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813A -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신뢰도 탐지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 Google Patents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신뢰도 탐지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813A
KR20080004813A KR1020060063593A KR20060063593A KR20080004813A KR 20080004813 A KR20080004813 A KR 20080004813A KR 1020060063593 A KR1020060063593 A KR 1020060063593A KR 20060063593 A KR20060063593 A KR 20060063593A KR 20080004813 A KR20080004813 A KR 20080004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lysis
service
voice
reliability
hierarch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3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주식회사 이지티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주식회사 이지티이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60063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4813A/ko
Priority to PCT/KR2007/003304 priority patent/WO2008004844A1/en
Priority to CNA2007800254097A priority patent/CN101485188A/zh
Publication of KR20080004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8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G10L25/63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for estimating an emotional stat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G10L15/30Distributed recognition, e.g. in client-server systems, for mobile phones or network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신뢰도 탐지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소정의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휴대 단말 사용자들의 음성을 계층형 음성 분석(Layered Voice Analysis)을 통해 실시간 신뢰도를 탐지하고, 해당 사용자들의 통화 종료 후 신뢰도 탐지에 따른 분석 결과 및 분석 결과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제공한다.
계층형 음성 분석, 신뢰도 탐지, 긴급 통화, 면접

Description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신뢰도 탐지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Reliability detection system for Layered Voice Analysis and the service method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신뢰도 탐지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층형 음성 분석 서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신뢰도 탐지 서비스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허위 신고 탐지 서비스 흐름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뢰도 탐지에 따른 SMS(Short Message Service) 최종 결과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뢰도 탐지에 따른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최종 결과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뢰도 탐지에 따른 휴대 전화 인터넷 서비스를 통한 최종 결과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7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뢰도 탐지에 따른 웹을 통한 최종 결과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7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뢰도 탐지에 따른 웹을 통한 최종 결과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0: 계층형 음성 분석 서버 200: 통신부
210: 분석 대상 변환부 220: 음성 추출부
230: 음성 분석부 240: 컨텐츠 저장부
250: 분석 결과 저장부
본 발명은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신뢰도 탐지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휴대 단말 사용자들의 음성을 계층형 음성 분석을 통해 실시간 분석을 하여 신뢰도를 탐지하고, 신뢰도 탐지에 대한 분석 결과 및 이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해당 사용자들에게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제공하는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신뢰도 탐지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특2000-0058299 신뢰도 탐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신뢰도 탐지 방법에서는 신뢰도 탐지를 위해 음성 분석 대상자의 음파를 분석하는 폴리그래프(Polygraph) 프로그램을 내장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 여 음성 분석 대상자의 음성 데이터 분석을 위해 칼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이용하고 있다. 칼리브레이션은 음성 분석 대상자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사전에 입력받아 분석한 뒤 해당 데이터 값을 저장해 두어야 하는데, 이를 이용할 경우 음성을 입력하는 시간이나 주위 환경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음성 분석에 대한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단방향 서비스가 이루어지므로 서비스에 대한 확장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특2003-0033890 사용자의 음성 정보 분석을 통한 사이버 비서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음성 인식 기술 중의 하나인 화자 적응 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개인 관리 정보를 사전에 입력받아 해당 사용자에 대한 음성을 분석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의 감성 상태나 신체 상태의 체크가 음성 데이터의 문법 구조 및 언어상 의미를 해석하고, 언어해석 정보 및 계산된 문턱화 수치에 의존함으로써, 사용자의 감성 상태 및 신체 상태의 파악에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화자 적응 방식의 구성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특2005-0123377 동화상 온라인 면접 시스템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전송장치는 구인/구직을 위한 면접 동영상이나 자기소개 동영상을 구인/구직을 원하는 사용자가 직접 제작하고, 제작된 동영상 데이터를 구인 회사에 실시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디지털 영상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당 발명에서는 동영상 제작과 제작된 동영상의 제공이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 지기는 하나, 채용 면접의 특성상 면접관과 면접자 간에 쌍방향의 대화형 면접 으로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면접 훈련을 목적으로 할 경우 면접자에 대한 면접 자세 또는 심리 상태 및 올바른 면접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해당 발명에서는 이러한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종래 기술들에서는 대체적으로 음성 분석 대상자에 대한 분석 결과의 신뢰도가 낮다는 문제가 있으며, 해당 결과에 대한 조언 또는 현재 상태에서의 극복 방안 제시가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휴대 단말 사용자들의 음성 파일에서 음성 분석 대상자를 분리하여 계층형 음성 분석을 통해 음성 분석 대상자의 신뢰도를 실시간 탐지하여 제공하고, 신뢰도 탐지에 따른 분석 결과 및 컨텐츠를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음성 녹음 파일과 함께 제공하는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신뢰도 탐지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사항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 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신뢰도 탐지 시스템은 소정의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을 수행하는 발신자 및 수신자는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발신자 또는 수신자 중 적어도 한 명을 음성 분석 대상자로 자동 변환하여 음성 분석 대상자의 음성을 추출 및 분석하여 분석에 따른 결과를 발신자 또는 수신자에게 제공하는 계층형 음성 분석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긴급 통화의 신뢰도 탐지 서비스 방법은 발신자 또는 수신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형태에 상응하는 단축키 입력을 통해 서비스에 상응하는 신뢰도 탐지 대상으로 변환되는 단계, 신뢰도 탐지 대상의 음성이 추출 및 분석되어 신뢰도 지수를 판단하여 이에 상응하는 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최종 분석 결과 제공을 위해 통화 연결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면접에 대한 신뢰도 탐지 서비스 방법은 긴급 통화 버튼을 통해 음성 분석 대상자를 변환하여 해당 음성 분석 대상자의 음성 추출 및 분석을 통해 허위 신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허위 신고 여부에 따라 음성 분석 대상자에 대한 음성 분석 결과가 제공되는 단계 및 허위 신고자의 상습범 여부를 판단하여 음성 분석 결과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신뢰도 탐지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신뢰도 탐지 시스템은 발신자(100), 이동 전화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110, 160), 홈 위치 레지스터(Home Location Register)(120)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 소정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140) 및 음성 분석 장치(150)를 포함하는 계층형 음성 분석 서버(Layered Voice Analysis Server)(130), 단문 서비스 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180), 수신자(170)를 포함할 수 있다.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신뢰도 탐지 시스템의 구성은 이에 국한 되지 않으며, 이들로부터 파생되거나 조합 가능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뢰도 탐지를 위한 계층형 음성 분석은 뇌에 대한 매체로서 음성을 사용하여 뇌 활동의 청사진을 그리고 화자의 완전한 정서 체계를 분석하는 기술로 음성 분석 대상자들간의 대화 내용이 아닌 대화를 함으로써 발생되는 뇌 활동에 초점을 두고 있다.
즉, 계층형 음성 분석은 무엇을 말하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말을 하느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계층형 음성 분석은 신속하고 즉각적인 분석을 위해 온라인(On Line) 상에서 실시간(Real Time) 분석이 수행될 수 있고, 미리 녹음된 자료의 심층 분석을 위해 오프라인(Off Line) 분석이 수행될 수도 있다.
발신자(100) 및 수신자(170)는 휴대 단말, 예를 들어, 휴대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Tablet PC, 일반 전화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사용자들로 해당 기기들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 및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양자간 일대일 통신이 수행될 수도 있고, 다자간 통신이 수행될 수도 있다.
발신자(100) 및 수신자(120)를 연결하는 소정의 통신망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인터넷 망, 공중 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종합 정보 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가입자 망,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통상적인 이동 통신망의 이동 전화 교환국(110, 160)은 발신자(100) 또는 수신자(170)가 가입한 각 이동 전화 기지국에서 발신 또는 착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이동 전화 기지국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조정하는 중앙 통제기능을 수행하며, 무선링크와 유선링크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동체와 고정된 전화망(이동 전화 기지국)간 또는 다른 통신망과 접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홈 위치 레지스터(120)는 통상적인 무선 통신 교환기에서 이용되는 것으로 이동 통신 가입자의 단말기 정보, 가입 정보, 위치 정보 및 인증 기능 등을 지닌 이동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이다. 홈 위치 레지스터는 이동 전화 교환국(110, 160)과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Visitor Location Register) 노드와 더불어 신호 망 프로토콜(SS7)을 제어하고, 또한 입중계 호(incoming call)를 완료하고 가입자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와 함께 트랜잭션을 수행한다.
계층형 음성 분석 서버(130)의 음성 분석 장치(15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발신자(100) 및 수신자(170) 음성 중 적어도 한 명의 음성을 추출하여 음성 분석을 수행하여 음성 분석 결과 및 이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발신자(100) 또는 수신자(1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분석 결과에 상응하는 컨텐츠는 계층형 음성 분석 서버(130)의 저장 장치(14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들은 후술 되는 도 2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단문 서비스 센터(180)는 발신자(100) 및 수신자(170)의 휴대 단말기 간, 또는 휴대 단말기와 SME(Short Message Entity)들 사이에 한정된 크기의 문자(단문) 형태로 전달하는 통신 서비스로서 임의의 순간에 수신할 수 없는 착신 가입자에게 전송되는 단문을 그 가입자가 수신할 수 있을 때까지 저장하였다가 전달하여 주고 통화중인 착신 가입자에게도 전달할 수 있다.
즉, 계층형 음성 분석 시스템을 기반으로 신뢰도 탐지를 위한 소정의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해당 서비스 가입자는 실시간 음성 분석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고, 통화가 종료된 후 단문 서비스 센터(180)를 통해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유선 또는 무선의 인터넷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소정의 분석 결과 및 컨텐츠를 제 받을 수 있다.
서비스별 음성 분석 결과 및 컨텐츠의 제공은 후술 되는 도 6a, 도 6b, 도 7, 도 8a, 도 8b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층형 음성 분석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층형 음성 분석 서버(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200), 분석 대상 변환부(210), 음성 추출부(220) 및 음성 분석부(230)를 포함하는 음성 분석 장치(150), 소정의 저장 장치(140)인, 분석 결과 저장부(240), 컨텐츠 저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계층형 음성 분석 서버(130)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음성 분석 장치(150)는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oftware Development Kit, 이하 SDK 라고 함)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들을 기반으로 하는 소정의 서비스들은 SDK의 구현 방식에 따라 그 형태가 상이할 수 있다.
먼저, 계층형 음성 분석 서버(130)의 통신부(200)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소정의 입출력 수단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이동 전화 교환국(110, 160) 및 단문 서비스 센터(180)와 소정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소정의 송수신 정보는 이동 전화 교환국(110, 160)의 통상적인 정보 및 이를 통해 제공될 수 있는 음성 분석 대상자의 음성 녹음 파일이 포함될 수 있고, 단문 서비스 센터(18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는 소정의 정보는 음성 분석 대상자의 음성 분석 결과와 이에 상응하는 컨텐츠들이 포함될 수 있다.
분석 대상 변환부(210)는 통신부(200)를 통해 입력되는 발신자(100) 또는 수신자(170)의 음성 중 적어도 한 명의 음성에 대해 음성 분석 대상자로 분리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분석 대상은 수신자(170)가 바람직 하지만, 서비스 형태에 따라 발신자(100)가 될 수도 있다. 즉, 음성 분석 대상자는 서비스 형태 및 서비스 가입 여부에 따라 발신자(100) 또는 수신자(170) 중 적어도 한 명이 될 수 있다.
음성 추출부(220)는 분석 대상 변환부(210)에서 변화된 음성 분석 대상자의 음성 파일에서 소정의 음성 파라미터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입력되는 음성 파일은 6/8/11KHz, 8/16bit, 모노/스테레오의 압축되지 않은 PCM(Pulse Code Modulation) 포맷(format)의 웨이브(Wav)파일로 구성될 수 있다.
음성 분석부(230)는 음성 추출부(220)에서 추출된 음성 파라미터들을 바탕으로 최대 8가지의 음성 분석 공식을 이용하여 9가지의 기본 감정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음성 분석부(230)에서의 최대 8가지의 음성 분석 공식은 거짓말 스트레스 분석 공식, 자극 지수 분석 공식, 주목 지수 분석 공식, 감정 지수 분석 공식, 투쟁 또는 갈등 지수 분석 공식, 사기 및 기만 유형 조합 분석 공식, 신뢰도 평가를 위한 추가적인 공식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음성 분석부(230)는 이러한 분석 공식을 통해 흥분, 혼란/확신, 일반적인 스트레스, 지적 노력, 대화 회피, 집중, 기대, 사랑에 관한 감정들로 음성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음성 분석부(230)를 통한 음성 분석은 신속하고 즉각적인 분석을 위해 온라인(On Line) 상에서 실시간(Real Time) 분석이 수행될 수 있고, 미리 녹음된 음성 파일에 대한 심층 분석을 위해 오프라인(Off Line) 상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음성 추출부(220) 및 음성 분석부(230)를 통한 음성 분석 결과는 온라인상의 분석 파라미터들이 포함되는 실시간 분석 결과, 스트레스 분석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스트레스 분석 결과, 사랑 분석 결과를 생성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이 포함되는 사랑 분석 결과 및 음성 분석을 위한 기본 설정 정보들이 포함되는 대화 설정 결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스트레스 분석 결과의 경우 최종 신뢰도 결과가 될 수 있는 것으로 백분율(%) 값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4개의 분석 결과 중 실시간 분석 결과는 음성 분석 대상의 대화 중 흥분 정도를 나타내는 흥분 지수, 음성 분석 대상이 자신의 말에 대한 확신 정도를 나타내는 판단 지수, 현재 상황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인식한 음성 분석 대상자의 스트레스 정도를 나타내는 스트레스 지수, 음성 분석 대상자가 대답을 찾으려고 노력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사고 지수, 음성 분석 대상자의 대화 유지 여부를 나타내는 S.O.S(Say or Stop) 지수들과 분석 결과에서 가장 의미가 있는 최종 감정 지수 및 최종 신뢰 지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을 이용한 신뢰도 탐지 서비스들은 후술되는 도 3, 도 4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분석 결과 저장부(240)는 전술한 4개의 분석 결과 값들이 저장될 수 있고, 각각의 결과 값들은 서비스 형태에 따라 발신자(100) 또는 수신자(1710)들이 활용할 수 있다.
컨텐츠 저장부(250)는 음성 분석 결과에 상응하는 소정의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음성 분석 결과에 상응하는 소정의 컨텐츠들은 서비스 형태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분석 결과 저장부(240)에 저장되는 음성 분석 결과와 컨텐츠 저장부에 저장되는 소정의 컨텐츠들의 제공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유선 또는 무선의 인터넷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발신자(100) 또는 수신자(170)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신뢰도 탐지 서비스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신뢰도 탐지 서비스는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휴대 단말을 구비하는 발신자(100) 및 수신자(170) 중 적어도 한 명이 음성 분석 대상자로 변환되고, 계층형 음성 분석을 통해 음성 분석 대상자의 신뢰도를 탐지하는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수신자(170)를 음성 분석 대상자로 하여 수신자(170)에 대한 신뢰도 탐지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
먼저, 발신자(100)는 수신자(170)의 신뢰도 탐지를 위해 휴대 전화의 입력 장치(미도시)를 통해 소정의 단축키를 입력할 수 있다(S300).
신뢰도 탐지를 위한 소정의 단축키는 *007 + 수신자 전화 번호의 형태가 될 수도 있고, 휴대 전화를 통한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는 수신자 전화 번호 + 소정의 단축 키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단축키의 입력 방법 및 형태는 발신자(100)가 이용 가능한 통신망, 휴대 단말, 서비스 형태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발신자(100)에 의해 단축키가 입력되면(S300), 해당 발신자(10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S305).
사용자 인증은 발신자(100)의 서비스 가입을 전제로 할 수 있으며, 가입 시 발신자(100) 정보를 바탕으로 자동 인증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뢰도 탐지 서비스 이용을 위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면(S305), 발신자(100)는 음성 분석 서버(130)에 접속될 수 있다(S310).
이때, 발신자(100)는 신뢰도 탐지 서비스에 대한 공지 받을 수 있고, 수신자(170)와의 통화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신뢰도 탐지 서비스에 대한 공지는 음성 안내 형태로 공지될 수 있으며, 신뢰도 탐지 서비스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 및 정보 이용료에 대한 설명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안내는 최초 접속 시 한 번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신자(100)와 수신자(170) 간에 송수신 되는 대화 내용, 음성 파일은 계층형 음성 분석 서버(130)의 통신부(20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통신부(200)를 통해 입력되는 소정의 음성 파일들은 분석 대상 변환부(210)에서 수신자(170)로 음성 분석 대상이 변환되어(S315) 음성 분석 대상자의 음성만 추출되어 음성 추출부(220)로 전송될 수 있다.
음성 추출부(220)는 수신자(170)의 음성 파일에서 소정의 음성 파라미터를 추출하고(S320), 추출된 음성 파라미터를 음성 분석부(230)로 전송한다.
음성 파일들은 64Kbps(8Kbytes/sec)로 송수신 될 수 있으며, 6/8/11KHz, 8/16bit 모노/스테레오의 압축되지 않은 PCM(Pulse Code Modulation) 포맷(format)의 웨이브(Wav)파일로 구성될 있다.
음성 분석부(230)는 추출된 음성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음성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S325).
음성 분석을 통해 제공되는 분석 값들에는 4개의 분석 값들이 포함될 수 있지만, 신뢰도 탐지 서비스에서는 실시간 분석 결과에 포함되는 흥분 지수, 판단 지수, 스트레스 지수, 사고 지수, S.O.S(Say Or Stop)지수, 최종 감정 지수 및 최종 신뢰 지수들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
실시간 분석 값들 중 흥분 지수, 판단 지수, 스트레스 지수, 사고 지수, S.O.S 지수는 그래프 형태로 도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종 감정 지수는 문자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는 분석 값은 소정의 음성, 색, 문자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될 수 있는 최종 신뢰 지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성 분석이 수행되면(S325), 통화 종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30).
통화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현재 수신자(170)에 대해 실시간 분석을 수행할 것인지 통화 종료 후 최종 분석 결과만을 제공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통화 종료 여부 판단 결과(S330) 분석된 신뢰도 지수가 2 보다 큰지 혹은 작은지를 판단할 수 있다(S335).
신뢰도 지수의 범위는 서비스 제공 업체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신뢰도 지수의 범위를 0~4로 설정하였으며, 신뢰도에 대한 분석 결과를 소정의 비프 음 또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한 색깔로 표시할 수 있다.
다음은 신뢰도 지수별 표시 색과 비프 음 출력 정도를 상술한 것이다.
0~4까지의 범위로 설정된 신뢰도 지수가 0인 경우는 진실을 의미하며, 녹색 또는 무음으로 현재 수신자(170)가 진실을 말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고, 신뢰도 범위가 1과 2인 경우는 의심과 부정확을 의미하는 것으로 노란색과 오렌지색 또는 무음으로 현재 수신자(170)의 말을 의심해 볼만하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반면, 신뢰도가 3인 경우는 수신자(170)의 말이 신뢰도가 낮다는 것으로 검은색 또는 약한 비프 음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신뢰도가 4인 경우는 수신자(170)의 말이 거짓을 의미하는 것으로 비프 음을 크게 또는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빨간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신뢰도 판단에 따라 해당 수신자(170)의 신뢰도 지수가 2 보다 큰 경우는 소정의 비프 음과 색이 표시될 수 있다(S340). 소정의 비프 음은 신뢰도 지수가 클수록 그 음 또한 크게 출력될 수 있다.
반면, 신뢰도 지수가 2보다 작은 경우는 수신자(170)의 음성 분석 결과 진실 혹은 의심의 수준이 될 수 있으므로 비프 음을 출력하는 것보다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신뢰도 지수 0, 1에 상응하는 결과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간 분석에 따른 분석 결과가 출력되면(S340, S345), 음성 분석 단계(S325)로 피드백되어 앞선 과정들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통화 종료 판단 단계(S330)에서 수신자(170)와의 통화가 종료되면, 최종 분석에 따른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고,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을 위해 서비스 이용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350).
최종 분석에 대한 분석 결과는 앞서 언급한 흥분 지수, 판단 지수, 스트레스 지수, 사고 지수, S.O.S 지수 최종 감정 지수 및 최종 신뢰도 지수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휴대 인터넷 서비스,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발신자(100)에게 제공될 수 있다(S355).
통화 종료 후 제공될 수 있는 최종 분석 결과 값들은 후술 되는 도 6a, 도 6b, 도 7, 도 8a, 도 8b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허위 신고 탐지 서비스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긴급 통화 서비스는 공중 전화망을 이용하는 유선 전화 또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는 휴대폰 사용자가 공익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나 공공기관에 통화 시도 시 해당 기관들에서 음성 분석 대상을 발신자(100)로 하여 허위 신고 여부를 탐지하는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음성 분석 대상이 공공기관, 예를 들어, 111, 112, 113, 119에 긴급 통화를 시도하는 발신자(100)가 될 수 있으며, 음성 분석 대상 변환에 요구되는 단축키 입력은 해당 실시예에서는 긴급 통화키가 이를 대처할 수 있다. 즉, 긴급 통화 시는 별도의 단축키 입력이 요구되지 않으며, 음성 분석 대상을 발신자(10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허위 신고 탐지 서비스에 대한 별도의 공지를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긴급한 상황임을 인지한 발신자(100)가 소정의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긴급 통화를 시도할 수 있고, 해당 통화 시도에 따라 긴급 통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00).
발신된 신호가 긴급 통화로 판단되면(S400), 발신자(100)는 계층형 음성 분석 서버(130)로 접속 될 수 있다(S405). 계층형 음성 분석 서버(130)로 접속된다는 것은 발신자(100)가 이용하는 휴대 단말을 통해 송수신 되는 음성 데이터들이 해당 서버에서 소정의 프로세스들을 통해 분석되어 발신자(100)의 허위 신고 여부를 탐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발신자(100)가 계층형 음성 분석 서버(130)로 접속이 되면(S405), 분석 대상자 변환부(140)는 분석 대상 변환부(210)에서 음성 분석 대상을 발신자(100)로 자동 변환 할 수 있다(S410).
음성 분석 대상의 변환이 완료되면(S410), 통신부(200)를 통해 입력되는 발신자(100)의 음성이 음성 추출부(220)로 음성 파일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발신자(100)의 음성 파일을 입력받은 음성 추출부(220)는 해당 음성 파일에서 소정의 음성 파라미터를 추출할 수 있고(S415), 추출된 소정의 음성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음성 분석이 수행되어(S420) 허위 신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25).
허위 신고 판단 결과 발신자(100)의 신고 내용이 허위가 아닌 경우 해당 발신자(100)의 정보가 추출되고, 해당 정보들이 분석 결과 저장부(240)에 저장될 수 있으며(S430), 이들 정보를 바탕으로 긴급 상황 신고자인 발신자(100)에게 긴급 상황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435).
즉, 발신자(100)는 긴급 상황별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자신 또는 제삼자가 처한 상황에서 119 긴급 구조대 또는 경찰이 출동하기 전에 현재의 상황에서 탈출 을 하거나 구조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긴급 상황별 정보 제공은 발신자(100)가 긴급 상황에 처한 사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및 통화 상태 유지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S440).
한편, 발신자(100)의 신고가 허위 신고로 판단될 경우 발신자(100)의 정보가 추출되어 분석 결과 저장부(240)에 저장되어(S440)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허위 신고에 대한 경고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S445).
경고 메시지 전송 후 허위 신고자에 대한 상습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50).
상습범 판단 결과 현재 허위 신고자가 상습범으로 판단되면, 경고 메시지가 재전송될 수 있다(S455). 이때의 경고 메시지는 허위 신고에 대한 경고 및 현재까지 누적된 허위 신고 횟수가 포함될 수 있으며, 허위 신고 누적 횟수에 따른 법적 조치 사항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허위 신고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은 상습적인 허위 신고자에 대한 경각심 유발과 통화 종료를 유도하기 위함이다.
경고 메시지 전송 후 해당 발신자의 통화 종료 여부를 판단하여(S460) 통화가 종료되면, 허위 신고 탐지 서비스가 종료될 수 있지만, 계속 연결된 상태라면, 자동 응답으로 전환되어 허위 신고자에 대한 통화 종료를 다시 한번 유도할 수 있다(S465).
상습범 판단 단계(S450)에서 현재의 발신자(100)가 허위 신고자이지만, 상습 범이 아닌 경우는 허위 신고여부를 재판단 할 수 있다(S425).
허위 신고의 재판단 과정들은 전술한 과정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뢰도 탐지에 따른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결과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뢰도 탐지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는 결과 제공 방법은 도 3, 도 4, 도 5에서 전술한 소정의 서비스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중 하나로 발신자(100)와 수신자(170)간의 통화가 종료 된 후에 제공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통한 결과 제공은 분석 결과 저장부(240)에 저장될 수 있는 음성 분석 결과 및 분석 결과에 상응하는 컨텐츠가 저장되는 컨텐츠 저장부(250)의 소정의 정보들이 단문 메시지 센터(180)를 통해 발신자(100) 또는 수신자(170)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는 통화 정보(500), 최종 신뢰도 지수(510), 탐지 횟수(520) 휴대 전화 인터넷 서비스 URL(530)을 포함할 수 있다.
통화 정보(500)는 발신자(100)와 수신자(170)의 007 콜 통화 내역이 개략적으로 도신된 것으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통화 정보들인, 수신자(170) 번호, 통화 일시 및 통화 시간이 도시될 수 있다.
신뢰도 지수(5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 그래프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며, 신뢰도 = 진실 탐지 횟수 / (진실 횟수 + 거짓말 횟수) * 100(%)로 계산되어 수신자(170)에 대한 신뢰도가 %로 도시될 수 있다.
신뢰도 지수(510)의 그래프 형태는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깜빡임 효과 또는 천천히 그래프가 그려지는 효과로 도시될 수 있으며, 소정 범위를 설정하여 색깔을 다르게 표시할 수도 있다.
탐지 횟수(520)는 신뢰도 탐지에 따른 실시간 분석 결과인 부정확(거짓말) 지수, 진실 지수, 대화회피 지수, 흥분 지수, 판단 지수, 스트레스 지수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지수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탐지된 횟수로 표시할 수도 있고, 측정 결과에 상응하는 그래프 형태로 도시될 수도 있다.
그래프 형태로 도시될 경우 각각의 탐지 횟수들의 범위는 30% ~ 300%가 될 수 있고, 100% 를 정상 값으로 하여 도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범위는 서비스 제공업체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한편, 대화회피 탐지 횟수는 전술한 S.O.S 지수로 전체 범위를 0~20로 설정하였을 경우 정상 범위는 7~10이 될 수 있다. 7 미만의 경우 주의를 기울이지 않은 대답 또는 자유 대화를 의미하며, 10 이상인 경우는 수신자(170)가 자신이 말한 내용을 후회하며, 주제에 대하여 말할 것이 더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휴대 전화 인터넷 서비스 URL(530)는 도시된 최종 결과에 대한 상세 조회를 위한 것으로 통화 버튼(미도시)을 입력함으로써 휴대 전화의 ME 또는 KUN 브라우저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결과는 전술한 도 3, 도 4 서비스들의 형태에 따라 분석 결과가 상이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업체에 따라 분석 결과에 따른 그 래프의 형태 및 그 내용들이 상이할 수 있다.
도 3의 경우는 통상적인 신뢰도 탐지에 대한 결과가 될 수 있지만, 도 4의 경우는 허위 신고에 대한 경고 메시지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위 신고의 신뢰도 지수(510)의 막대 그래프를 경광등 효과를 주기 위해 깜빡임 효과로 도시할 수 있고, 효과음으로 사이렌 소리를 출력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허위 신고 누적 횟수에 따라 허위 신고에 따른 피해 사례 혹은 허위 신고에 상응하는 법적 조치들을 포함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반면, 허위 신고가 아닌 경우는 음성 분석에 대한 신뢰도를 도시하는 것보다 긴급 상황에서의 대처 법 또는 구조 방법들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발신자(100)가 지하철 역에 갇혀 있는 상황에서 구조 요청을 하였을 경우 119 구조대에서 해당 지하철 역에서의 비상 탈출구 정보를 제 할 수도 있고, 응급 처치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뢰도 탐지에 따른 SMS(Short Message Service) 결과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뢰도 탐지에 따른 단문 메시지 서비스 결과 제공은 전술한 도 6a와 마찬가지로 도 3, 도 4의 소정의 서비스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중 하나로 발신자(100)와 수신자(170)간의 통화가 종료 된 후에 제공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 결과 제공 역시 분석 결과 저장부(240)에 저장될 수 있는 음성 분석 결과 및 분석 결과에 상응하는 컨텐츠가 저장되는 컨텐츠 저장 부(250)의 소정의 정보들이 단문 메시지 센터(180)를 통해 발신자(100) 또는 수신자(170)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서비스에 대한 분석 결과는 기본 정보(550a)와 상세 정보(550b)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기본 정보(550a)는 음성 분석 대상자인, 수신자(170) 번호와 해당 수신자(170)의 신뢰도 지수, 상세 조회 연결에 대한 개략적인 내용(560)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세 정보(550b) 에서는 신뢰도 탐지에 대한 결과를 기본 정보(550a)의 경우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진실도, 부정확, 진실, 대화 회피에 대한 탐지 횟수와 통상적인 스트레스 탐지 횟수(570)를 포함할 수 있다.
기본 정보(550a) 또는 상세 정보(550b)로 제공 될 수 있는 단문 메시지에서 상세 조회를 원할 경우 발신자(100)는 통화키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은 My 007 콜(580)을 통해 수신자(170)의 신뢰도에 대한 결과를 상세하게 조회할 수 있다.
상세 조회는 후술 되는 도 6, 도 7a 도 7b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뢰도 탐지에 따른 휴대 전화 인터넷 서비스를 통한 결과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뢰도 탐지에 따른 휴대 전화를 통한 인터넷 서비스 결과 제공 방법은 통화 종료 후 제공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및 직접 연결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휴대 단말에서 발신자(100)는 수신자 전화 번호 + 소정의 단축키 통해 ME 또는 KUN 브라우저를 포함하는 휴대 전화 인터넷 서비스 화면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발신자(100)는 브라우저에 표시될 수 있는 소정의 서비스 중 007 콜(600)을 선택하여 007 콜(600)에 대한 결과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해당 결과 화면에서는 007 콜(600)에 대한 최근 통화 이력(610), 진실도(신뢰도) 순위(660), 007 콜 전화 걸기 또는 이용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최근에 통화를 한 수신자(170) 정보 및 신뢰도 지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자(100)가 최근 통화 이력(610)을 선택하였다면, 최근에 발신자(100)와 수신자(170)들 간의 통화 이력이 소정의 방법으로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최근 통화 이력에는 수신자(170)들의 전화 번호, 고객 명, 신뢰도 지수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발신자(100)가 진실도(신뢰도) 순위(760)를 선택하면, 이에 상응하는 진실도가 가장 높은 수신자(170) 정보부터 표시될 수 있다.
발신자(100)는 최근 통화 이력(610) 또는 진실도(신뢰도) 순위(760)에서 임의의 수신자(620, 670)를 선택하여 그들에 대한 초근 통화 조회를 확인할 수 있다.
임의 수신자(620, 670)들에 대한 최근 통화 조회에서는 통화일시, 통화 시간, 신뢰도 지수들이 표시될 수 있다.
해당 화면에서 발신자(100)는 임의의 정보(630)를 선택하여 이에 상응하는 상세 조회 정보(640)를 확인할 수 있다.
상세 조회 정보 화면(640)은 전술한 도 5a, 도 5b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여기 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뢰도 탐지에 따른 웹을 통한 결과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뢰도 탐지에 따른 웹을 통한 결과 제공 방법은 통화 종료 후 웹을 통해 음성 분석결과가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웹을 통한 분석 결과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소정의 서비스에 대한 발신자(100) 또는 수신자(170)의 음성 분석 결과를 도시할 수 있으며, 발신자(100) 또는 수신자(170)가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 형태에 따라 신뢰도 탐지 결과와 이에 상응하는 콘텐츠 및 그 내용이 상이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웹을 통한 분석 결과는 최근 통화 이력부터 도시한 것은 이전에 도시될 수 있는 메인 화면(미도시)들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소정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소개, 공지 사항, 에피소드 등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메인 화면에서 최근 통화 이력을 선택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최근 통화 이력 화면에는 발신자(100)와 최근에 통화를 수행한 소정의 수신자(170)들의 전화 번호(700), 통화 일시(705), 수신자(170)들의 신뢰도 지수(710), 상세 조회(715), 컨텐츠(720)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용을 포함하는 최근 통화 이력 화면은 전술했듯이 서비스 형태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자(100) 및 수신자(170)가 노트북을 이용하여 인터넷 전화로 신뢰도를 탐지하는 경우 수신자 번호(700)에는 노트북의 IP 번호와 인터넷 전화 번호가 표시될 수 있고, 발신자(100) 또는 수신자(170) 중 적어도 한 명이 될 수 있는 음성 분석 대상의 전화 번호가 표시될 수도 있다.
통화 일시(705)는 발신자(100)와 수신자(170) 간의 통화가 이루어진 일시뿐만 아니라, 발신자(100)의 총 통화 시간 또는 임의의 수신자(170)와의 통화 시간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신뢰도 지수(710)는 도시된 수신자(170) 번호(700)에 상응하는 수신자(170)의 신뢰도 탐지 결과로서 소정의 이미지 또는 수치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세 조회(715)는 하이퍼링크(Hyperlink)가 걸린 텍스트로 표시되어 발신자(100) 선택에 의해 팝 업(Pop-Up) 창으로 표시될 수 있다.
컨텐츠(720)는 음성 분석 대상의 음성 녹음 파일과 서비스 형태에 따라 제공될 수 있는 음악 파일 또는 문서 파일이 포함될 수 있으며, 컨텐츠(720)의 유무에 따라 그 표시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발신자(100)는 앞서 언급한 상세 조회(715)를 선택하여 팝업 창을 통해 임의의 수신자(170)에 대한 신뢰도 지수 결과 값(725), 통화 중 변동 추이(730), 신뢰도 지수 변동 추세(735)를 확인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은 상세 조회 화면에서는 신뢰도 지수 결과 값(725) 중 흥분 지수, 판단 지수, 스트레스 지수, 사고 지수, S.O.S 지수, 최종 신뢰도 지수들이 그래프 형태(740)로 표시될 수 있고, 최종 감정 지수와 최종 신뢰도 지수는 문자 또는 이미지 형태(745)로 표시될 수 있다.
신뢰도 지수 결과 값(725)의 그래프(740), 문자 또는 이미지(745)들은 신뢰도 탐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통신 업체 또는 별도의 서비스 제공 업체에 따라 표시 방법이 다를 수 있으므로 여기에 국한하지는 않는다.
컨텐츠(720), 통화 중 변동 추이(730), 신뢰도 지수 변동 추세(735)는 후술 되는 도 7b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뢰도 탐지에 따른 웹을 통한 최종 결과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도 7a에 이어 후술 되는 도 8b는 상세 조회(715) 중 통화 중 변동 추이(730), 신뢰도 지수 변동 추세(735) 및 컨텐츠(720)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
상세 조회(715)의 통화 중 변동 추이(730)는 발신자(100)와 수신자(170)의 소정 통화 시간 동안에 탐지된 신뢰도 지수가 시간별로 도시될 수 있고, 신뢰도 지수 변동 추세(735)는 소정 기간 동안 측정된 신뢰도 지수에 대한 기간별 결과로 도시될 수 있다. 통화 중 변동 추이(730)와 신뢰도 지수 변동 추세(735)는 도시된 바와 같이 꺾은선 그래프(750)로 도시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이에 국한하지는 않는다.
도 7b 역시 신뢰도 탐지에 대한 결과이므로 도 7a에서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수신자(170)에 대한 최종 감정 지수, 최종 신뢰도 지수, 흥분 지수, 판단 지수, 스트레스 지수, 사고 지수들이 표시될 수 있다.
통화 중 변동 추이(730)와 신뢰도 지수 변동 추세(735)는 소정 기간 또는 통화 조회를 통해 간단 조회(755) 형태의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발신자(100) 가 원하는 임의의 시간 또는 임의의 기간별 검색을 쉽고 빠르게 검색할 수 있다.
한편, 하이퍼 링크가 걸릴 수 있는 컨텐츠(720)는 발신자(100)의 선택에 따라 팝업 창으로 도시될 수 있다.
컨텐츠(720)는 음성 분석 대상자의 음성 녹음 파일(760)과 분석 결과에 상응하는 탐지 횟수(765)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음성 녹음 파일(760)은 발신자(100)와 수신자(170) 간의 통화 내용이 녹음된 것으로 발신자(100) 선택에 의해 임의의 녹음 파일이 삭제될 수 있다.
음성 녹음 파일(760) 재생 시 도시될 수 있는 그래프들은 음성 분석 대상자인, 수신자(170)에 대한 분석 결과를 도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신자(170)에 대한 분석 결과에는 수신자(170)에 대한 최종 신뢰도 지수가 문자 형태로 도시될 수 있고, 흥분 지수, S.O.S 지수, 스트레스 지수, 판단 지수, 사고 지수 등은 그래프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음성 녹음 파일(760)이 재생되는 동안 수신자(170)의 분석 결과에 상응하는 컨텐츠(720)들이 표시될 수 있다.
컨텐츠(720)는 서비스 형태에 따라 법적 조치사항, 기업별 면접 요령, 긴급 상황에서의 대처 방안 등이 표시될 수 있고, 하이퍼 링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탐지 횟수(765)에는 각 지수별 탐지된 횟수와 최종 신뢰도 지수가 막대 그래프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며, 서비스 형태에 따라 표시 방법이 상이할 수 있다.
즉, 발신자(100)는 수신자(170)와의 통화 내용을 들으면서 해당 수신자(170) 의 발언 중 어떤 부분에서 신뢰도가 높고 낮은지를 그래프 또는 탐지 횟수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이에 상응하는 컨텐츠(720)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신뢰도 탐지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음성으로 제공되는 모든 정보에 대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에서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긴급 상황에서 이용될 수 있는 공공기관에서 허위 신고에 대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셋째, 녹음된 음성 파일을 통해 구간별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Claims (12)

  1. 소정의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을 수행하는 발신자 및 수신자;
    상기 발신자 및 수신자를 연결하는 소정의 통신망;
    상기 발신자 또는 상기 수신자를 음성 분석 대상자로 자동 변환하여 상기 음성 분석 대상자의 음성을 추출 및 분석하여 상기 분석에 따른 결과를 상기 발신자 또는 상기 수신자에게 제공하는 계층형 음성 분석 서버를 포함하는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신뢰도 탐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및 수신자는,
    휴대폰, 노트북,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 인터넷 전화, 일반 전화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통신을 수행하는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신뢰도 탐지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통신은,
    이동 통신망, 인터넷 망이 포함될 수 있고, 공중 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종합 정보 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가입자 망,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신뢰도 탐지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결과는,
    서비스의 형태 또는 서비스 가입 여부에 따라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유선 또는 무선의 인터넷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되는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신뢰도 탐지 시스템.
  5. 소정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단축키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에 상응하는 신뢰도 탐지 대상이 변환되는 단계;
    상기 신뢰도 탐지 대상의 음성 분석 방법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음성 분석에 따른 신뢰도 지수가 판단되어 실시간으로 분석 결과가 제공되는 단계; 및
    최종 분석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통화 연결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신뢰도 탐지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도 탐지 대상은,
    상기 서비스의 형태 또는 상기 발신자 혹은 수신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변환되어 상기 음성 추출 및 분석이 수행되는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 용한 신뢰도 탐지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결과 제공 방법은,
    실시간 분석 결과 제공 또는 통화 종료 후 분석 결과 제공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되는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신뢰도 탐지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종료 후 분석 결과 제공은,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로 제공되는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신뢰도 탐지 방법.
  9. 긴급 통화 버튼을 통한 음성 분석 대상자 변환 단계;
    상기 음성 분석 대상자의 음성 추출 및 분석을 통해 허위 신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허위 신고 여부에 따라 음성 분석 결과가 제공되는 단계; 및
    허위 신고자의 상습범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음성 분석 결과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긴급 통화의 허위 신고 탐지 서비스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분석 결과는,
    상기 허위 신고 또는 상기 상습범 여부에 따라 경고 메시지 또는 상황별 정보들이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자동 응답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되는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긴급 통화의 허위 신고 탐지 서비스 방법.
  11. 제 9항 및 10항에 있어서,
    상기 상습범 여부 판단에 따라 상기 허위 신고 여부가 재판단 되거나 상기 경고 메시지를 재전송되는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긴급 통화의 허위 신고 탐지 서비스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허위 신고자가 상습범으로 판단 시 통화 종료를 유도하기 위한 자동 응답 서비스가 제공되는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긴급 통화의 허위 신고 탐지 서비스 방법.
KR1020060063593A 2006-07-06 2006-07-06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신뢰도 탐지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KR2008000481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593A KR20080004813A (ko) 2006-07-06 2006-07-06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신뢰도 탐지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PCT/KR2007/003304 WO2008004844A1 (en) 2006-07-06 2007-07-06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oice analysis service, and apparatus therefor
CNA2007800254097A CN101485188A (zh) 2006-07-06 2007-07-06 用于提供语音分析服务的方法和系统及其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593A KR20080004813A (ko) 2006-07-06 2006-07-06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신뢰도 탐지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813A true KR20080004813A (ko) 2008-01-10

Family

ID=39215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593A KR20080004813A (ko) 2006-07-06 2006-07-06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신뢰도 탐지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80004813A (ko)
CN (1) CN1014851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91280A (zh) * 2021-11-26 2022-02-25 江苏汉华热管理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化炉保温系统稳定性检测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89990A (zh) * 2009-12-23 2010-07-2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在通话过程中判断对方情绪的方法及移动终端
CN105096943B (zh) * 2014-04-24 2019-04-19 杭州华为企业通信技术有限公司 信号处理的方法与装置
CN106653000A (zh) * 2016-11-16 2017-05-10 太原理工大学 一种基于语音信息的情感强度实验方法
CN107919137A (zh) * 2017-10-25 2018-04-17 平安普惠企业管理有限公司 远程审批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1049998A (zh) * 2018-10-11 2020-04-21 上海智臻智能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语音客服质检方法及客服质检设备、存储介质
CN109714248B (zh) * 2018-12-26 2021-05-1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10086937A (zh) * 2019-04-28 2019-08-02 上海掌门科技有限公司 通话界面的显示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N110211581B (zh) * 2019-05-16 2021-04-20 济南市疾病预防控制中心 一种实验室自动语音识别记录标识系统及方法
CN111930776B (zh) * 2020-09-10 2021-01-05 北京维数统计事务所有限公司 表单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2837702A (zh) * 2020-12-31 2021-05-25 萨孚凯信息系统(无锡)有限公司 一种语音情绪分布式系统及语音信号处理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91280A (zh) * 2021-11-26 2022-02-25 江苏汉华热管理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化炉保温系统稳定性检测方法及装置
CN114091280B (zh) * 2021-11-26 2022-07-05 江苏汉华热管理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化炉保温系统稳定性检测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85188A (zh) 200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4813A (ko)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신뢰도 탐지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JP4662861B2 (ja) モニタリング装置、評価データ選別装置、応対者評価装置、応対者評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10127928B2 (en) Multi-party conversation analyzer and logger
KR102366307B1 (ko) 협력형 전화 평판 시스템
JP4512539B2 (ja) 使用パターンによる対話型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システム及び運用方法
KR20060019008A (ko) 사용패턴에 의한 대화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 방법 및시스템
JP2010113167A (ja) 有害顧客検知システム、その方法及び有害顧客検知プログラム
US8671149B1 (en) Unified messaging platform with intelligent voice recognition (IVR)
CN101310506A (zh) 用于建立音频记录日志的方法、移动设备、系统和软件
CN111683175A (zh) 一种自动应答来电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78444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audible advertisements on a communication device
JP2005275890A (ja) プレゼンス情報発行装置およびシステム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6183841B2 (ja) Ngワードの兆候を把握するコールセンタ用語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0792990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감정분석 서비스장치 및 방법
CN103067579A (zh) 辅助在线语音聊天方法和装置
KR101033870B1 (ko) 스팸 전화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09171336A (ja) 携帯通信端末
JP2005252845A (ja) Ctiシステムおよびcsレベル判断方法ならびに音声分析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740212A (zh) 基于智能语音技术的通话接听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040138892A1 (en) Control system
CN102647367A (zh) 用于使用脸部识别来选择信息递送方式的装置和关联方法
KR102251145B1 (ko) 고객 폭언 필터링 기반 전화 상담원 지원 시스템
KR20080004815A (ko) 계층형 음성 분석을 이용한 감정 탐지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KR100940088B1 (ko) 영상통화 시 상대방의 감정상태를 분석하여 표시하는 방법및 장치
KR100660063B1 (ko) 문자 메시지의 음성 변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10100373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424

Effective date: 20081127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424

Effective date: 20081127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