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836A - 광대역 무선접속시스템의 슬립 모드에서 동기유지를 위한프레임 카운트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광대역 무선접속시스템의 슬립 모드에서 동기유지를 위한프레임 카운트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836A
KR20080004836A KR1020060063650A KR20060063650A KR20080004836A KR 20080004836 A KR20080004836 A KR 20080004836A KR 1020060063650 A KR1020060063650 A KR 1020060063650A KR 20060063650 A KR20060063650 A KR 20060063650A KR 20080004836 A KR20080004836 A KR 20080004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
controller
clock
value
synchron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3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인천
이호승
송봉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3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4836A/ko
Publication of KR20080004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8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16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correction of synchronization e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접속시스템의 슬립 모드에서 동기유지를 위한 프레임 카운트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단말이 슬립 모드로 천이하기 전에 모뎀동작 클럭과 낮은 주파수의 슬립 클럭간의 주기차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슬립제어기의 레지스터에 기록하는 과정과, CPU로부터 전달받은 슬립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슬립제어기의 레지스터에 세팅하는 과정과, 슬립 상태로 천이될 때까지 동기제어기에서 카운트된 글로벌 프레임 카운트 값을 슬립 제어기로 전달하는 과정과, 여기서 상기 슬립 제어기는 상기 동기제어기로부터 받은 글로벌 프레임 카운트값을 기준으로 모뎀동작 클럭으로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을 수행하다가 일정시간 후 낮은 주파수의 슬립 클럭을 이용하여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을 재개하며, 상기 레지스터에 세팅된 정보를 이용하여 슬립 모드에서 슬립 클럭의 상승시마다 CPU 소프트웨어가 평균한 모드 클럭 값의 정수값을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 값에 더해주며 이와 함께 슬립 클럭의 소정의 주기마다 보정용 소수점 자리수 값을 더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LEEP MODE, SLEEP CONTROLLER, GLOBAL FRAME COUNT, GLOBAL FRAME COUNTING

Description

광대역 무선접속시스템의 슬립 모드에서 동기유지를 위한 프레임 카운트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GLOBAL FRAME COUNTING FOR SYNCHRONIZATION IN SLEEP MODE OF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슬립 모드 클럭 대비 모뎀 동작 클럭의 비율계산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슬립 모드에서 슬립 제어기에 의한 동기유지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슬립을 위한 모듈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기와 슬립제어기에 의한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평균 모드 m 클럭값의 소수점 이하 자리수의 보정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의 슬립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접속시스템에서의 슬립모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립 모드에서의 동기를 유지하기 위한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Global frame counting)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전력(power) 소모를 줄이기 위해 슬롯 모드(slotted mode)를 채택하고 있다. 상기 슬롯 모드에서는 기지국이 페이지 메시지(page message)등 단말별로 구분되어 송신되는 특정 메시지들을 각 단말별로 할당된 슬롯에서만 송신하기 때문에, 각 단말은 초기 동기를 획득한 후에는 대부분의 시간 동안 자신에게 할당된 슬롯만 모니터링하면 된다. 이에 각 단말들은 할당된 페이징 채널 슬롯에서 호 또는 메시지 수신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그 이외의 시간에는 시간 동기(time synch) 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하드웨어를 제외한 모든 블록의 전력을 오프(off)하는 전력 저장 모드(power save mode)로 동작하여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전력 저장모드로 동작하는 구간을 일반적으로 슬립(sleep) 구간이라고 하고,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구간을 웨이크 업(wake up) 구간이라고 한다.
한편, 단말이 슬립 모드로 천이하면,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모뎀으로 클럭이 공급되지 않아 동기유지를 하지 못한다. 따라서 모뎀외부의 슬립 제어기가 대신 동기유지를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슬립 제어기 역시 슬립모드에서는 전력 소 모를 줄이기 위해 낮은 주파수의 클럭만이 제공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슬립 모드 클럭 대비 모뎀 동작 클럭의 비율계산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슬립 제어기는 슬립 모드로 천이하기 전에 정상상태에서의 모뎀 동작 클럭과 낮은 주파수의 슬립 클럭간의 주기 차를 계산해서 그 값을 슬립제어기의 레지스터에 써준다. 또한 CPU에 의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주파수 에러 인터럽트(Frequency Error Interrupt)가 발생할 때마다 레지스터를 읽어서 모뎀 동작 클럭과 낮은 주파수의 슬립 클럭간 주기 차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모뎀이 슬립모드로 천이하기 전에 그 값을 슬립 제어기의 레지스터에 써준다. 실시예를 들면, 슬립 클럭의 주기가 30.520us, 모뎀 동작 클럭의 주기가 50ns라 가정하면 슬립 제어기는 256개의 슬립 클럭을 카운트하고 256개가 될 때마다 주파수 에러 인터럽트를 발생시킨다. 또한 이때 256개의 슬립 클럭 카운트 구간에서의 모뎀동작 클럭 카운트 수(약156247)를 레지스터에 써준다. 이에 CPU는 상기 클럭 카운트 수를 읽어서 평균값을 계산(156247/256 = 610)하고, 상기 계산된 값을 슬립 제어기의 레지스터에 써준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슬립 모드에서 슬립 제어기에 의한 동기유지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슬립 제어기는 단말이 슬립 모드로 천이함에 따라 레지스터에 쓰여진 모뎀 동작 클럭과 낮은 주파수의 슬립 클럭간 주기 차의 평균 값(AvgNum)을 이용하여, 프레임의 시작점부터 슬립 클럭이 상승할 때마다 AvgNum값을 카운팅값에 더하고 전체 카운팅값이 한 프레임의 크기와 같을 때 카운팅값을 리셋 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슬립 모드에서의 동기가 유지된다. 도 1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슬립 제어기는 슬립 구간에서 슬립 클럭이 상승할 때마다 610을 레지스터에 축적(accumulation)하고, 상기 축적된 값이 한 프레임(예를 들어, 모뎀 동작 클럭 기준 100040 카운트)값과 같을 때 리셋 시킨다.
상기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슬립제어기에 있어서는, 슬립 모드로 이미 천이한 상태라 하여도 프레임의 시작점을 기다린 후 이때부터 프레임 카운팅을 시작해야 한다. 그래야만 카운팅값이 한 프레임의 길이와 같을 때 프레임 카운팅값을 리셋하고 다시 한 프레임의 카운팅을 재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프레임 카운팅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이미 슬립 모드에 있다 하더라도 프레임의 시작점을 기다리는 시간을 소모하게 된다.
또한 도 2에서 AvgNum값은 소프트웨어가 평균치를 계산한 정수값이므로, 슬립 클럭의 상승 시(rising edge)마다 소프트웨어 모듈이 평균한 모뎀 동작 클럭 값의 소수점 이하 자리수의 값은 오차로 누적된다. 만약 슬립 주기가 길어진다면 누적되는 오차 값 역시 비례하여 늘어나므로 잘못된 프레임의 시작점을 찾을 가능성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접속시스템의 슬립 모드에서 동기유지를 위한 프레임 카운트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접속시스템의 슬립 모드에서 동기유지를 위하여 동기제어기는 슬립 모드로 천이할 때, 그 때까지의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값을 슬립 제어기에 전달하고, 상기 슬립 제어기는 낮은 주파수의 슬립 클럭의 상승 시마다 소프트웨어에서 계산한 모뎀 동작 클럭과 낮은 주파수의 슬립 클럭간 주기 차의 평균값을 정수부 및 소수부까지 더해줌으로써 슬립 모드에서 더욱 정밀한 동기를 유지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광대역 무선접속시스템의 슬립 모드에서 동기유지를 위한 프레임 카운트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슬립 모드로 천이하기 전에 모뎀동작 클럭과 낮은 주파수의 슬립 클럭간의 주기차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슬립제어기의 레지스터에 기록하는 과정과, CPU로부터 전달받은 슬립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슬립제어기의 레지스터에 세팅하는 과정과, 슬립 상태로 천이될 때까지 동기제어기에서 카운트된 글로벌 프레임 카운트 값을 슬립 제어기로 전달하는 과정과, 여기서 상기 슬립 제어기는 상기 동기제어기로부터 받은 글로벌 프레임 카운트값을 기준으로 모뎀동작 클럭으로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을 수행하다가 일정시간 후 낮은 주파수의 슬립 클럭을 이용하여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을 재개하며, 상기 레지스터에 세팅된 정보를 이용하여 슬립 모드에서 슬립 클럭의 상승시마다 CPU 소프트웨어가 평균한 모드 클럭 값의 정수값을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 값에 더해주며 이와 함께 슬립 클럭의 소정의 주기마다 보정용 소수점 자리수 값을 더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광대역 무선접속시스템의 슬립 모드에서 동기유지를 위한 프레임 카운트 장치에 있어서, 단말이 슬립 모드로 천이하기 전에 모뎀동작 클럭과 낮은 주파수의 슬립 클럭간의 주기차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레지스터에 기록하는 슬립제어기와, 슬립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슬립 제어기의 레지스터에 세팅하는 CPU와, 슬립 상태로 천이될 때까지 카운트된 글로벌 프레임 카운트 값을 슬립 제어기로 전달하는 동기 제어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슬립 제어기는 상기 동기제어기로부터 받은 글로벌 프레임 카운트값을 기준으로 모뎀동작 클럭으로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을 수행하다가 일정시간 후 낮은 주파수의 슬립 클럭을 이용하여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을 재개하며, 상기 레지스터에 세팅된 정보를 이용하여 슬립 모드에서 슬립 클럭의 상승시마다 CPU 소프트웨어가 평균한 모드 클럭 값의 정수값을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 값에 더해주며 이와 함께 슬립 클럭의 소정의 주기마다 보정용 소수점 자리수 값을 더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 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요지는 슬립 모드로 천이하기 전에 모뎀의 동기는 동기 제어기가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을 수행함으로써 유지된다. 상기 동기 제어기는 슬립 모드로 천이할 때, 슬립 제어기로 그 때까지의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값을 전달하고, 상기 슬립 제어기는 낮은 주파수의 슬립 클럭의 상승 시마다 소프트웨어에서 계산한 모뎀 동작 클럭과 낮은 주파수의 슬립 클럭간 주기 차의 평균값을 정수부 및 소수부까지 더해줌으로써 슬립 모드에서 더욱 정밀한 동기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슬립 주기가 길더라도 슬립 모드에서의 페이징을 위한 초기 동기 작업의 필요없이 미세동기 작업만으로 전체 동기를 유지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슬립을 위한 모듈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슬립을 위한 모듈 구조는 CPU(330)와, 전력 도메인 제어기(Power Domain Controller)(340)와, 전력 온 블록(Power Always ON Block)(300)과, 모뎀(350)을 포함하며, 상기 전력 온 블록(300)은 벡터 인터럽트 제어기(Vectored Interrupt Controller, 이하 VIC라 한다.)(305)와, 전력제어기(310)와, 슬립제어기(315)와, 클럭 생성기(320)와, 동기제어기(325)를 포함한다.
그럼 슬립 모드에서 각 모듈의 역할을 살펴보기로 한다.
CPU(330)는 각 블록의 슬립 동작에 필요한 레지스터를 세팅하는 것으로서, 단말이 슬립 모드로 들어갈 때, 상기 CPU(330)로 들어오는 전원과 클럭은 오프(OFF)된다. 전력 도메인 제어기(340)는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슬립 모드일 때 전력 온 블럭(300)을 제외한 나머지 모듈의 전력을 오프 시킨다. 상기 전력 온 블록(300)은 슬립모드 상태 동안의 동기제어를 위하여 전력을 항시 사용하게 되는 블록이다. 이에 상기 블록(300)내의 구조를 하기에서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전력 온 블록(300)내의 VIC(305)는 각 모듈로부터의 인터럽트를 제어하고 이를 전력 제어기(310)에 전달한다. 상기 전력 제어기(310)는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슬립 모드일 때 전력 온 블록(300) 중 동기 제어기(325) 모듈을 제외한 나머지 블록에만, 정상 상태일 때의 클럭보다 낮은 주파수의 클럭을 제공하도록 클럭 생성기(32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VIC(305)에서 전송된 인터럽트를 CPU(33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슬립 제어기(315)는 낮은 주파수의 클럭으로 카운팅하여 그 값이 CPU(330)가 알려 준 슬립 타임주기와 같을 때 VIC(305)에 인터럽트를 전송해서 CPU(330)가 슬립모드에서 깨어나게 한다. 또한 동기 제어기(325)가 전달해준 프레임 카운트 값을 낮은 주파수의 클럭으로 연이어서 모듈로(Modulo) 5ms의 프레임 카운팅을 하고 단말이 슬립모드에서 깨어날 때 그 때까지의 프레임 카운트 값을 동기 제어기(325)에 전달한다.
클럭 생성기(320)는 각 모듈이 필요로 하는 주파수의 클럭을 제공하며, 동기 제어기(325)는 각 모듈을 제어하고 Modulo 5ms의 프레임 카운팅을 통해 동기를 유지한다. 슬립 모드일 경우 상기 동기 제어기(325)에 제공되는 전원은 유지되나 클럭이 오프되므로 프레임 카운팅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그 때까지의 프레임 카운팅 값을 슬립 제어기(315)에 전달하여 상기 슬립 제어기(315)가 연이어서 Modulo 5ms의 프레임 카운팅을 하도록 한다. 슬립 모드에서 깨어날 때는 반대로 슬립 제어기(315)로부터 그 때까지의 프레임 카운팅 값을 수신하여 연이어서 Modulo 5ms의 프레임 카운팅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기와 슬립제어기에 의한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은 정상동작 상태에서 모뎀의 동기를 동기 제어기가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을 수행하며 유지한다. 이후, 단말이 슬립 모드로 천이해야하는 상태라면, 상기 슬립 모드로 천이하기 전에 슬립 제어기는 모뎀동작 클럭과 낮은 주파수의 슬립 클럭간의 주기차를 계산해서 그 값을 레지스터에 써준다. 또한, 소프트웨어 모듈은 주파수 에러 인터럽트가 발생할 때마다 레지스터를 읽어서 모뎀동작 클럭과 낮은 주파수의 슬립 클럭간 주기차의 평균값을 계산한다. 또한, 기지국과의 시그널링에 의해 단말이 슬립 모드로 들어가야 할 때 CPU는 슬립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각 모듈의 레지스터에 세팅한다. 이때 슬립 제어기의 레지스터에 하기 (표 1)과 같은 정보를 준다.
Address Register Name Bits Description
0x0 AvgNumInteger [15:0] Sleep clock 한 주기에 대한 모드m Clock수 평균값의 정수 값
0x4 AvgNumFraction [15:0] Sleep clock 한 주기에 대한 모드m Clock수 평균값의 소수 점 이하 자리 값
0x8 FractionWidth [15:0] 보정해야 할 Sleep clock 한 주기에 대한 모드m Clock수 평균값의 소수 점 이하 자리 수
상기 (표 1)에는 평균 모드 m 클럭값의 정수값 및 소수점 이하 자리값과, 소수점 이하 자리수의 보정을 위한 정보들이 포함된다.
상기 동기 제어기는 슬립 제어기로 슬립 상태로 천이될 때까지 카운트된 글로벌 프레임 카운트 값을 전달하며, 상기 슬립 제어기는 상기 동기제어기로부터 받은 글로벌 프레임 카운트값을 기준으로 모뎀동작 클럭으로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을 수행하다가 일정시간 후 낮은 주파수의 슬립 클럭을 이용해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을 재개하며, 슬립 상태동안의 동기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CPU가 깨어나서 정상동작 상태로 복귀할 것을 슬립 제어기로 명령한다면, 상기 슬립제어기는 정상동작 상태로 복귀하기 전에 모뎀 동작 클럭으로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을 수행하며, 이때 까지 프레임 카운트 된 값을 다시 동기 제어기로 전달하고, 상기 동기제어기는 슬립 제어기의 프레임 카운팅값에 이어서 카운팅하게 된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평균 모드 m 클럭값의 소수점 이하 자리수의 보정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5c를 참조하면, 슬립 제어기는 상기 (표 1)의 레지스터 정보를 이용하여 슬립 모드에서 슬립 클럭의 상승시마다 소프트웨어가 평균한 모드m 클럭 값의 정수값을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 값에 더해주며 이와 함께 슬립 클럭의 10의 주기마다 AvgNumFraction 값을 더해준다.
도 5a는 소수점 이하(Fraction Width)가 1자리수일 때의 경우로서 슬립 클럭의 상승시마다 소프트웨어가 평균한 모드m 클럭 값의 정수값을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 값에 더해주며 이와 함께 슬립 클럭의 10FractionWidth의 주기마다 AvgNumFraction 값을 더해준다.
도 5b는 소프트웨어가 평균한 모드m 클럭 값의 정수값을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 값에 더해주며 이와 함께 슬립 클럭의 10의 주기마다 AvgNumFraction 값을 더해준다.
또한 도 5c는 소프트웨어가 평균한 모드m 클럭 값의 정수값을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 값에 더해주며 이와 함께 슬립 클럭의 10의 주기마다 AvgNumFraction 값을 더해준다.
도 5a 내지 도 5c를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설명하면, 슬립 클럭의 주기가 30.520us, 모뎀 동작 클럭의 주기가 50ns라 가정하면 256개의 슬립 클럭 카운트 구간에서의 모뎀동작 클럭 카운트 수는 약 156247이 된다. 이에, 모뎀 동작 클럭과 낮은 주파수의 슬립 클럭간 주기 차의 평균값을 계산하면, 156247/256 = 610.33984375가 된다.
즉 1개의 슬립 클럭에는 610.33984375개의 모뎀 동작 클럭이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슬립 구간에서 슬립 제어기는 1개의 슬립 클럭마다 610 을 축적하고 소수부를 고려하기 위해 도 5a의 경우 10개의 슬립 클럭마다 3(610.3)을, 도 5b의 경우 100개의 슬립 클럭동안 3(610.33)을, 도 5c의 경우 1000개의 슬립 클럭마다 9(610.339)를 더하게 된다. 이와 같이 몇 째 자리의 소수점까지 보정하느냐는 상기 슬립 제어기의 레지스터에 세팅하는 값(FractionWidth)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소수점 3자리까지 보정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구현방식에 따라 소수점 자리수를 증가시켜 구현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의 슬립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단말의 슬립 모드에서 각 모듈의 동작 및 절차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605단계에서 단말은 정상동작 상태에서 동작을 수행한다. 즉, 모뎀의 동기를 동기 제어기가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을 수행하며 유지한다. 이후, 단말이 슬립 모드로 천이해야하는 상태라면, 상기 슬립 모드로 천이하기 전에 슬립 제어기는 모뎀동작 클럭과 낮은 주파수의 슬립 클럭간의 주기차를 계산해서 그 값을 레지스터에 써준다. 또한, 소프트웨어 모듈은 주파수 에러 인터럽트가 발생할 때마다 레지스터를 읽어서 모뎀동작 클럭과 낮은 주파수의 슬립 클럭간 주기차의 평균값을 계산한다.
610단계에서 기지국과의 시그널링에 의해 단말이 슬립 모드로 들어가야 할 때 CPU는 슬립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각 모듈의 레지스터에 세팅한다. 이때 슬립 제어기의 레지스터에 상기 (표 1)의 정보를 준다. 415단계에서 동기 제어기는 슬립 제어기로 슬립 상태로 천이될 때까지 카운트된 글로벌 프레임 카운트 값을 전달하며, 상기 슬립 제어기는 420단계에서 동기제어기로부터 받은 글로벌 프레임 카운트값을 기준으로 모뎀동작 클럭으로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을 수행하다가 일정시간 후 낮은 주파수의 슬립 클럭을 이용해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을 재개한다. 이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다.
또한 슬립 제어기는 상기 (표 1)의 레지스터 정보를 이용하여 슬립 모드에서 슬립 클럭의 상승시마다 소프트웨어가 평균한 모드m 클럭 값의 정수값을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 값에 더해주며 이와 함께 슬립 클럭의 10FractionWidth의 주기마다 AvgNumFraction 값을 더해준다.
이는 하기 도 5a 내지 5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수점 이하(Fraction Width)가 각각 1,2,3자리수일 때의 경우들로 나타낼 수 있다. 이후, 425단계에서 슬립 제어기는 낮은 주파수의 클럭으로 슬립 타임 카운팅을 수행하고, 430단계에서 전력 제어기는 전력 온 블록 중 동기 제어기를 제외한 나머지 블록에만 정상 상태일 때의 클럭보다 낮은 주파수의 클럭을 제공하고 나머지 클럭은 차단하도록 클럭 생성기를 제어한다.
435단계에서는 전력 도메인 제어기가 전력 온 블록을 제외한 나머지 모듈의 전원을 차단하게 되며, 440단계에서는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슬립 제어기의 슬립 타임 카운트 값이 슬립 모드에 들어가기 전에 CPU가 레지스터에 세팅한 슬립 타임 주기 값과 같지 않으면 슬립 제어기의 슬립 타임 카운트 값이 CPU가 레지스터에 세팅한 슬립 타임 주기 값과 같을 때까지 기다린다. 그러나, 같은 경우는 445단계로 진행하여 VIC에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CPU를 깨우고 전력 도메인 제어기가 모든 블록의 전원을 온 시킨다. 또한 450단계에서 전력 제어기는 모든 클럭이 온 되도록 클럭 생성기를 제어한다.
455단계에서 슬립제어기는 동기 제어기에 프레임 카운트 값을 송신하고, 460단계에서 페이징을 통한 동기 작업을 수행한다. 이후 465단계에서 페이징 상태를 유지하며, 470단계에서 CPU로부터 정상동작 상태로 돌아가라는 신호가 오면 405단계로 복귀하여 정상동작 상태로 천이하고, 상기 CPU로부터 정상동작 상태로 돌아가라는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였다면, 475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475단계에서 다시 슬립 상태로 천이하라는 신호를 받았다면, 415단계로 복귀하여 슬립 상태로 천이한다. 그러나 상기 슬립 상태로 천이하라는 신호를 받지 못하였다면, 465단계로 복귀하여 페이징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OFDMA 기반 시스템에서 슬립 모드에서의 동기 유지를 위하여, 동기 제어기 블록과 모뎀 외부의 슬립 제어기간의 동기 카운트 값의 송/수신을 통해 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시간을 간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슬립 제어기에서 모뎀 동작 클럭과 낮은 주파수의 슬립 클럭간의 주기 차의 평균값을 정수부 및 소수부까지 더해줌으로써 슬립 모드에서 더욱 정밀한 동기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슬립 주기가 길더라도 슬립 모드상에서 페이징을 위한 전체 동기 획득의 절차를 간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광대역 무선접속시스템의 슬립 모드에서 동기유지를 위한 프레임 카운트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슬립 모드로 천이하기 전에 모뎀동작 클럭과 낮은 주파수의 슬립 클럭간의 주기차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슬립제어기의 레지스터에 기록하는 과정과,
    CPU로부터 전달받은 슬립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슬립제어기의 레지스터에 세팅하는 과정과,
    슬립 상태로 천이될 때까지 동기제어기에서 카운트된 글로벌 프레임 카운트 값을 슬립 제어기로 전달하는 과정과,
    여기서 상기 슬립 제어기는 상기 동기제어기로부터 받은 글로벌 프레임 카운트값을 기준으로 모뎀동작 클럭으로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을 수행하다가 일정시간 후 낮은 주파수의 슬립 클럭을 이용하여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을 재개하며, 상기 레지스터에 세팅된 정보를 이용하여 슬립 모드에서 슬립 클럭의 상승시마다 CPU 소프트웨어가 평균한 모드 클럭 값의 정수값을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 값에 더해주며 이와 함께 슬립 클럭의 미리 정의된 10F 주기마다 보정용 소수점 자리수 값을 더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 모드에서 동기유지를 위한 프레임 카운트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에 세팅된 정보는,
    평균 모드 클럭값의 정수값 및 소수점 이하 자리값과, 소수점 이하 자리수의 보정을 위한 정보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 모드에서 동기유지를 위한 프레임 카운트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모드에서 정상동작상태로 복귀시 슬립제어기에서 동기 제어기로 프레임 카운트 값을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슬립 제어기로부터 전달받은 프레임 카운트 값을 토대로 동기제어기에서 페이징을 통한 동기 작업을 수행하며, 정상동작 상태로 복귀하라는 신호를 수신하였다면, 정상동작 상태로의 복귀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 모드에서 동기유지를 위한 프레임 카운트 방법.
  4. 광대역 무선접속시스템의 슬립 모드에서 동기유지를 위한 프레임 카운트 장치에 있어서,
    단말이 슬립 모드로 천이하기 전에 모뎀동작 클럭과 낮은 주파수의 슬립 클럭간의 주기차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레지스터에 기록하는 슬립제어기와,
    슬립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슬립 제어기의 레지스터에 세팅하는 CPU와,
    슬립 상태로 천이될 때까지 카운트된 글로벌 프레임 카운트 값을 슬립 제어 기로 전달하는 동기 제어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슬립 제어기는 상기 동기제어기로부터 받은 글로벌 프레임 카운트값을 기준으로 모뎀동작 클럭으로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을 수행하다가 일정시간 후 낮은 주파수의 슬립 클럭을 이용하여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을 재개하며, 상기 레지스터에 세팅된 정보를 이용하여 슬립 모드에서 슬립 클럭의 상승시마다 CPU 소프트웨어가 평균한 모드 클럭 값의 정수값을 글로벌 프레임 카운팅 값에 더해주며 이와 함께 슬립 클럭의 소정의 주기마다 보정용 소수점 자리수 값을 더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 모드에서 동기유지를 위한 프레임 카운트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에 세팅된 정보는,
    평균 모드 클럭값의 정수값 및 소수점 이하 자리값과, 소수점 이하 자리수의 보정을 위한 정보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 모드에서 동기유지를 위한 프레임 카운트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모드에서 정상동작상태로 복귀시 동기 제어기에 프레임 카운트 값을 송신하는 슬립제어기와,
    상기 슬립 제어기로부터 전달받은 프레임 카운트 값을 토대로 페이징을 통한 동기 작업을 수행하며, 정상동작 상태로 복귀하라는 신호를 수신하였다면, 정상동 작 상태로의 복귀를 수행하는 동기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 모드에서 동기유지를 위한 프레임 카운트 장치.
KR1020060063650A 2006-07-06 2006-07-06 광대역 무선접속시스템의 슬립 모드에서 동기유지를 위한프레임 카운트 방법 및 장치 KR200800048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650A KR20080004836A (ko) 2006-07-06 2006-07-06 광대역 무선접속시스템의 슬립 모드에서 동기유지를 위한프레임 카운트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650A KR20080004836A (ko) 2006-07-06 2006-07-06 광대역 무선접속시스템의 슬립 모드에서 동기유지를 위한프레임 카운트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836A true KR20080004836A (ko) 2008-01-10

Family

ID=39215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650A KR20080004836A (ko) 2006-07-06 2006-07-06 광대역 무선접속시스템의 슬립 모드에서 동기유지를 위한프레임 카운트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48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51063A3 (en) * 2009-06-26 2011-04-14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sleep mo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51063A3 (en) * 2009-06-26 2011-04-14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sleep mo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2676B1 (ko) 무선 송수신기에서 슬립 모드들의 제어
TW527840B (en) Synchronization of a low power oscillator with a reference oscillato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tilizing slotted paging
US7751447B2 (en) Synchronization of time base units
JP2723691B2 (ja) 可変タイミング信号発生回路
US78994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power by controlling listening periods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plurality for power-saving modes
US6397053B1 (en)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with increased standby time i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CN100448310C (zh) 移动终端的待机处理方法以及装置
US8787945B1 (en) Correction of timing errors to enable long sleep times
EP3404873A1 (en) Low-power data bus receiver
JP2007528642A (ja) 低価格で低精度のクロックを使用した精密なスリープタイマ
US9307571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frequency offset calibrating method
JP2001525631A (ja) ページャにおける電力を節約する方法および装置
WO2001020790A1 (en) Low power operation in a radiotelephone
JP2017513292A (ja) 時間同期チャネルホッピング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低電力端末との同期を維持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1256583A (ja) 自動検針システム
KR20080004836A (ko) 광대역 무선접속시스템의 슬립 모드에서 동기유지를 위한프레임 카운트 방법 및 장치
US7120190B2 (en) Low power RC clocking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s
JPH11225107A (ja) 受信機及び間欠フレーム同期方法及び携帯端末
JP2680349B2 (ja) 無線呼出用受信機
JPH08307304A (ja) 移動体通信端末
JP3438062B2 (ja) 携帯端末
JP2022127109A (ja) 基地局、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通信方法
KR101248205B1 (ko) 광대역무선접속시스템의 슬립 및 아이들모드에서의동기획득 장치 및 방법
JP2022013511A (ja) 無線通信同期システム
JP2000049682A (ja) 携帯電話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