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809U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809U
KR20080005809U KR2020070008698U KR20070008698U KR20080005809U KR 20080005809 U KR20080005809 U KR 20080005809U KR 2020070008698 U KR2020070008698 U KR 2020070008698U KR 20070008698 U KR20070008698 U KR 20070008698U KR 20080005809 U KR20080005809 U KR 200800058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ice making
guide
water supply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86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규
배학균
송용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86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5809U/ko
Publication of KR200800058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80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트레이와; 제빙트레이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배관과; 제빙트레이를 향해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된 분사구를 형성하고, 급수배관의 단부영역에 결합되어 급수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제빙수를 제빙트레이로 안내하는 안내배관과; 안내배관에 마련되어, 분사구를 통해 배출되는 제빙수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방지가이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수압에 상관없이 급수배관의 결빙 및 제빙수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도 1 및 도 2는 종래 냉장고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주요부분을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냉장고 10 : 본체캐비닛
10a : 내상 10b : 외상
15 : 저장실 17 : 배관수용부
20 : 제빙트레이 25 : 얼음저장부
30 : 도어 35 : 디스펜서부
40 : 급수배관 41 : 외부급수원
43 : 단열부재 50 : 안내배관
53 : 결합부 55 : 절곡부
57 : 분사구 60 : 비산방지가이드
70 : 이빙부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압에 상관없이 급수배관의 결빙 및 제빙수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10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115)이 형성된 본체캐비닛(110)과, 냉동실(115)에 배치되어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트레이(120)를 포함한다. 이러한 냉장고(101)는 외부로부터 제빙트레이(120)에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배관(140)과, 급수배관(140)으로 배출되는 제빙수를 제빙트레이(120)로 안내하는 안내배관(150)을 더 포함한다. 안내배관(150)은 절곡된 파이프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101)의 제빙트레이(120)에 급수배관(140)을 통하여 제빙수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A'영역과 같이 안내배관(150)의 절곡 영역 및 단부 영역의 잔수가 결빙되어 급수배관(140) 및 안내배관(150)이 막히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배관(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한 절취부(157)를 형성하여 안내배관(150)에 잔수가 발생하지 않게 하였다. 그러나, 제빙수가 급수배관(140)을 통하여 고압으로 배출되는 경우, 제빙수가 안내배관(150)에 부딪혀 제빙트레이(120)를 벗어나 냉동실(115) 내부에 결빙 및 착상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도 2의 B 참조). 또한, 제빙수가 급수배관(140)을 통하여 저압으로 배출되는 경우, 제빙수가 안내배관(150)의 절취된 부분을 통하여 급수배관(140)을 타고 역류하여 제빙트레이(120)를 벗어나 냉동 실(115) 내부에 결빙 및 착상이 되거나, 급수배관(140)에 결빙 및 착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도 2의 C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압에 상관없이 급수배관의 결빙 및 제빙수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트레이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제빙트레이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배관과; 상기 제빙트레이를 향해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된 분사구를 형성하고, 상기 급수배관의 단부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급수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제빙수를 상기 제빙트레이로 안내하는 안내배관과; 상기 안내배관에 마련되어, 상기 분사구를 통해 배출되는 제빙수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방지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안내배관은, 상기 급수배관의 단부영역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 및 절곡되어 상기 급수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제빙수를 상기 제빙트레이로 안내하며 상기 분사구가 형성되어 있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산방지가이드는 상기 결합부와 상기 절곡부의 경계영역으로부터 상기 제빙트레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빙트레이를 회전시켜 상기 제빙트레이에서 생성된 얼음을 이빙하는 이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배관은 상기 제빙트레이의 회전반경 내에 배치되 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산방지가이드는 상기 절곡부의 길이에 비하여 짧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배관과 상기 비산방지가이드는 일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실(15)이 형성된 본체캐비닛(10)과, 저장실(15)에 배치되어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트레이(20)와, 제빙트레이(20)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배관(40)과, 급수배관(40)으로 배출되는 제빙수를 제빙트레이(20)로 안내하는 안내배관(50)과, 안내배관(50)에 마련되어 안내배관(50)으로 배출되는 제빙수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방지가이드(60)를 포함한다.
본체캐비닛(10)은 저장실(15)을 형성하는 내상(10a)과, 내상(10a)과 발포제 충진 간격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0b)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캐비닛(10)의 상부영역에는 저장실(15)과 외부를 상호 연통시켜 급수배관(40)이 수용되는 배관수용부(17)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제빙트레이(20)는 저장실(15) 내부에 배치되어 얼음을 생성한다. 제빙트레이(20)는 냉동실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냉장실에 별도 구획되어 마련되는 제빙실(미도시)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빙트레이(20)는 급수배관(40)으로부터 제빙수를 공급받아 얼음을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빙트레이(20)는 저장실(15)의 상부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빙트레이(20)는 저장실(15)의 어디에도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제빙트레이(20)의 하부영역에는 제빙트레이(20)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저장부(25)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캐비닛(10)에는 저장실(15)의 전면개구를 개폐하는 도어(30)가 장착되어 있다.
도어(30)는 본체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어(30)에는 얼음저장부(25)에 저장되어 있는 얼음을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부(35)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펜서부(35)의 자세한 구성 및 작용은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본 실시예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급수배관(40)은 제빙트레이(20)로 제빙수를 공급한다. 급수배관(40)은 배관수용부(17)를 통과하며, 일단이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이 제빙트레이(20)의 상부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빙트레이(20)의 타단에는 안내배관(50)이 결합되어 있다. 이에, 급수배관(40)은 외부로부터 제빙트레이(20)로 제빙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급수배관(40)의 외부면은 단열부재(43)로 둘러싸여 있다.
단열부재(43)는 급수배관(40)의 외부면을 감싼다. 자세히 설명하면, 단열부재(43)는 급수배관(40)의 외부면을 감싸며 배관수용부(17)에 수용된다. 이에, 배관수용부(17)와 급수배관(40) 사이로 유출되는 냉기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안내배관(50)은 제빙트레이(20)를 향해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된 분사구(57)를 형성하고, 급수배관(40)의 단부영역에 결합되어 급수배관(40)으로부터 배출되는 제빙수를 제빙트레이(20)로 안내한다. 안내배관(50)은 급수배관(40)의 타단영역에 결합되는 결합부(53)와, 결합부(53)로부터 연장 및 절곡되어 급수배관(40)으로부터 배출되는 제빙수를 제빙트레이(20)로 안내하는 절곡부(55)를 포함한다.
결합부(53)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어 급수배관(40)의 타단영역의 외주면을 감싼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급수배관(40)이 결합부(53)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절곡부(55)는 결합부(53)로부터 급수배관(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빙트레이(20) 방향으로 절곡된다. 절곡부(55)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절곡부(55)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분사구(57)가 절취되어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분사구(57)는 절곡부(55)를 유동하는 제빙수가 제빙트레이(20)로 자유낙하 하도록 절곡부(55)의 하측영역을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하여 형성한다. 이에, 안내배관(50)의 절곡영역 또는 단부영역에 잔수가 발생하여 결빙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비산방지가이드(60)는 안내배관(50)에 마련되어 분사구(57)를 통해 배출되는 제빙수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한다. 비산방지가이드(60)는 분사구(57)를 통하여 비산하는 제빙수를 충분히 차단하도록 분사구(57)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판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비산방지가이드(60)는 제빙수의 비산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도록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그러나, 비산방지가이드(60)는 'ㅣ'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판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비산방지가이드(60)는 결합부(53)와 절곡부(55)의 경계영역으로부터 제빙트레이(2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러나, 비산방지가이드(60)는 결 합부(53)로부터 제빙트레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급수배관(40)으로부터 제빙트레이(2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제빙수가 급수배관(40)으로부터 고압으로 배출되는 경우, 비산방지가이드(60)는 절곡부(55)에 충돌한 제빙수가 분사구(57)를 통하여 제빙트레이(20)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제빙수가 급수배관(40)으로부터 저압으로 배출되는 경우, 비산방지가이드(60)는 분사구(57)를 통하여 급수배관방향으로 역류하다가 비산방지가이드(60)의 안내를 받아 제빙트레이(20)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는 제빙트레이(20)를 회전시켜 제빙트레이(20)에서 생성된 얼음을 이빙하는 이빙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빙부(70)는 제빙트레이(2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모터로 마련되어, 제빙트레이(20)의 일단부를 회전시킨다. 이에, 제빙트레이(20)는 트위스팅하며 생성된 얼음을 이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의 안내배관(50)은 제빙트레이(20)의 회전반경 내에 배치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안내배관(50)은 제빙트레이(20)의 상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안내배관(50)을 통하여 배출되는 제빙수가 고수압으로 인해 제빙트레이(20)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이빙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빙트레이(20)의 회전에 안내배관(50)이 간섭되므로 안내배관(50)을 플렉시블한 재질로 마련하는 것이다. 여기서, 안내배관(50)은 러버 또는 실리콘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안내배관(50)과 비 산방지가이드(60)는 일체로 마련된다.
한편, 비산방지가이드(60)는 절곡부(55)의 길이에 비하여 짧게 마련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비산방지가이드(60)는 이빙 동작 수행시 제빙트레이(20)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이에, 이빙 동작 수행시 비산방지가이드(60)가 제빙트레이(20)의 회전에 간섭되어 이빙부(70)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비산방지가이드(60)는 이빙 동작 수행시 제빙트레이(20)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비산방지가이드(60)의 단부에 발생할 수 있는 결빙 및 착상된 얼음을 이빙 동작 수행시 제빙트레이(20)의 회전에 의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런한 구성을 갖는 냉장고(1)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제빙수가 적절한 압력으로 유동하는 경우, 급수배관(40)을 통과한 제빙수는 안내배관(50)의 안내를 받아 분사구(57)를 통하여 제빙트레이(20)로 공급된다(도 4의 D 참조).
한편, 제빙수가 고압으로 유동하는 경우, 급수배관(40)을 통과한 제빙수 중 일부는 안내배관(50)의 안내를 받아 제빙트레이(20)로 공급되며, 나머지 제빙수는 절곡부(55)에 충돌한 후 분사구(57)를 통하여 비산방지가이드(60)에 충돌한다. 여기서, 비산방지가이드(60)에 충돌한 제빙수는 비산방지가이드(60)를 타고 제빙트레이로 공급된다(도 5의 E 참조). 이에, 제빙수가 고압으로 유동하는 경우, 비산방지가이드(60)는 제빙수가 제빙트레이(20)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제빙수가 저압으로 유동하는 경우, 급수배관(40)을 통과한 제빙수 중 일부는 안내배관(50)의 안내를 받아 제빙트레이(20)로 공급되며, 나머지 제빙수는 분사구(57)를 통하여 안내배관(50)을 타고 급수배관(40)을 향해 역류하게 된다. 여기서, 급수배관(40)을 향해 역류하는 제빙수는 비산방지가이드(60)에 의해 급수배관으로 역류하지 못하고 제빙트레이(20)로 흘러내리게 된다(도 4의 F 참조). 이에, 제빙수가 저압으로 유동하는 경우, 비산방지가이드(60)는 제빙수가 급수배관(40)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잔수가 발생하여 급수배관(40) 또는 안내배관(50)에 결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는 제빙트레이(20)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배관(40)과, 제빙트레이(20)를 향해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된 분사구(57)를 형성하고 급수배관(40)의 단부영역에 결합되어 급수배관(40)으로부터 배출되는 제빙수를 제빙트레이(20)로 안내하는 안내배관(50)과, 안내배관(50)에 마련되어 분사구(57)를 통해 배출되는 제빙수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방지가이드(60)를 포함함으로써, 수압에 상관없이 급수배관(40)의 결빙 및 제빙수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압에 상관없이 급수배관의 결빙 및 제빙수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트레이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제빙트레이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배관과;
    상기 제빙트레이를 향해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된 분사구를 형성하고 상기 급수배관의 단부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급수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제빙수를 상기 제빙트레이로 안내하는 안내배관과;
    상기 안내배관에 마련되어, 상기 분사구를 통해 배출되는 제빙수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방지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배관은,
    상기 급수배관의 단부영역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 및 절곡되어 상기 급수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제빙수를 상기 제빙트레이로 안내하며 상기 분사구가 형성되어 있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가이드는 상기 결합부와 상기 절곡부의 경계영역으로부터 상기 제빙트레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트레이를 회전시켜 상기 제빙트레이에서 생성된 얼음을 이빙하는 이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배관은 상기 제빙트레이의 회전반경 내에 배치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가이드는 상기 절곡부의 길이에 비하여 짧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배관과 상기 비산방지가이드는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2020070008698U 2007-05-28 2007-05-28 냉장고 KR200800058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698U KR20080005809U (ko) 2007-05-28 2007-05-28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698U KR20080005809U (ko) 2007-05-28 2007-05-28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809U true KR20080005809U (ko) 2008-12-03

Family

ID=41326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8698U KR20080005809U (ko) 2007-05-28 2007-05-28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5809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98405A1 (en) * 2012-04-10 2013-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60370056A1 (en) * 2015-06-18 2016-12-22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42860B1 (ko) * 2019-04-18 2019-11-27 주식회사 나까조인터내셔널 드럼식 제빙기용 세척 모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98405A1 (en) * 2012-04-10 2013-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679938A3 (en) * 2012-04-10 2015-1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492898B2 (en) 2012-04-10 2016-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including a refrigerant pip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604324B2 (en) 2012-04-10 2017-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60370056A1 (en) * 2015-06-18 2016-12-22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6257217A (zh) * 2015-06-18 2016-12-28 东部大宇电子株式会社 冰箱及其制造方法
KR102042860B1 (ko) * 2019-04-18 2019-11-27 주식회사 나까조인터내셔널 드럼식 제빙기용 세척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973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US7428820B2 (en) Refrigerator
EP2679942B1 (en) Refrigerator
KR101696860B1 (ko)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이의 제상수 포집 방법
JP5142835B2 (ja) 製氷装置及び該製氷装置を備える冷蔵庫
CN110440504B (zh) 一种冰箱
KR20080106771A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080014598A (ko) 제빙장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KR100797155B1 (ko) 냉장고의 냉기유동구조
KR20080005809U (ko) 냉장고
KR101455864B1 (ko) 냉기 덕트 및 냉장고
JP4595743B2 (ja) 冷蔵庫
KR101661618B1 (ko) 냉장고의 필터 일체형 제빙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4802642B2 (ja) 冷蔵庫
KR100819515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KR20100027955A (ko) 냉장고
KR100790545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CN110440513B (zh) 一种冰箱
KR100766118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0728361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KR20210051712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JP2008039240A (ja) 冷蔵庫
KR100907792B1 (ko) 냉장고
KR101132481B1 (ko) 냉장고의 얼음 디스펜스장치
KR101356100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