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185U - Multipurpose agricultural equipment - Google Patents

Multipurpose agricultural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185U
KR20080006185U KR2020070009469U KR20070009469U KR20080006185U KR 20080006185 U KR20080006185 U KR 20080006185U KR 2020070009469 U KR2020070009469 U KR 2020070009469U KR 20070009469 U KR20070009469 U KR 20070009469U KR 20080006185 U KR20080006185 U KR 200800061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handle
wheel
lif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946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진기환
Original Assignee
진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기환 filed Critical 진기환
Priority to KR20200700094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6185U/en
Publication of KR200800061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185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1Steering devices

Abstract

본 고안은 농촌이나 어촌 또는 과수원 등에서 물건을 실어 나르거나 과일을 수확하는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다용도 농작업기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device of a multi-purpose farming machin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carrying goods or harvesting fruits in rural areas, fishing villages, orchards, and the like.

본 고안은 핸들의 조작으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조향장치를 가지는 농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조향장치는 축 회전이 가능한 핸들과, 상기 핸들의 축 하단에 설치되어 2줄의 조향용 와이어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아주거나 풀어주는 조향용 드럼과, 상기 조향용 드럼측에서부터 다수의 조향용 롤러에 의한 안내를 받으면서 좌우측 바퀴측까지 각각 연장되어 해당 바퀴의 회전을 가능하게 해주는 2줄의 조향용 와이어와, 상기 좌우측 바퀴를 같은 방향으로 연동시켜주는 링크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farming machine having a steering device capable of changing the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handle, the steering device is a handle that can be rotated shaft, and installed on the lower end of the shaft of the handle, two lines of steering wires opposite each other A steering drum for winding or releasing in a direction, and two rows of steering wires each extending from the steering drum side to the left and right wheel sides while being guided by a plurality of steering rollers, thereby enabling rotation of the whee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nk bar for interlocking the left and right wheels in the same direction.

과수원, 농작업기, 승강용 작업대, 대차 Orchards, Farm Machinery, Working Platforms, Trucks

Description

다용도 농작업기의 조향장치{Multipurpose agricultural equipment}Multipurpose agricultural equipment steering devic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농작업기의 조향장치를 나타내는 정면사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ring device of a multi-purpose farm wor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농작업기의 조향장치를 나타내는 후면사시도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ring device of the multi-purpose agricultural work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농작업기의 조향장치 배치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eering device arrangement structure of a multi-purpose farm wor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핸들 11 : 조향장치10: steering wheel 11: steering device

12 : 구동용 모터 13 : 바퀴12: drive motor 13: wheels

14 : 구동장치 15 : 대차14 drive device 15 bogie

16 : 승강용 모터 17 : 승강용 드럼16 lifting motor 17 lifting drum

18 : 승강용 롤러 19 : 승강용 와이어18: lifting roller 19: lifting wire

20 : 작업대 21 : 조향용 와이어20: work bench 21: steering wire

22 : 조향용 드럼 23 : 조향용 롤러22: steering drum 23: steering roller

24 : 링크바 25 : 웜감속기24: Link Bar 25: Worm Reducer

26 : 난간 27 : 바퀴 하우징26: handrail 27: wheel housing

28 : 롤러 브라켓 29 : 하우징 바28: roller bracket 29: housing bar

본 고안은 농촌이나 어촌 또는 과수원 등에서 물건을 실어 나르거나 과일을 수확하는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다용도 농작업기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높낮이 조절이나 방향 전환 등이 가능한 새로운 타입의 농작업기를 구현함으로써, 과수원이나 논과 밭 등에서 과일상자나 비료포대 등을 운반하거나 높은 곳의 과일을 수확하는 등의 작업을 보다 능률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다용도 농작업기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device of a multi-purpose farming machin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carrying goods or harvesting fruits in rural areas, fishing villages, orchards, etc.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r change the direction. By implementing a farming machi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apparatus of a multi-purpose farming machine that can carry out tasks such as transporting fruit boxes, fertilizer bags, etc., or harvesting fruits at high places in orchards, rice fields, and fields.

일반적으로 과수원 농사를 짓기 위해서는 다수의 과일 나무에 비료를 주거나 농약을 살포하고 과일 나무를 계속해서 관리함으로써, 과일 나무로부터 열매를 수확할 수 있게 된다. In general, orchard farming involves fertilizing a large number of fruit trees, spraying pesticides, and continuing to manage the fruit trees, so that fruit can be harvested from the fruit trees.

예를 들면, 과일 나무를 가지치기할 때, 처음으로 자라나는 과실을 솎음할 때에는 사다리를 나무에 기대놓은 뒤, 작업자가 직접 사다리를 올라가서 가지치기를 하거나 솎음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pruning a fruit tree, the first time the fruit grows, the ladder is leaned against the tree, and the worker climbs the ladder and prunes or cuts.

또한, 과일 나무에서 열매를 수확할 때, 높은 곳에 위치한 열매를 떨어뜨리 기 위하여 길이가 긴 장대를 이용하거나 사다리를 이용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harvesting fruit from the fruit tree, a long pole or a ladder is used to drop the fruit placed at a high position.

이렇게 과수원 등에서 과일 나무를 관리하거나 과실을 수확할 때에 높은 곳에 올라가기 위해서는 사다리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에 힘이 들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낙하 등 사고의 위험이 있다. When you manage the fruit trees in the orchard or harvest the fruits like this, you need to use a ladder to climb to a high place, so it is difficult and inconvenient to work, and there is a risk of accidents such as falling.

또한, 과수원 등에서는 수확한 열매를 운반하거나 과일 나무에 비료를 주게 되는데, 이때의 과일상자나 비료포대 등은 중량이 많이 나가는 관계로 인력으로 직접 운반하는 것은 작업상 매우 비능률적이다. In addition, orchards, etc. to transport the harvested fruit or fertilize the fruit trees, the fruit box or fertilizer bag at this time is a heavy weight, so it is very inefficient to transport directly to the workforce.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은 중량의 과일상자나 비료포대 등의 물건을 능률적으로 운반하기 위하여 트랙터 등을 이용하며, 이러한 트랙터에는 수확한 농작물이나 과일 등을 담을 수 있는 트레일러가 구비되어 있다. For this reason, most of them use tractors and the like to efficiently transport items such as heavy fruit boxes and fertilizer bags. These tractors are equipped with trailers for storing harvested crops or fruits.

그러나, 이러한 트랙터 및 트레일러는 단순한 운반수단 외에는 다른 기능이 없어서 과일 수확에 필요한 사다리 등을 별도로 준비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비경제적이며 별도의 사다리 취급시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은 문제가 있다. However, these tractors and trailers do not have any function other than a simple transportation means, so the ladders required for fruit harvesting should be separately prepared and used, which is uneconomical and has a high risk of safety accidents when handling separate ladders.

최근에는 과수원 등에서의 과일 수확시 높게 열린 과일을 쉽게 수확하기 위하여 트레일러의 적재부가 유압장치에 의해 승강될 수 있는 형태(X자 바 형태로 이루어진 리프트)의 것이 일부 제시되어 있으나, 그 구성요소들이 매우 복잡하여 설치하는데에 따른 비용이 적지 않게 들고, 이로 인해 경제적인 측면에서 많은 부담을 갖게 하는 단점이 있다. Recently, in order to easily harvest the highly open fruit when harvesting fruits in orchards, some of the types of trailers can be lifted by hydraulic devices (lifts in the form of X bars). Due to the complexity, the cost of installation is not small, which causes a lot of economic burden.

이와 같이, 과수원 등에서는 누구라도 자유자재로 조작이 가능하고 기동성있게 사용할 수 있는 카트수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카트수단은 과수원의 험한 지형에서도 안전한 기동력과 운전이 가능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나무를 보호하기 위하여 공해의 배출이 없어야 하는 등의 조건을 갖추어야 하는 것이나, 현재까지는 과수원에만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카트수단이 전혀 없기 때문에 다른 용도의 영농기계를 대체 사용한다거나, 또는 수작업에만 의존함으로써 효율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As such, in the orchard or the lik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cart means that can be freely operated and maneuverable. In particular, such cart means must not only be capable of safe maneuvering and driving even in the rough terrain of the orchard, In order to protect the environment, there must be conditions such as no emission of pollution, but until now, since there is no cart means exclusively used for orchards, the efficiency can be remarkably improved by replacing farm machinery for other purposes or relying only on manual work. There was a problem such as deterioration.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따라서,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농작업기가 요구되며 이러한 농작업기에 적용될 수 있는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농가의 제정 현실에 맞춰 제작 단가를 최대한 낮출 수 있도록 하는 조향장치를 개발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such a point, and therefore, a farm worker that can solve the above problems is required, and the 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to such a farm worker is simple, bu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reality of the far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velop a steering device to enab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핸들의 조작으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조향장치를 가지는 농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조향장치는 축 회전이 가능한 핸들과, 상기 핸들의 축 하단에 설치되어 2줄의 조향용 와이어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아주거나 풀어주는 조향용 드럼과, 상기 조향용 드럼측에서부터 다수의 조향용 롤러에 의한 안내를 받으면서 좌우측 바퀴측까지 각각 연장되어 해당 바퀴의 회전을 가능하게 해주는 2줄의 조향용 와이어와, 상기 좌우측 바퀴를 같은 방향으로 연동시켜주는 링크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arm work machine having a steering device capable of switching the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handle, the steering device is a handle capable of rotating the shaft, and installed on the lower end of the shaft of the handle of two rows A steering drum for winding or releasing steering wires in opposite directions, and two rows each extending from the steering drum side to the left and right wheel sides while being guided by a plurality of steering rollers to allow rotation of the whee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ering wire and a link bar for interlocking the left and right wheels in the same direc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농작업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multi-purpose farm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농작업기를 나타내는 정면사시도 및 후면사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1 and 2 illustrate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respectively, showing a multipurpose farm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 구조물로 이루어진 대차(15)의 저면에는 대차의 구동을 위한 다수 개의 바퀴(13), 예를 들면 대차 4곳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4개의 바퀴(13)가 설치되고, 대차(15)의 상부에는 양편의 수직부재 및 수직부재의 뒷쪽을 이어주는 수평부재를 조합한 형태로 이루어진 한쪽 개방형의 난간(26)을 가지면서 물건이나 수확한 과일을 싣거나 작업시 발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사각판 형태의 작업대(20)가 얹혀져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1 and 2, the bottom of the trolley 15 made of a frame structure of the rectangular frame form a plurality of wheels 13 for driving the trolley, for example, four arranged at the corner of four bogies The wheel 13 is installed, and the upper part of the trolley 15 has an open handrail 26 formed of a combination of a vertical member of both sides and a horizontal member connecting the rear side of the vertical member, and the object or the harvested fruit Workbench 20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that can be used as a scaffold when loading or working is installed on top.

또한, 이러한 대차(15)에는 작업대(20) 아래쪽으로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프레임상에 함을 설치하여 탑재되어 있으며, 각 바퀴(13)의 구동을 위한 구동용 모터(12)나 작업대(20)의 승강을 위한 승강용 모터(16)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류(미도시)가 갖추어져 있다. In addition, the trolley 15 has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lower side of the work table 20 by installing a box on the frame, and driving motor 12 or work table 20 for driving each wheel 13. A switch (not shown) capable of controlling the lifting motor 16 or the like for lifting the blade) is provided.

또한, 상기 대차(15)는 사각틀 형태의 수평프레임 및 4곳의 모퉁이에 배치되는 수직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구조물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의 수직프레임은 작업대(20)의 상승 및 하강시 그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을 담당하고, 수평프레임은 후술하는 승강용 와이어(19)의 통로역할을 담당한다. In addition, the cart 15 is in the form of a frame structure consisting of a horizontal frame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frame and vertical frames disposed at four corners, and the vertical frame at this time guides the movement of the work table 20 when it is raised and lowered. It serves as a guide, and the horizontal frame plays a role of passage of the lifting wire 19 to be described later.

따라서, 작업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되면서 대차의 가동이 가능하게 되고, 또 작업대의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while the battery is powered by the operator's switch operation, the trolley can be operated, and the work table can be raised and lowered.

상기 바퀴(13)는 대차 저면부에 설치되는 대략 "ㄱ"자 형태의 바퀴 하우징(27)상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지지되는 형태로 조립되며, 이때의 바퀴 하우징(27)는 그 축이 대차(15)의 프레임상에 관통되면서 부싱 등과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된다. The wheel 13 is assembled in such a way that it is supported in a rotatable structure on a wheel housing 27 having a substantially "a" shap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trolley, wherein the wheel housing 27 has a shaft ( It is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bushing while penetrating on the frame of 15).

즉, 바퀴 하우징(27)이 축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 바퀴 하우징(27)의 수직부재에 조립되어 있는 바퀴(13)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wheel housing 27 rot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bout the axis, the wheel 13 assembled to the vertical member of the wheel housing 27 also rotates together.

이때, 상기 바퀴 하우징(27)에는 대차 앞쪽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하우징 바(29)가 일체 형성되어 있으며, 이곳에 후술하는 조향장치(11)의 링크바(24)가 핀으로 결합됨에 따라 바퀴 하우징(27)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wheel housing 27 is integrally formed with a housing bar 29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front of the truck, and the wheel housing as the link bar 24 of the steering apparatus 1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by a pin (27) can be rotated.

본 고안에서는 대차(15)의 진행을 위해 바퀴(13)를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장치(14)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ive device 14 that can drive the wheel 13 for the progress of the cart (15).

이를 위하여, 바퀴 하우징(27)의 일측에는 브라켓 등을 통해 지지되는 구동용 모터(12)가 설치되고, 이때의 구동용 모터(12)의 축은 바퀴(13)의 축과 전동가능한 구조로 연결된다. To this end, one side of the wheel housing 27 is provided with a driving motor 12 supported through a bracket or the like, and the shaft of the driving motor 12 at this time is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wheel 13 in a rotatable structure. .

따라서, 상기 구동용 모터(12)의 힘으로 바퀴(13)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wheel 13 can be driven by the force of the driving motor 12.

본 고안에서는 각 바퀴(13)에 하나씩의 구동용 모터(12)를 배속시켜 각각의 바퀴(13)를 독자적으로 구동시키는 메카니즘을 채택하고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mechanism for driving each wheel 13 independently by assigning one drive motor 12 to each wheel 13 is adopted.

특히, 바퀴(13)의 축과 구동용 모터(12)의 축 사이의 전동경로에는 웜감속기(24)가 개재되어 있어서 즉, 바퀴 축과 모터 축이 웜감속기를 통해 전동되는 구 조로 되어 있어서 모터 미구동시에는 웜감속기(24)가 브레이크 역할(바퀴의 회전을 구속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작업시 바퀴가 흔들리거나 저절로 굴러가는 등의 문제를 배제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shaft of the wheel 13 and the shaft of the drive motor 12 is interposed with a worm reducer 24, that is, the wheel shaft and the motor shaft is a structure that is transmitted through the worm reducer motor When it is not driven, the worm reducer 24 can perform a brake role (restraining the rotation of the wheel), thereby eliminating problems such as the wheel shaking or spontaneously rolling during operation. This can be secured.

또한, 본 고안에서는 대차(15)의 진행을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조향장치(11)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ering apparatus 11 that can switch the progress of the cart 15 in the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이를 위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차(15)의 일측, 예를 들면 대차(15)의 앞쪽에는 수평프레임 등에 수직으로 관통되면서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축을 가지는 핸들(10)이 설치되고, 이 핸들(10)의 축 하단부에는 2줄의 와이어를 반대방향으로 감아주거나 풀어주는 상하 2단 구조의 조향용 드럼(22)이 일체식으로 설치되며, 이때의 조향용 드럼(22)의 각 단에 한쪽이 감겨져 고정되는 2줄의 조향용 와이어(21)가 대차 수평프레임상의 롤러 브라켓(28)에 장착되어 있는 한쌍의 조향용 롤러(23)에 의해 안내되면서 좌우측 바퀴(13)측까지 각각 연장되는 한편, 이렇게 연장된 조향용 와이어(21)는 좌우측 바퀴(13)를 같은 방향으로 연동시켜주기 위하여 각 바퀴측 하우징 바(29)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링크바(24)의 끝부분에 연결된다. To this end, as shown in Figure 3, one side of the cart 15, for example, the front of the cart 15 is provided with a handle 10 having an axis that is installed in a rotatable structure while vertically penetrating the horizontal frame, etc. At the lower end of the shaft of the handle 10, a steering drum 22 having an upper and lower two-stage structure for winding or releasing two wires in opposite directions is integrally installed, and each of the steering drum 22 at this time is integrated. Two rows of steering wires 21, one of which is wound around and fixed to one end thereof, are guided by a pair of steering rollers 23 mounted on a roller bracket 28 on a horizontal frame to the left and right wheels 13,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steering wire 21 thus extended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link bar 24 which is connected between the wheel-side housing bars 29 to link the left and right wheels 13 in the same direction. Connected.

이에 따라, 작업자가 핸들(10)을 어느 한쪽으로 돌리게 되면, 이와 함께 한쪽의 조향용 와이어(21)는 감겨지고 다른 한쪽의 조향용 와이어(21)가 풀어지면서 양쪽 바퀴 간에 연결설치되어 있는 링크바(24)를 좌측 또는 우측 어느 한쪽으로 움직여주게 되므로, 이때의 링크바(24)의 움직임에 의해 양쪽의 바퀴(13)가 같은 방 향으로 회전되고, 결국 대차(15)의 방향 전환이 가능하게 되면서 작업자는 대차를 원하는 방향으로 운전을 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operator turns the handle 10 to either side, the one side of the steering wire 21 is wound together and the other side of the steering wire 21 is released while the link bar is connected between the two wheels. Since 24 is moved to either the left or the right side, the wheels 13 on both sides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by the movement of the link bar 24 at this time,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trolley 15 can be changed. As a result, the operator can drive the truck in the desired direction.

또한, 본 고안에서는 키가 높은 과수에 대한 수확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수단, 즉 작업대를 상승 및 하강시켜주는 수단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ans for easily performing a harvest operation for tall fruit, that is, a means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workbench.

이를 위하여,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대차(15)의 프레임에는 전후 중간 위치에 승강용 모터(16)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용 모터(16)의 축(실질적으로는 모터가 가지는 감속기의 축)과 연결되는 2개의 승강용 드럼(17)의 축이 모터 양편으로 연장되면서 대차 전후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베어링을 통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To this end,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elevating motor 16 is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intermediate positions in the frame of the cart 15, and the shaft of the elevating motor 16 is substantially a motor. The shafts of the two lifting drums 17 connected to the shafts of the reducer, which extends to both sides of the motor,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truck and are supported by a bearing.

이렇게 설치되는 각 승강용 드럼(17)에는 2줄씩 총 4줄의 승강용 와이어(19)가 연결되는 동시에 이때의 각 승강용 와이어(19)는 승강용 드럼(17)에서부터 소정의 경로를 거쳐 대차(15)의 네모퉁이에 있는 수직프레임 상단까지 연장되는 배치구조로 설치되어 작업대(20)의 4곳을 균형있게 안정적으로 받쳐주면서 올려주거나 내려줄 수 있게 된다. A total of four lines of lifting wires 19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lifting drums 17, which are installed in two lines, and each lifting wire 19 at this time is a bogie through a predetermined path from the lifting drums 17. It is installed in an arrangement structure extending to the top of the vertical frame in the four corners of (15) can be raised or lowered while supporting the four places of the worktable 20 in a balanced and stable manner.

예를 들면, 2개의 승강용 드럼(17) 중에서 앞쪽에 위치되어 있는 드럼상에 연결되는 2줄은 각각 좌우측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승강용 롤러(18)를 이용하여 방향을 꺽어 앞쪽으로 연장되면서 작업대 앞쪽 좌우측 모서리를 각각 설치되어 있는 승강용 롤러(18)를 경유한 후, 재차 윗쪽으로 연장되어 대차(15)의 수직프레임 상단에 고정된다. For example, two lines connected to the drum located in front of the two lifting drums 17 are extend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and at the same time, they are extended in the forward direction by using the lifting rollers 18 to move forward. After passing through the lifting rollers 18 provided with the left and right edges, respectively, it is extended upward again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of the trolley 15.

즉, 작업대(20)의 앞쪽 좌우측 모서리는 그 승강용 롤러(18)를 통해 승강용 와이어(19)에 의해 받쳐지는 형태로 지지된다. That is, the front left and right edges of the work bench 20 are supported in the form supported by the elevating wire 19 via the elevating roller 18.

마찬가지로, 2개의 승강용 드럼(17) 중에서 뒷쪽에 위치되어 있는 드럼상에 연결되는 2줄은 각각 좌우측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승강용 롤러(18)를 이용하여 방향을 꺽어 뒷쪽으로 연장되면서 작업대 뒷쪽 좌우측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승강용 롤러(18)를 각각 경유한 후, 재차 윗쪽으로 연장되어 대차(15)의 수직프레임 상단에 고정된다. Similarly, two lines connected to the drum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two lifting drums 17 exten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and are extended to the rear using the lifting rollers 18 to extend to the rear, and to the rear left and right edges of the work bench. After passing through each of the lifting rollers 18 provided in each of them, it is extended upward again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of the trolley 15.

이에 따라, 작업대(20)는 4줄의 승강용 와이어(19)에 의해 4곳의 모퉁이가 균형있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work table 20 can be supported in four corners in a balanced manner by the four wires for lifting (19).

특히, 이러한 승강용 와이어(19)의 배치 형태에서 드럼에서 좌우측으로 연장되는 직선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은 대차(15)의 수평프레임 속을 경유하는 형태로 배치되고, 또 수직프레임과 작업대 수직부재 사이의 간극 속을 경유하는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대부분의 승강용 와이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대차의 외관을 말끔하게 정리할 수 있고, 또 주변과의 와이어로 인한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 Particularly, in the arrangement form of the elevating wire 19, the remaining sections except for the straight section extending from the drum to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arranged in the form of a horizontal frame of the trolley 15, and between the vertical frame and the workbench vertical member. As it is disposed in the form of a gap through the gap, most of the lifting wires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neatly arranging the exterior of the bogie, and also eliminating interference due to wires with the surroundings.

여기서, 이때, 상기 하나의 드럼에 연결되는 2줄의 와이어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겨지는 형태로 연결되어 있어서 드럼 회전시 2줄의 와이어는 함께 감겨지거나 풀려질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two wires connected to the one drum are connected in the form of being wound in opposite directions so that the two wires can be wound or unwound together when the drum rotates.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대를 상승시키는 경우, 승강용 모터(16)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각 승강용 드럼(17)에 4줄의 승강용 와이어(19)가 동시에 감겨지게 되고, 이렇게 와이어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작업대(20)의 들려 지면서 위로 상승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6, when raising the work platform, when the lifting motor 16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four rows of lifting wires 19 are simultaneously wound on each lifting drum 17. As the length of the wire is shortened, the worktable 20 can be lifted and lifted up.

작업대를 하강시키는 경우, 승강용 모터(16)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각 승각용 드럼(17)에 감겨져 있던 4줄의 승강용 와이어(19)가 풀려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작업대(20)는 자체 하중에 의해 아래로 하강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work platform is lowered, when the lifting motor 16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four rows of lifting wires 19 wound on the lifting drums 17 are released, and at the same time, the work platform 20 itself The load can be lowered down.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다용도 농작업기의 경우, 과수원 등에서 과일 수확작업 등을 하는 경우 핸들을 조작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대차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넓은 작업면적에서 신속하고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또 작업대의 높이를 높일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그 위에 올라선 상태에서 높은 곳에 열린 과일을 보다 손쉽게 수확할 수 있는 등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보다 수월한 작업여건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Thus, in the case of the multi-purpose farming machin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fruit can be harvested in an orchard, etc., so that the trolley can be easily moved in a desired direction by operating a handle, so that the work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conveniently in a large work area. The height of the workbench can be increased, and the worker can raise the efficiency of the work, such as the easier harvesting of the open fruit in the high place while standing on it, so that the worker can perform the work in the easier working condition. Can be.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방향 전환 및 이동이 가능한 대차,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작업대 등을 포함하는 새로운 타입의 농작업기를 구현함과 동시에 조향장치의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또한 제작단가를 최대한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while implementing a new type of agricultural work machine including a bogie capable of changing direction and moving, a worktable capable of raising and lowering, and the like, the configuration of the steering system can be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There are advantages to it.

Claims (1)

핸들의 조작으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조향장치에 있어서, 조향장치(11)는 축 회전이 가능한 핸들(10)과, 상기 핸들(10)의 축 하단에 설치되어 2줄의 조향용 와이어(21)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아주거나 풀어주는 조향용 드럼(22)과, 상기 조향용 드럼(22)측에서부터 다수의 조향용 롤러(23)에 의한 안내를 받으면서 좌우측 바퀴(13)측까지 각각 연장되어 해당 바퀴(13)의 회전을 가능하게 해주는 2줄의 조향용 와이어(21)와, 상기 좌우측 바퀴(13)를 같은 방향으로 연동시켜주는 링크바(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농작업기. In the steering apparatus which can change the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handle, the steering apparatus 11 is a handle 10 capable of rotating the shaft, and the steering wire 11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haft of the handle 10, two rows of steering wires 21 ) Is extended to the left and right wheels 13 while being guided by the steering drum 22 and the steering drum 22 side and the plurality of steering rollers 23. Versati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wo-row steering wire 21 for enabling the rotation of the wheel 13, and a link bar 24 for interlocking the left and right wheels 13 in the same direction. Agricultural work machine.
KR2020070009469U 2007-06-09 2007-06-09 Multipurpose agricultural equipment KR20080006185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469U KR20080006185U (en) 2007-06-09 2007-06-09 Multipurpose agricultural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469U KR20080006185U (en) 2007-06-09 2007-06-09 Multipurpose agricultural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185U true KR20080006185U (en) 2008-12-12

Family

ID=41326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469U KR20080006185U (en) 2007-06-09 2007-06-09 Multipurpose agricultural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6185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8170A (en) Multipurpose agricultural equipment
KR101353295B1 (en) high place working vehicles for agriculture
JPH1160177A (en) Vehicle for high lift work
US8991140B2 (en) Harvest aid machine
CN112273049A (en) Multifunctional self-propelled orchard picking equipment
KR102494892B1 (en) Movable rail lifter
JPS58116235A (en) Self-propelling work bogie
KR20080006185U (en) Multipurpose agricultural equipment
KR20080006186U (en) Multipurpose agricultural equipment
KR20100031918A (en) Cart for work
KR101633826B1 (en) Caterpillar-type agricultural loading machine
KR200472815Y1 (en) High-Rise Working Vehicle for Agricultural Work
KR102197303B1 (en) Movable lifter
KR200451931Y1 (en) Electric motion work a car for a fruit tree control
KR101547507B1 (en) High-Rise Working Vehicle Having Detachable Attachment
KR101791823B1 (en) Steering system having vehicle for agriculture
CN219217463U (en) Telescopic lifting carrier
PL225592B1 (en) Orchard platform
KR20160103793A (en) Agricultural cargo lift
KR101598487B1 (en) Elevating work platform for fruit tree work
JP6561344B2 (en) Moving trolley
JP2586356Y2 (en) Fruit harvesting machine
CN218371638U (en) Fork aerial working platform capable of walking in all directions
KR102607319B1 (en) Magnetic marker-based 6WD agricultural vehicle comprising crane-type lifting winch
KR102166354B1 (en) Working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