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232U - 음향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음향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232U
KR20080006232U KR2020070009563U KR20070009563U KR20080006232U KR 20080006232 U KR20080006232 U KR 20080006232U KR 2020070009563 U KR2020070009563 U KR 2020070009563U KR 20070009563 U KR20070009563 U KR 20070009563U KR 20080006232 U KR20080006232 U KR 200800062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main body
unit
detachable
memo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95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휘
송우기
Original Assignee
하나 마이크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 마이크론(주) filed Critical 하나 마이크론(주)
Priority to KR20200700095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6232U/ko
Publication of KR200800062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23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43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for decorative purpo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5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 H05K5/02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having standardized interfaces
    • H05K5/0278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having standardized interfaces of USB ty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1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A/V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음향재생장치는, 오디오 파일에 저장된 음향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다수의 전자부품이 내장된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킨부; 및 상기 스킨부에 수납되며, 상기 오디오 파일이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MP3, WAV, WMV 등의 오디오 파일이 저장된 메모리를 스킨 형태로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청취하고자 원하는 오디오 파일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스킨, MP3, 오디오, USB, UFD

Description

음향재생장치{SOUND REPRODUCING APPARATU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재생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체의 착탈부에 내장된 록킹부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메모리부 수납 구조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체 및 스킨부 착탈 구조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재생장치의 작동을 설명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110 : 입력단자
120 : 착탈부 122 : 록킹돌기
125 : 록킹부재 200 : 스킨부
210 : 수납부 220 : 착탈홀
221 : 안내홈 222 : 록킹홈
300 : 메모리부 310 : 출력단자
본 고안은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음향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MP3, WAV, WMV 등의 오디오 파일이 저장된 메모리를 스킨 형태로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음향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MP3 플레이어는 개인용 컴퓨터(이하 'PC'라 한다)와 연결하여 PC에 저장된 MP3, WAV, WMV 등의 오디오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내장된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차후에 이를 재생하여 청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MP3 플레이어와 PC를 연결하는 경우, USB 케이블을 항상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USB 케이블을 분실하게 될 염려도 있다.
최근에는 MP3 플레이어에 USB 커넥터가 일체로 구비되어 별도의 USB 케이블이 필요없이 PC의 USB 포트에 직접 연결하여 오디오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MP3 플레이어는 PC로부터 오디오 파일을 다운로드하거나 내장 메모리에 저장된 기존의 오디오 파일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MP3 플레어어 본체를 USB 케이블 또는 USB 커넥터 등을 통해 PC에 직접 연결해야하므로, 사용자가 청취하고자 원하는 오디오 파일을 자유롭게 변경하는데 사용상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MP3, WAV, WMV 등의 오디오 파일이 저장된 메모리를 스킨 형태로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청취하고자 원하는 오디오 파일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음 향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파일들이 미리 저장된 메모리 스킨만을 별도로 구매하여 본체에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본체를 PC와 연결하여 음악파일을 다운받아야 하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음향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재생장치는, 오디오 파일에 저장된 음향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다수의 전자부품이 내장된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킨부; 및 상기 스킨부에 수납되며, 상기 오디오 파일이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재생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체의 착탈부에 내장된 록킹부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재생장치는 본체(100),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킨부(200), 및 스킨부(200) 에 수납되는 메모리부(300) 등을 구비한다. 여기서, 음향재생장치는 MP3, WAV, WMV 파일 등의 오디오 파일에 저장된 음향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오디오 기기로서, 이하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음향재생장치는 MP3 플레이어를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오디오 파일에 저장된 음향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다수의 전자부품(미도시)을 적소에 구비한다. 여기서, 다수의 전자부품은 시스템 제어를 위한 회로기판(PCB)과,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와, MP3 음악의 선곡, 재생, 정지 등의 기능 선택을 위한 네비게이션키와, 네비게이션키 홀딩스위치와, LCD 표시창과, 음향정보 신호를 이어폰측으로 출력하는 이어폰잭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체(100)의 일측에는 스트랩을 연결하기 위한 고리형태의 스트랩 연결구(101)가 구비된다. 본체(100)는 스킨부(200)와 결합될 때 메모리부(300)의 출력단자(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단자(110)를 구비한다. 상기 입력단자(110)는 전원단자(VCC)(111), 접지단자(GND)(112) 및 한 쌍의 데이터단자(D+)(D-)(113)(114)를 포함한다. 입력단자(110)는 일단이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본체(100)의 결합면(100a)에 노출되게 구비된다. 입력단자(110)의 각 단자들(111, 112, 113, 114)은 출력단자(310)의 각 단자들(311, 312, 313, 314)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일렬 배치된다. 입력단자(110)는 출력단자(310)와 탄성 접촉되도록 본체(100)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0)의 결합면(100a) 일측에는 후술하는 착탈홀(220)에 삽입된 후 회전 결합되는 원형의 착탈부(120)가 돌출 구비된다. 착탈부(120)의 표면에는 본체(100)와 스킨부(200)의 착탈방향, 예컨대, LOCK(결합) 또 는 OPEN(분리) 방향을 표시한 커버(121)가 부착된다. 착탈부(120)는 외주면에 록킹돌기(122)가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90도 간격으로 4개 구비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돌기(122)는 착탈부(120)의 내부 홀더(120a)에 나사(124) 고정되는 록킹부재(125)의 4개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착탈부(120)의 홀더(120a)에는 4개의 록킹돌기(122)가 홀더(120a)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되도록 4개의 슬릿(미도시)이 형성된다. 록킹돌기(122)는 후술하는 록킹홈(222)과 록킹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킨부(200)는 본체(100)의 결합면(100a)에 대응하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두께가 얇은 플레이트 형상이다. 스킨부(200)는 메모리부(300)를 수납하는 수납부(210)를 구비한다. 수납부(210)는 메모리부(300)의 출력단자(310)가 노출되도록 스킨부(200)의 결합면(200a)에 형성된다. 수납부(200)의 양측 내벽에는 가이드돌기(211) 및 이탈방지턱(213)이 형성된다. 스킨부(200)는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스킨부(200)에는 본체(100)의 착탈부(120)가 삽입되어 회전 결합되도록 원형의 착탈홀(220)이 구비된다. 착탈홀(220)의 내주면에는 착탈부(120)의 록킹돌기(122)가 록킹되는 록킹홈(222)이 형성되며, 착탈홀(220)의 외측에는 록킹돌기(122)가 인입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홈(221)이 록킹돌기(122)의 개수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때, 본체(100)와 스킨부(200)를 소정 각도 어긋난 상태에서 결합이 시작되고 스킨부(200)를 본체(100)에 대하여 회전하여 결합이 완료되면 본체(100)와 스킨부(200)의 결합면들(100a, 200a)이 서로 일치되도록 안내홈(221)을 록킹돌기(222)와 소정 각도, 대략 30 내지 60도 각도, 바람직하게는 45도 각도 로 어긋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모리부(300)는 오디오 파일이 저장되며, 스킨부(200)에 형성된 수납부(210)에 삽입되어 수납된다. 메모리부(300)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플래시 메모리(미도시)가 내장되고, 일면에 출력단자(310)로서 USB단자가 노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유에스비 플래시 드라이브(UFD)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출력단자(310)는 전원단자(VCC)(311), 접지단자(GND)(312) 및 한 쌍의 데이터단자(D+)(D-)(313)(314)를 포함한다. 출력단자(310)는 스킨부(200)가 본체(100)와 결합될 때 본체(100)의 입력단자(110)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출력단자(310)의 각 단자들(311, 312, 313, 314)은 입력단자(110)의 각 단자들(111, 112, 113, 114)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모리부(300)는 양측면에 수납부(210)의 가이드돌기(211)가 삽입되는 가이드홈(301)이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메모리부(300)가 수납부(210)에 수납시 진행이 가이드 되도록 한다. 또한, 메모리부(300)는 양측면의 단부에 수납부(210)의 이탈방지턱(213)이 삽입되는 이탈방지홈(303)이 형성되어 오디오 파일 재생 등의 작동시에 메모리부(300)가 수납부(2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납부(210)에 가이드돌기(211) 및 이탈방지턱(213)을 형성하고 메모리부(300)에 가이드홈(301) 및 이탈방지홈(303)을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수납부(210)에 가이드홈 및 이탈방지홈을 형성하고 메모리부(300)에 가이드돌기 및 이탈방지턱을 형성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메모리부(300)가 스킨부(200)에 형성된 수납부(210)에 삽입되어 수납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그 밖에도 다양한 형태의 수납 구조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부(300')가 스킨부(200)에 힌지(303)로 결합되어 수납부(210')에 회동 수납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된 바 없지만, 메모리부가 스킨부에 경첩으로 결합되어 수납부에 접철 수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00)에 착탈부(120)가 돌출 구비되고, 스킨부(200)에 착탈홀(220)이 구비되어 착탈부(120)가 찰탈홀(220)에 삽입된 후 회전 결합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그 밖에도 다양한 형태의 체결 구조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에 착탈홀(130)이 구비되고, 스킨부(200)에 착탈부(230)가 돌출 구비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본체(100)와 스킨부(200)의 각 결합면(100a)(200a)에 자성체(103)(203)가 각각 대응되게 구비되어 본체(100)와 스킨부(200)가 자성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재생장치의 작동을 설명한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재생장치는, MP3, WAV, WMV 등의 오디오 파일이 저장된 메모리부(300)를 출력단자(310)가 노출되도록 스킨부(200)에 수납한다. 여기서, 상기 오디오 파일은 메모리부(300)의 출력단자(310), 즉 USB단자를 PC의 USB포트에 연결하여 PC로부터 원하는 오디오 파일을 메모리부(300)에 다운받아 저장한다. 그리고, 메모리부(300)가 수납된 스킨 부(200)를 본체(100)에 결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100)에 돌출 구비된 착탈부(120)를 스킨부(200)의 착탈홀(220)에 삽입한 후, 스킨부(200)를 본체(100)에 대하여 LOCK 방향, 예컨대 도면상의 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키면, 착탈부(120)의 록킹돌기(122)가 착탈홀(220)의 내경을 따라 회전하면서 록킹홈(222)에 삽입되어 록킹됨으로써 스킨부(200)는 본체(100)와 결합면이 일치되게 결합된다. 이때, 메모리부(300)의 출력단자(310)는 본체(100)의 입력단자(110)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체(100)와 스킨부(200)를 결합한 후, 본체(100)에 구비된 네비게이션키(미도시)를 조작하여 메모리부(300)에 저장된 MP3, WAV, WMV 파일 음악의 선곡, 재생, 정지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메모리부(30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킨부(200)를 본체(100)로부터 분리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킨부(200)를 본체(100)에 대하여 OPEN 방향, 예컨대 도면상의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키면, 착탈부(120)의 록킹돌기(122)가 착탈홀(220)의 록킹홈(222)으로부터 벗어나 록킹이 해제됨으로써 스킨부(200)는 본체(100)로부터 분리된다. 스킨부(200)를 본체(100)로부터 분리한 후, 스킨부(200)의 수납부(210)에서 메모리부(300)를 인출한다. 인출된 메모리부(300)에 PC로부터 원하는 오디오 파일을 다운받아 저장한 후, 스킨부(200)의 수납부(210)에 수납하여 오디오 파일을 변경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고안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MP3, WAV, WMV 등의 오디오 파일이 저장된 메모리를 스킨 형태로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청취하고자 원하는 오디오 파일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원하는 음악파일들이 미리 저장된 메모리 스킨을 디지털 앨범 형식으로 별도 구매하여 본체에 결합하여 교환이 가능함으로써, 본체를 PC와 연결하여 음악파일을 다운받아야 하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를 스킨 형태로 본체에 결합함으로써, 본체의 변경없이 메모리 용량을 자유롭게 늘릴 수 있다.
또한, 스킨부에 수납되는 메모리는 MP3 플레이어와 별개로 휴대용 저장장치로 이용이 가능하다.

Claims (15)

  1. 오디오 파일에 저장된 음향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다수의 전자부품이 내장된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킨부; 및
    상기 스킨부에 수납되며, 상기 오디오 파일이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음향재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스킨부와 결합될 때 상기 메모리부의 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단자를 포함하는 음향재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는 상기 본체의 결합면에 노출되게 구비된 음향재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부는 상기 메모리부를 수납하는 수납부가 구비된 음향재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메모리부의 출력단자가 노출되도록 상기 스킨부의 결합 면에 형성된 음향재생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수납부에 삽입되어 수납되는 음향재생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스킨부에 힌지로 결합되어 상기 수납부에 회동 수납되는 음향재생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스킨부에 경첩으로 결합되어 상기 수납부에 접철 수납되는 음향재생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유에스비 플래시 드라이브(UFD)인 음향재생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착탈부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스킨부에 착탈홀이 구비되며, 상기 착탈부가 상기 착탈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음향재생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착탈홀이 구비되고, 상기 스킨부에 착탈부가 돌출 구비되며, 상기 착탈부가 상기 착탈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음향재생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가 상기 착탈홀에 삽입된 후 회전 결합되는 음향재생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의 외주면에는 록킹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착탈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록킹돌기가 록킹되는 록킹홈이 구비된 음향재생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스킨부는 자성에 의해 결합되는 음향재생장치.
  15. 음향재생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킨부; 및
    상기 스킨부에 수납되며, 오디오 파일이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음향재생장치용 메모리 스킨.
KR2020070009563U 2007-06-11 2007-06-11 음향재생장치 KR200800062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563U KR20080006232U (ko) 2007-06-11 2007-06-11 음향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563U KR20080006232U (ko) 2007-06-11 2007-06-11 음향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232U true KR20080006232U (ko) 2008-12-16

Family

ID=41326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563U KR20080006232U (ko) 2007-06-11 2007-06-11 음향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623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873B1 (ko) * 2009-04-15 2009-10-01 주식회사 메모렛월드 유에스비 메모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873B1 (ko) * 2009-04-15 2009-10-01 주식회사 메모렛월드 유에스비 메모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9198B2 (en) Device with speaker and retractable cable unit
US8341217B2 (en) Portabl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reproducing method,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US20050047071A1 (en) Wireless transmission interface and method
US9117431B1 (en) Guitar accessory for personal electronic equipment
US6342664B2 (en) Data reproducing apparatus
WO2006101744A2 (en) Dock insertable into computer and receiving media player
US7489508B2 (en) Electronic storage device player having a simultaneously moving door and a docking piece or interface
KR20080006232U (ko) 음향재생장치
US20020101753A1 (en) Power supply converter including a retractable conducting wire
US20060280047A1 (en) Writing instrument incorporating a digital audio player
KR20060136015A (ko) 음악 재생 장치
US20080162772A1 (en) Portable memory device with auto-play audio
US20060075151A1 (en) Mp3 walkman with a replaceable hard disk
KR20070000045A (ko) 음악 재생 장치
JP4940581B2 (ja) 電子機器
US8539125B1 (en) Combined USB flash drive cap audio device
KR200323497Y1 (ko) 휴대용 디지털기기
KR200196761Y1 (ko) 엠피3 메모리카드의 정보기록 기능을 갖춘 컴퓨터용 마우스
KR100474108B1 (ko) 휴대용 디지털기기
KR100695750B1 (ko) 이동식 저장장치용 커넥터
KR200429687Y1 (ko) 휴대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KR200397204Y1 (ko) 음악 재생 장치
JP2006185172A (ja) 情報再生装置
KR200369263Y1 (ko)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
KR200329876Y1 (ko) 착탈 방식의 메모리 카트리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