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141A - 관로 라이닝 공법 - Google Patents

관로 라이닝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141A
KR20080006141A KR1020060064922A KR20060064922A KR20080006141A KR 20080006141 A KR20080006141 A KR 20080006141A KR 1020060064922 A KR1020060064922 A KR 1020060064922A KR 20060064922 A KR20060064922 A KR 20060064922A KR 20080006141 A KR20080006141 A KR 20080006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ing material
steam
hot water
hos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4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오 카미야마
박병권
유명진
구자용
Original Assignee
에스지티코리아 (주)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씨스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지티코리아 (주),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씨스이엔지 filed Critical 에스지티코리아 (주)
Priority to KR1020060064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6141A/ko
Publication of KR20080006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29C63/34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 B29C63/3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being turned inside o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1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the flexible liner being ever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저렴한 방법으로, 또한 확실하게 열경화후의 관라이닝재의 냉각을 행할 수 있는 관로 라이닝 공법을 제공한다.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통형상의 관라이닝재(3)를 관로(1)에 삽입하고, 관라이닝재를 팽창시켜서 관로의 관 내주면에 압착시킨 상태에서, 증기(20a)를 관라이닝재에 분출시켜서 열경화성 수지를 열경화시킨다. 관라이닝재의 저부에 저류되어 있는 온수(18)를 펌프(42)에 의해 외부로 퍼내어, 냉각장치(43)에 의해 냉각한다. 그리고, 냉각수를 호스(30)를 통해 열경화후의 관라이닝재에 분출시켜서 관라이닝재를 냉각한다. 냉각 전용의 급수차가 불필요하게 되어, 공사현장의 도로점유 면적이 감소됨과 아울러, 공사에서 사용하는 물의 양을 절약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로 라이닝 공법{LINING METHOD FOR PIPE}
도1은 본 발명의 관로 라이닝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중의 화살표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3은 증기 호스 및 냉각매체 호스의 확대 상면도이다.
도4의 (a)는 분무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상면도, (b)는 (a)중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2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2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7의 (a)는 분무기를 호스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b)는 분무기의 끼워맞춤체의 사시도, (c)는 끼워맞춤체의 상면도, (d)는 측면도이다.
도8은 분무기를 호스에 부착했을 때의 상면도이다.
도9는 호스로부터 온수가 분무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관로 3:관라이닝재
13:증기조 15:증기펌프
18:온수 19:분무기
20:증기 20a:증기 미스트
30:냉각매체 호스 31:분무기
40:수조 43:냉각장치
50:증기 및 냉각매체 겸용 호스 60:온수 및 냉각매체 겸용 호스
70:분무기 71:노즐체
72:끼워맞춤체
본 발명은, 관로 라이닝 공법, 더욱 상세하게는, 노후화된 관로를 보수하기 위해서 관로를 라이닝하는 관로 라이닝 공법에 관한 것이다.
땅속에 매설된 하수도관 등의 관로가 노후화된 경우에, 관로의 관을 파내지 않고 보수하기 위해서,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관형상의 관라이닝재를 관로에 삽입하고, 공기압 등으로 팽창시켜 관로의 관 내주면에 압착한 상태에서 관라이닝재를 가열해서 관라이닝재에 함침된 열경화성 수지를 열경화시켜서 관로를 라이닝하는 관로 라이닝 공법이 이미 제안되어 실시되고 있다. 관라이닝재의 가열, 열경화방법으로서는, 증기(수증기)에 의한 방법이나, 온수의 샤워링에 의한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또, 온수를 분사, 분무시키거나, 또는 온수를 충만시켜서 가열시키는 방법도 제안되고 있다.
이 온수 샤워링에 의해 열경화시키는 방법은, 하기의 특허문헌1 등에서 알려져 있으며, 온수를 분출하는 분출구를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한 온 수 호스를 관라이닝재와 함께 관로에 삽입하고, 관라이닝재를 공기압으로 팽창시키고, 이것을 관 내주면에 압착한 상태에서, 온수 호스에 고온의 온수를 가압해서 공급함으로써, 온수 호스의 각 분출구로부터 온수를 온수 샤워로서 분출시켜, 관라이닝재의 내주면에 분사해서 관라이닝재를 가열, 열경화시킨다.
또한 관라이닝재가 열경화된 후, 관라이닝재는 아직 온도가 높으므로, 별도로 급수차에 의해 냉수(상온)를 준비하여, 관라이닝재에 냉수를 분사하여, 고온의 관라이닝재의 냉각을 행하고 있었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 제2501048호 공보
그러나, 종래에는, 열경화후의 관라이닝재의 냉각에, 열경화를 위해 사용되는 온수를 공급하는 장치와는 별도로, 냉수를 공급하는 급수차가 필요하게 되고, 또 급수차의 수배 및 급수차의 주차공간을 준비해야 한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의 라이닝재의 열경화방법으로서, 온수를 충만시키는 방법에서는 다량의 물이 필요하게 되고, 또 온수를 스폿적으로 분사하는 방법에서는 라이닝재 전체를 균일하게 온도제어하는 것은 곤란하며, 부분적으로 먼저 고온으로 되어 버려 열경화의 불균일이 발생하는 등 안정된 품질을 얻는 것이 곤란했다.
또, 분무에 있어서는 증기가 주이며, 온수의 경우에는 압력이나 구멍의 크기에 따라 편차가 커서, 균일하게 분무하는 것이 곤란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저렴한 방법으로, 또 균일하게 관라이닝재를 가열 경화시킴과 아울러, 열경화후의 관 라이닝재의 냉각을 행할 수 있는 관로 라이닝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통형상의 관라이닝재를 관로에 삽입해서 열경화성 수지를 열경화시켜서 관로를 라이닝하는 관로 라이닝 공법으로서, 관로에 삽입된 관라이닝재를 팽창시켜서 관로의 관 내주면에 압착시키고, 온수 또는 증기를 관로의 관 내주면에 압착되어 있는 관라이닝재에 분출시켜서 관라이닝재에 함침된 열경화성 수지를 열경화시키고, 관라이닝재의 저부에 저류되어 있는 분출이 완료된 온수 또는 분출이 완료된 증기로 이루어지는 온수를 외부로 퍼내어 냉각해서 냉각수로 하고, 상기 냉각수를 열경화된 관라이닝재에 분출시켜서 관라이닝재를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실시예1)
도1은, 관로 라이닝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1은 땅속에 매설된 하수도관 등의 노후화된 관로이며, 이 관로를 보수하는 경우, 우선 관로(1)에 연이어 통해진 맨홀(2)로부터 관로(1)내에 유연한 통형상의 관라이닝재(3)가 삽입되고, 압력용기(4)에 파이프(6)를 통해 에어컴프레서(5)로부터 압축공기 등의 압력매체를 작용시킴으로써, 관라이닝재(3)를 그 표리를 반전시켜서 관로(1)내에 반전 삽입시킨다.
관라이닝재(3)는, 폴리에스테르, 비닐론, 아크릴 등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관형상으로 봉제하고, 그 한쪽 면(관로(1)에의 반전 삽입 전에는 외측면이 되는 면)을 기밀성이 높은 필름으로 피복한 유연한 관형상의 수지흡수재에,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비닐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것으로서 구성된다. 관라이닝재(3)의 선단부는 폐쇄되어 있고, 후단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그 후단부는, 맨홀(2)내에 설치된 압력용기(4)의 하단부 한쪽에 형성된 개구부에 기밀하게 결합된다.
또한 수조(9)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연수기(10)에 의해 연수로 된 후 증기조(13)에 공급된다. 증기조(13)는 도시가 생략된 히터에 의해 가열되고, 내부의 물이 온수(18)로 되고 끓어서 증기(20)가 발생한다. 증기조(13)의 상부에는 파이프(14)를 통해 증기펌프(15)가 접속되어 있으며, 이 증기펌프(15)를 통해 증기호스(16)내에 증기가 공급된다. 증기호스(16)는, 선단부가 로프(17)에 의해 관라이닝재(3)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관라이닝재(3)가 반전 삽입됨에 따라서 관로(1)내에 삽입된다.
또, 도1에서는, 도시할 수 없지만, 도2, 도3에 나타내는 냉각매체 호스(30)의 선단부가, 증기호스(16)와 마찬가지로 로프(17)에 의해 라이닝재(3)의 선단부에 결합되고, 이것에 의해, 냉각매체 호스(30)는 관라이닝재(3)가 반전 삽입됨에 따라서 증기호스(16)와 함께 관로(1)내에 삽입되고, 도2,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기호스(16)와 병렬로 거리(d)만큼 이간되어 냉각매체 호스(30)가 배치된다.
냉각매체 호스(30)에는, 도2에 나타내듯이, 냉각장치(43)에 의해 냉각되는 수조(40)로부터 펌프(41)를 통해 냉각수(상온의 물)가 공급된다. 수조(4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라이닝재(3)의 하부에 체류되어 펌프(42)에 의해 퍼내어지는 온수(18)가 공급된다.
또, 증기호스(16), 냉각매체 호스(30)가 삽입통과되는 압력용기(4)에 있어서의 삽입통과부분은 도시가 생략된 패킹 등에 의해 기밀성이 확보된다.
증기호스(16)에는, 도3에 나타내듯이, 분무수단으로서의 분무기(19)가 호스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다. 분무기(19)는, 도4의 (a), (b)에 나타내듯이, 2개의 노즐(19a)을 갖고, 각 노즐의 노즐구멍(19c)으로부터 분사되는 증기가 확산부재(19b)에 의해 확산되어서 증기 미스트(20a)로서 분출된다. 본 발명에서는, 증기와, 증기가 응결되어 얻어지는 안개상으로 된 다수의 미소한 온수방울(미스트)의 혼합체를 증기 미스트라고 한다.
또한 냉각매체 호스(30)에도, 분무기(19)와 동일 구성의 분무기(31)가 설치되고, 냉각수가 분무기(31)를 통해 냉각매체 호스(30)로부터 미스트상태로 되어서 분출된다. 냉각매체 호스(30)의 각 분무기(31)는 호스의 길이방향으로 분무기(19)와 같은 위치에서 분무기(19)의 배치간격과 같은 간격으로 복수 배치된다.
또, 각 분무기(19,31)의 확산부재(19b)는 생략하도록 해도 좋고, 또한 각 분무기(19,31)는 도3에서 파선으로 나타내듯이 하측에 형성해도 좋고, 또한 추가적으로 좌우의 횡측에 형성해도 좋다.
반전 삽입된 관라이닝재(3)를 가열 경화시킬 때에는, 에어컴프레서(5)를 통해 공기압을 가하고, 관라이닝재(3)를 팽창시켜서 관로(1)의 관 내주면에 압착시켜 둔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증기조(13)를 가열해서 증기(20)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증기펌프(15)를 구동해서 증기(20)를 증기호스(16)에 가압해서 공급한다. 증 기(20)는, 도2에 나타내듯이, 수직방향(y1)을 중심으로 해서 사방으로 균일하게 확산되어, 각 분무기(19)로부터 증기 미스트(20a)로서 분출되고, 관라이닝재(3)의 내주면에 분사되어 관라이닝재(3)가 가열된다.
이 때, 증기 미스트는 고온이며, 이것이 직접 관라이닝재에 분사되면, 관라이닝재의 종류에 따라서는, 그 특성이 열화될 우려가 있으므로, 증기 미스트를 냉각해서 증기 미스트가 관라이닝재에 분사될 때의 온도를 저하시킨다.
증기 미스트를 효과적으로 냉각하기 위해서, 냉각매체 호스(30)에 설치한 각 분무기(31)로부터 냉각수가 관라이닝재(3)를 향해서 분출된다. 그 분사방향(y2)은 증기 미스트가 증기호스(16)로부터 관라이닝재(3)를 향해서 분출되는 방향(y1)(수직방향)과 각도(α)만큼 경사지고, 선(y1)과 선(y2)이 대략 관라이닝재(3)의 내면에서 교차하도록 설정된다. 이렇게 분무기(31)로부터의 냉각수의 분출방향(y2)을 증기호스(16)의 분무기(19)로부터의 증기 미스트의 분출 방향(y1)과 경사지게 함으로써, 증기 미스트를 분무기(31)로부터 분무된 냉각수에 의해 균일하게 냉각할 수 있다.
또, 냉각매체 호스(30)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는 증기 미스트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열경화된 관라이닝재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로서, 예를 들면, 외기온(약 20℃) 정도의 또는 그 이하의 상온의 물을 의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냉각된 증기 미스트에 의해 가온된 관라이닝재(3)는, 그 내부에 함침된 열경화성 수지가 열경화됨으로써 관로(1)가 라이닝된다.
관라이닝재(3)의 열경화가 완료되면, 증기조(13)의 가열과 펌프(15)의 구동 을 정지시키고, 펌프(41,42)는 구동한 상태로 하고, 관라이닝재(3)의 저부에 체류되어 있는 온수(18)를 수조(40)를 통해 순환시킨다. 수조(40)는 냉각장치(43)에 의해 냉각되고, 약 70℃∼80℃의 온수(18)는 20℃이하의 상온의 냉각수로 되고, 냉각매체 호스(30)의 분무기(31)를 통해 열경화후의 관라이닝재(3)에 미스트상태로 분출된다. 이것에 의해 관라이닝재(3)가 효과적으로 냉각되어, 관라이닝재(3)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열경화후의 관라이닝재를 냉각하기 위해서, 냉각 전용의 급수차가 필요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증기 미스트를 냉각하기 위한 설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냉각 전용의 급수차가 불필요하게 되어, 공사현장의 도로점유 면적이 감소됨과 아울러, 공사에서 사용하는 물의 양을 절약할 수 있다.
또, 상술의 실시예에 있어서, 관라이닝재(3)의 저부에 체류되어 있는 온수(18)를 펌프(도시생략)를 통해 증기조(13)에 복귀시키고, 증기용의 온수를 순환 시켜도 좋다.
(실시예2)
실시예1에서는, 증기호스(16)로부터 분사되는 증기 미스트를 적극적으로 냉각했지만, 관라이닝재의 특성에 따라서는, 반드시 냉각할 필요가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관라이닝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1개의 호스를 증기 및 냉각매체 겸용 호스로서 사용하여, 관라이닝재를 열경화시킬 때는, 이 호스를 통해 증기 미스트를, 또 열경화후의 관라이닝재를 냉각할 때는, 상기 호스를 통해 냉각수를 분출하도록 해도 좋다.
이 실시예가 도5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증기호스(16) 대신에 증기 및 냉각매체 겸용 호스(50)가 설치된다. 이 호스의 구조는, 증기호스(16)와 동일 구조이며, 호스(50)에는 분무기(19)와 동일한 분무기가 복수 설치된다.
관라이닝재(3)를 열경화시킬 때에는, 전환 밸브(51)를 증기측으로 전환하여, 증기조(13)로부터의 증기를 호스(50)에 공급하고, 호스(50)에 설치한 분무기로부터 증기를 증기 미스트로서 분출시켜, 관라이닝재(5)의 열경화성 수지를 가온해서 열경화시킨다. 또한 관라이닝재(3)가 열경화된 후에는, 전환 밸브(51)를 냉각수측으로 전환하여, 호스(50)에 냉각수를 공급하고, 호스(50)에 설치한 분무기로부터 냉각수를 미스트상태로 분출시킴으로써, 열경화후의 관라이닝재를 냉각한다.
이 실시예2에 있어서도, 실시예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3)
관라이닝재(3)는, 증기가 아닌 고온의 온수에 의해서도 열경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6에 나타내듯이, 수조(40)를 보일러(62)로 가열하여, 고온의 온수를 온수 펌프(61)를 통해 온수 및 냉각매체 겸용 호스(60)에 공급한다. 온수 및 냉각매체 겸용 호스(60)는 증기호스(16), 증기 및 냉각매체 겸용 호스(50) 등과 동일한 구조이며, 온수가 온수 및 냉각매체 겸용 호스(60)의 분무기로부터 온수 미스트로 되어서 관라이닝재(3)에 분출되어, 관라이닝재(3)가 가온되어서 열경화된다.
관라이닝재(3)가 열경화된 후에는, 보일러(62)의 운전을 중지시키고, 냉각장치(43)를 구동해서 펌프(42)로부터 공급되는 온수(18)를 냉각한다. 그리고, 냉각수로 된 온수를 온수 펌프(61)를 통해 호스(60)에 공급하고, 냉각수를 호스(60)의 분 무기로부터 미스트상태로서 분출시켜서 열경화후의 관라이닝재(3)를 냉각한다. 이 실시예3에 있어서도, 실시예1, 2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4)
도7, 도8에는, 구석구석까지 온수를 분무시켜, 관라이닝재 전체를 균일하게 가열, 열경화시킬 수 있는 분무기(70)(스프레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분무기(70)는 도7(a)에 나타내듯이, 노즐체(71)와, 이 노즐체(71)에 압입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체(72)로 구성되어 있다. 노즐체(71)는 원추형상의 노즐구(71a)와, 이것에 연이어 통하는 원기둥부(71b)와, 양측으로 벌어지는 만곡부(71d,71e)와, 노즐구(71a)의 하방에 형성된 끼워맞춤부(71c)를 갖고, 이 끼워맞춤부(71c)에, 도7(b)~(d)에 나타낸 원기둥상의 끼워맞춤체(72)가 압입 끼워맞춤된다. 끼워맞춤체(72)에는, 지름방향에 대향하는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홈(72a,7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세로홈(72a,72b)은 가로홈(72c,72d)을 통해 노즐체(71)의 중심부 하방에 위치하는 원기둥상의 홈(72e)과 통해져 있다. 노즐체(71)의 만곡부(71d,71e)에는, 탄력성이 있는 부착금구(73,74)가 압입 끼워맞춤되어 있으며, 그 선단(73a,74a)은 하방으로 구부러져 있다.
이와 같이, 끼워맞춤체(72)가 노즐체(71)에 압입 끼워맞춤된 분무기(70)는 실시예1, 2, 3의 분무기(19(31))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7(a)는 분무기(70)를 실시예3의 온수 및 냉각매체 겸용 호스(60)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분무기(70)는 그 노즐체(71)를 온수 및 냉각매체 겸용 호스(60)의 개구부(60a)를 통과시키고, 링상 금구(75)를 통해 온수 및 냉각매체 겸용 호스(60)를 금구(73,74)의 선단(73a,74a)과 만곡부(71d,71e)로 견고하게 끼워유지시킴으로써, 온수 및 냉각매체 겸용 호스(60)에 부착된다. 도8에는, 분무기(70)를 온수 및 냉각매체 겸용 호스(60)에 부착한 상태가 상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또, 분무기(70)의 노즐체(71), 끼워맞춤체(72)는 모두 수지, 금속, 세라믹, 또는 목재 등으로 제작된다. 또, 세로홈은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2개만 형성되어 있지만, 그 이상의 세로홈을 끼워맞춤체의 주위에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도6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분무기(70)의 분무상태를 설명하면, 수조(40)를 보일러(62)로 가열하고, 고온의 온수를 온수펌프(61)를 통해 온수 및 냉각매체 겸용 호스(60)에 공급한다. 온수는 도7(a),(b)에서 1점쇄선으로 나타내듯이, 분무기(70)의 끼워맞춤체(72)의 세로홈(72a,72b)을 수직으로 상승시켜 가로홈(72c,72d)을 통과하고, 원기둥홈(72e)에서 합류해서, 노즐체(71)의 노즐구(71a)를 통해 상방으로 분무된다. 이 분무상태가 도9에 나타내어져 있으며, 온수는 온수 및 냉각매체 겸용 호스(60)로부터 사방으로 구석구석까지 분무되고, 그것에 의해 관라이닝재(3) 전체가 균일하게 가열되어, 관라이닝재(3)에 함침된 열경화성 수지가 열경화된다.
관라이닝재(3)가 열경화된 후에는, 보일러(62)의 운전을 중지하고, 냉각장치(43)를 구동해서 펌프(42)로부터 공급되는 온수(18)를 냉각한다. 그리고, 냉각수로 된 온수를 온수펌프(61)를 통해 호스(60)에 공급하고, 냉각수를 분무기(70)로부터 분무시킨다. 냉각수도 온수와 마찬가지로 사방으로 구석구석까지 분무되고, 그것에 의해 관라이닝재(3) 전체가 균일하게 상온까지 냉각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어느 실시예1~3에서나, 보다 광범위하게 구석구석까지 분무되는 온수에 의해, 관라이닝재는 균일하게 가온 열경화되고, 그것에 의해, 열경화의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아 안정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열경화시간의 단축 및 사용하는 물의 양도 약 절반이하로 되어 절약할 수 있다.
또, 열경화후에 고온의 관라이닝재를 급격하게 냉각시키지 않고, 단계적으로 냉각시킴으로써 강도저하의 우려가 없어져서 안정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필요하였던 냉각전용의 급수차가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공사에서 사용하는 물의 양을 절약할 수 있으며, 종래에는 필요하였던 냉각전용의 급수차가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그만큼의 절차가 없어져서 공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 냉각전용의 급수차(급수탱크)가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공사현장의 도로점유 면적이 감소하여, 교통지체 등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열경화성 수지를 열경화시키기 위해서 사용한 온수 내지 증기를 외부로 퍼내어 냉각함으로써 얻어진 냉각수를 이용하여, 열경화된 관라이닝재를 냉각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냉각 전용의 급수차가 불필요하게 되어, 공사현장의 도로점유 면적이 감소됨과 아울러, 공사에서 사용하는 물의 양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관라이닝재가 열경화된 후, 고온의 관라이닝재를 냉각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열경화후의 관라이닝재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통형상의 관라이닝재를 관로에 삽입해서 열경화성 수지를 열경화시켜서 관로를 라이닝하는 관로 라이닝 공법으로서,
    관로에 삽입된 관라이닝재를 팽창시켜서 관로의 관 내주면에 압착시키고,
    온수 또는 증기를 관로의 관 내주면에 압착되어 있는 관라이닝재에 분출시켜서 관라이닝재에 함침된 열경화성 수지를 열경화시키고,
    관라이닝재의 저부에 저류되어 있는 분출이 완료된 온수 또는 분출이 완료된 증기로 이루어지는 온수를 외부로 퍼내어 냉각해서 냉각수로 하고,
    상기 냉각수를 열경화된 관라이닝재에 분출시켜서 관라이닝재를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라이닝 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또는 증기가 제1호스를 통해, 또한 냉각수가 제2호스를 통해 각각 관라이닝재에 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라이닝 공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또는 증기가 호스를 통해 관라이닝재에 분출되고, 열경화성 수지가 열경화후에, 온수 또는 증기 대신에 냉각수가 상기 호스에 공급되어 열경화된 관라이닝재에 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라이닝 공법.
  4. 제3항에 있어서, 수조의 물을 가열함으로써 형성된 온수 또는 증기가 상기 호스를 통해 관라이닝재에 분출되고, 관라이닝재의 저부에 저류되어 있는 온수가 상기 수조로 복귀되고, 열경화성 수지가 열경화후 상기 수조의 온수가 냉각되어서 상기 호스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라이닝 공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가, 분출되는 온수 또는 증기의 냉각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라이닝 공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또는 증기 및 냉각수가 미스트상태로 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라이닝 공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또는 증기 및 냉각수가 샤워로서 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라이닝 공법.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위에 복수의 세로홈을 형성하고, 노즐구를 갖는 분무기가 설치되고, 상기 온수, 증기 또는 냉각수가 상기 세로홈을 거쳐 노즐구로부터 상방으로 분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라이닝 공법.
KR1020060064922A 2006-07-11 2006-07-11 관로 라이닝 공법 KR200800061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922A KR20080006141A (ko) 2006-07-11 2006-07-11 관로 라이닝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922A KR20080006141A (ko) 2006-07-11 2006-07-11 관로 라이닝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141A true KR20080006141A (ko) 2008-01-16

Family

ID=39220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4922A KR20080006141A (ko) 2006-07-11 2006-07-11 관로 라이닝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61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042B1 (ko) * 2009-06-03 2010-09-28 (주)로터스지이오 관 라이닝재 가열용 온수 분출호스 및 그 온수 분출호스의 제조방법
CN114311772A (zh) * 2021-12-31 2022-04-12 宁夏金梯氟塑防腐设备有限公司 聚四氟乙烯防腐设备的制造方法及聚四氟乙烯防腐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042B1 (ko) * 2009-06-03 2010-09-28 (주)로터스지이오 관 라이닝재 가열용 온수 분출호스 및 그 온수 분출호스의 제조방법
CN114311772A (zh) * 2021-12-31 2022-04-12 宁夏金梯氟塑防腐设备有限公司 聚四氟乙烯防腐设备的制造方法及聚四氟乙烯防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02251B2 (en) Pipeline lining method
US7803245B2 (en) Pipeline lining method
KR20100075373A (ko) 관 라이닝재 및 관 라이닝 공법
JP4850603B2 (ja) 管路ライニング工法
KR20080006141A (ko) 관로 라이닝 공법
JP4566764B2 (ja) 管路ライニング工法
KR101272131B1 (ko) 보강튜브의 반전을 통한 비굴착 상하수관로의 보수장치 및 그 보수방법
JP2001047512A (ja) 管ライニング工法
JP2002086564A (ja) 管ライニング工法
JP2005127577A (ja) 造雪装置
JP2006258318A (ja) 気化冷却装置
JPH05200869A (ja) 管路の内張り方法
KR101176302B1 (ko) 멀티건 타입의 핫멜트 도포장치
JP2010155448A (ja) 既設管更生工法及びその工法に使用される更生管用セグメント
KR102632683B1 (ko) 관 라이닝 공법
JP5521869B2 (ja) 洗車機
JPH10109362A (ja) 既設管路の補修工法
KR100615421B1 (ko) 관 라이닝 공법
JPH06114938A (ja) 管路補修工法
JP2007078277A (ja) 蒸気加熱装置
KR20060093194A (ko) 스팀 청소기의 스팀 발생 장치
JP2006329517A (ja) 気化冷却装置
JP2018179480A (ja) 過熱水蒸気送出装置
JP2018130948A (ja) 既設管の更生方法
JP2006329516A (ja) 気化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