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254A -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254A
KR20080004254A KR1020060063026A KR20060063026A KR20080004254A KR 20080004254 A KR20080004254 A KR 20080004254A KR 1020060063026 A KR1020060063026 A KR 1020060063026A KR 20060063026 A KR20060063026 A KR 20060063026A KR 20080004254 A KR20080004254 A KR 20080004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rp
small schedule
plan
small
sche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3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호
조재홍
김영태
이영훈
Original Assignee
Stx조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Stx조선주식회사 filed Critical Stx조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3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4254A/ko
Publication of KR20080004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선박의 생산실행 계획(소일정 계획) 업무에 있어서, 체계적인 생산실행 계획 수립 기준 및 프로세스 정립으로 선표 계획 및 중/소일정 계획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소일정과 작업지시(Work Order)가 통합된 생산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며, 사전 생산준비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 규정 및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한편, 현장 작업자에 대한 업무 능력 관리 및 역량 극대화 관리를 위한 체계를 정립하고, 전 공정 정도 및 품질관리를 위한 프로세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 소일정 생산계획

Description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A method of laying plans for a short schedule for a ship produ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상의 소일정 계획 데이터 관리 절차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상의 소일정 계획 작성 절차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상의 소일정 계획 조정 절차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조선소의 일반적인 업무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선소에서는 선박을 건조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주된 선박의 종류 및 크기 등에 따라 영업 설계를 시작함과 아울러 생산 계획에서 대일정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그리고, 영업 설계가 수립되면 상세 설계를 함과 아울러 이에 따른 구매 일정을 수립한 후 이러한 구매 일정과 연동하도록 중 일정 계획을 수립한다.
상기한 상세 설계 및 중일정 계획을 수립하면, 다시 생산에 필요한 생산 설계를 함과 아울러 생산에 필요한 소일정 계획을 부서별, 공종별로 수립하고 이에 따라 구매 자재를 입고하고, 생산을 실행하게 된다. 물론, 이 경우에는 생산 일정 및 생산 계획을 개별적으로 수립하여 선박 건조 일정에 소요되는 인력 배치, 도크(DOCK) 배치, 작업장 배치, 건조 설비 일정 조절, 외주 업체 일정 조절 등을 연동하여 행하게 된다.
이러한 생산 일정계획은 대략 1년 정도의 중일정 계획을 세우고, 이에 기초하여 다시 부서별, 공종별 시수에 따른 상세한 소일정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즉, 중일정 계획을 수립할 때 조립, 도장, 의장, 탑재 등의 부서별 및 선행, 후행, 선실, 특도, 기장, 선장, 전장 등과 같은 공종별로 각자가 시수에 따른 일정을 수립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종래에는 선박의 생산실행 계획(소일정 계획) 업무의 차질로 인하여, 소일정과 작업지시(W/O)가 별도로 작성되어 이원적으로 관리되고, 작업착수 전 도면 검토, 자재준비 현황 파악, 프로세스 문제점 파악 등과 같은 작업 준비사항의 사전 검토 및 확인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며, 작업자에 대한 작업지시가 단순히 구두로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현장 작업자의 업무 수행 능력을 감안한 작업 지시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한편, 정도에 대한 과정 관리가 안 되고 결과 관리만 되고, 팀 및 직 간 업무 로드의 불균형에 대한 업무 협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전체적으로 보아 선박의 생산을 위한 소일정상 여러 부문에서 소비적 요인이 과다하게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선박의 생산실행 계획(소일정 계획) 업무에 있어서, 체계적인 생산실행 계획 수립 기준 및 프로세스 정립으로 선표 계획 및 중/소일정 계획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소일정과 작업지시(Work Order)가 통합된 생산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며, 사전 생산준비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 규정 및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한편, 현장 작업자에 대한 업무 능력 관리 및 역량 극대화 관리를 위한 체계를 정립하고, 전 공정 정도 및 품질관리를 위한 프로세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 실시예의 개시 내용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일정 계획 데이터 관리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과, 소일정 계획 작성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과, 소일정 계획 조정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을 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소일정 계획 데이터 관리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소일정 계획 데이터 관리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은, 선박의 생산실행 계획(소일정 계획) 업무에 있어서, 시뮬레이션 및 확정 MRP(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자재소요계획, 이하 동일함)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개의 MRP명을 정의하는 단계(MRP 명 정의단계); MRP명 별로 MRP가 수행될 때 적용될 Time Fence 설정, Capacity Plan 수행 여부, Netting 선택, 안전재고 반영 여부 등의 Option을 정의하는 단계(MRP 수행 Option 정의단계); 중일정 생산계획을 APS(Advanced Planning & Scheduling: 생산계획시스템, 이하 동일함)로부터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이하 동일함) System으로 Interface 하기 위하여 MPS(Master Production System: 생산 소일정, 이하 동일함)명을 정의하는 단계(MPS 명 정의단계); 중일정 생산계획을 APS에서 ERP System으로 업데이트 하는 단 계(중일정계획 Import 단계); Project별로 MRP를 수행하기 위해 특정 Project에 해당하는 중일정 생산계획만을 Load하는 단계(Project MPS Load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MRP 명 정의단계에서는, 공장 전체의 MRP 대상 Item에 대해서 MRP가 수행되도록 MRP명을 정의하는 한편, MRP명을 복수 개로 정의하여 테스트 및 시뮬레이션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MRP 명 정의단계에서는, MRP명의 표준은 타부서와 연관관계가 없으므로 MRP 계획수립자의 용도에 따라 MRP명의 표준을 임의로 정할 수 있으나, MRP가 수행됨과 동시에 작업오더나 구매요청이 자동으로 생성되도록 MRP명을 정의하지는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RP 수행 Option 정의단계에서는, 중일정 생산계획을 기준으로 MRP가 수행되도록 하여야 하므로 Time Fence Option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MRP 수행 Option 정의단계에서는, 생산 재공과 구매입고예정 정보가 계획에 반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전재고는 MRP Item에 대하여 적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MRP 수행 Option 정의단계에서는, CRP(Capacity Resource Plan: 부하 조정, 이하 동일함) 수행은 필요시만 체크하여 MRP 수행시간을 최소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PS 명 정의단계에서는, 중일정 생산계획을 Import하여 MRP 수행의 기준이 되는 Demand를 형성한다.
이러한 MPS 명 정의단계에서는, MPS명은 중일정 생산계획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특정 이름으로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며, 중일정 생산계획 중 특정 Project만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 이름으로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중일정 생산계획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MPS 명은 두개로 미리 정의해 두되, 하나는 MPS Interface용으로, 또 하나는 MRP 수행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특정 Project별 MPS명은 Project가 추가로 생성될 때마다 미리 Project No.별로 정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일정계획 Import 단계는 APS에서 수립된 중일정계획 정보가 ERP System으로 반영되어 MRP를 수행하는 기준계획이 되도록 한다.
이러한 중일정계획 Import 단계는 보다 구체적으로, 중일정계획을 Import(to APS Interface용 MPS)하는 단계; MPS에서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MPS에 Load(to MRP수행용 MPS)하는 단계; MPS에서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및 Interface용 MPS를 Clear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Project MPS Load 단계는, 매주 1회 전 Project를 대상을 MRP를 수행하나 긴급히 특정 Project를 대상으로 MRP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Project MPS Load 단계는, 중일정 생산계획은 변동사항이 없으므로 해당 프로젝트에 설계 변경되는 부분에 대한 MRP 적용이 목적이어야 한다.
이러한 Project MPS Load 단계는 보다 구체적으로, Project별 MPS를 초기화하는 단계; 및 Project별 MPS를 Load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소일정 계획 작성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소일정 계획 작성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은, 선박의 생산실행 계획(소일정 계획) 업무에 있어서, MRP를 통하여 소일정 생산계획 및 자재소요계획을 수립하는 단계(MRP 수행단계); MRP를 수행한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MRP 결과 점검단계); 계획오더와 재공 및 구매입고분의 조정 및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예외사항 점검단계); 예외정보를 기준으로 관련부서와 계획오더와 재공 및 구매입고분의 조정 및 조치를 취하는 단계(관련부서 대책요구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MRP 수행단계에서는, 중일정 생산계획이 준수되도록 하위 제작품목 및 구매품목의 소요량을 정확히 산출하고 시작일과 완료일자를 자동계산하여 신규로 발행해야할 생산작업지시와 구매요청에 대한 계획 오더를 생성한다. 또한, 계획 오더와 Scheduled Receipt(재공 및 구매입고 예정분)에 조정 및 조치가 필요한 Item과 Order에 대해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부하분석을 위한 Capacity Plan을 생성하도록 한다. 본 단계의 계획주기는 1주, 계획대상 기간은 납기일 기준으로 1년인 것이 바람직하나, BOM과 Routing이 정해지면 1년 이상이거나 1년 이하일 수도 있다.
이러한 MRP 수행단계는 보다 구체적으로, 수행할 MRP명 선택하는 단계; 계획 대상 기간을 지정하는 단계; 및 MRP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MRP 결과 점검단계에서는, 기준정보(Item, BOM, Routing)와 재고, 재공, 구매입고 예정분 등의 정보가 MRP Logic에 의해 정확히 반영되었는지를 확인하여 기술적 문제나 Data 오류에 의한 잘못된 결과를 점검하고, 기준정보의 문제점이 발견되면 표준화 담당에게 통보하여 즉시 조치되도록 한다. 본 단계에서는 MRP 수행 즉시 결과를 점검한다.
상기 예외사항 점검단계에서는, 계획 오더와 Scheduled Receipt(재공 및 구매입고예정분)에 조정 및 조치가 필요한 Item과 Order에 대해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본 단계에서는 MRP 수행 즉시 결과를 점검한다.
상기 관련부서 대책요구 단계에서는, 계획 오더와 Scheduled Receipt(재공 및 구매입고예정분)에 조정 및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관련부서와 함께 납기독촉, 잔업, 일정변경 등 대책을 수립한다. 구매오더는 구매담당과 작업오더는 생산담당과 협의하여 결정하도록 한다. 이러한 관련부서 대책요구 단계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외 사항별로 해당 담당자에게 현상과 가능한 조치를 통보하는 단계; 및 관련부서와 조치를 취하고 전체 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일정계획을 재수립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소일정 계획 조정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소일정 계획 조정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은, 선박의 생산실행 계획(소일정 계획) 업무에 있어서, MRP 수행결과로 산출된 계획오더와 재공을 기준으로 부하를 분석하는 단계(부하분석단계); MRP 수행결과로 산출된 계획오더를 부하분석 등을 통하여 조정하는 단계(MRP 소일정 계획 조정단계); 및 MRP 수행결과로 산출된 계획오더를 생산작업지시와 구매요청으로 전환하는 단계(MRP 계획오더 Release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부하분석단계에서는, 계획 오더가 달성 가능한 계획인지 검토하여 필요시 계획을 조정하도록 하며, 중일정생산계획을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부하를 분석한다. 이때, 부하분석에 반영되는 정보는 중일정생산계획을 기준으로 하는 MRP, Routing 그리고 Resource이므로 Capacity의 변화를 반영하여 시스템으로 부하를 분석하려면 Routing과 Resource에 대해 현실의 변화를 즉각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하분석단계는 보다 구체적으로, 각 Resource별로 Overload와 Underload를 확인하는 단계; Resource나 Routing의 정보가 잘못된 것인지를 파악하는 단계; 및 Load를 조정할 것인지 Capacity를 조정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MRP 소일정 계획 조정단계에서는, 부하분석을 통해서 부하평준화를 위하여 일정을 조정한다. 본 단계에서는 매주 MRP를 수행하므로 시작일 기준으로 최소 일주일 분량의 오더를 일정조정 대상으로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작일 기 준으로 2주치의 오더를 확정하므로 2주치 이상의 오더에 대한 일정조정은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MRP 계획오더 Release 단계에서는, 납기를 준수하기 위해서 오더를 적시에 Release하도록 한다. 본 단계에서는 MRP 작업 수행일로부터 2주 이후에 Release해도 될 오더를 미리 실행부서로 전달하면 시스템 상에서의 많은 변경 작업과 관련부서의 많은 정보 전달로 비생산적인 시간낭비가 발생하므로 2주를 기준으로 하여 오더를 Release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의 생산실행 계획(소일정 계획) 업무에 있어서, 체계적인 생산실행 계획 수립 기준 및 프로세스 정립으로 선표 계획 및 중/소일정 계획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소일정과 작업지시(Work Order)가 통 합된 생산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며, 사전 생산준비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 규정 및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한편, 현장 작업자에 대한 업무 능력 관리 및 역량 극대화 관리를 위한 체계를 정립하고, 전 공정 정도 및 품질관리를 위한 프로세스를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효과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잠정적 장점의 가능성들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Claims (34)

  1. 선박의 생산실행 계획(소일정 계획) 업무에 있어서,
    시뮬레이션 및 확정 MRP(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자재소요계획)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개의 MRP명을 정의하는 단계(MRP 명 정의단계);
    MRP명 별로 MRP가 수행될 때 적용될 Time Fence 설정, Capacity Plan 수행 여부, Netting 선택, 안전재고 반영 여부 등의 Option을 정의하는 단계(MRP 수행 Option 정의단계);
    중일정 생산계획을 APS(Advanced Planning & Scheduling: 생산계획시스템)으로부터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으로 Interface 하기 위하여 MPS 명을 정의하는 단계(MPS 명 정의단계);
    중일정 생산계획을 APS에서 ERP System으로 업데이트 하는 단계(중일정계획 Import 단계);
    Project별로 MRP를 수행하기 위해 특정 Project에 해당하는 중일정 생산계획만을 Load하는 단계(Project MPS Load 단계)
    를 포함하는 소일정 계획 데이터 관리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RP 명 정의단계에서는,
    공장전체의 MRP 대상 Item에 대해서 MRP가 수행되도록 MRP명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정 계획 데이터 관리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RP 명 정의단계에서는,
    MRP명을 복수 개로 정의하여 테스트 및 시뮬레이션을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정 계획 데이터 관리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RP 명 정의단계에서는,
    MRP명의 표준은 타부서와 연관관계가 없으므로 MRP 계획수립자의 용도에 따라 임의로 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정 계획 데이터 관리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RP 명 정의단계에서는,
    MRP가 수행됨과 동시에 작업오더나 구매요청이 자동으로 생성되도록 정의하지는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정 계획 데이터 관리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RP 수행 Option 정의단계에서는,
    중일정 생산계획을 기준으로 MRP가 수행되도록 하여야 하므로 Time Fence Option은 사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정 계획 데이터 관리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RP 수행 Option 정의단계에서는,
    생산 재공과 구매입고예정 정보가 계획에 반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정 계획 데이터 관리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RP 수행 Option 정의단계에서는,
    안전재고는 MRP Item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정 계획 데이터 관리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RP 수행 Option 정의단계에서는,
    CRP(Capacity Resource Plan: 부하 조정) 수행은 필요시만 체크하여 MRP 수행시간을 최소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정 계획 데이터 관리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PS 명 정의단계에서는,
    중일정 생산계획을 Import하여 MRP 수행의 기준이 되는 Demand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정 계획 데이터 관리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PS 명 정의단계에서는,
    MPS명은 중일정 생산계획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특정 이름으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정 계획 데이터 관리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PS 명 정의단계에서는,
    MPS명은 중일정 생산계획 중 특정 Project만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 이름으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정 계획 데이터 관리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PS 명 정의단계에서는,
    중일정 생산계획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MPS 명은 두개로 미리 정의해 두되, 하나는 MPS Interface용으로, 또 하나는 MRP 수행용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정 계획 데이터 관리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PS 명 정의단계에서는,
    특정 Project별 MPS명은 Project가 추가로 생성될 때마다 미리 Project No.별로 정의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정 계획 데이터 관리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일정계획 Import 단계는,
    APS에서 수립된 중일정계획 정보가 ERP System으로 반영되어 MRP를 수행하는 기준계획이 되도록 하되,
    중일정계획을 Import(to APS Interface용 MPS)하는 단계;
    MPS에서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MPS에 Load(to MRP수행용 MPS)하는 단계;
    MPS에서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및
    Interface용 MPS를 Clear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정 계획 데이터 관리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roject MPS Load 단계는,
    매주 1회 전 Project를 대상을 MRP를 수행하나 긴급히 특정 Project를 대상으로 MRP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정 계획 데이터 관리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roject MPS Load 단계는,
    중일정 생산계획은 변동사항이 없으므로 해당 프로젝트에 설계변경되는 부분에 대한 MRP 적용이 목적이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정 계획 데이터 관리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roject MPS Load 단계는,
    Project별 MPS를 초기화하는 단계; 및
    Project별 MPS를 Load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정 계획 데이터 관리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19. 선박의 생산실행 계획(소일정 계획) 업무에 있어서,
    MRP를 통하여 소일정 생산계획 및 자재소요계획을 수립하는 단계(MRP 수행단계);
    MRP를 수행한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MRP 결과 점검단계);
    계획오더와 재공 및 구매입고분의 조정 및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예외사항 점검단계);
    예외정보를 기준으로 관련부서와 계획오더와 재공 및 구매입고분의 조정 및 조치를 취하는 단계(관련부서 대책요구 단계)
    를 포함하는 소일정 계획 작성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MRP 수행단계에서는,
    중일정생산계획이 준수되도록 하위 제작품목 및 구매품목의 소요량을 정확히 산출하고 시작일과 완료일자를 자동계산하여 신규로 발행해야 할 생산작업지시와 구매요청에 대한 계획 오더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정 계획 작성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MRP 수행단계에서는,
    계획 오더와 Scheduled Receipt(재공 및 구매입고 예정분)에 조정 및 조치가 필요한 Item과 Order에 대해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정 계획 작성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MRP 수행단계에서는,
    부하분석을 위한 Capacity Plan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정 계획 작성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MRP 수행단계에서는,
    계획주기는 1주이고, 계획대상 기간은 납기일 기준으로 1년이나 BOM과 Routing이 정해지면 1년 이상이거나 1년 이하일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정 계획 작성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MRP 수행단계는,
    수행할 MRP명 선택하는 단계;
    계획 대상 기간을 지정하는 단계; 및
    MRP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정 계획 작성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MRP 결과 점검단계에서는,
    기준정보(Item, BOM, Routing)와 재고, 재공, 구매입고 예정분 등의 정보가 MRP Logic에 의해 정확히 반영되었는지를 확인하여 기술적 문제나 Data 오류에 의한 잘못된 결과를 점검하고, 기준정보의 문제점이 발견되면 표준화 담당에게 통보하여 즉시 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정 계획 작성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MRP 결과 점검단계에서는,
    MRP 수행 즉시 결과를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정 계획 작성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예외사항 점검단계에서는,
    계획 오더와 Scheduled Receipt(재공 및 구매입고예정분)에 조정 및 조치가 필요한 Item과 Order에 대해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정 계획 작성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2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예외사항 점검단계에서는,
    MRP 수행 즉시 결과를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정 계획 작성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29.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부서 대책요구 단계는,
    예외 사항별로 해당 담당자에게 현상과 가능한 조치를 통보하는 단계; 및
    관련부서와 조치를 취하고 전체 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일정계획을 재수립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정 계획 작성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30. 선박의 생산실행 계획(소일정 계획) 업무에 있어서,
    MRP 수행결과로 산출된 계획오더와 재공을 기준으로 부하를 분석하는 단계(부하분석단계);
    MRP 수행결과로 산출된 계획오더를 부하분석 등을 통하여 조정하는 단계(MRP 소일정 계획 조정단계);
    MRP 수행결과로 산출된 계획오더를 생산작업지시와 구매요청으로 전환하는 단계(MRP 계획오더 Release 단계)
    를 포함하는 소일정 계획 조정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분석단계는,
    각 Resource별로 Overload와 Underload를 확인하는 단계;
    Resource나 Routing의 정보가 잘못된 것인지를 파악하는 단계; 및
    Load를 조정할 것인지 Capacity를 조정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정 계획 조정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MRP 소일정 계획 조정단계에서는,
    부하분석을 통해서 부하평준화를 위하여 일정을 조정하되, 매주 MRP를 수행하므로 시작일 기준으로 최소 일주일 분량의 오더를 일정조정 대상으로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정 계획 조정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MRP 소일정 계획 조정단계에서는,
    시작일 기준으로 2주치의 오더를 확정하므로 2주치 이상의 오더에 대한 일정조정은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정 계획 조정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MRP 계획오더 Release 단계에서는,
    납기를 준수하기 위해서 오더를 적시에 Release하도록 하되, MRP 작업 수행일로부터 2주 이후에 Release해도 될 오더를 미리 실행부서로 전달하면 시스템상에서의 많은 변경 작업과 관련부서의 많은 정보 전달로 비생산적인 시간낭비가 발생 하므로 2주를 기준으로 하여 오더를 Release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정 계획 조정 절차에 따른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KR1020060063026A 2006-07-05 2006-07-05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KR200800042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026A KR20080004254A (ko) 2006-07-05 2006-07-05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026A KR20080004254A (ko) 2006-07-05 2006-07-05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254A true KR20080004254A (ko) 2008-01-09

Family

ID=39215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026A KR20080004254A (ko) 2006-07-05 2006-07-05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42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1256A (ko) * 2013-05-31 2014-12-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건조 방법
CN113807821A (zh) * 2021-09-28 2021-12-17 重庆允成互联网科技有限公司 基于离散场景同步工单的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1256A (ko) * 2013-05-31 2014-12-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건조 방법
CN113807821A (zh) * 2021-09-28 2021-12-17 重庆允成互联网科技有限公司 基于离散场景同步工单的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370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ly chain optimization
WO2003021504A2 (en) Planning, scheduling and allocation of mro resources
Kumar et al. Achieving customer service excellence using Lean Pull Replenishment
KR102345145B1 (ko) 고객정보 연계 및 활용에 의한 생산물류 erp 자동화 시스템
US20200118062A1 (en) Auditable Networked Enterprise Oversight System
US20130197952A1 (en) Product producible number calcula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080004254A (ko) 선박생산을 위한 소일정 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Gutfeld et al. A technical concept for plant engineering by simulation-based and logistic-integrated project management
US20130205224A1 (en) Electronic data plate system for collaboration amongst multiple disparate parties
Kang et al. Discrete event simulation to reduce the effect of uncertainties on project planning
KR20080004049A (ko) 선박의 생산실행 관리 시스템 구축 방법
KR20080004247A (ko) 선박의 중장기 생산계획 수립 시스템 구축 방법
KR101052000B1 (ko) 선박 건조 시 작업 시수의 객관화 방법
Peiris et al. Digitalising Modular Construction: Action Research Study on Manufacturing Execution & Control (Mec) System to Enhance Offsite Manufacturing (Osm) Productivity
Awwad et al. Cost Optimization in Mega Oil & Gas Projects
Steinberg High velocity itsm: Agile it service management for rapid change in a world of devops, lean it and cloud computing
Lock Managing implementation
Wotschke et al. Construction Auditing: Planning-Implementation-Use
de Vries et al. Automated Detail Planning and Control for First-of-Class Projects Using Product-Based-Planning and Yard Specific
US20210158264A1 (en) Automated system for tracking progress of operations deliverables
Maurer et al. NAVAL SHIPYARDS: Key Actions Remain to Improve Infrastructure to Better Support Navy Operations
Russell F-35 Aircraft Sustainment: DoD Needs to Address Challenges Affecting Readiness and Cost Transparency
KR20080004255A (ko) 선박의 생산계획을 위한 목표예산 관리 시스템 구축 방법
KR101061528B1 (ko) 한 개의 도크 내에서 선종이 상이한 다수의 선박을 동시에 건조할 때의 원가 관리 방법
Kääriä et al. Improvement of an order-to-cash business process by deploying lean six sigma too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