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878U - Hoistway structure of elevator - Google Patents

Hoistway structure of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878U
KR20080004878U KR2020070006525U KR20070006525U KR20080004878U KR 20080004878 U KR20080004878 U KR 20080004878U KR 2020070006525 U KR2020070006525 U KR 2020070006525U KR 20070006525 U KR20070006525 U KR 20070006525U KR 20080004878 U KR20080004878 U KR 200800048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passenger
hoistway
frame
elevator c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52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정일
Original Assignee
최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일 filed Critical 최정일
Priority to KR20200700065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4878U/en
Publication of KR200800048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878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66B5/282Structur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Abstract

본 고안은 승객 또는 화물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상하 이동되기 위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승강로의 바닥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낙하할 때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완충장치의 상부 영역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탑승장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개방된 탑승구를 통해 승객이 추락할 때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망 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hoistway structure for moving an elevator cage for moving passengers or cargo up and down, the bottom of the hoistway is provided with a shock absorber for absorbing shock when the elevator cage falls, the upper portion of the shock absorber The area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afety net unit is installed to protect the passenger when the passenger falls through the open gate without the elevator cage reaches the boarding gate.

이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탑승장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승객이 승강로에 추락하는 경우, 승객의 부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Thereby, when a passenger falls to the hoistway in the state in which the elevator cage does not reach the boarding point, it can prevent the injury of a passenger as much as possible.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구조{HOISTWAY STRUCTURE OF ELEVATOR}Elevator structure of elevator {HOISTWAY STRUCTURE OF ELEVATOR}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istway structur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안전망 유닛이 승강로의 내벽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afety net unit of FIG. 1 is mounted on an inner wall of a hoistway;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구조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3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lift path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 : 엘리베이터 케이지 15 : 승강로10: elevator cage 15: hoistway

20 : 구동모터 23 : 탑승구 20: drive motor 23: boarding gate

30 : 완충장치 50, 250 : 안전망 유닛 30: shock absorber 50, 250: safety net unit

51 : 프레임 52 : 그물망 51: frame 52: the net

55 : 후크 65 : 걸림편 55: hook 65: hook

255 : 결합 브래킷 265 : 지지 브래킷255: coupling bracket 265: support bracke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탑승장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승객이 탑승구를 통해 추락할 때 승객의 부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hoist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vator hoist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injuries of passengers as much as possible when a passenger falls through the gate without the elevator cage reaching the boarding gate. .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승객 또는 화물을 신속히 이송시켜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기 위한 운송 수단의 일종으로서, 승객 또는 화물(이하, 설명의 편의상 승객이라고 칭함)을 이동시키기 위한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포함한다.In general, an elevator is a kind of transportation means for quickly transferring a passenger or cargo to further improve convenience, and includes an elevator cage for moving a passenger or cargo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asseng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이러한 엘리베이터 케이지는 건축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에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각 층의 탑승장에 있는 승객은 도어가 열리면 그 층에 도달된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탑승한 후, 원하는 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Such an elevator cage is installed to be lifted or lowered in a hoistway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inside a building. Accordingly, the passengers in the boarding floor of each floor may move to a desired floor after boarding the elevator cage reaching the floor when the door is opened.

한편, 승강로의 바닥에는 완충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각종 안전사고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낙하하는 경우 충격이 흡수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파손되거나 승객이 부상당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ottom of the hoistway is provided with a shock absorber, the impact is absorbed when the elevator cage falls due to various safety accident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amage to the elevator cage or passengers.

그런데, 엘리베이터의 오작동 등의 원인으로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정지되어야 할 탑승장에 도달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도어가 열려 승객이 승강로로 발을 내딛는 경우, 승객을 보호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승객이 완충장치에 부딪히거나 승강로의 바닥으로 떨어지는 경우를 대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even if the elevator cage has not reached the boarding point where the elevator cage is to be stopped due to malfunction of the elevator, when the passengers step out into the hoistway, there is no separate device for protecting passengers. There was a problem that cannot be prepared in case of hitting the shock absorber or falling to the bottom of the hoistway.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탑승장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승객이 승강로에 추락하는 경우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hoistway structure that can promote the safety of passengers when a passenger falls on the hoistway without the elevator cage reaching the boarding point.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승객 또는 화물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상하 이동되기 위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바닥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낙하할 때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완충장치의 상부 영역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탑승장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개방된 탑승구를 통해 승객이 추락할 때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망 유닛이 설치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or cage structure for moving the elevator cage for moving passengers or cargo up and down, the bottom of the elevator is provided with a shock absorber for absorbing shock when the elevator cage falls, The upper region of the shock absorber is achieved by the installation of a safety net unit to protect the passenger when the passenger falls through the open gate without the elevator cage reaching the boarding point.

여기서, 상기 안전망 유닛은 외곽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승객이 추락할 때 상기 완충장치에 닿지 않을 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그물망과, 상기 프레임의 둘레에 마련되어 승강로의 내벽에 설치된 걸림편에 걸리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afety net unit is a frame that forms the outer periphery, the net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frame is elastic enough to not touch the shock absorber when the passenger falls, and provided around the frame on the inner wall of the hoistway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hook which catches on the engaging piece provided.

상기 안전망 유닛은 외곽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승객이 추락할 때 상기 완충장치에 닿지 않을 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그물망과, 상기 프레임의 둘레에 마련되어 승강로의 내벽에 설치된 지지 브래킷과 볼트로 고정되는 결합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afety net unit includes a frame forming an outer periphery, a net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frame, the net having elasticity such that it does not touch the shock absorber when the passenger falls, and a support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istway provided around the fram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joining bracket which is fixed with a bracket and a bolt.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subject innovation.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 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in the various embodiments,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representatively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other embodiments, only the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Shall be.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안전망 유닛이 승강로의 내벽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는 건물 내에 마련된 승강로(15)에 설치되며, 승객을 이동시키기 위한 엘리베이터 케이지(10)와, 엘리베이터 케이지(1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levator structur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afety net unit of Figure 1 is mounted on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elevator is installed in the hoistway 15 provided in the building, and includes an elevator cage 10 for moving passengers and a driving device for raising or lowering the elevator cage 10. .

엘리베이터 케이지(10)는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상승 또는 하강됨으로써, 각 층의 탑승장(24)에 맞추어 정지될 수 있다. 그 후, 각 탑승장(24)에 설치된 도어(5)가 열리면, 승객이 엘리베이터 케이지(10) 내에 탑승하여 원하는 층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이동될 수 있다. The elevator cage 10 may be driven by the driving device to be raised or lowered to be stopped in accordance with the boarding point 24 of each floor. Then, when the doors 5 installed in each boarding point 24 are opened, the passengers can be moved in the elevator cage 10 by pressing a button of the desired floor.

여기서, 엘리베이터 케이지(10)의 양측부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10)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프레임(17)이 설치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케이지(10)의 하부면에는 가로 방향으로 베이스(27)가 용접 설치되어 있다. Here, the reinforcement frame 17 for reinforcing the elevator cage 1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levator cage 10, and the base 27 is wel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levator cage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ave.

구동장치는 구동모터(20)와, 일단이 엘리베이터 케이지(10)에 결합되고 타단이 밸런스 웨이트(25)에 결합된 로프(18)와, 로프(18)의 일부가 감겨 엘리베이터 케이지(10)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20)에 결합된 제1 풀리(21)와, 구동모터(2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밸런스 웨이트(25)의 위치를 잡아 주며 로프(18)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풀리(22)로 구성된다. The drive device includes a drive motor 20, a rope 18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elevator cage 10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balance weight 25, and a portion of the rope 18 wound to the elevator cage 10. The first pulley 21 coupled to the drive motor 20 that provides power to move up or down and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rive motor 20 to hold the balance weight 25 and to hold the rope It consists of the 2nd pulley 22 which guides the movement of 18. As shown in FIG.

승강로(15)의 바닥(14)에는 완충장치(30)가 마련되는데, 이 완충장치(30)는 각종 안전사고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케이지(10)가 낙하하는 경우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엘리베이터 케이지(10)가 파손되거나 승객이 부상당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 shock absorber 30 is provided on the bottom 14 of the hoistway 15. The shock absorber 30 serves to absorb shock when the elevator cage 10 falls due to various safety accidents. Thu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levator cage 10 can be minimized to damage or injured passengers.

한편, 완충장치(30)의 상부 영역에는 탑승구(23)를 통해 승객이 추락할 때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망 유닛(50)이 설치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upper region of the shock absorber 30 is provided with a safety net unit 50 for protecting the passenger when the passenger falls through the boarding gate (23).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주요 특징 중의 하나는 승객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망 유닛(50)이 설치된 점에 있다. 이러한 안전망 유닛(50)은 엘리베이터의 오작동 등의 원인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케이지(10)가 탑승장(24)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5)가 열리는 경우와 같은 상황에서 매우 유용하다. 즉 승객이 엘리베이터 케이지(10)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한 채 탑승하는 경우 승강로(15)로 추락하게 되는데, 이 때 안전망 유닛(50)에 의해 승객이 승강로(15)의 바닥(14)에 떨어지지 않게 되므로 승객의 안전을 최대한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안전망 유닛(50)이 완충장치(30)의 상부에 설치됨으로써, 승객이 승강로(15)로 떨어졌을 때 완충장치(30)에도 부딪히지 않기 때문에 완충장치(30)에 의해 부상을 당하는 경우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As such, one of the main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safety net unit 50 is installed to protect the safety of the passenger. Such a safety net unit 50 is very useful in situations such as when the door 5 is opened in a state in which the elevator cage 10 does not reach the boarding point 24 due to a malfunction of the elevator. That is, when a passenger boards without knowing the location of the elevator cage 10, the passenger will fall to the hoistway 15. At this time, the safety net unit 50 prevents the passenger from falling on the floor 14 of the hoistway 15.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maximize the safety of the passengers. In particular, since the safety net unit 5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hock absorber 30, it does not hit the shock absorber 30 when the passenger falls into the hoistway 15. To prevent it.

안전망 유닛(50)의 구성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면, 안전망 유닛(50)은 외곽을 형성하는 프레임(51)과, 프레임(51)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승객을 받쳐주는 그물망(52)과, 프레임(51)의 둘레에 마련되어 승강로(15)의 내벽(13)에 걸림 유지 및 걸림 해제되는 후크(55)로 구성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safety net unit 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he safety net unit 50 has a frame 51 forming an outline and a mesh net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frame 51 to support a passenger. 52 and a hook 55 provided around the frame 51 and held and released by the inner wall 13 of the hoistway 15.

프레임(51)은 일반적으로 내구성이 뛰어난 철재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여 기서, 프레임(51)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The frame 51 is generally made of steel having excellent durability. Here, of course, the material of the frame 51 is not limited thereto.

그물망(52)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 때 그물망(52)의 탄성력은 승객이 추락할 때 완충장치(30)에 부딪히지 않도록 완충장치(30)에 닿지 않을 정도인 것이 좋다.The mesh 52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o absorb shocks, wherein the elastic force of the mesh 52 does not touch the shock absorber 30 so as not to hit the shock absorber 30 when the passenger falls. It is good to be.

후크(55)는 프레임(51)의 둘레에 복수개 마련되어 프레임(51)을 승강로(15)의 내벽(13)에 설치된 걸림편(65)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후크(55)와 후크(55)와 대응되는 걸림편(65)이 각각 4개로 마련되어 있으나, 승강로(15)의 크기에 따라 이보다 적게 혹은 많게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A plurality of hooks 55 are provided around the frame 51 to couple the frame 51 to the engaging pieces 65 provided on the inner wall 13 of the hoistway 15, respectively. Here, although the hook 55 and the hook piece 65 corresponding to the hook 55 is provided in four,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hoistway 15 may be configured to be less or more than this.

여기서, 안전망 유닛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3과 같이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제2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구조에서의 안전망 유닛(250)은 제1 실시예에서의 안전망 유닛(50)의 후크(55) 대신 결합 브래킷(255)을 사용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안전망 유닛(250)은 외곽을 형성하는 프레임(51)과, 프레임(51)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승객을 받쳐주는 그물망(52)과, 프레임(51)의 둘레에 마련되어 승강로(15)의 내벽(13)에 볼트(257)로 고정되는 결합 브래킷(255)으로 구성된다. Here, the safety net un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as shown in FIG. 3. That is, the safety net unit 250 in the elevator structur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different in that the coupling bracket 255 is used instead of the hook 55 of the safety net unit 50 in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the safety net unit 250 is provided with a frame 51 forming an outer periphery, a mesh net 52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frame 51 to support the passenger, and a lifting path 15 provided around the frame 51. It consists of a coupling bracket 255 fixed to the inner wall 13 of the bolt 257.

여기서, 그물망(52)은 제1 실시예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 때 그물망(52)의 탄성력은 승객이 추락할 때 완충장치(30)에 부딪히지 않도록 완충장치(30)에 닿지 않을 정도인 것이 좋다. Here, the mesh 52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s in the first embodiment to absorb shocks, wherein the elastic force of the mesh 52 is cushioned so as not to hit the shock absorber 30 when the passenger falls It is preferred that the device 30 is not in contact with the device 30.

결합 브래킷(255)은 프레임(51)의 둘레에 복수개 마련되며, 일측은 프레임(51)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타측은 승강로(15)의 내벽(13)에 설치된 지지 브래 킷(265)과 볼트(257)로 견고히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 브래킷(255)이 지지 브래킷(265)과 볼트(257)로 결합됨으로써 제1 실시예에서의 후크(55)와 걸림편(65) 간의 결합에 비해 결합력이 좋으므로, 충격 등에 의해 프레임(51)이 승강로(15)의 내벽(13)에서 걸림 해제되는 것이 최대한 방지되어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 브래킷(255)과 결합 브래킷(255)과 대응되는 지지 브래킷(265)이 각각 4개로 마련되어 있으나, 승강로(15)의 크기에 따라 이보다 적게 혹은 많게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A plurality of coupling brackets 255 are provided around the frame 51, one side of the coupling bracket 255 is coupled to surround the frame 51, and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bracket 255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13 of the hoistway 15. 257).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upling bracket 255 is coupled with the support bracket 265 and the bolt 257, the coupling force is better than the coupling between the hook 55 and the engaging piece 65 in the first embodiment, Release of the frame 51 from the inner wall 13 of the hoistway 15 can be prevented as much as possible, thereby ensuring the safety of the passengers. Here, although four coupling brackets 255 and support brackets 265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brackets 255 are provided in four,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hoistway 15 may be less or more than this.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승객이 엘리베이터 케이지(10)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한 채 탑승하는 경우 승강로(15)로 추락하게 되는데, 이 때 안전망 유닛(50, 250)에 의해 승객이 부상당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By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passenger boards without knowing the position of the elevator cage 10, the fall down to the hoistway 15, in which case the passenger can be minimized from being injured by the safety net units 50 and 250. have.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는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탑승장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승객이 승강로에 추락하는 경우, 승객의 부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구조가 제공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where the passenger falls on the hoistway without the elevator cage reaching the boarding point, the hoistway structure of the elevator which can prevent the injury of the passenger to the maximum is provided.

한편,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케이지 및 구동장치 등을 설치하기 위해 승강로에서 작업을 하다가 추락하는 경우, 안전망 유닛에 의해 보호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a worker falls down while working in a hoistway to install an elevator cage, a driving device, or the like, the worker may be protected by a safety net unit to promote worker safety.

Claims (3)

승객 또는 화물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상하 이동되기 위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구조에 있어서,The elevator cage structure for moving the passenger cage or cargo to move up and down, 상기 승강로의 바닥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낙하할 때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장치가 마련되고,The bottom of the hoistway is provided with a shock absorber for absorbing shock when the elevator cage falls, 상기 완충장치의 상부 영역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탑승장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개방된 탑승구를 통해 승객이 추락할 때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망 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구조.An elevator hoist structure in the upper region of the shock absorber is provided with a safety net unit for protecting the passenger when the passenger falls through the open gate without the elevator cage reaching the boarding g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안전망 유닛은 외곽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승객이 추락할 때 상기 완충장치에 닿지 않을 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그물망과, 상기 프레임의 둘레에 마련되어 승강로의 내벽에 설치된 걸림편에 걸리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구조.The safety net unit has a frame forming an outer periphery, a net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frame and elastic enough to not reach the shock absorber when the passenger falls, and a hook provided around the frame and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istway An elevator hoisting structure comprising a hook caught on a sid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안전망 유닛은 외곽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승객이 추락할 때 상기 완충장치에 닿지 않을 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그물망과, 상기 프레임의 둘레에 마련되어 승강로의 내벽에 설치된 지지 브래킷과 볼트 로 고정되는 결합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구조.The safety net unit includes a frame forming an outer periphery, a net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frame, the net having elasticity such that it does not touch the shock absorber when the passenger falls, and a support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istway provided around the frame. An elevator hoisting structure comprising a joining bracket fixed to the bracket and the bolt.
KR2020070006525U 2007-04-20 2007-04-20 Hoistway structure of elevator KR20080004878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525U KR20080004878U (en) 2007-04-20 2007-04-20 Hoistway structure of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525U KR20080004878U (en) 2007-04-20 2007-04-20 Hoistway structure of elev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878U true KR20080004878U (en) 2008-10-23

Family

ID=41502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525U KR20080004878U (en) 2007-04-20 2007-04-20 Hoistway structure of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4878U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0055A (en) * 2011-01-20 2011-05-25 苏州中远电梯有限公司 Elevator shaft protecting device
CN103738806A (en) * 2013-12-26 2014-04-23 徐建新 Lift shaft people falling protection system
CN107010508A (en) * 2017-05-26 2017-08-04 衢州市依科达节能技术有限公司 A kind of aqueous vapor buffers elevator
KR101944311B1 (en) 2018-10-01 2019-01-31 유종길 a fall-prevention system for an elevator hoist way
KR101944307B1 (en) 2018-10-01 2019-01-31 유종길 a fall-prevention system for an elevator hoist way
KR102274344B1 (en) 2021-04-09 2021-07-08 이철선 Fall safety system for elevator hole
KR102274341B1 (en) 2021-04-09 2021-07-08 이철선 Blocking device of elevator hol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0055A (en) * 2011-01-20 2011-05-25 苏州中远电梯有限公司 Elevator shaft protecting device
CN103738806A (en) * 2013-12-26 2014-04-23 徐建新 Lift shaft people falling protection system
CN107010508A (en) * 2017-05-26 2017-08-04 衢州市依科达节能技术有限公司 A kind of aqueous vapor buffers elevator
CN107010508B (en) * 2017-05-26 2022-11-25 上海峻腾建设工程有限公司 Water-air buffering elevator shaft
KR101944311B1 (en) 2018-10-01 2019-01-31 유종길 a fall-prevention system for an elevator hoist way
KR101944307B1 (en) 2018-10-01 2019-01-31 유종길 a fall-prevention system for an elevator hoist way
KR102274344B1 (en) 2021-04-09 2021-07-08 이철선 Fall safety system for elevator hole
KR102274341B1 (en) 2021-04-09 2021-07-08 이철선 Blocking device of elevator ho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4878U (en) Hoistway structure of elevator
JP4742591B2 (en) Elevator terminal safety device
KR101747682B1 (en) Safety-enhanced elevator
CA2894485A1 (en) Installation method for a lift
WO2006024173A1 (en) Elevator pit safety device
KR101760019B1 (en) Tower parking lot&#39;s lower driven parking device
KR20110114190A (en) An apparatus for falling prevent of elevator
JP5767573B2 (en) Elevator maintenance equipment
KR101933198B1 (en) Cushion System for Elevator Crash
KR100394505B1 (en) Elevator unit
JP2006264809A (en) Apron device for elevator
CN111547604B (en) Elevator device
KR101345143B1 (en) Safety Deck for Construction and Method Thereof
JP4107863B2 (en) Elevator equipment
JP6586490B2 (en) Mobile lifting scaffolds with load lifting devices, construction methods using them, and installation methods thereof
JP4376585B2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device
JP2005500962A (en) Safety device used to maintain the elevator system on the elevator car
KR100646813B1 (en) System preventing elevators for use in construction site from falling
JP4406273B2 (en) Elevator work protection device
JP2011153012A (en) Elevator pit apparatus
KR100533583B1 (en) System preventing elevators for use in construction site from falling
CN207226722U (en) A kind of elevator with protective device
JP5401609B2 (en) Elevator equipment
JP6174436B2 (en) High-rise building demolished material transfer method and transfer equipment
CN215048343U (en) Hois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