가 속한 해당 스페어 영역의 크기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TDMA의 크기는 0이 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TDMA를 액세스하도록 사용 순서를 정함에 있어서 상기 TDMA의 크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취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레이어는 3개 이상의 레이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레이어가 구비된 기록매체는 BD-R(Recordab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0. 멀티 레이어가 구비된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함에 있어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유저 데이터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기록 과정에서 발생하는 디스크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상기 각 레이어의 트래킹 순서에 따라 사용 순서가 정해진 TDMA 중 현재 사용하고 있는 TDMA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TDMA에 상기 발생되는 디스크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방법.
  21. 멀티 레이어가 구비된 기록매체를 재생함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의 현재 사용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각 레이어의 트래킹 순서에 따라 사용 순서가 정해진 TDMA 중 마지막으로 사용된 TDMA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TDMA에서 최종 디스크 관리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되는 디스크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재생방법.
  22. 멀티 레이어가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함에 있어서,
    상기 멀티 레이어의 각 레이어를 트래킹하는 순서에 따라 사용 순서가 정해진 TDMA 중 현재 사용되는 TDMA에 기록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디스크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픽업부를 제어하는 마이컴(Micom)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기록매체 기록장치.
  23. 멀티 레이어가 구비된 기록매체를 재생함에 있어서,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픽업(Pick-Up)부와;
    상기 멀티 레이어의 각 레이어를 트래킹하는 순서에 따라 사용 순서가 정해진 TDMA 내에 존재하는 최종 디스크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픽업부를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의해 상기 픽업부에서 독출하는 신호를 원하는 신호 값으로 복원(Demodulation)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복원된 신호를 복호(decoding)하는 디코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재생장치.
KR1020050099044A 2005-10-20 2005-10-20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KR200700431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044A KR20070043135A (ko) 2005-10-20 2005-10-20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044A KR20070043135A (ko) 2005-10-20 2005-10-20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135A true KR20070043135A (ko) 2007-04-25

Family

ID=38177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044A KR20070043135A (ko) 2005-10-20 2005-10-20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31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3427B1 (ko) 1회 기록가능한 광기록매체 및 1회 기록가능한광기록매체에 있어서의 결함영역 관리방법 및 장치
KR101067777B1 (ko) 1회 기록가능한 광기록매체 및 1회 기록가능한광기록매체에 있어서의 결함관리방법
RU2372673C2 (ru) Оптический диск,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дефектной зоной на оптическом диске
RU2344494C2 (ru) Оптический диск неперезаписываемого типа, способ и аппарат управления дефектной информацией на оптическом диске
JP4194559B2 (ja) 光ディスク、追記型光ディスク上で欠陥領域を管理する方法および装置
RU2328039C2 (ru) Однократно записываемый диск, способ распеределения области данных однократно записываемого диска,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данных с такого диска
US8144554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write-once dis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write-once disc, and write-once disc therefor
US8077561B2 (en) Recording medium,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data on/from the same and method thereof
JP2008059748A (ja) 物理的アクセス制御を備えた記録媒体、記録媒体を形成、記録および再生する装置並びに方法
JP2008112577A (ja) 記録媒体上に管理情報を記録しデータを再生するシステム
RU2382421C2 (ru) Оптический диск однократной записи,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иси/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данных на/с оптического диска
US75941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and reproducing data from a recording medium and the recording medium
JP2007503073A (ja) 複数層の情報担体上に情報を記録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024916B1 (ko) 1회 기록 가능한 고밀도 광디스크의 데이터 기록 방법 및장치
JP2005322337A (ja)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媒体用の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情報記録媒体用の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記録又は再生制御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制御信号を含むデータ構造
JP3865260B2 (ja) 追記型記録媒体、追記型記録媒体用の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追記型記録媒体用の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記録又は再生制御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データ構造
US20090310451A1 (en) Recording medium,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recording medium
KR20070043135A (ko)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RU2361289C2 (ru) Оптический диск однократной записи и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иси/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управляющей информации на/с оптического диска
CA2767483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on/from write-once disc, and write-once disc therefor
KR20070058284A (ko) 기록매체 기록 범위 클로징 방법 및 장치
KR20080047010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영역 할당방법, 그리고 관리정보독출방법 및 독출장치
KR20080010544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방법 및 장치
KR20070058285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에 데이터 기록 방법 및 장치
KR20070064870A (ko) 기록매체 내 hrl 정보 기록방법 및 기록매체재생방법/장치와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