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4190A - Fall prevention device of elevator - Google Patents
Fall prevention device of elev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14190A KR20110114190A KR1020100033689A KR20100033689A KR20110114190A KR 20110114190 A KR20110114190 A KR 20110114190A KR 1020100033689 A KR1020100033689 A KR 1020100033689A KR 20100033689 A KR20100033689 A KR 20100033689A KR 20110114190 A KR20110114190 A KR 201101141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vator
- safety net
- rope
- fall prevention
- elevator c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2368 Device malfun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5 constru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33 trauma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승강카의 위쪽 및 아래쪽으로 층고에 해당되는 간격으로 안전망이 겹쳐지거나 펼쳐지도록 설치하여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승강기의 추락방지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 장치는 승강카의 상부면상에서부터 승강통로의 천장까지 다단으로 연속해서 망체로된 안전망이 로프에 의해 설치되는 상부안전망과, 승강카의 하부면상에서부터 승강통로의 바닥면까지 다단으로 연속해서 망체로된 안전망이 로프에 의해 설치되는 하부안전망을 포함한다. 이때, 안전망들은 층고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항상 안전망이 층과 층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Disclosed is a fall prevention apparatus of an elevator that can be installed so that safety nets overlap or unfold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a height above and below a car. Fall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stage up to the bottom of the elevator path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car and a safety net made of a mesh is continuously installed by the rope in multiple stag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car to the ceiling of the elevator path. As a safety net consisting of a continuous mesh includes a lower safety net installed by the rope. In this case, the safety nets may be spaced apart at the same interval as the floor height so that the safety net is always located between floors.
Description
본 발명은 승강기의 추락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기가 오작동으로 인해 승강카가 없는 상태에서 문이 열려 무의식중에 사용자가 진입하였을때에나, 내부 작업중에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eventing a fall of an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that can prevent a fall when a user enters unconsciously and opens a door without an elevator car due to a malfunction of the elevator. will be.
일반적으로, 승강기는 고층 건물에 설치되어 사람이나 물건을 위층이나 아래층으로 운반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Generally, elevators are installed in high-rise buildings and used as a means of transporting people or objects upstairs or downstairs.
이러한 승강기는 자동 제어에 의해 사용자가 승강카를 위나 아래로 이동시켜 문이 열리면 승강카를 타고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Such a lifter moves the elevator car up or down by automatic control, and when the door is opened, the elevator car is moved to a desired position.
그러나 이러한 승강기는 간혹 오작동에 의해 승강카가 없는 경우에도 문이 열리게 되어 사용자가 무의식중에 승강기 내부로 진입하여 아래로 추락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되어 인명피해를 입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such elevators sometimes have doors open even when there is no elevator car due to a malfunction, and the user frequently enters the elevator unconsciously and falls down frequently, causing injury.
또는, 승강기 내부에서 보수작업이나 검사작업을 수행하던 중에 발을 헛디뎌 작업자가 아래로 추락하는 경우도 발생된다.Alternatively, the operator may fall down while stepping on the foot while performing maintenance or inspection work inside the elevato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승강카의 위쪽 및 아래쪽으로 층고에 해당되는 간격으로 안전망이 겹쳐지거나 펼쳐지도록 설치하여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승강기의 추락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rovided to prevent the fall accident by installing a safety net overlap or spread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elevator car up and down to provide a fall prevention device of the elevator. It is.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승강통로에 설치된 가대를 따라 상,하 왕복운동을 하는 승강카의 상부쪽 및 하부쪽에 설치되는 추락방지 장치에 있어서,In the fall prevention device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hoisting car that performs up and down reciprocating movement along the mount installed in the hoistway,
승강카의 상부면상에서부터 승강통로의 천장까지 다단으로 연속해서 망체로된 안전망이 로프에 의해 설치되는 상부안전망과, 승강카의 하부면상에서부터 승강통로의 바닥면까지 다단으로 연속해서 망체로된 안전망이 로프에 의해 설치되는 하부안전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추락방지 장치를 제공한다.The upper safety net is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car to the ceiling of the elevating passageway, and the upper safety net is installed by ropes, and the safety net is made of multiple net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elevator c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ing passageway. It provides a fall prevention device of the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wer safety net installed by the rope.
이때, 안전망들은 층고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afety nets are spaced apart at the same interval as the floor height.
또한, 로프는 승강카의 상부면상 및 하부면상 네 꼭지점에서 일단이 고정되고, 각각의 타단은 안전망들의 네 꼭지점 부근을 통과하여 승강통로의 천장 및 바닥면에 고정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rope is fixed at four vertices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isting car, and the other end passes through the four vertices of the safety nets and is fixed to the ceiling and the bottom of the hoistway.
그리고 안전망은 망체와 이 망체의 외곽을 감싸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프레임에는 로프가 통과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로프에는 안전망이 수평하게 받쳐지도록 받침수단이 형성되며, 프레임의 양측면상에는 가대를 따라 이동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safety net is composed of the net body and the frame surrounding the outer mesh, the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frame to pass the rope, the support means is formed in the rope so that the safety net is supported horizontally on the rope, on both sides of the frame to be moved along the mount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groove is forme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추락방지장치는 승강기의 아래쪽 및 위쪽으로 안전망이 다단으로 설치됨으로써, 어느 층에서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all prevention devic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n any floor by installing safety nets in multiple stages below and above the elevator.
또한, 안전망은 승강기가 올라갈때에 위쪽 안전망은 층층이 겹쳐지면서 아래쪽은 층층이 펼쳐고, 반대로 승강기가 내려갈때에 위쪽은 층층이 펼쳐지면서 아래쪽은 층층이 겹쳐져 승강기가 어떤 위치에 있건 각 층별로 안전망이 펼쳐지게 된다.In addition, the safety net when the elevator goes up, the upper safety net is layered and the bottom spreads out, while the lower part is spreading when the elevator goes down, the lower part is overlapped, and the lower part is layered so that the safety net is unfolded in each flo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추락방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추락방지 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승강카가 올라갈때의 추락방지 장치가 작용되는 모습이며, 그리고
도 4는 승강카가 내려갈때의 추락방지 장치가 작용되는 모습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all prevention devic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fall prevention device shown in FIG.
3 is a state that the fall prevention device when the lift car is acting, and
4 is a state in which the fall prevention device when the elevator car descend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추락방지 장치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fall prevention apparatus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 추락방지 장치가 설치될 승강기의 일반적인 구조를 살펴본다.First, look at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elevator to be installed the fall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승강기는 승강카(10)가 상하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승강통로(20)가 형성되고, 이 승강통로(20)내에는 승강카(10)가 수직하게 오르락 내리락 할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가대(30)가 수직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승강카(10)에는 그 양측면이 가대(30)를 타고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11)가 형성되며, 승강카(10)의 상부면상에는 승강카(10)의 상하 이동에 따라 반대로 이동되는 무게추(40)와 연결되는 케이블(50)이 고정된다.1 and 2, the elevator has a lifting passage 20 is formed so that the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 장치(100)는 상기와 같이 형성된 승강기의 승강카(10) 상부면상과 하부면상에 형성된다.The
본 발명 추락방지 장치(100)는 승강카(10)의 상부면상에서부터 승강통로(20)의 천장까지 연속해서 설치되는 상부안전망(110a)과, 승강카(10)의 하부면상에서부터 승강통로(20)의 바닥면까지 연속해서 설치되는 하부안전망(110b)으로 구성된다.The
상부안전망(110a) 및 하부안전망(110b)은 승강카(10)의 상부면상과 하부면상에서 일단이 고정되어 승강통로(20)의 천장과 바닥면으로 타단이 연장되는 로프(111)와, 이 로프(111)의 중간중간에 다단으로 결합되는 안전망(120)으로 구성된다.The upper safety net (110a) and the lower safety net (110b) is fixed on one en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로프(111)는 승강카(10)의 상부면상 및 하부면상 네군데 꼭지점에 고정되어 각각의 안전망(120)의 네군데 꼭지점 부위를 통과하게 결합된다.The
이때, 안전망(120)은 그 상부측과 하부측의 간격이 건물의 층고와 동일하게 설정하여 안전망(120)이 항상 층과 층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안전망(120)이 로프(111)로부터 고정되기 위하여 로프(111)에는 매듭이나 고정추로된 받침수단(115)이 형성되어 이 받침수단(115)의 위쪽에 안전망(120)이 받쳐져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for the
한편, 안전망(120)은 승강카(10)와 비슷한 사각판 형상의 망체(121)와, 이 망체(121)의 외곽에 망체(121)를 지지하는 프레임(122)으로 구성된다. 망체(121)는 사람이 추락하였을때에 이를 받는 역할을 하게 되고, 프레임(122)은 망체(121)를 지지하거나 안전망(120)이 수직하게 펼쳐지거나 겹쳐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안전망(120)의 프레임(122)에는 네 꼭지점 부근에 로프(111)가 통과되도록 관통공(1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안전망(120)의 프레임(122)에는 가대(30)가 끼워져 안전망(120)이 수직하게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124)이 형성된다.Therefore, the
또한, 승강카(10)의 뒤쪽에는 무게추(40)가 움직이기 위해 빈공간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망(120)은 승강카(10)의 앞뒤 폭길이 보다 좀더 크게 제작하여 무게추(40)가 있는 공간쪽으로 좀더 들어가도록 하여 추락방지 공간을 넓힐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이와 같이 형성된 승강기의 추락방지 장치(10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승강카(10)가 하강할때에는 승강카(10) 아래쪽의 하부안전망(110b)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서로 겹쳐지게 되고, 승강카(10) 위쪽의 상부안전망(110a)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층층이 펼쳐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그리고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승강카(10)가 승강할때에는 승강카(10) 아래쪽의 하부안전망(110b)은 승강카(10)가 끌고 올라가므로 층층이 펼쳐지게 되고, 승강카(10) 위쪽의 상부안전망(110a)은 승강카(10)가 밑에서 받쳐주므로 서로 겹쳐지게 된다.And as shown in Figure 4 when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 장치(100)는 승강카(10)가 어떠한 위치에 있건, 안전망(120)이 각 층별로 설치되어 있어 승강기가 오작동으로 인해 승강카(10)가 없는 층에서 승강기 문이 열리더라도 아래로 추락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또한, 본 발명 추락방지 장치(100)는 안전망(120)의 자중에 의한 관성의 힘과, 승강카(10)의 올라가는 끌어당김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승강기와의 충돌이나 불확실한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th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10 : 승강카 11 : 가이드
20 : 승강통로 30 : 가대
40 : 무게추 50 : 케이블
100 : 승강기 추락방지 장치 110a,b : 상,하부안전망
111 : 로프 115 : 받침수단
120 : 안전망 121 : 망체
122 : 프레임10: elevator car 11: guide
20: lift passage 30: trestle
40: weight 50: cable
100: elevator
111: rope 115: support means
120: safety net 121: mesh
122: frame
Claims (4)
상기 승강카(10)의 상부면상에서부터 상기 승강통로(20)의 천장까지 다단으로 연속해서 망체(121)로된 안전망(120)이 로프(111)에 의해 설치되는 상부안전망(110a)과, 상기 승강카(10)의 하부면상에서부터 상기 승강통로(20)의 바닥면까지 다단으로 연속해서 망체(121)로된 안전망(120)이 로프(111)에 의해 설치되는 하부안전망(110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추락방지 장치.In the fall prevention device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elevator car 10 to reciprocate up and down along the mount 30 installed in the elevating passage 20,
The upper safety net 110a in which the safety net 120 made of the mesh body 121 is continuously installed in the multi-stag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car 10 to the ceiling of the lifting passage 20 by the rope 111, and th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elevator car 10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ing passage 20, the safety net 120 made of a mesh body 121 in succession in a multi-stage includes a lower safety net (110b) is installed by the rope 111 Fall prevention device of the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3689A KR20110114190A (en) | 2010-04-13 | 2010-04-13 | Fall prevention device of elev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3689A KR20110114190A (en) | 2010-04-13 | 2010-04-13 | Fall prevention device of eleva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14190A true KR20110114190A (en) | 2011-10-19 |
Family
ID=45029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33689A Ceased KR20110114190A (en) | 2010-04-13 | 2010-04-13 | Fall prevention device of elev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114190A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058035A (en) * | 2012-12-25 | 2013-04-24 | 王宝根 | Elevator anti-falling safety net |
CN105384020A (en) * | 2015-12-07 | 2016-03-09 | 邱行信 | Elevator provided with falling prevention nets |
WO2018054927A1 (en) | 2016-09-26 | 2018-03-29 | Inventio Ag | Elevator system having a car comprising a catching device |
CN108086701A (en) * | 2017-11-08 | 2018-05-29 | 安徽邦尼特轨道装备有限公司 | A kind of isolation guardrail |
EP3431430A1 (en) | 2017-07-20 | 2019-01-23 | Inventio AG | Lift system |
CN109516332A (en) * | 2018-12-12 | 2019-03-26 | 宁津汇丰消声器有限公司 | A kind of anti-fall string bag of carriage |
KR102411924B1 (en) * | 2021-11-30 | 2022-06-22 | 심이택 | Elevator hoistway fall automatic prevention device |
-
2010
- 2010-04-13 KR KR1020100033689A patent/KR20110114190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058035A (en) * | 2012-12-25 | 2013-04-24 | 王宝根 | Elevator anti-falling safety net |
CN105384020A (en) * | 2015-12-07 | 2016-03-09 | 邱行信 | Elevator provided with falling prevention nets |
WO2018054927A1 (en) | 2016-09-26 | 2018-03-29 | Inventio Ag | Elevator system having a car comprising a catching device |
EP3431430A1 (en) | 2017-07-20 | 2019-01-23 | Inventio AG | Lift system |
CN108086701A (en) * | 2017-11-08 | 2018-05-29 | 安徽邦尼特轨道装备有限公司 | A kind of isolation guardrail |
CN109516332A (en) * | 2018-12-12 | 2019-03-26 | 宁津汇丰消声器有限公司 | A kind of anti-fall string bag of carriage |
CN109516332B (en) * | 2018-12-12 | 2020-06-12 | 浙江鲸叹科技有限公司 | Cage anti-falling net bag |
KR102411924B1 (en) * | 2021-11-30 | 2022-06-22 | 심이택 | Elevator hoistway fall automatic prevention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114190A (en) | Fall prevention device of elevator | |
US20190135586A1 (en) | Elevator arrangement with low headroom | |
KR102251663B1 (en) | Elevator hoistway fall automatic prevention device | |
KR101036020B1 (en) | Fall prevention device of industrial lift | |
CN106276511B (en) | Telescopic single double-deck elevator powered by switchable system | |
JP2017512151A (en) | Train platform safety equipment | |
KR101676346B1 (en) | Structure of veranda with improved safety | |
KR102480892B1 (en) | Bottom driving elevator | |
JP6586490B2 (en) | Mobile lifting scaffolds with load lifting devices, construction methods using them, and installation methods thereof | |
KR102377324B1 (en) | Vertical lifting apparatus for windows and doors | |
JP2011093699A (en) | Falling preventive structure of elevator | |
CN111547604B (en) | Elevator device | |
KR20220125633A (en) | Work boarding device | |
KR20110030746A (en) | Low rise elevator | |
JP7107704B2 (en) | Carrier unit and elevator | |
CN114803756B (en) | Operation safety device for elevator | |
JP6699386B2 (en) | Elevator buffer cap | |
JP2011213443A (en) | Landing hall sill integrated ladder | |
KR20150145702A (en) | Rescue device for elevator and elevator | |
JP5968162B2 (en) | Elevator toe guard | |
JP5032999B2 (en) | Elevator safety device | |
KR102446299B1 (en) | Aerial platform boarding device | |
KR101022798B1 (en) | Small machine room lift | |
RU133108U1 (en) | DEVICE FOR MAINTENANCE OF A DIFFICULT OBJECT | |
KR101548487B1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 of elev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209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2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