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829U - 대나무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대나무 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829U
KR20080004829U KR2020070006426U KR20070006426U KR20080004829U KR 20080004829 U KR20080004829 U KR 20080004829U KR 2020070006426 U KR2020070006426 U KR 2020070006426U KR 20070006426 U KR20070006426 U KR 20070006426U KR 20080004829 U KR20080004829 U KR 200800048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opening
blocking
storage contain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4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4380Y1 (ko
Inventor
윤석은
윤애영
Original Assignee
윤석은
윤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은, 윤애영 filed Critical 윤석은
Priority to KR200700064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380Y1/ko
Publication of KR200800048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8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3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4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 용기는 대나무의 마디에 의해 폐쇄되고, 일측에 개방된 개방부을 가진 저장공간을 구비한 대나무 본체와; 상기 대나무 본체의 절단면에 형성되어 내부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 하는 코팅층과, 상기 대나무 본체의 개방부를 차단하는 차단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 용기는 대나무 고유의 효능으로 저장되는 음식물 또는 음료의 저장상태가 양호하게 지속될 수 있도록 하며, 절단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저장물의 수분이 절단면을 통해 외부로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다.
대나무, 용기, 코팅

Description

대나무 저장용기{Bamboo bow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 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 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분리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 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은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 용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7는 도 6의 대나무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8 내지 도 12은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 용기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본 고안은 대나무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절단면으로부터 삼투압 현상에 의해 수분의 증발이 방지된 대나무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천연식품, 음료, 주류등을 저장하는 저장용기는 합성수지재, 목재, 도기, 옹기 등을 이용하여 제조하게 된다. 특히 한국의 고유음식인 된장, 고추장, 김치, 게장, 간장 등은 발효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용기의 재질 및 그 특성에 따라 고유의 맛과 향이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음식물들을 변질 없이 보관할 수 있는 용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대나무에 대한 약리작용과 음이온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이를 이용하여 용기를 제작하는 방안이 모색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2-0013955호에는 대나무를 이용한 저장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저장용기는 대나무통에 삽입된 삽입물의 추출을 방지하고, 외부의 불순물이 섞이는 것을 방지하는 코르크마개를 포함하는 폐쇄수단과, 대나무통의 외측면을 방수처리하여 대나무통의 기공을 통하여 삽입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수단과,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대나무를 이용한 저장용기는 외부에 방수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대나무 고유의 숨 기능을 차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특허등록 제 0361485호에는 대나무를 이용한 술 포장용 용기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실용신안 등록 제 0334874호에는 대나무 용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실용신안 등록 제 0426306호에는 일정량을 저장할 수 있는 대나무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개시된 대나무 용기는 장기가 사용시 절단면을 통한 삼투압 현상 에 의하여 내부의 수분이 증발하게 되어 음식물의 보관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나무 용기에 저장되는 저장물의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관된 음식 또는 내용물이 변질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대나무 저장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고안의 다른 목적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고 개폐가 용이하며, 음식물의 저장공간을 다양화 할 수 있는 대나무 저장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 저장용기는 대나무의 마디에 의해 하면은 폐쇄되고, 상면은 개방된 개방부가 마련되도록 절단되어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대나무 본체와;
상기 대나무 본체의 상, 하부의 절단면 및 마디가 형성된 하면에 설치되어 내부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코팅층과,
상기 대나무 본체의 개방부를 차단하는 차단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파라핀 또는 아교로 포함된 코팅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차단수단은 대나무 본체의 상면에 접착되어 개방부를 차단하는 1차 차단부재와, 상기 대나무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재는 대나무 본체의 개방부의 내측 또는 외측 가장자리에 하 단부가 접합되는 프랙시블한 튜브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단수단은 대나무 본체의 개방부의 내측 또는 외측 가장자리에 하단부가 접촉되는 프랙시블 한 튜브부재와, 상기 튜브부재의 단부를 묶는 묶음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차단수단은 개방부가 형성된 대나무 본체의 외주면과 개방부를 차단하는 뚜껑의 외주면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이 결합홈에 탄성력을 가지는 결합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 저장용기는 대나무의 마디에 의해 양 측이 폐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방부를 형성하는 본체의 절단면 및 상기 본체의 양측 절단면에 코팅된 코팅층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 저장용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 저장용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대나무 저장용기(10)는 대나무 용기는 대나무의 마디에 의해 하면은 폐쇄되고, 상면은 개방된 개방부(21)가 마련되도록 절단되어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대나무 본체(20)와, 상기 대나무 본체(20)의 상,하부의 절단면에 형성되어 내부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코팅층(23)과, 상기 대나무 본체의 개방부를 차단하는 차단수단(30)을 포함한다.
상기 대나무 본체(20)는 저장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가공될 수 있는데, 하단부 측에 대나무 마디가 위치되도록 하고 상부측이 개방되도록 하거나 양측면에 대나무 마디가 위치되도록 하며 이들의 사이에 개방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코팅층(23)은 대나무 본체의 절단부 및 마디의 하면 즉, 마디에 의해 내부공간부를 차단하는 표면에 형성되어 내용물의 수분이 삼투압현상에 의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표면에 파라핀, 아교, 천연방수재가 코팅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상술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절단부위로부터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차단수단(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나무 본체(20)에 형성된 개방부(21) 가장자리의 대나무 본체(20)에 부착되어 개방부(21)를 차단하는 제1 차단부재(31)와, 상기 대나무 본체(20)에 결합되는 커버부재(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차단부재(31)는 알루미늄 호일, 한지, 기름종이, 또는 합성수지, 부직포, 벼집, 보리대, 나뭇잎, 나무줄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장자리에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32)는 탄성력을 가지는 합성수재,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벼집, 보리대, 밀대와 같은 천연소재로 이루어질 수있다. 본체(32a)의 가장자리에 개방부(21) 가장자리의 대나무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스커트부(32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나무 본체(20)의 개방부(21)를 차단하는 제 1차단부재(31)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개방부(21)가 형성된 대나무 본체(20)의 단부측 외주면에 가장자리에 하단부가 접합되는 플랙시블한 튜브부재(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튜브부재(33)는 비닐튜브, 상기와 같은 천연소재,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커버부재는 대나무 본체에 제1차단부재가 부착되지 않고 튜브부재가 접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튜브부재는 별도의 묶음부재(34)에 의해 묶음으로써 대나무 용기의 내부공간부를 외부와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튜브부재(33)과 대나무 본체의 결합은 별도로 대나무 본체에 부착되는 고정링(33a)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차단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차단수단(40)은 개방부(21)의 가장자리의 본체(20)에 결합되는 차단부재(41)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차단부재(41)는 상기 개방부(21)를 차단하기 하기 위한 본체부(41a)와, 상기 본체부(41)의 하면에 상기 대나무 본체(20)의 개방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홈(42)에 삽입되는 스커트부(41b)와, 상기 본체부(41)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하부를 감싸는 보조 스커트부(41c)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홈(42)과 스커트부(41b)는 개방부를 완전 밀폐할 수 있도록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41a)에는 본체부(41a)의 일부를 절제할 수 있는 고리(43)가 설치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차단수단(5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개방부가 형성된 대나무 본체(20)의 외주면과 개방부를 차단하는 뚜껑(51)의 대응되는 외주면에 상호 연결되며 결합부(52a)(52b)를 가지는 결합홈(52)을 형성하고, 이 결합홈(52)에 탄성력을 가지는 결합부재(53)가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나무 본체(20)의 상단부측과 뚜껑(51)의 하단부 측은 기밀 유지를 위하여 단차진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대나무 저장용기(20)는 대나무 용기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장하는 경우 음식물의 수분이 절단부위를 통하여 증발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대나무로부터 발생되는 음이온에 의해 음식물이 변화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 저장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대나무 저장용기(10)의 차단수단은 개방된 대나무 본체(20)와 커버(61)가 나사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에 상기 커버(61)의 하면 또는 대나무 본체의 하면에는 저장공간으로 노출되는 숯 부재(62)가 장착될 수 있다. 숯은 예로부터 인체에 유익한 효능이 있는 물질로 알려져 왔는데, 저장공간에서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음이온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대나무 본체의 하면에 숯을 설치한 경우 습기에 의해 곰팡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대나무 저장용기에 있어서, 차단수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나무 본체(20)의 개방부를 차단하는 커버(62)가 힌지수단(6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힌지수단(63)은 장석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대나무 저장용기는 대나무의 하부마디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차단수단의 커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 마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나무 본체(20)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대나무 본체와 커버의 결합부위는 인입 및 인출되는 물결무늬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도 9 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 저장용기(7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대나무 저장용기(70)는 대나무의 양 마디부분(71)(72)에 의해 양측이 폐쇄되고 이들 사이의 외주면에 개방부(73)가 형성된 대나무 본체(74)와, 상기 대나무 본체(74)의 측면에 마련된 개방부(73)를 개폐하는 개폐부재(75)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대나무 본체(74)와 개폐부재(75)의 절단면에는 상기 실시예들과 같이 파라핀 또는 아교로 이루어져 삼투압 현상에 의해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는 코팅층(23)이 형성된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마디를 가지는 대나무를 이용하여 다수의 저장공간을 가지는 대나무 본체(81)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개폐부재(82)는 개방부의 형성을 위하여 절재된 대나무편 또는 별도의 마개(도 11참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나무 본체의 절단부 또는 마디를 이루는 측면 즉, 내부공간부를 차단하는 측면에 삼투압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층(23)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12에는 천연소재로 이루어진 차단수단에 의해 대나무 본체(20)의 개방부가 차단된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 저장용기는 대나무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보관시 대나무의 고유 향과 음이온의 발생으로 인하여 음식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된장, 고추장, 게장 등의 발효식품의 경우 저 장공간 내부에서는 젖산균과 유산균의 발효가 억재되므로 신선함을 오래 유지할 수 있으며, 발효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특히 대나무에는 미네랄 성분이 고로쇠수액보다 7배이 이상 많으며, 골다공증예방에 좋은 칼슘이 다량 포함되어 있고, 노화방지, 두통, 신경쇠약, 토혈, 번조 소아,열간 등 다양한 약리효능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성분이 음식물에 녹아들어 음식물의 기능을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인의 실험에 의하면 숙성되지 않은 김치를 대나무 통에 저장하고 외부에서 숙성 시 신맛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숙성시킬 수 있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 저장용기는 대나무 고유의 효능으로 저장되는 음식물 또는 음료의 저장상태가 양호하게 지속될 수 있도록 하며, 절단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삼투압현상에 의한 수분이 절단면을 통해 외부로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대나무의 마디에 의해 폐쇄되고, 일측에 개방된 개방부을 가진 저장공간을 구비한 대나무 본체와;
    상기 대나무 본체의 절단면에 형성되어 내부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 하는 코팅층과,
    상기 대나무 본체의 개방부를 차단하는 차단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저장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파라핀, 아교, 천연방수재중 선택된 하나의 코팅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저장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대나무 본체의 상면에 접착되어 개방부를 차단하는 1차 차단부재와, 상기 대나무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저장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대나무 본체의 개방부의 내측 또는 외측 가장자리에 하단부가 접촉되는 프랙시블한 튜브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저장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개방부를 차단하기 위한 위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대나무 본체의 개방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홈에 박히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에는 본체부의 일부를 절제할 수 있는 고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저장용기.
KR20070006426U 2007-04-18 2007-04-18 대나무 저장용기 KR200444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6426U KR200444380Y1 (ko) 2007-04-18 2007-04-18 대나무 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6426U KR200444380Y1 (ko) 2007-04-18 2007-04-18 대나무 저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829U true KR20080004829U (ko) 2008-10-22
KR200444380Y1 KR200444380Y1 (ko) 2009-06-10

Family

ID=41349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06426U KR200444380Y1 (ko) 2007-04-18 2007-04-18 대나무 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38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44650S1 (en) 2020-05-12 2022-03-01 Ryan A. Eggers Tubular container
USD958658S1 (en) 2020-05-12 2022-07-26 Ryan A. Eggers Closure for tubular contai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773B1 (ko) * 2014-01-07 2016-02-12 김영선 대나무 용기 및 그것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44650S1 (en) 2020-05-12 2022-03-01 Ryan A. Eggers Tubular container
USD958658S1 (en) 2020-05-12 2022-07-26 Ryan A. Eggers Closure for tubular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380Y1 (ko)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4380Y1 (ko) 대나무 저장용기
KR200434591Y1 (ko) 식품 포장용기
WO2024032618A1 (zh) 储物单元、盖体及容器
JP2008174278A (ja) 加工食品用容器
CN205418377U (zh) 花茶包装罐
CN203958817U (zh) 一种防潮防霉防虫的包装盒
KR102160576B1 (ko) 생고추냉이와 회 간장의 진공 포장체
CN212606831U (zh) 一种自封袋
CN206630170U (zh) 一种密封餐盒
KR200410184Y1 (ko) 대나무통 포장용기
CN219278293U (zh) 一种茶包的防潮防菌包装
CN206026168U (zh) 自动闭合式防潮调味盒
CN206476278U (zh) 一种茶叶存储罐
CN208199317U (zh) 自助式火锅套装底料
CN207417430U (zh) 一种茶叶罐
CN205819847U (zh) 一种茶叶包装盒
KR200428111Y1 (ko) 조미료 용기
CN216995831U (zh) 一种食品包装盒
CN201010159Y (zh) 双密封保鲜盖
KR100833320B1 (ko) 음식물 보관통
KR200486910Y1 (ko) 기능성 파우치
CN217865486U (zh) 一种具有吸潮防异味的食品包装盒
JP3156691U (ja) 食品の収容容器
JP3194779U (ja) 弁当箱
CN202265030U (zh) 一种多功能易用保鲜塑胶瓶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