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294A - 선박의 항행 위험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의 항행 위험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294A
KR20080006294A KR1020060065289A KR20060065289A KR20080006294A KR 20080006294 A KR20080006294 A KR 20080006294A KR 1020060065289 A KR1020060065289 A KR 1020060065289A KR 20060065289 A KR20060065289 A KR 20060065289A KR 20080006294 A KR20080006294 A KR 20080006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information
vessel
navigation
r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8531B1 (ko
Inventor
양찬수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65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8531B1/ko
Publication of KR20080006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3/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craf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항행 위험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해양을 항해(航海)하는 선박의 항행 위험도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인공위성의 원격탐사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선박 정보와 해양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박이 항해 해 나갈 위치를 예측하며, 상기 예측된 위치를 항해 해 나갈 것으로 여겨지는 선박의 항행(航行) 위험도를 상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한 후, 상기 계산된 항행 위험도를 상기 선박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선박이 항해하는 과정에서 수시로 변동하는 해상의 상황을 미리 인지함으로써, 다른 선박, 지물 및 자연 현상 등에 의한 위험을 앞서서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선박, 인공위성, 항행 위험도, 해양 정보

Description

선박의 항행 위험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Offering Method of Navigation Risk of Ship and System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항행 위험도 제공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인공위성의 원격탐사 영상으로부터 선박 정보 등을 추출하는 구성을 예시하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인공위성의 원격탐사 영상 중 스테레오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선박 정보를 추출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예시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선박 정보 등을 이용하여 예측된 선박 위치를 벡터로 나타낸 지형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항행 위험도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기호의 설명**
50: 선박의 항행 위험도 관리 시스템 51: 해상 정보 취득 장치
52: 시뮬레이션 장치 53: 항행 위험도 추출 장치
54: 위험도 통보 장치
본 발명은 선박(ship)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의 항행 위험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위성의 원격탐사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선박 정보 등을 이용하여 선박의 항해(航海) 경로를 예측하고, 상기 선박의 항행(航行) 위험도를 계산하여 선박의 항행 위험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선박에서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 특히 타 선박의 행동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는 레이더와 운항자에 의한 목측 및 음성 통신이 유일했다. 레이더를 통해서 얻는 정보는 오로지 선박 주변의 움직이는 물표들에 대한 것으로 그것이 다른 선박인지 아니면 잡음인지, 또 다른 선박이라면 어떤 종류의 선박인지 등에 대한 판단은 오로지 운항자의 경험과 목측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선박의 측심 장비를 이용하여 현재의 수심을 읽을 수는 있지만 주변 해역의 수심 정보는 오로지 운항자가 종이 해도를 해석하는 방법에 의해서만 얻을 수 있었다.
근래에 들어 전자 기술 및 컴퓨터 기술의 급격한 발달과 더불어 전에는 군사 기술 로만 취급되던 레이더 신호를 컴퓨터 데이터로 변환하는 장비인 RSC(Radar Scan Converter)가 저가로 시장에 나오게 되었으며 운항 중에 사람의 개입 없이 선박간의 운항 정보를 실시간으로 자동 교환하는 선박 자동 인식 시스템(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종이 해도를 완전히 컴퓨터 내부의 데이터베이스로 바꾸고 이를 활용할 수 있게 한 전자 해도(ENC,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 등에 대한 국제적인 표준화가 이루어졌다.
또한, 미국이 개발하여 전세계적으로 많이 사용 중인 인공위성항법장비(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자선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바다를 항해하는 화물선, 어선, 군함 및 여객선 등과 같은 선박은 위성으로부터 현재 항해 중인 선박의 위치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와 함께 항해에 필요한 전자 해도와 같은 해양 지형 정보와 수심 정보와 같은 해양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 단말기를 장착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선박은 GPS 수신기를 통하여 현재 항해하고 있는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바다에서 목적하는 항로를 따라 항해할 수 있고, 또한, 어선의 경우에는 어군 탐지기를 이용하여 탐색된 고기들이 모여 있는 어군 위치로 정확히 이동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바다에서 변동이 없는 지형 데이터나 주기성을 가지고 변하는 수심 데이터와 같은 정보는 선박 자체에 탑재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용할 수 있지만, 바다에서 수시로 변동되는 데이터, 예컨대, 바다 표면의 수온, 파고와 해상의 안개, 바 람, 해류 변동사항 등에 대한 정보는 육지로부터 전송 받아야 한다. 이러한 바다 표면의 수온 데이터 등은 육지에 있는 데이터 공급원, 예컨대, 수산 진흥원에서 제공하고 있으며, 선박에 설치된 데이터 수신 장치, 예컨대, FAX를 통하여 전송 받고 있다.
즉, 바다를 항해하고 있는 선박들은 앞으로 항해하는 경로 상에서 부딪히게 될 여러가지 기상 조건들에 대한 정보만을 단편적으로 얻을 수 있었을 뿐, 상기 얻어진 정보들이 얼마나 위험한 것이고 그러한 위험 정보들이 선박의 항행 경로에 어떠한 영향을 얼마나 미치게 될지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순전히 개인의 경험칙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다양한 해상 정보들을 해석하고 판단하는 기준이 각자 다를 뿐만 아니라 일관되지도 않기 때문에, 선박이 항행 경로를 항해 해 나가면서 부딪히게 될 여러가지 위험 요소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고 대비할 수가 없는 심각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해양을 항해(航海)하는 선박의 항행 위험도를 제공함에 있어서, 인공위성의 원격탐사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선박 정보 등을 이용하여 선박의 항해(航海) 경로를 예측하고, 상기 선박의 항행(航行) 위험도를 계산하여 선박의 항행 위험도를 제공할 수 있는 선박의 항행 위험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여, 바다를 항해하고 있는 선박들이 앞으로 항해하는 경로 상에서 부딪히게 될 여러가지 기상 조건들에 대한 정보들이 얼마나 위험한 것이고 그러한 위험 정보들이 선박의 항행 경로에 어떠한 영향을 얼마나 미치게 될지를 미리 체계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은 선박이 항해하는 과정에서 수시로 변동하는 해상의 상황을 미리 정확하게 인지함으로써, 다른 선박, 지물 및 자연 현상 등에 의한 위험을 체계적으로 대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박의 항행 위험도를 계산함에 있어서, 인공위성의 원격탐사 영상에 의해 예측된 위치 경로와 선박의 항행 경로를 토대로 다양한 해상 환경 정보 들이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AIS, VTS 또는 전자해도로 부터 얻은 선박의 항적 추적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선박이 정해진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최적의 항행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해양을 항해(航海)하는 선박의 항행 위험도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박에 대한 인공위성의 원격탐사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선박 정보 - 상기 선박 정보는 선박의 현재 위치, 제원, 침로 및 선속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 와 해양 정보 - 상기 해양 정보는 해양의 안 개, 해류, 파고, 바람 및 지형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 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박이 항해 할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를 예측하는 단계; 상기 예측된 위치를 항해 할 것으로 예상되는 선박의 항행(航行) 위험도를 상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항행 위험도를 상기 선박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항행 위험도 제공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형태는 해양을 항해(航海)하는 선박의 항행 위험도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선박에 대한 인공위성의 원격탐사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선박 정보 - 상기 선박 정보는 선박의 현재 위치, 제원, 침로 및 선속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 와 해양 정보 - 상기 해양 정보는 해양의 안개, 해류, 파고, 바람 및 지형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 를 수집하는 해상 정보 취득 장치; 상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박이 항해 할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를 예측하는 시뮬레이션 장치; 상기 예측된 위치를 항해 할 것으로 예측되는 선박의 항행(航行) 위험도를 상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항행 위험도 추출 장치; 및 상기 계산된 항행 위험도를 상기 선박에 전송하는 위험도 통보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항행 위험도 제공 시스템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 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항해(航海)"라는 용어는 배를 타고 바다를 다닌다는 의미로써, 선박이 해상의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까지 이동하는 것을 뜻하는 의미로 지칭될 수 있고, 이에 반해 "항행(航行)"이라는 용어는 배가 항로를 따라 나아간다는 의미로써, 선박이 해상에서 목적지를 향하여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뜻하는 의미로 지칭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항행(航行) 위험도"라는 용어는 선박이 해상에서 주어진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기상정보 등으로부터의 위험을 나타내는 정도를 뜻하는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항행 위험도 제공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본 발명은 해양을 항해(航海)하는 선박의 항행 위험도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선박의 항행 위험도 관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먼저, 단계(S10)은 선박의 항행 위험도 관리 시스템이, 해양을 항해하는 상기 선박에 대한 인공위성의 원격탐사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선박 정보와 해양 정보를 수집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선박 정보는 선박의 현재 위치, 제원, 침로 및 선속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해양 정보는 해양의 안개, 해류, 파고, 바람 및 지형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상기와 같이 선박 정보와 해양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이를 이용하여 선박이 항해해 나갈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를 예측하고, 이를 토대로 선박의 항행 위험도를 계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인공위성의 원격탐사 영상으로부터 선박 정보와 해양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이나 상기 추출된 선박 정보와 해양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일이 없이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모든 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
종래에 해상을 운행하는 선박은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만을 GPS를 통하여 얻을 수 있었고, 선박의 제원, 침로 및 선속 등에 관한 다른 선박 정보 및 해양의 안개, 해류, 파고, 바람 및 지형류에 대한 기상 정보에 대해서는 지상의 기지국으로부터 무선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전송받을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선박 정보 및 기상 정보 등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인공위성의 원격탐사 영상으로부터 추출하여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넓은 해상을 운행하는 선박의 위치와 선속은 항시 변하고, 변하는 선박의 위치에 따라 상기 선박이 위치하고 있는 해상 또는 상기 선박이 항행해 나갈 위치의 해양 정보 등은 수시로 변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인공위성의 원격탐사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선박 정보와 해양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인공위성의 원격탐사 영상으로부터 선박 정보 등을 추출하는 구성을 예시하기 위한 블럭도이고,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정보와 해양 정보는 인공위성의 다종 센서의 정보를 융합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인공위성의 원격탐사 영상은 스테레오 위성 영상과 광학 위성 영상 및 합성개구레이더 위성 영상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선박 정보는 상기한 스테레오 위성 영상과 광학 위성 영상 및 합성개구레이더 위성 영상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양 정보 중 안개, 해류에 관한 정보는 상기한 광학 위성 영상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고, 상기 해양 정보 중 파고, 바람, 지형류에 대한 정보는 상기한 합성개구레이더 위성 영상으로부터 추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인공위성의 원격탐사 영상 중 스테레오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선박 정보를 추출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예시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박 정보는 해양을 항해하는 선박에 대한 스테레오 인공위성 영상으로부터 상기 선박을 포함하는 영상이 얻어지면, 관심 없는 육지 부분을 마스킹하여 없애고, 일정한 수준의 임계치를 결정한 후, 상기 선박 후보를 추출하여 그룹핑함으로써 선박의 제원, 위치, 침로, 선속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것이다.
다음으로, 단계(S20)은 상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박이 항해 할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를 예측하는 것이다. 즉, 상기 수집된 선박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제원을 가진 선박이 현재 위치하고 지점에서 주어진 선속으로 항해해 나갈 경우 상기 선박이 나아가는 침로(針路)를 예측하는 것이다. 이것은 상기 선박이 나아갈 것으로 예상되는 경로를 미리 예측함으로써, 그 경로에서 발생하게 될 위험을 미리 계산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선박이 항해 할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를 예측함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해양 정보를 함께 이용할 수 있다. 즉, 선박이 항해 할 것으로 예측되는 경로 상에서 발생될 해양 상황을 미리 예측하여, 선박이 침로를 따라가는 경우 발생하게 될 다양한 해상 상황을 함께 시뮬레이션 하는 것이다. 이로써, 미래에 선박이 위치하게 될 지점에서 부딪힐 것으로 예상되는 다양한 해양 환경 조건들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선박 정보 등을 이용하여 예측된 선박 위치를 벡터로 나타낸 지형 도면의 일 예이다. 여기에 도시된 예는 부산항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선박의 앞으로 항해할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를 예측하여 이를 벡터로 표시한 것이다. 화살표 방향이 앞으로 배가 움직일 것으로 예측되는 경로이고, 원으로 표시된 것은 정지하고 있는 선박을 표시한 것이다. 종래에는 레이더 또는 GPS를 이용하여 현재의 선박 위치 밖에 알 수 없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얻은 선박 정 보 등을 이용하여 상기 선박이 나아갈 것으로 예상되는 경로까지 정확하게 예측할 수가 있다.
계속해서, 단계(S30)은 상기 예측된 위치를 항해 할 것으로 예상되는 선박의 항행(航行) 위험도를 상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것이다. 이것은 해양을 항해하고 있는 선박이 해상에서 주어진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기상정보 등으로부터의 위험 정도를 인공위성으로부터 얻은 선박 정보와 해양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기준에 의해 체계적으로 계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소정의 제원을 가진 선박이 현재 위치하고 지점에서 주어진 선속으로 항해해 나갈 경우, 상기 선박이 부닺히게 될 해양의 안개, 해류, 파고, 바람 및 지형류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여, 상기 선박이 앞으로 항해하는 경로 상에서 부딪히게 될 여러가지 기상 조건들에 대한 정보들이 얼마나 위험한 것이고 그러한 위험 정보들이 선박의 항행 경로에 어떠한 영향을 얼마나 미치게 될지를 미리 체계적으로 계산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선박의 항행 위험도를 계산함에 있어서, 인공위성의 원격탐사 영상에 의해 상기 예측된 위치 경로와 선박이 항해 해 나가야 할 항행 경로를 비교함으로써 다양한 해상 환경 정보 들이 미칠 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선박이 나가야할 방향과 현재 선박이 나가고 있는 방향을 비교하여, 주어진 항행 경로로부터 현재 얼마나 떨어진 상태로 항해 하고 있고, 주어진 항행 경로를 따라 가는 경우 항행 위험도가 얼마이며, 상기 항행 경로를 따라가면 항행 위험도가 높은 해양 상황과 부딪힐 것이 예상되기 때문에 상기 항행 경로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우회해서 지나가라는 정보 등을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예측된 위치 경로와 상기 선박이 항해 해 나가야 할 항행 경로를 비교하는 것을 선박자동식별시스템(AIS), 해상교통관제서비스(VTS) 또는 전자해도로부터 얻은 상기 선박의 항적 추적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선박이 항해해 온 지난 경로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선박의 위치 경로를 예측하거나 그렇게 예측된 위치 경로와 상기 선박이 항해 해 나가야 할 항행 경로를 비교하는 것이다. 이렇게 본 발명은 AIS, VTS 또는 전자해도로 부터 얻은 선박의 항적 추적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선박이 정해진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최적의 항행 경로를 제공할 수가 있다.
마지막으로, 단계(S40)은 상기 계산된 항행 위험도를 상기 선박에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소정의 기준에 의해 계산된 항행 위험도를 선박에 VHF 또는 NAVTEX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선박은 항해하는 과정에서 수시로 변동하는 해상의 상황을 미리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고, 다른 선박, 지물 및 자연 현상 등에 의한 위험을 앞서서 대비할 수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선박의 항행 위험도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선박 의 항행 위험도 제공 시스템의 일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항행 위험도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이러한 항행 위험도 제공 시스템(50)은 해양을 항해(航海)하는 선박의 항행 위험도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항행 위험도 제공 시스템(50)은 선박 정보와 해양 정보를 수집하는 해상 정보 취득 장치(51)와 선박의 예상 위치를 예측하는 시뮬레이션 장치(52)와 선박의 항행(航行) 위험도를 계산하는 항행 위험도 추출 장치(53) 및 계산된 항행 위험도를 박에 전송하는 위험도 통보 장치(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해상 정보 취득 장치(51)는 해양을 항해하는 상기 선박에 대한 인공위성의 원격탐사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선박 정보와 해양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선박 정보는 선박의 현재 위치, 제원, 침로 및 선속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해양 정보는 해양의 안개, 해류, 파고, 바람 및 지형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상 정보 취득 장치(51)가 상기와 같이 선박 정보와 해양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이를 이용하여 선박이 항해해 나갈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를 예측하고, 이를 토대로 선박의 항행 위험도를 계산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52)는 상기 해상 정보 취득 장치(51)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박이 항해 할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를 예측하는 것이다. 이것은 상기 수집된 선박 정보 또는/및 해양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제원을 가진 선박이 현재 위치하고 지점에서 주어진 선속으로 항해해 나갈 경우 상기 선박이 나아가는 침로(針路)를 예측하는 것이다. 이것은 상기 선박이 나아갈 것으로 예상되는 경로를 미리 예측함으로써, 그 경로에서 발생하게 될 위험을 미리 계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항행 위험도 추출 장치(53)는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52)에 의해 예측된 위치를 항해 할 것으로 예측되는 선박의 항행(航行) 위험도를 상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선박의 항행 위험도를 계산함에 있어서, 인공위성의 원격탐사 영상에 의해 상기 예측된 위치 경로와 선박이 항해 해 나가야 할 항행 경로를 비교함으로써 다양한 해상 환경 정보 들이 미칠 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선박이 나가야할 방향과 현재 선박이 나가고 있는 방향을 비교하여, 주어진 항행 경로로부터 현재 얼마나 떨어진 상태로 항해 하고 있고, 주어진 항행 경로를 따라 가는 경우 항행 위험도가 얼마이며, 상기 항행 경로를 따라가면 항행 위험도가 높은 해양 상황과 부딪힐 것이 예상되기 때문에 상기 항행 경로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우회해서 지나가라는 정보 등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위험도 통보 장치(54)는 상기 항행 위험도 추출 장치(53)에 의해 계산된 항행 위험도를 상기 선박에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소정의 기준에 의해 계산된 항행 위험도를 선박에 VHF 또는 NAVTEX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선박으로 하여금 항해하는 과정에서 수시로 변동하는 해상의 상황을 미리 정확하게 인지하여 위험을 대비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해양을 항해(航海)하는 선박의 항행 위험도를 제공함에 있어서, 인공위성의 원격탐사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선박 정보와 해양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박이 항해 해 나갈 위치를 예측하며, 상기 예측된 위치를 항해 해 나갈 것으로 여겨지는 선박의 항행(航行) 위험도를 상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한 후, 상기 계산된 항행 위험도를 상기 선박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항행 위험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바다를 항해하고 있는 선박들은 앞으로 항해하는 경로 상에서 부딪히게 될 여러가지 기상 조건들에 대한 정보들이 얼마나 위험한 것이고 그러한 위험 정보들이 선박의 항행 경로에 어떠한 영향을 얼마나 미치게 될지를 미리 체계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선박이 항해하는 과정에서 수시로 변동하는 해상의 상황을 미리 정확하게 인지함으로써, 다른 선박, 지물 및 자연 현상 등에 의한 위험을 앞서서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박의 항행 위험도를 계산함에 있어서, 인공위성의 원격탐사 영상에 의해 예측된 위치 경로와 선박의 항행 경로를 토대로 다양한 해상 환경 정보 들이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AIS, VTS 또는 전자해도로 부터 얻은 선박의 항적 추적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선박이 정해진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최적의 항행 경로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4)

  1. 해양을 항해(航海)하는 선박의 항행 위험도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박에 대한 인공위성의 원격탐사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선박 정보 - 상기 선박 정보는 선박의 현재 위치, 제원, 침로 및 선속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 와 해양 정보 - 상기 해양 정보는 해양의 안개, 해류, 파고, 바람 및 지형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 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박이 항해 할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를 예측하는 단계;
    상기 예측된 위치를 항해 할 것으로 예상되는 선박의 항행(航行) 위험도를 상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항행 위험도를 상기 선박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항행 위험도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항행 위험도를 계산하는 것은 상기 예측된 위치 경로와 상기 선박이 항해 해 나가야 할 항행 경로를 비교함으로써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항행 위험도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된 위치 경로와 상기 선박이 항해 해 나가야 할 항행 경로를 비교하는 것을 선박자동식별시스템(AIS), 해상교통관제서비스(VTS) 또는 전자해도로부터 얻은 상기 선박의 항적 추적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항행 위험도 제공 방법.
  4. 해양을 항해(航海)하는 선박의 항행 위험도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선박에 대한 인공위성의 원격탐사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선박 정보 - 상기 선박 정보는 선박의 현재 위치, 제원, 침로 및 선속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 와 해양 정보 - 상기 해양 정보는 해양의 안개, 해류, 파고, 바람 및 지형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 를 수집하는 해상 정보 취득 장치;
    상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박이 항해 할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를 예측하는 시뮬레이션 장치;
    상기 예측된 위치를 항해 할 것으로 예측되는 선박의 항행(航行) 위험도를 상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항행 위험도 추출 장치; 및
    상기 계산된 항행 위험도를 상기 선박에 전송하는 위험도 통보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항행 위험도 제공 시스템.
KR1020060065289A 2006-07-12 2006-07-12 선박의 항행 위험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818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289A KR100818531B1 (ko) 2006-07-12 2006-07-12 선박의 항행 위험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289A KR100818531B1 (ko) 2006-07-12 2006-07-12 선박의 항행 위험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294A true KR20080006294A (ko) 2008-01-16
KR100818531B1 KR100818531B1 (ko) 2008-04-02

Family

ID=39220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289A KR100818531B1 (ko) 2006-07-12 2006-07-12 선박의 항행 위험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8531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104B1 (ko) * 2009-05-20 2011-09-27 국방과학연구소 순차적 시뮬레이션용 수상/수중 항적 탐지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101134676B1 (ko) * 2010-07-08 2012-04-12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항행안전정보융합서버 및 항행안전정보융합 방법
KR101155602B1 (ko) * 2010-04-12 2012-06-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충돌회피 시스템을 위한 항해 장비 시뮬레이터
KR20140109971A (ko) * 2011-12-22 2014-09-16 아크조노벨코팅스인터내셔널비.브이. 보호용 코팅제의 선정 및 적용 방법
KR101455765B1 (ko) * 2013-04-16 2014-11-03 주식회사 비온시이노베이터 선박 운항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WO2016175425A1 (ko) * 2015-04-30 2016-11-0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해상교통관제 전문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696440B1 (ko) * 2015-09-18 2017-01-16 한국전력공사 해상풍력단지 내 해상활동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10939B1 (ko) * 2019-11-13 2020-05-1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가상 선박 교통 재현 장치 및 방법
EP3539115A4 (en) * 2016-11-10 2020-07-15 Imagesat Israel Ltd. MULTI-SATELLITE DETECTION AND TRACKING OF MOBILE OBJECTS
KR20210060120A (ko) * 2019-11-18 2021-05-26 올시데이터 주식회사 빅데이터분석에 의한 선박의 자산가치 평가방법
KR102308820B1 (ko) * 2021-02-10 2021-10-05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해양 정보 제공 장치 및 해양 정보 제공 방법
KR102435945B1 (ko) 2021-12-09 2022-08-24 주식회사테크블루 선박 설비 요소의 위험 발생에 따른 직접 및 간접 요소의 위험도 분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182B1 (ko) 2010-12-28 2012-09-28 한국해양연구원 변동행동공간탐색법을 이용한 선박충돌회피 지원 시스템
KR101202274B1 (ko) 2012-08-21 2012-11-16 (주)해양정보기술 실시간 해양정보 제공 내비게이션
KR101658133B1 (ko) * 2014-01-09 2016-09-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박의 충돌위험도 산출 시스템
KR101680886B1 (ko) 2015-01-14 2016-12-01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선박용 센싱 통합 인터페이스 기반 대시보드 시스템
CN105070102A (zh) * 2015-09-24 2015-11-18 上海海事大学 一种基于模糊逻辑的船舶航行动态风险推理系统及其方法
KR101823030B1 (ko) * 2016-01-28 2018-01-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위험환경 회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회피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346B1 (ko) * 2000-09-01 2002-09-11 한국해양연구원 인공지능형 충돌,좌초 예방 시스템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104B1 (ko) * 2009-05-20 2011-09-27 국방과학연구소 순차적 시뮬레이션용 수상/수중 항적 탐지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101155602B1 (ko) * 2010-04-12 2012-06-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충돌회피 시스템을 위한 항해 장비 시뮬레이터
KR101134676B1 (ko) * 2010-07-08 2012-04-12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항행안전정보융합서버 및 항행안전정보융합 방법
EP2794774B1 (en) 2011-12-22 2021-07-28 Akzo Nobel Coatings International B.V. A process of selecting and applying a protective coating
KR20140109971A (ko) * 2011-12-22 2014-09-16 아크조노벨코팅스인터내셔널비.브이. 보호용 코팅제의 선정 및 적용 방법
EP3904466A1 (en) * 2011-12-22 2021-11-03 Akzo Nobel Coatings International B.V. Selecting a protective coating
KR101455765B1 (ko) * 2013-04-16 2014-11-03 주식회사 비온시이노베이터 선박 운항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WO2016175425A1 (ko) * 2015-04-30 2016-11-0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해상교통관제 전문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696440B1 (ko) * 2015-09-18 2017-01-16 한국전력공사 해상풍력단지 내 해상활동 서비스 제공 방법
EP3539115A4 (en) * 2016-11-10 2020-07-15 Imagesat Israel Ltd. MULTI-SATELLITE DETECTION AND TRACKING OF MOBILE OBJECTS
US11423785B2 (en) 2016-11-10 2022-08-23 Imagesat International (I.S.I) Ltd Multi satellite detection and tracking of moving objects
KR102110939B1 (ko) * 2019-11-13 2020-05-1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가상 선박 교통 재현 장치 및 방법
KR20210060120A (ko) * 2019-11-18 2021-05-26 올시데이터 주식회사 빅데이터분석에 의한 선박의 자산가치 평가방법
KR102308820B1 (ko) * 2021-02-10 2021-10-05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해양 정보 제공 장치 및 해양 정보 제공 방법
KR102435945B1 (ko) 2021-12-09 2022-08-24 주식회사테크블루 선박 설비 요소의 위험 발생에 따른 직접 및 간접 요소의 위험도 분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8531B1 (ko) 200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8531B1 (ko) 선박의 항행 위험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34804B1 (ko) 선박 통합모니터링을 위한 위성정보 및 선박정보의 통합방법
CN111157982A (zh) 基于岸基雷达的智能船舶船岸协同目标跟踪系统和方法
EP2070068B1 (en) System for a marine vessel or a marine installation
US20190204416A1 (en) Target object detecting device, method of detecting a target object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ufoalor et al. Autonomous COLREGs-compliant decision making using maritime radar tracking and model predictive control
CN111536962B (zh) 智能船舶的航线规划方法及装置、存储介质、计算机设备
CN104916166A (zh) 一种桥梁防撞预警系统及实现方法
KR20110098465A (ko) 운항체의 운항 상황별 운항경로정보를 이용한 교통관제장치 및 그 방법
US20160167755A1 (en) Unmanned underwater vehicles, locations of their docking stations, and their programmed routes
EP3926364A1 (en) Ship target object detection system, method of detecting ship target object and reliability estimating device
KR20180081979A (ko) 자율 운항선 충돌방지 시스템
KR20150064909A (ko) Ais 표적정보를 이용하여 선박을 추적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2482450B1 (ko) 최적 운항경로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70078835A (ko) 적어도 하나의 선박의 수면속도를 계산하는 방법 및 상기 선박의 경로상의 모든 지점에서 각각의 표류벡터를 추론하는 방법
KR20180076936A (ko) 초저가 해상상태 추정기를 이용한 선박의 최적항로 안내시스템 및 방법
CN112880678A (zh) 一种复杂水域环境中无人艇航行规划方法
JP2016215715A (ja) 衛星通信可否予測装置および衛星通信可否予測プログラム
CN117232520A (zh) 一种适用于海上航行的船舶智能导航系统及导航方法
CN115936190A (zh) 一种智能航行作业风险预警方法
Reichert et al. X-Band radar derived sea surface elevation maps as input to ship motion forecasting
KR100436922B1 (ko) 선박 추적정보 위성 전송 방법
KR102374711B1 (ko) 선박자동식별정보를 이용한 위성 촬영임무 재계획 방법 및 장치
KR20150050766A (ko) 전자해도정보시스템 기반의 충돌위험 인식 및 충돌회피 지원장치
KR20220128141A (ko) 실시간 레이더 이미지 기반 선박 운동정보 및 크기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