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111Y1 - 조미료 용기 - Google Patents

조미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111Y1
KR200428111Y1 KR2020060017114U KR20060017114U KR200428111Y1 KR 200428111 Y1 KR200428111 Y1 KR 200428111Y1 KR 2020060017114 U KR2020060017114 U KR 2020060017114U KR 20060017114 U KR20060017114 U KR 20060017114U KR 200428111 Y1 KR200428111 Y1 KR 2004281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soning
container
container body
open
season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1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윤
최현우
송인상
김해경
유홍훈
최현찬
고기훈
Original Assignee
태경농산주식회사
삼화실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경농산주식회사, 삼화실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경농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71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1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1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1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4Shakers for salt, pepper, sugar,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6Humid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4Influencing taste or nutritional properties

Abstract

본 고안은 조미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어 내부를 밀폐하되, 분말용 조미료의 토출을 위한 다수의 토출공이 형성된 뚜껑으로 이루어진 조미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하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된 하면의 최외각부는 외측방향으로 말아 올려진 형태의 결합편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된 하면은 상기 결합편과 상기 개방된 하면을 향하여 오목부로 이루어져 중공부를 가지며 통풍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중간캡 및 그 아래 위치하며 평평한 바닥면을 갖는 마감캡의 결합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중간캡의 중공부에는 흡습제가 삽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용기, 분말용, 조미료, 습기, 흡습제

Description

조미료 용기{Seasoning contain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미료 용기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미료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미료 용기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조미료 용기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용기 본체 111 : 결합편
120 : 뚜껑 121 : 토출공
130 : 중간캡 131 : 오목부
132 : 중공부 140 : 마감캡
150 : 흡습제 160 : 조미료
본 고안은 조미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춧가루, 소금, 후춧가루 등의 분말용 조미료를 담아 보관함에 있어서, 보관된 분말용 조미료가 습기에 의해 덩어리 상태로 뭉치거나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조미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미료 용기는 분말용 조미료를 보관할 뿐만 아니라 보관된 분말용 조미료의 정량 토출을 용이하게 해야 하며, 휴대용으로 사용할 시 분말용 조미료가 밖으로 토출되지 않게 뚜껑이 견고하게 닫혀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원통형 또는 다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내부에 분말용 조미료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 상면에 결합되어 내부를 밀폐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조미료 용기가 제공되었다.
그러면,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조미료 용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미료 용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종래 고안에 따른 조미료 용기(100)는, 내부에 일정량의 분말용 조미료(160)를 담아 보관하는 용기 본체(110)와, 다수개의 토출공(121)이 형성된 뚜껑(120)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뚜껑(120)은 용기 본체(110)에 나사 방식 또는 끼움 방식 등과 같은 결합 방법에 의해 고정되어 용기 본 체(110)에 담긴 분말용 조미료를 외부와 차단 즉, 밀폐시켜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뚜껑(120)에 형성된 토출공(121)은 원터치 형태의 마개에 의해 개폐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판에 의한 개폐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조미료 용기(100)에 보관된 분말용 조미료(160)는 일반적으로 조금씩 사용되므로 한번 보관되면 장기간 보관되며, 사용할 때마다 뚜껑(120)을 열고 닫아 필요한 정량만큼 인출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용기 본체(110) 내에 분말용 조미료(160)가 장기간 보관됨에 있어서, 뚜껑(120)의 개폐가 빈번하게 되면 용기 본체(1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로 인해 용기 본체(110) 내부에는 습기가 발생하고, 습기는 각종 세균을 유발시켜 보관된 조미료를 변질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110) 내부에 발생된 습기는 보관된 분말 상태의 조미료를 딱딱한 덩어리 상태로 응고시킴으로써, 분말 상태의 조미료의 크기에 맞게 형성된 토출공(121)으로 토출시킬 수 없기 때문에, 조미료 사용시, 정량을 인출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분말용 조미료를 조미료 용기에 담아 장기간 보관함에 있어서, 조미료 용기 내부에 흡습제를 구비하여 조미료 용기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제거하여 유입된 공기로 인해 습기 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미료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어 내부를 밀폐하되, 분말용 조미료의 토출을 위한 다수의 토출공이 형성된 뚜껑으로 이루어진 조미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하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된 하면의 최외각부는 외측방향으로 말아 올려진 형태의 결합편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된 하면은 상기 결합편과 상기 개방된 하면을 향하여 오목부로 이루어져 중공부를 가지며 통풍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중간캡 및 그 아래 위치하며 평평한 바닥면을 갖는 마감캡의 결합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중간캡의 중공부에는 흡습제가 삽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 고안의 조미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중간캡은, 종이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 고안의 조미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는, 탈산소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탈산소제는, 실리카겔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 명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병기하였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미료 용기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미료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미료 용기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조미료 용기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크게 뚜껑(120), 용기 본체(110), 중간캡(130) 및 마감캡(1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뚜껑(120)은 상기 용기 본체(110)의 상면을 덮는 덮개로써, 용기 본체(110)의 상면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조미료의 토출을 위한 다수개의 토출공(121)을 가지고 있다. 이때, 토출공(121)의 크기는 조미료의 종류에 따라 조절 가능하도록 소정 영역을 구분하여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110)는 원통형 또는 다면체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되어 있다. 상기 용기 본체(110)의 상면은 상기 뚜껑(120)과 통상적인 나사 방식이나 끼움 방식을 통해 결합되어 밀폐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용기 본체(110)는 개방된 하면의 최외각변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말아 올려져 굴곡진 형태로 형성된 결합편(111)을 가진다. 상기 결합편(111)은, 후술할 중간캡(130) 및 마감캡(140)이 상기 용기 본체(110)에 견고하게 결합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중간캡(130)은, 상기 용기 본체(110)의 하단부에 외측방향으로 말아 올려져 굴곡지게 형성된 결합편(111)과 그 가장자리 부위가 감아져 압착되어 결합되어 있으며, 그 중앙부가 상기 용기 본체(110)의 개방된 하면을 향하여 오목한 오목부(131)를 가진다. 이때, 상기 중간캡(130)은, 통풍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통풍 가능한 재질로 종이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중간캡(130)은, 그 아래 위치하는 마감캡(140)과 그 가장자리 부위가 압착되어 결합되어 있다.
다시 말하여, 상기 중간캡(130) 및 마감캡(14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 본체(110)의 결합편(111)과 압착 결합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용기 본체(110)의 개방된 하면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조미료 용기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한편, 상기 용기 본체(110)에 형성된 결합편(111)에 의해 중간캡(130) 및 마감캡(140)을 결합시키는 방법은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자명한 결합 방법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중간캡(130)은, 상기 용기 본체(110)의 개방된 하면을 향하여 형 성된 오목부(131)로 인해 이와 결합된 마감캡(140)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갖는 중공부(131)를 이룬다.
상기 중공부(131)에는 탈산소제로 이루어진 흡습제(150)가 삽입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습제(150)로 실리카겔을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미설명한 도면부호 160은 분말용 조미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미료 용기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조미료 용기(100)에 분말용 조미료(160)를 넣어 사용하거나 보관함에 있어서, 분말용 조미료(160)의 잦은 사용 즉, 뚜껑(120)의 빈번한 개폐로 인해 조미료 용기(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산소)를 상기 중간캡(130)과 마감캡(140) 사이에 삽입된 흡습제(150)를 통해 흡입하여 제거한다.
이때, 상기 중간캡(130)은 통풍이 가능한 재질인 종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조미료 용기(100) 내에 유입된 공기를 그 아래 위치하는 흡습제(150)를 통해 용이하게 흡입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 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조미료 용기 내에 유입된 공기를 탈산소제로 이루어진 흡습제를 이용하여 흡입 제거함으로써, 조미료 용기 내부에 습기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조미료 용기 내에 저장된 분말용 조미료가 습기로 인해 변질되거나 응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미료 용기 내에 저장된 분말용 조미료는 향이나 질이 떨어지지 않게 쾌적하고 신선한 상태로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다.

Claims (4)

  1.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어 내부를 밀폐하되, 분말용 조미료의 토출을 위한 다수의 토출공이 형성된 뚜껑으로 이루어진 조미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하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된 하면의 최외각부는 외측방향으로 말아 올려진 형태의 결합편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된 하면은 상기 결합편과 상기 개방된 하면을 향하여 오목부로 이루어져 중공부를 가지며 통풍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중간캡 및 그 아래 위치하며 평평한 바닥면을 갖는 마감캡의 결합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중간캡의 중공부에는 흡습제가 삽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캡은, 종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는, 탈산소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산소제는, 실리카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 용기.
KR2020060017114U 2006-06-26 2006-06-26 조미료 용기 KR2004281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114U KR200428111Y1 (ko) 2006-06-26 2006-06-26 조미료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114U KR200428111Y1 (ko) 2006-06-26 2006-06-26 조미료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111Y1 true KR200428111Y1 (ko) 2006-10-09

Family

ID=49297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114U KR200428111Y1 (ko) 2006-06-26 2006-06-26 조미료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1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310B1 (ko) * 2021-12-17 2023-01-1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싱크대의 상부장에 구비되는 조미료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310B1 (ko) * 2021-12-17 2023-01-1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싱크대의 상부장에 구비되는 조미료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5412B2 (ja) 吐出容器
JP5068607B2 (ja) 飲料用容器
JP6398150B2 (ja) 包装容器および蓋体
KR200428111Y1 (ko) 조미료 용기
CN211944219U (zh) 一种陶瓷茶叶罐
NO20075722L (no) Closure arrangement
USD540676S1 (en) Container lid
TW200708455A (en) Wet material storing container, and wet tissue packaging body
KR200383738Y1 (ko) 가루녹차용기
KR200444380Y1 (ko) 대나무 저장용기
KR101564506B1 (ko) 에어 타이트 타입의 화장품 리필 케이스
CN208979394U (zh) 一种新型茶叶储存盒
WO2008114905A1 (en) Dehumidifying structure for container cap
KR200311867Y1 (ko) 식품보관용기
JP3225196U (ja) 飲料用サーバー
CN216995831U (zh) 一种食品包装盒
CN220431047U (zh) 一种石墨烯材料储存装置
CN211559636U (zh) 食盐防潮罐
CN210520852U (zh) 一种粮食储存容器
KR102507957B1 (ko) 액체화장품용 재활용 용기
KR200209900Y1 (ko) 콤팩트 케이스
KR100833320B1 (ko) 음식물 보관통
RU2020131814A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бытовой санитарно-гигиенической бумаги
CN207417430U (zh) 一种茶叶罐
CN209634923U (zh) 一种高密度防潮档案存储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