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515B1 - 냉장고용 제빙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제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9515B1
KR100819515B1 KR1020060026661A KR20060026661A KR100819515B1 KR 100819515 B1 KR100819515 B1 KR 100819515B1 KR 1020060026661 A KR1020060026661 A KR 1020060026661A KR 20060026661 A KR20060026661 A KR 20060026661A KR 100819515 B1 KR100819515 B1 KR 100819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ice maker
ice
door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6375A (ko
Inventor
김명수
김종곤
권오철
박유민
곽영훈
조현포
구본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60026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9515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AU2007227891A priority patent/AU2007227891B2/en
Priority to ES18164955T priority patent/ES2753272T3/es
Priority to EP15151507.9A priority patent/EP2896915B1/en
Priority to PCT/KR2007/001420 priority patent/WO2007108662A1/en
Priority to US12/160,753 priority patent/US8234880B2/en
Priority to EP16191909.7A priority patent/EP3150944B1/en
Priority to CA2636046A priority patent/CA2636046C/en
Priority to EP19169782.0A priority patent/EP3546857B1/en
Priority to RU2008142109/12A priority patent/RU2404394C2/ru
Priority to EP18164955.9A priority patent/EP3372924B1/en
Priority to CN2007800044258A priority patent/CN101379352B/zh
Priority to CN201110066159XA priority patent/CN102155838B/zh
Priority to BRPI0707200-7A priority patent/BRPI0707200B1/pt
Priority to ES16191907.1T priority patent/ES2693597T3/es
Priority to EP16191907.1A priority patent/EP3147596B1/en
Priority to EP19159462.1A priority patent/EP3521734B1/en
Priority to EP07715769.1A priority patent/EP2005083A4/en
Priority to ES15151507.9T priority patent/ES2659051T3/es
Publication of KR20070096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6375A/ko
Publication of KR100819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IL194173A priority patent/IL194173A/en
Priority to AU2010224296A priority patent/AU2010224296B2/en
Priority to AU2010224295A priority patent/AU2010224295B2/en
Priority to AU2010224297A priority patent/AU2010224297B2/en
Priority to AU2010224299A priority patent/AU2010224299B2/en
Priority to AU2010224298A priority patent/AU2010224298B2/en
Priority to US13/209,180 priority patent/US8359878B2/en
Priority to US13/209,173 priority patent/US8375739B2/en
Priority to US13/741,000 priority patent/US8667809B2/en
Priority to US14/094,500 priority patent/US922876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01P3/48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 G01P3/481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 G01P3/486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delivered by photo-electric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4Optical or mechanical part supplementary adjustable parts
    • G01J1/0403Mechanical elements; Supports for optical elements; Scann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제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저장공간(1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131)의 이면에 설치되고,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161)와; 상기 도어(131)의 이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빙기(16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빙기커버(171);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의 저장용량을 최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얼음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얼음에 음식의 냄새가 배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냉장고, 냉동실, 도어, 제빙기, 제빙기커버

Description

냉장고용 제빙장치{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제빙장치가 구비되는 냉장고의 요부를 보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제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냉장고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일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냉기덕트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른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빙기커버를 보인 측단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아이스뱅크의 저면을 보인 평면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냉기의 유동과정 및 얼음의 이송과정을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111: 아웃케이스
113: 이너케이스 121: 냉동실
123: 쉬라우드 123: 냉기토출구
124: 열교환챔버 125: 체결리브
126: 체결공 127: 체결홈
129: 냉장실 131: 냉동실도어
131a: 디스펜서 133: 아웃도어
134: 도어라이너 135: 지지단
135: 고정돌기 136: 안착단
136a: 연통구 136b: 체결공
137: 연결단 139: 냉장실도어
139a: 홈바 141: 냉기덕트
143: 냉기입구 144: 냉기출구
145: 보조냉기출구 146: 지지리브
147: 체결보스 147a: 관통홀
148: 체결돌기 151: 안착구
151S: 설치공간 153: 전면판
153a: 냉기가이드 153b: 체결공
153c: 걸림리브 155: 양측판
155a: 고정홈 157: 바닥판
157a: 연통구 157b: 관통공
157c: 걸림돌기 161: 제빙기
163: 장착브라켓 163a: 관통공
171: 제빙기커버 173: 고정홈
174: 체결후크 175: 냉기유입구
176: 블레이드 177: 투시창
181: 아이스뱅크 181S: 저장공간
183: 얼음이송개구 184: 걸림홈
185: 라운딩부 187: 투시창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이면에 설치되어 얼음을 제조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제빙장치가 구비되는 냉장고의 요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11)의 내측에 이너케이스(12)가 결합된다. 상기 이너케이스(12)는 상기 본체(10)의 내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이너케이스(12)에 의하여 저장공간인 냉동실(13)이 실질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상기 냉동실(1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도어(15)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15)는 상기 본체(10)에 그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도어(15)는 아웃도어(16)와 도어라이너(17)로 구성된다. 상기 아웃도어(16)는 상기 도어(15)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라이너(17)는 상기 도어(15)의 이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냉동실(13)의 내부에는 쉬라우드(19)가 구비된다. 상기 쉬라우드(19)는 상기 냉동실(13)의 후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쉬라우드(19)에는 상기 냉동실(13)의 내부로 냉기가 토출되는 다수개의 냉기토출구(19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냉동실(13)의 후면과 상기 쉬라우드(19)의 이면 사이에는 열교환챔버(21)가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챔버(21)의 하부에는 냉기를 형성하기 위한 증발기(미도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챔버(21)의 상부에는 상기 증발기에서 열교환된 냉기를 상기 냉동실(13)로 토출하기 위한 송풍팬(23)이 구비된다.
상기 송풍팬(23)의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냉동실(13)의 후단 상부에는 아이스메이커(25)가 구비된다. 상기 아이스메이커(25)는 상기 쉬라우드(19)에 인접되는 상기 냉동실(13)의 상부에 좌우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아이스메이커(25)는 얼음을 제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아이스뱅크(31)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아이스메이커(25)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냉동실(13)의 일측에는 모터케이싱(29)이 설치된다. 상기 모터케이싱(29)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이송레버(31a)를 구동시키기 위한 이송모터(27)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케이싱(29)의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냉동실(13)의 내부에는 아이스뱅크(31)가 구비된다. 상기 아이스뱅크(31)는 상기 아이스메이커(25)에서 전달받은 얼음을 디스펜서(미도시)로 이송하여 사용자가 외부에서 얼음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아이스뱅크(31)의 내부에는 상기 이송모터(27)에 의하여 구동하는 이송레버(31a)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레버(31a)의 일단은 상기 이송모터(27)의 구동축에 연결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상기 제빙기(25)가 상기 냉동실(13)의 후단에 좌우로 길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기(25)에서 제조된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냉동실(13)의 내부에는 상기 모터케이싱(29)과 아이스뱅크(31)가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13)의 저장용량이 상기 제빙기(25)와 모터케이싱(29) 및 아이스뱅크(31)의 용적만큼 감소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제빙기(25)가 상기 냉동실(13)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상기 제빙기(25)는 상기 냉동실(13)의 내부를 순환하는 냉기에 의하여 얼음을 제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빙기(25)에서 얼음이 제조되는 과정에서, 상기 냉동실(13)에 저장된 다른 식품의 냄새가 배이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의 저장용량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장고에 저장된 다른 식품의 냄새가 배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의 이면에 설치되고,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와; 상기 도어의 이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빙기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빙기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빙기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제빙기에 공급되는 냉기가 유입되는 냉기유입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빙기커버의 양측면 외측에는 하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도어의 이면 양측단부에서 후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단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냉기유입구에는 상기 제빙기로 공급되는 냉기를 안내하기 위한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레이드는 냉기를 상기 제빙기를 향하여 최단경로로 안내할 수 있도록 연직방향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레이드 중 상기 제빙기에 가장 인접되게 위치되는 어느 하나는 연직방향축에 대하여 45°의 경사각을 가지고, 상기 블레이드 중 상기 제빙기에서 가장 이격되게 위치되는 다른 하나는 연직방향축에 대하여 70°의 경사각을 가지며, 상기 블레이드의 나머지는 상기 제빙기에서 이격될수록 점차적으로 연직방향축에 대하여 45°에서 70˚ 사이에서 증가되는 경사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의 이면에 인접하는 상기 제빙기커버의 후면 하단에는 도어의 이면 에 탄성체결되는 체결후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공간의 천장에 전후방으로 길게 구비되고, 상기 저장공간으로 공급되는 냉기의 일부를 상기 냉기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제빙기에 공급하는 냉기덕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기덕트는 상기 저장공간의 전단에 인접하는 그 선단부에서 저장공간의 후단에 인접하는 그 후단부를 향하여 소정의 경사만큼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빙기커버의 상면은 상기 냉기덕트에 형합되게 상기 도어의 이면에 인접하는 그 후단부에서 선단부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도어가 상기 저장공간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냉기덕트와 제빙기커버가 인접되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빙기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의 이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빙기에서 제조된 얼음을 저장하여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펜서로 전달하는 아이스뱅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의 저장용량을 최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얼음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얼음에 음식의 냄새가 배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제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제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냉장고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일요부가 도시되어 있 으며,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냉기덕트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른 요부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 및 도 7에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빙기커버와 아이스뱅크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100)의 내부에는 냉동실(121)과 냉장실(129)이 좌우로 병립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외관을 아웃케이스(111)가 형성한다. 상기 아웃케이스(111)의 내측에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를 형성하는 이너케이스(113)가 결합된다. 즉 상기 냉동실(121)과 냉장실(129)은 상기 이너케이스(113)에 의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에는 냉동실도어(131)와 냉장실도어(139)가 구비된다. 상기 냉동실도어(131)와 냉장실도어(139)는 각각의 일단을 중심으로 선단이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냉동실도어(131)와 냉장실도어(139)는 각각 상기 냉동실(121)과 냉장실(129)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냉동실도어(131)와 냉장실도어(139)에는 디스펜서(131a)와 홈바(139a)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디스펜서(131a)는 사용자가 상기 냉동실도어(131)를 열지 않고 외부에서 물이나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홈바(139a)는 사용자가 상기 냉장실도어(139)를 열지 않고 외부에서 음료수를 인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냉동실(121)의 내부에는 쉬라우드(12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쉬라우드(123)의 이면은 상기 냉동실(121)의 후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21)의 후면과 상기 쉬라우드(123)의 이면 사이에는 증발기(미 도시)와 송풍팬(미도시) 등이 설치되는 열교환챔버(124)(도 8참조)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쉬라우드(123)에는 다수개의 냉기토출구(123a)(123b)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토출구(123a)(123b)는 상기 증발기에서 열교환된 냉기가 상기 송풍팬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냉동실(121)의 내부로 토출되는 곳이다. 상기 냉기토출구(123a)(123b)는 상기 쉬라우드(123)에 서로 상하 또는 좌우로 이격되는 위치에 다수개가 형성된다.
도 3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기토출구(123a)(123b) 중 특히 상기 냉동실(121)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냉기토출구(123a)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쉬라우드(123)의 전면에는 체결리브(125)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리브(125)는 상기 쉬라우드(123)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좌우로 길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체결리브(125)의 양단부는 각각 하향경사지게 라운딩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냉동실(121)의 천장에는 한쌍의 체결공(126)과 하나의 체결홈(127)이 형성된다. 상기 냉동실(121)의 체결공(126)과 체결홈(127)은 상기 냉기토출구(123a) 및 체결리브(125)의 전방에 해당하는 냉동실(121)의 천장 전단부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냉동실(121)의 체결홈(127)은 상기 냉동실(121)의 체결공(126)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동실(121)의 천장에서는 냉기덕트(141)가 설치된다. 상기 냉기덕트(141)는 상기 냉기토출구(123a)를 통하여 토출되는 냉기의 일부를 상기 냉동실도어(131)의 이면을 향하여 유동시킴으로써, 실질적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제빙기(161) 에 냉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냉기덕트(141)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대략 상부가 개구되는 ㄷ자형상의 측단면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121)의 천장과 상기 냉기덕트(141)의 내측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제빙기(161)에 공급되는 냉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기덕트(141)의 상하 높이는 전단부에서 후단부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냉기덕트(141)는 그 전단부에서 후단부를 향하여 소정의 경사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냉기덕트(141)의 후단부 높이는 적어도 상기 냉기토출구(123a)의 전체적인 높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게 된다.
상기 냉기덕트(141)는 상기 냉동실(121)의 천장에 전후방으로 길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냉기덕트(141)의 후단부는 상기 냉기토출구(123a)가 그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쉬라우드(123)의 전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덕트(141)의 전단부는 상기 냉동실(121)의 천장 전단에 인접되게 위치된다.
상기 냉기덕트(141)의 후단부에는 냉기입구(143)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입구(143)는 상기 냉기토출구(123a)를 통하여 토출되는 냉기가 상기 냉기덕트(141)의 내부로 유입되는 입구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냉기덕트(141)의 전단부에는 냉기출구(144)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출구(144)는 상기 냉기입구(143)를 통하여 상기 냉기덕트(141)의 내부로 유입되는 냉기가 아래에서 설명할 제빙기커버(171)의 냉기유입구(175)로 유입되도록 배출 되는 출구역할을 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냉기덕트(141)는 그 전단부에서 후단부를 향하여 높이가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냉기출구(144)는 상기 냉동실(121)의 전방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입구(143)에 인접하는 상기 냉기덕트(141)의 후단부에는 보조냉기출구(145)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냉기출구(145)는 상기 냉기토출구(123a)를 통하여 상기 냉기덕트(141)의 내부로 유입되는 냉기의 일부를 상기 냉동실(121)의 내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냉기덕트(141)의 후단 내측에는 지지리브(146)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리브(146)는 상기 냉기덕트(141)의 후단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덕트(141)가 상기 냉동실(121)의 천장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리브(125)의 상면에 그 저면이 지지된다.
또한 상기 냉기출구(144)의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냉기덕트(141)의 전단부 내측에는 한쌍의 체결보스(147)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보스(147)는 상기 냉기덕트(141)의 전단부 내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그 선단이 상기 냉동실(121)의 천장에 밀착된다. 상기 체결보스(147)는 좌우로 소정의 거리만큼 좌우로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보스(147)에는 상기 냉동실(121)의 체결공(126)에 체결되는 체결스크류(S1)가 관통하는 관통홀(147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체결보스(147)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냉기덕트(141)의 전단부 내측에는 체결돌기(148)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돌기(148)는 상기 냉기덕트(141)의 전단부 내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체결돌기(148)는 상기 체결보스(147)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냉동실(121)의 체결홈(127)에 삽입된다.
한편 도 5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동실도어(131)의 전면 외관을 아웃도어(133)가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아웃도어(133)의 내측에는 상기 냉동실도어(131)의 이면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라이너(134)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도어(131)의 이면 양측단부에는 지지단(135)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지지단(135)은 실질적으로 상기 도어라이너(134)의 일부가 소정의 길이만큼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단(135)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다수개의 고정돌기(135a)(135b)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냉동실도어(131)의 이면에는 안착단(136)이 구비된다. 상기 안착단(136)은 상기 지지단(135)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라이너(134)의 일부가 후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단(136)은 상기 지지단(135)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길게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단(136)은 실질적으로 상기 디스펜서(131a)의 설치에 의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안착단(136)의 내부에는 연통구(136a)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단(136)의 연통구(136a)는 안착단(136)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136)의 연통구(136a)는 제빙기(161)에서 제조되는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131a)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착단(136)의 선단에는 한쌍의 체결공(136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도어(131)의 이면에는 연결단(137)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단(137)은 상기 지지단(135)의 상단을 좌우로 연결하도록 상기 도어라이너(134) 의 일부가 후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냉동실도어(131)의 이면에는 안착구(151)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구(151)는 그 내부에 소정의 설치공간(151S)이 구비되도록 일부가 개구되는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실질적으로, 상기 안착구(151)는 상기 설치공간(151S)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판(153)과 상기 설치공간(151S)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양측판(155), 그리고 상기 설치공간(151S)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판(157)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판(153)의 이면은 상기 지지단(135)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냉동실도어(131)의 이면에 밀착된다. 상기 양측판(155)의 외측면은 상기 지지단(135)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157)의 저면은 상기 안착단(136)의 상면에 밀착된다.
상기 설치공간(151S)의 전면에는 냉기가이드(153a)가 구비된다. 상기 냉기가이드(153a)는 상기 냉기덕트(141)에 의하여 제빙기(161)로 공급되는 냉기의 일부를 상기 설치공간(151S)과 제빙기(161) 사이의 공간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냉기가이드(153a)는 상기 설치공간(151S)의 전면 상부에 서로 좌우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상하로 길게 구비되는 쌍으로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기가이드(153a)가 상기 설치공간(151S)의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전면판(153)의 일부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설치공간(151S)의 전면에는 한쌍의 체결공(153b)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153b)은 실질적으로 상기 냉기가이드(153a)의 일측에 해당하는 상기 설치공간(151S)의 전면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치공간(151S)의 전면에는 걸림리브(153c)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리브(153c)는 상기 전면판(153)의 일부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리브(153c)는 아래에서 설명할 아이스뱅크(181)가 상기 설치공간(151S)에 설치된 상태에서, 아이스뱅크(181)가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기 설치공간(151S)의 전면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아이스뱅크(181)의 상단이 형성하는 궤적 상에 위치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냉동실도어(131)의 이면과 상기 안착구(151)의 이면, 즉 상기 전면판(153)의 이면 사이에는 상기 디스펜서(131a) 등의 동작을 위한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 소정의 공간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공간은 본 발명의 요지와는 무관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설치공간(151S)의 양측면 외측에 해당하는 상기 안착구(151)의 양측면 외측에는 고정홈(155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안착구(151)의 고정홈(155a)은 하방으로 개구되는 대략 ㄷ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착구(151)의 고정홈(155a)에는 상기 지지단(135)의 고정돌기(135a)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구(151)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안착구(151)의 고정홈(155a)에 상기 지지단(135)의 고정돌기(135a)가 삽입되어 안착구(151)가 상기 냉동실도어(131)의 이면에 고정된다.
상기 설치공간(151S)의 바닥면에는 연통구(157a)가 구비된다. 상기 설치공간(151S)의 연통구(157a)는 상기 안착단(136)의 연통구(136a)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설치공간(151S)의 연통구(157a) 및 상기 안착단(136)의 연통구(136a)를 통과 한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131a)를 통하여 외부로 취출된다. 상기 설치공간(151S)의 연통구(157a)는 설치공간(151S)의 바닥면에 해당하는 상기 바닥판(157)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공간(151S)의 바닥면 선단에는 한쌍의 관통공(157b)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간(151S)의 관통공(157b)은 상기 안착단(136)의 체결공(136b)에 체결되는 체결스크류(S2)가 관통하는 곳이다. 또한 상기 설치공간(151S)의 바닥면 선단에는 한쌍의 걸림돌기(157c)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돌기(157c)는 상기 설치공간(151S)의 바닥면에 해당하는 상기 바닥판(157)의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간(151S)의 상부에는 제빙기(161)가 설치된다. 상기 제빙기(161)는 상기 디스펜서(131a)를 통하여 외부로 취출되는 얼음을 제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빙기(161)의 일측에는 한쌍의 장착브라켓(163)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브라켓(163)에는 각각 관통공(163a)이 형성된다. 상기 제빙기(161)의 관통공(163a)을 관통한 체결스크류(S3)가 상기 설치공간(151S)의 체결공(153b)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빙기(161)가 상기 설치공간(151S)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설치공간(151S)의 상부에는 제빙기커버(171)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빙기커버(171)는 상기 제빙기(16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동시에 상기 냉기덕트(141)를 통하여 공급되는 냉기가 상기 제빙기(161)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제빙기커버(171)가 상기 설치공간(151S)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빙기(161)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빙기커버(171)의 내부에 위 치된다.
상기 제빙기커버(171)는 하부 및 상기 냉동실도어(131)의 이면에 인접되는 일면이 개구되는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기커버(171)의 양측면 외측에는 고정홈(173)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빙기커버(171)의 고정홈(173)은 하방으로 개구되는 ㄷ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빙기커버(171)의 고정홈(173)에는 상기 지지단(135)의 고정돌기(135b)가 삽입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공간(151S)의 전면에 밀착되는 상기 제빙기커버(171)의 후면에는 체결후크(174)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후크(174)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빙기커버(171)가 상기 설치공간(151S)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단(137)에 탄성체결된다.
한편 상기 제빙기커버(171)은 상기 냉동실도어(131)의 이면에 인접하는 후단부에서 선단부를 향하여 점착적으로 상하 높이가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제빙기커버(171)의 상면은 상기 냉동실도어(131)의 이면에 인접하는 그 후단부에서 선단부를 향하여 상기 냉기덕트(141)와 동일한 경사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냉기덕트(141)와 제빙기커버(171)는 서로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냉동실도어(131)가 상기 냉동실(121)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냉기덕트(141)와 제빙기커버(171)는 서로 인접되게 위치된다.
상기 제빙기커버(171)의 상면에는 냉기유입구(175)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유입구(175)는 상기 냉기덕트(141)의 냉기출구(144)를 통하여 공급되는 냉기가 유입되는 입구역할을 한다. 상기 냉기유입구(175)는 상기 냉동실도어(131)가 상기 냉동실(121)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냉기입구(143)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냉기입구(143)와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냉기유입구(175)에는 다수개의 블레이드(176)가 구비된다. 상기 블레이드(176)는 상기 냉기유입구(175)를 통하여 유입되는 냉기를 상기 제빙기(161)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블레이드(176)는 냉기를 상기 제빙기(161)를 향하여 최단거리로 안내할 수 있도록 연직방향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176)의 경사각은 상기 제빙기(161)와의 거리 및 상대위치에 따라서 상이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블레이드(176) 중 상기 제빙기(161)에 가장 인접된 제1블레이드(176a)는 연직방향축에 대하여 45°의 경사각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176) 중 상기 제빙기(161)에서 가장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7블레이드(176g)는 연직방향축에 대하여 70°의 경사각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블레이드(176a)와 제7블레이드(176g) 사이에 위치되는 나머지 제2 내지 제6블레이드(176b)(176c)(176d)(176e)(176f)는 상기 제빙기(161)에서 이격될수록 점차적으로 연직방향축에 대하여 45°에서 70˚ 사이에서 증가되는 경사각을 가진다. 즉 상기 제2 내지 제6블레이드(176b)(176c)(176d)(176e)(176f)는 연직방향축에 대하여 각각 49˚, 53˚, 57˚, 61˚, 65˚의 경사각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빙기커버(171)에는 투시창(177)이 구비된다. 상기 제빙기커버(171)의 투시창(177)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빙기커버(171)의 투시창(177)은 사용자가 상기 제빙기커버(171)를 탈거시키지 않은 상태에 서 상기 제빙기(161)에서 얼음이 제조되는 과정을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빙기(161) 및 제빙기커버(171)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설치공간(151S)의 하부에는 아이스뱅크(181)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아이스뱅크(181)는 상기 제빙기(161)에 제조된 얼음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뱅크(181)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얼음을 취출할 수 있도록 저장된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131a)로 전달한다.
상기 아이스뱅크(181)는 상기 제빙기커버(171)와 동일한 횡단면을 가지는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뱅크(181)의 내부에는 상부가 개구되는 호퍼형상의 저장공간(181S)이 구비된다. 상기 저장공간(181S)에는 상기 제빙기(161)에서 제조된 얼음이 저장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스뱅크(181)의 저면에는 얼음이송개구(183)가 구비된다. 상기 얼음이송개구(183)는 상기 저장공간(181S)에 저장된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131a)로 전달하기 위한 출구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저장공간(181S)에 저장된 얼음은 상기 얼음이송개구(183)와 상기 설치공간(151S)의 연통구(157a) 및 안착단(136)의 연통구(136a)를 통하여 상기 디스펜서(131a)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아이스뱅크(181)의 내부에는 상기 저장공간(181S)에 저장된 얼음을 상기 얼음이송개구(183)를 통하여 얼음을 이송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아이스뱅크(181)의 내부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얼음을 분쇄하기 위한 구성도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뱅크(181)의 저면에는 한쌍의 걸림홈(184)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184)에는 상기 걸림돌기(157c)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뱅크(181)는 상기 설치공간(151S)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설치공간(151S)의 전후방으로 임의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아이스뱅크(181)가 상기 설치공간(151S)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뱅크(181)의 상단 테두리는 상기 제빙기(161)의 저면 및 상기 제빙기커버(171)의 하단 테두리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다. 이때 상기 제빙기커버(171)의 하단 테두리와 상기 제빙기(161)의 저면 및 상기 아이스뱅크(181)의 상단 테두리 사이의 간격은 상기 걸림돌기(157c)의 높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값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뱅크(181)의 후면은 상기 설치공간(151S)의 전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이는 상기 아이스뱅크(181)가 상기 설치공간(151S)에서 임의로 착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빙기(161) 및 제빙기커버(171)가 상기 설치공간(151S)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아이스뱅크(181)가 상하로 이동될 수 없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157c)가 상기 걸림홈(184)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상기 아이스뱅크(181)는 전후방 또는 좌우로도 이동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뱅크(181)를 상기 설치공간(151S)에서 탈거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아이스뱅크(181)를 그 후면 상단이 상기 설치공간(151S)의 전면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향경사지게 이동시켜서, 상기 걸림돌기(157c)가 상기 걸림홈(184)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아이스뱅크(181)는 그 후면 상단이 상기 설치공간(151S)의 전면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빙기 (161)의 저면 후단과 상기 설치공간(151S)의 전면이 형성하는 모서리에 인접되는 부분에 밀착되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뱅크(181)를 상기 설치공간(151S)의 전면에서 이격되는 방향을 향하여 수평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아이스뱅크(181)가 상기 설치공간(151S)에서 탈거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의 순서로 상기 아이스뱅크(181)는 상기 설치공간(151S)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뱅크(181)의 후면 하단에는 라운딩부(185)가 구비된다. 상기 라운딩부(185)는 상기 설치공간(151S)에서의 착탈을 위하여 상기 아이스뱅크(181)가 그 하단을 중심으로 후면 상단이 설치공간(151S)의 전면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냉동실도어(131)를 회동시키는 과정에서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아이스뱅크(181)의 하단은 상기 걸림돌기(157c)와 걸림홈(184)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된 상태이므로, 상기 아이스뱅크(181)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회동하게 된다. 즉 상기 아이스뱅크(181)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기 설치공간(151S)의 전면에 인접되는 방향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아이스뱅크(181)는 그 후면이 상기 설치공간(151S)의 전면에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도어(131)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아이스뱅크(181)가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기 설치공간(151S)의 전면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더라도 아이스뱅크(181)가 설치공간(151S)에서 탈거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뱅크(181)의 후면 상단은 상기 걸림리브(153c)에 인접되 게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뱅크(181)가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기 설치공간(151S)의 전면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더라도 아이스뱅크(181)의 후면 상단이 상기 걸림리브(153c)에 걸림으로써 상기 아이스뱅크(181)가 설치공간(151S)에서 임의로 탈거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아이스뱅크(181)에는 투시창(187)이 구비된다. 상기 아이스뱅크(181)의 투시창(187)은 상기 제빙기커버(171)의 투시창(177)과 동일하게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기커버(171)의 투시창(187)을 통하여 사용자가 상기 저장공간(181S)에 저장된 얼음의 양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제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제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냉기의 유동과정 및 얼음의 이송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챔버(124)에 구비되는 증발기에서 열교환된 냉기는 송풍팬이 구동하면, 냉기토출구(123a)(123b)를 통하여 냉동실(121)의 내부로 토출된다. 그리도 상기 냉기토출구(123a)(123b) 중 어느 하나의 냉기토출구(123a)를 통하여 토출되는 냉기는 냉기입구(143)를 통하여 냉기덕트(141)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냉기덕트(141)의 내부로 유입되는 냉기의 일부는 보조냉기출구(145)를 통하여 상기 냉동실(121)의 내부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덕트(141)의 내부로 유입되는 나머지 냉기는 냉기출구(144)를 통하여 냉기유입구(175) 를 통하여 제빙기커버(171)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빙기(161)로 공급된다.
그런데 상기 냉동실(121)이 냉동실도어(131)에 의하여 차폐된 상태에서, 상기 냉기덕트(141)와 제빙기커버(171)는 서로 형합된다. 따라서 상기 냉기출구(144)를 통하여 상기 냉기유입구(175)로 유입되는 냉기가 외부, 즉 상기 냉동실(121)의 내부로 유출되는 현상이 최소화된다. 또한 상기 냉기유입구(175)를 통하여 상기 제빙기(161)로 공급되는 냉기는 블레이드(176)에 의하여 최단경로로 안내된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176)에 의하여 냉기가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제빙기(161)에 공급될 수 있도록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176)에 의하여 안내되는 냉기의 일부는 냉기가이드(153a)에 의하여 설치공간(151S)의 전면과 제빙기(161)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유동하여 상기 제빙기(161)에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냉기유입구(175)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제빙기(161)의 일측으로도 냉기가 원활하게 공급된다.
한편 상기 제빙기(161)에서 제조된 얼음은 아이스뱅크(181)의 저장공간(181S)에 저장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디스펜서(131a)를 통하여 외부로 취출된다. 이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얼음은 소정의 크기로 분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제빙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제빙기가 냉동실도어의 이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냉장고의 저장공간, 특히 냉동실의 저장용량이 저하되는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보다 많은 식품의 냉동실에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상기 제빙기가 제빙기커버에 의하여 차폐된 상태에서, 냉동실에 공급되는 냉기의 일부가 냉기덕트에 의하여 공급되어 얼음이 제조된다. 따라서 상기 제빙기에서 얼음이 제조되는 과정에서 냉동실에 저장된 다른 식품의 냄새가 배는 현상이 최소화됨으로써, 보다 위생적으로 얼음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빙기에 의하여 제조된 얼음을 저장하여 디스펜서로 전달하는 아이스뱅크도 냉동실도어의 이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뱅크에 얼음이 저장된 상태에서 얼음에 음식물의 냄새가 배는 현상도 최소화되는 동시에 상기 디스펜서를 통한 얼음의 공급에 소요되는 시간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냉장고의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의 이면에 설치되고,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와;
    상기 도어의 이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빙기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빙기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빙기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제빙기에 공급되는 냉기가 유입되는 냉기유입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커버의 양측면 외측에는 하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도어의 이면 양측단부에서 후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단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유입구에는 상기 제빙기로 공급되는 냉기를 안내하기 위한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냉기를 상기 제빙기를 향하여 최단경로로 안내할 수 있도록 연직방향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중 상기 제빙기에 가장 인접되게 위치되는 어느 하나는 연직방향축에 대하여 45°의 경사각을 가지고,
    상기 블레이드 중 상기 제빙기에서 가장 이격되게 위치되는 다른 하나는 연직방향축에 대하여 70°의 경사각을 가지며,
    상기 블레이드의 나머지는 상기 제빙기에서 이격될수록 점차적으로 연직방향축에 대하여 45°에서 70˚ 사이에서 증가되는 경사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이면에 인접하는 상기 제빙기커버의 후면 하단에는 도어의 이면에 탄성체결되는 체결후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의 천장에 전후방으로 길게 구비되고, 상기 저장공간으로 공급되는 냉기의 일부를 상기 냉기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제빙기에 공급하는 냉기덕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덕트는 상기 저장공간의 전단에 인접하는 그 선단부에서 저장공간의 후단에 인접하는 그 후단부를 향하여 소정의 경사만큼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빙기커버의 상면은 상기 냉기덕트에 형합되게 상기 도어의 이면에 인접하는 그 후단부에서 선단부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도어가 상기 저장공간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냉기덕트와 제빙기커버가 인접되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10.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의 이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빙기에서 제조된 얼음을 저장하여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펜서로 전달하는 아이스뱅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20060026661A 2006-03-23 2006-03-23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0819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661A KR100819515B1 (ko) 2006-03-23 2006-03-23 냉장고용 제빙장치
EP07715769.1A EP2005083A4 (en) 2006-03-23 2007-03-23 EATING DEVICE FOR REFRIGERATOR
EP16191907.1A EP3147596B1 (en) 2006-03-23 2007-03-23 Refrigerator with an ice-making device
PCT/KR2007/001420 WO2007108662A1 (en) 2006-03-23 2007-03-23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US12/160,753 US8234880B2 (en) 2006-03-23 2007-03-23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EP16191909.7A EP3150944B1 (en) 2006-03-23 2007-03-23 A refrigerator having an ice-making device
CA2636046A CA2636046C (en) 2006-03-23 2007-03-23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EP19169782.0A EP3546857B1 (en) 2006-03-23 2007-03-23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RU2008142109/12A RU2404394C2 (ru) 2006-03-23 2007-03-23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льда для холодильника
ES18164955T ES2753272T3 (es) 2006-03-23 2007-03-23 Dispositivo de fabricación de hielo para frigorífico
CN2007800044258A CN101379352B (zh) 2006-03-23 2007-03-23 冷冻机的制冰设备
CN201110066159XA CN102155838B (zh) 2006-03-23 2007-03-23 冰箱
BRPI0707200-7A BRPI0707200B1 (pt) 2006-03-23 2007-03-23 Dispositivo de fabricação de gelo para refrigerador
ES16191907.1T ES2693597T3 (es) 2006-03-23 2007-03-23 Frigorífico con un dispositivo de fabricación de hielo
AU2007227891A AU2007227891B2 (en) 2006-03-23 2007-03-23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EP15151507.9A EP2896915B1 (en) 2006-03-23 2007-03-23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EP19159462.1A EP3521734B1 (en) 2006-03-23 2007-03-23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ES15151507.9T ES2659051T3 (es) 2006-03-23 2007-03-23 Dispositivo de fabricación de hielo para refrigerador
EP18164955.9A EP3372924B1 (en) 2006-03-23 2007-03-23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IL194173A IL194173A (en) 2006-03-23 2008-09-17 Install refrigerator for ice
AU2010224296A AU2010224296B2 (en) 2006-03-23 2010-09-17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AU2010224295A AU2010224295B2 (en) 2006-03-23 2010-09-17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AU2010224297A AU2010224297B2 (en) 2006-03-23 2010-09-17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AU2010224299A AU2010224299B2 (en) 2006-03-23 2010-09-17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AU2010224298A AU2010224298B2 (en) 2006-03-23 2010-09-17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US13/209,180 US8359878B2 (en) 2006-03-23 2011-08-12 Method of assembling a refrigerator
US13/209,173 US8375739B2 (en) 2006-03-23 2011-08-12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US13/741,000 US8667809B2 (en) 2006-03-23 2013-01-14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US14/094,500 US9228769B2 (en) 2006-03-23 2013-12-02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661A KR100819515B1 (ko) 2006-03-23 2006-03-23 냉장고용 제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375A KR20070096375A (ko) 2007-10-02
KR100819515B1 true KR100819515B1 (ko) 2008-04-07

Family

ID=38803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661A KR100819515B1 (ko) 2006-03-23 2006-03-23 냉장고용 제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95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59051T3 (es) 2006-03-23 2018-03-13 Lg Electronics Inc. Dispositivo de fabricación de hielo para refrigerador
CN101818977B (zh) 2006-04-18 2012-11-07 Lg电子株式会社 冷冻机的制冰设备
KR101580689B1 (ko) * 2008-12-10 2015-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252907B1 (ko) * 2010-06-25 2013-04-0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용 트레이
KR102496329B1 (ko) * 2018-03-30 2023-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7558A (ko) * 2004-01-28 2005-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의 제빙용 냉기 유로 구조
KR20050094674A (ko) * 2004-03-24 2005-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
KR20050106245A (ko) * 2004-05-04 2005-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에서 제빙기 커버 개폐장치
KR100539562B1 (ko) 2004-04-13 200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실의 도어구조
US20060086130A1 (en) 2004-10-26 2006-04-27 Anselmino Jeffery J Ice and water dispenser on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7558A (ko) * 2004-01-28 2005-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의 제빙용 냉기 유로 구조
KR20050094674A (ko) * 2004-03-24 2005-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
KR100539562B1 (ko) 2004-04-13 200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실의 도어구조
KR20050106245A (ko) * 2004-05-04 2005-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에서 제빙기 커버 개폐장치
US20060086130A1 (en) 2004-10-26 2006-04-27 Anselmino Jeffery J Ice and water dispenser on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375A (ko) 2007-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973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EP3521734B1 (en)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EP3153798B1 (en)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20070096374A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0819515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0790545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0953972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0766118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1192340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