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201A - 어레이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어레이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201A
KR20080004201A KR1020060062932A KR20060062932A KR20080004201A KR 20080004201 A KR20080004201 A KR 20080004201A KR 1020060062932 A KR1020060062932 A KR 1020060062932A KR 20060062932 A KR20060062932 A KR 20060062932A KR 20080004201 A KR20080004201 A KR 20080004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group
opening
array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2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9277B1 (ko
Inventor
이상혁
정호섭
이석천
유호식
김성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2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9277B1/ko
Priority to US11/822,301 priority patent/US7551358B2/en
Publication of KR20080004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1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different wavelength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6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at least one element being a compound optical element, e.g. cemented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8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wafer level op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9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having zoom fun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18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5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어레이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이상의 렌즈를 구비하는 제1 렌즈군 ; 상기 렌즈와 대응되는 복수개의 렌즈를 구비하여 상기 렌즈군과 스페이서를 매개로 적층되는 제2 렌즈군 ; 상기 제1,2 렌즈군을 통과한 빛이 결상되는 결상영역을 구비하는 이미지센서 ; 및 상기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사이에서 상기 제1,2렌즈군에 구비되는 렌즈의 유효경을 제외한 부분을 차단하는 차단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축방향의 광학계 높이를 낮추어 소형화 설계를 도모하고, 인접하는 렌즈로부터 굴절입사되는 빛이 화상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고 누광을 차단하여 이미지를 만들고 신호처리를 통해 이미지의 해상도를 높일 수 있다.
어레이 렌즈, 렌즈군, 카메라 모듈, 스페이서, 차단부재

Description

어레이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CAMER MODULE HAVING A ARRAY LEN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어레이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이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이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b)(c)(d)는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이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에 채용되는 렌즈를 제작하는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제1 렌즈군 111 : 제1 웨이퍼
112 : 제1 상부렌즈 113 : 제1 하부렌즈
120 : 제2 렌즈군 121 : 제2 웨이퍼
122 : 제2 상부렌즈 123 : 제2 하부렌즈
130 : 이미지 센서 131 : 결상영역
140 : 차단부 141 : 제1 차단부재
142 : 제2 차단부재 143 : 제1 개구부
144 : 제2 개구부 145 : 제3 차단부재
146 : 제3 개구부 150 : 스페이서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광축방향의 광학계 높이를 낮추어 소형화 설계를 도모하고, 인접하는 렌즈로부터 굴절입사되는 빛이 화상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고 누광을 차단하여 이미지를 만들고 신호처리를 통해 이미지의 해상도를 높일 수 있는 어레이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전자 통신 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휴대용 무선단말기(이하, 단말기이라한다.)는 점점 경박 소형화 되어가면서 그 기능은 다양해지고 있는데, 특히, 디지털 카메라 기술기반의 카메라 모듈을 단말기에 병합하여 피사체의 동화상, 정지화상을 찍어 보관하고,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카메라기능이 병합된 카메라폰 단말기가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에 일체로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은 통상적으로 그 특성상 크기가 소형이며 경량일 것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복수개의 렌즈와, 이를 광축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렌즈경통, 상기 렌즈를 통해 투사되는 광을 회절시키는 회절광학소자 및 상기 렌즈, 회절광학소자를 통과한 광을 화상으로 결상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그러나, 점차 고화질이 요구되어 높은 화소수의 이미지 센서가 채용되고, 렌즈의 매수가 점차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렌즈경통에 렌즈를 조립하는 작업 및 이미지 센서와 더불어 패키징하는 작업이 복잡해지고 어려워지게 되는 한편, 렌즈매수의 증가와 더불어 카메라 모듈의 부피도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부피를 줄이면서 해상도를 높일 수 있도록 복수개의 마이크로 렌즈를 반도체 공정기술을 이용하여 동일평면상에 복수개 구비하여 카메라 모듈을 제작하는 기술이 국제특허공개 WO 2005/072370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2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복수개의 렌즈(22a,22b,22c,22d)를 2×2 어레이 형태로 단면 또는 양면에 구비하는 렌즈군(22)과, 상하로 적층되는 렌즈군(22)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칼라필터(25)와, 이들을 통과한 빛이 결상되는 이미지 센서(24) 및 프로세서(3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렌즈군(22)의 렌즈(22a,22b,22c,22d)와 칼라필터(25)를 통과한 빛은 상기 이미지 센서(24)의 결상영역에서 화상으로 결상되며, 렌즈를 하프픽셀(half pixel)만큼 이동시킴으로서 이미지 센서에서 결상되는 화상의 해상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상부측 렌즈군(22)의 입사면으로 입사된 빛이 이에 구비된 렌즈(22a,22b,22c,22d)를 통과하면서 굴절된 빛중 대부분은 동일축상에 배치되는 하부측 렌즈군의 렌즈로 입사되지만 필요이상의 화각으로 굴절된 빛은 인접하는 다른 렌즈측으로 입사됨으로 정상적으로 입사되는 빛과 서로 간섭되거나 렌즈군의 외측가장자리로 빛이 빠져나가는 누광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빛의 간섭현상과 누광현상은 상기 이미지 센서에 결상되는 이미지의 해상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광축방향의 광학계 높이를 낮추어 소형화 설계를 도모하고, 인접하는 렌즈로부터 굴절입사되는 빛이 화상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고 누광을 차단하여 이미지를 만들고 신호처리를 통해 이미지의 해상도를 높일 수 있는 어레이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이상의 렌즈를 구비하는 제1 렌즈군 ; 상기 렌즈와 대응되는 복수개의 렌즈를 구비하여 상기 렌즈군과 스페이서를 매개로 적층되는 제2 렌즈군 ; 상기 제1,2 렌즈군을 통과한 빛이 결상되는 결상영역을 구비하는 이미지센서 ; 및상기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사이에서 상기 제1,2렌즈군에 구비되는 렌즈의 유효경을 제외한 부분을 차단하는 차단부 ;를 포함하는 어레이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1 렌즈군의 렌즈와 대응하는 영역마다 제1 개구부를 관통형성하여 상기 제1 렌즈군의 출사면에 구비되는 제1 차단부재와, 상기 제2 렌즈군의 렌즈와 대응하는 영역마다 제2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2 렌즈군의 입사면에 구비되는 제2 차단부재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개구부는 원형단면상의 렌즈와 동일한 원형태로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렌즈의 유효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내경크기로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1개구부의 내경을 포함하는 크기를 갖는 사각공형태로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2 차단부재는 상기 제1,2렌즈군의 표면에 금속소재로 증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렌즈군은 입사면에 상기 제1 렌즈군의 렌즈와 대응하는 영역마다 제3 개구부를 구비하는 제3차단부재를 추가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개구부는 상기 렌즈의 유효경을 포함하는 사각형으로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개구부는 내부면에 내경크기를 감소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단차부를 구비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개구부는 내주면에 내경크기를 감소시키는 경사면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 렌즈군의 출사면 외측테두리에 구비되는 제1 스페이서와, 상기 제2 렌즈군의 입사면 외측테두리에 구비되는 제2 스페이서 및 상기 제1,2 스페이서사이에 개재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부면에 상기 제1,2 렌즈군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빛에 포함된 단색 광신호를 분리하는 컬러필터를 구비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컬러필터는 상기 이미지센서에 균등분할된 결상영역과 대응되어 동일한 크기의 필터영역을 갖도록 균등분할된 어레이 필터로 구비된 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이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이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은 도 2와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2 렌즈군(110)(120), 이미지센서(130) 및 차단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렌즈군(110)은 제1 웨이퍼(111)의 상부면에 해당하는 입사면에 적어도 2개이상의 제1 상부렌즈(112)를 볼록 또는 오목렌즈형태로 구비한다.
상기 제1 웨이퍼(111)의 하부면에 해당하는 출사면에도 제1 상부렌즈(112)의 중심과 일치되는 제1 하부렌즈(113)를 볼록 또는 오목렌즈형태로 구비한다.
상기 제2 렌즈군(120)은 상기 제1 렌즈군(110)과 스페이서(150)를 매개로 하여 일정간격을 두고 상하적층되는 광학소자이다.
이러한 제2 렌즈군(120)도 상기 제1 렌즈군(110)과 마찬가지로 제2 웨이퍼(121)의 상부면에 해당하는 입사면에 적어도 2개이상의 제2 상부렌즈(122)를 볼록 또는 오목렌즈형태로 구비하고, 상기 제2 웨이퍼(121)의 하부면에 해당하는 출사면에도 제2 상부렌즈(122)의 중심과 일치되는 제2 하부렌즈(123)를 볼록 또는 오목렌즈형태로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150)는 상기 제1 렌즈군(110)과 제2 렌즈군(120)사이에 구비됨으로서 제1,2 렌즈군(110)(120)사이에 일정크기의 간격을 형성함과 동시 에 상기 제1,2렌즈군(110)(120)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150)의 높이를 변화시킴으로서 변화에 의해서 제1,2 렌즈군(110)(120)사이의 간격을 가변시키고, 이로 인하여 제1 렌즈군(110)과 이미지 센서(130)간의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스페이서(150)는 상기 제1 렌즈군(110)의 출사면 외측테두리로부터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1 스페이서(151)와 상기 제2 렌즈군(120)의 입사면 외측테두리로부터 상부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2 스페이서(152) 및 상기 제1,2 스페이서(151)(152)사이를 접착고정하도록 이들사이에 개재되는 접착부재(1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2 렌즈군(110)(12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렌즈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같이, 웨이퍼(W)의 상부면에 사전에 설계된 렌즈패턴을 형성한 다음, 이를 에칭에 의해 볼록한 렌즈(L)로 제작되거나 도 4(b)에 도시한 바와같이 오목한 렌즈(L)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렌즈군(110)(12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렌즈는 도 4(c)에 도시한 바와같이, 웨이퍼(W)의 상부면에 일정두께의 폴리머층(P)을 적층한 다음 사전에 설계된 렌즈금형을 이용하여 레플리카(reflica)방식에 의해 볼록한 렌즈(L)로 제작되거나 도 4(d)에 도시한 바와같이 오목한 렌즈(L)로 제작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2렌즈군(110)(120)에 구비되는 렌즈가 볼록 또는 오목렌즈로 구비되는 것은 사전에 설정된 광학계 설계에 맞추어 결정되며, 결정된 렌즈(L)는 도 4(a)(b)(c)(d)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웨이퍼(W)의 일측면에만 구비되기도 하지만 광학계 설계에 맞추어 상기 웨이퍼(W)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렌즈군(110)(12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렌즈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 센서(130)의 결상영역을 2×2로 균등분할한 것과 대응하도록 2×2로 균등분할된 어레이 렌즈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150)를 매개로 상하적층된 제1,2 렌즈군(110)(120)은 이에 맞추어 제작되는 경통(미도시)의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경통에는 광학계인 제1,2 렌즈군(110)(120)을 광축방향으로 왕복이동시켜 줌기능과 포커싱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압전모터, 전기모터와 같은 별도의 구동수단(미도시)및 스크류, 기어부재와 같은 동력전달수단(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이미지 센서(130)는 무한대의 한점에서 출발한 빛이 상기 제1,2 렌즈군(110)(120)의 각 렌즈를 통과하면서 굴절되어 초점이 형성되는 위치에서 이미지를 결상할 수 있도록 상부면에 결상영역(131)을 갖추어 상기 제2 렌즈군(120)의 직하부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결상영역(131)이 구비된 이미지 센서(130)의 상부면에는 제1,2 렌즈군(110)(120)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빛에 포함된 단색 광신호인 레드(Red), 그린(Green) 및 블루(Blue)의 3가지 색 또는 엘로우(Yellow), 마젠타(Magenta) 및 시안(Cyan)의 3가지 색만 분리할 수 있도록 컬러필터(133)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컬러필터(120)는 상기 이미지센서(130)에 2×2로 균등분할된 결상영역과 대응되어 동일한 크기의 필터영역을 갖도록 2×2로 균등분할된 어레이 필터로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차단부(140)는 상기 제1 렌즈군(110)과 제2 렌즈군(120)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2 렌즈군(110)(120)에 구비되는 각 렌즈(112)(113)(122)(123)의 유효경만을 통하여 빛이 통과되도록 함과 동시에 각 렌즈의 유효경을 제외한 부분을 통하여 빛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차단부(140)는 상기 제1 렌즈군(110)의 출사면에 해당하는 제1 웨이퍼(111)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제1 차단부재(141)와, 상기 제2 렌즈군(120)의 입사면에 해당하는 제2 웨이퍼(121)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제2 차단부재(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차단부재(141)는 상기 제1 렌즈군(110)에 다수열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1 하부렌즈(113)와 대응하는 영역마다 일정크기를 갖는 제1 개구부(143)를 관통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차단부재(141)에 관통형성되는 제1 개구부(143)는 상기 제1 렌즈군(110)에 원형단면상을 갖는 렌즈형태와 마찬가지로 동일하게 원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 개구부(143)의 내경크기는 이를 통과하는 빛이 동일한 입사면에서 인접하는 다른 렌즈로 입사되어 간섭되지 않도록 렌즈의 유효경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은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차단부재(142)는 상기 제2 렌즈군(120)에 다수열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2 상부렌즈(122)와 대응하는 영역마다 일정크기를 갖는 제2 개구부(144)를 관통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차단부재(142)에 관통형성되는 제2 개구부(144)는 상기 제1 개구부(141)의 중심과 서로 일치되면서 상기 제1 개구부(143)의 내경을 포함하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 사각공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렌즈군(120)의 각 렌즈(122)(123)를 통과하면서 굴절되는 빛은 상기 제2 차단부재(142)에 형성된 제2 개구부(144)의 사각형태로 출사되고, 이는 상기 이미지 센서(130)의 결상영역(131)에 사각형태로 균등분할된 분할결상영역에 서로 중첩되지 않으면서 결상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2 렌즈군(110)(120)을 구성하는 각 웨이퍼(111)(121)에 구비되는 제1,2 차단부재(141)(142)는 상기 웨이퍼(111)(121)의 표면에 크롬과 같은 금속을 소재로 하여 증착방식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렌즈군(110)의 입사면에는 이에 구비되는 제1 상부렌즈(112)와 대응하는 영역마다 일정크기로 관통형성된 제3 개구부(146)를 구비하는 제3차단부재(145)를 추가 포함한다.
이러한 제3 차단부재(145)에 구비되는 제3 개구부(146)는 상기 렌즈의 유효경을 포함하는 내경크기를 갖는 사각공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제3 개구부(146)의 내부면에는 빛의 입사방향으로 갈수록 내경크기를 감소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단차부를 구비하거나,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라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렌즈군(110)의 입사면으로 입사되는 빛중 상기 제1 렌즈군에 구비되는 렌즈의 유효경을 벗어나는 빛이 불필요하게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3 차단부재(145)는 상기 제1,2 차단부재(141)(142)와 마찬가지로 상기 웨이퍼(111)의 상부면에 크롬과 같은 금속을 소재로 하여 증착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에 구비되는 제1 렌즈군(110)으로 무한대의 한점에서 출발한 빛이 입사되면, 상기 제1 렌즈군(110)은 2×2 로 균등분할된 복수개의 제1 상부렌즈(112)와 제2 하부렌즈(113)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상,하부렌즈(112)(113)를 통과하면서 굴절된 빛은 상기 제1 렌즈군(110)과 스페이서(150)를 매개로 적층된 제2 렌즈군(120)측으로 입사된다.
이때, 상기 제1 렌즈군(110)의 입사면으로 입사되는 빛중 상기 제1 상부렌즈(111)의 유효경을 벗어나는 빛은 상기 제3 차단부재(145)의 제3 개구부(146)를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연속하여, 상기 제1 렌즈군(110)의 출사면에는 제1 차단부재(141)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차단부재(141)에 관통형성된 제1 개구부(143)는 상기 제1 상,하부렌즈(112)(113)의 유효경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은 내경크기를 갖기 때문에, 상기 제1 렌즈군(110)의 제1 상,하부렌즈(112)(113)를 통과하면서 과도하게 굴절된 빛은 제2 렌즈군(120)측으로 출사되지 못하고 차단부재에 차단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렌즈군(110)의 화각외로 들어오는 광이 제2 렌즈군(120)으로 불필요하게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렌즈군(110)을 통과하여 상기 제2 렌즈군(120)의 입사면으로 입사되는 빛이 제2 렌즈군(12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렌즈군(120)의 입사면에는 상기 제2 차단부재(14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차단부재(142)에는 상기 제2 렌즈군(120)에 구비되는 렌즈의 유효경을 포함하는 내경크기를 갖는 제2 개구부(144)가 관통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렌즈군(120)으로 입사되어 렌즈(122)(123)를 통과하여 출사되는 빛은 상기 제2 개구부(144)와 동일한 사각형태로 출사되고, 이는 상기 이미지 센서(130)의 결상영역(131)에 사각형태로 균등분할된 분할결상영역(131a)마다 결상되고, 이들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센서(130)의 상부면에는 베이어 패턴으로 분할된 컬러필터(13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컬러필터(133)는 2×2로 분할된 결상영역에 맞추어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2×2로 분할된 컬러필터(133)를 통해 상기 분할 결상영역(131)에는 하나의 풀컬러 이미지보다 크기가 1/4로 축소된 복수개의 단색이미지가 결상된다.
연속하여, 상기 이미지센서(130)의 분할된 결상영역마다 결상되는 단색이미지는 상기 이미지 센서(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신호처리부(미도시)의 신호처리 알고리즘에 의해서 하나의 풀컬러 이미지로 합성되어 복원되도록 이미지처리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렌즈군과 제2 렌즈군사이에 렌즈의 유효경을 제외한 부분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갖춤으로서, 제1렌즈군의 렌즈을 통과하며서 굴절된 빛중 필요이상의 화각으로 굴절된 빛이 제2 렌즈군의 입사면에 대응하지 않는 렌즈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로 누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인접하는 렌즈로부터 굴절입사되는 빛이 화상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고 누광을 차단함과 동시에 이미지 센서의 결상영역에서 실사용영역을 최대화하여 이미지의 해상도를 높일 수 있고, 카메라의 광학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렌즈군과 이미지센서사이의 초점거리를 단축시켜 광학계 높이를 낮출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모듈의 크기를 소형화하고, 이를 채용하는 단말기를 종래에 비하여 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Claims (13)

  1. 적어도 2개이상의 렌즈를 구비하는 제1 렌즈군 ;
    상기 렌즈와 대응되는 복수개의 렌즈를 구비하여 상기 렌즈군과 스페이서를 매개로 적층되는 제2 렌즈군 ;
    상기 제1,2 렌즈군을 통과한 빛이 결상되는 결상영역을 구비하는 이미지센서 ; 및
    상기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사이에서 상기 제1,2렌즈군에 구비되는 렌즈의 유효경을 제외한 부분을 차단하는 차단부 ;를 포함하는 어레이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1 렌즈군의 렌즈와 대응하는 영역마다 제1 개구부를 관통형성하여 상기 제1 렌즈군의 출사면에 구비되는 제1 차단부재와, 상기 제2 렌즈군의 렌즈와 대응하는 영역마다 제2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2 렌즈군의 입사면에 구비되는 제2 차단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원형단면상의 렌즈와 동일한 원형태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렌즈의 유효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내경크기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1개구부의 내경을 포함하는 크기를 갖는 사각공형태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차단부재는 상기 제1,2렌즈군의 표면에 금속소재로 증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군은 입사면에 상기 제1 렌즈군의 렌즈와 대응하는 영역마다 제3 개구부를 구비하는 제3차단부재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개구부는 상기 렌즈의 유효경을 포함하는 사각형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개구부는 내부면에 내경크기를 감소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단차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개구부는 내주면에 내경크기를 감소시키는 경사면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 렌즈군의 출사면 외측테두리에 구비되는 제1 스페이서와, 상기 제2 렌즈군의 입사면 외측테두리에 구비되는 제2 스페이서 및 상기 제1,2 스페이서사이에 개재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부면에 상기 제1,2 렌즈군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빛에 포함된 단색 광신호를 분리하는 컬러필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필터는 상기 이미지센서에 균등분할된 결상영역과 대응되어 동일한 크기의 필터영역을 갖도록 균등분할된 어레이 필터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
KR1020060062932A 2006-07-05 2006-07-05 어레이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 KR100809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932A KR100809277B1 (ko) 2006-07-05 2006-07-05 어레이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
US11/822,301 US7551358B2 (en) 2006-07-05 2007-07-03 Camera module having an array l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932A KR100809277B1 (ko) 2006-07-05 2006-07-05 어레이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201A true KR20080004201A (ko) 2008-01-09
KR100809277B1 KR100809277B1 (ko) 2008-03-03

Family

ID=38918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932A KR100809277B1 (ko) 2006-07-05 2006-07-05 어레이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551358B2 (ko)
KR (1) KR1008092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46081A (zh) * 2020-06-30 2022-01-18 三星电机株式会社 相机模块及电子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5761B2 (en) * 2003-10-01 2008-07-29 Tessera North America, Inc. Thin camera having sub-pixel resolution
KR20100129751A (ko) 2008-04-03 2010-12-09 코니카 미노루따 호르딩구스 가부시끼가이샤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
US8456586B2 (en) 2009-06-11 2013-06-04 Apple Inc. Portable computer display structures
KR101044195B1 (ko) 2009-08-27 2011-06-29 삼성전기주식회사 듀얼 카메라 모듈
US8848301B2 (en) 2009-10-20 2014-09-30 Flir Systems Trading Belgium Bvba Focus compensation for optical elements and applications thereof
US8885257B2 (en) * 2009-10-20 2014-11-11 Flir Systems Trading Belgium Bvba Focus compensation for optical elements and applications thereof
US8408780B2 (en) 2009-11-03 2013-04-02 Apple Inc. Portable computer housing with integral display
US8743309B2 (en) 2009-11-10 2014-06-03 Apple Inc. Methods for fabricating display structures
DE102009047361B4 (de) * 2009-12-01 2013-02-07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zur optischen Abbildung
TWI432815B (zh) * 2009-12-15 2014-04-01 Lite On Technology Corp 鏡頭模組
JP2011128355A (ja) * 2009-12-17 2011-06-30 Sony Corp 撮像レンズ及び撮像レンズを用いたカメラモジュール並びに撮像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DE102010020243B4 (de) 2010-05-11 2012-03-01 Jos. Schneider Optische Werke Gmbh Kamera-Modul mit umschaltbarer Brennweite
US8467177B2 (en) 2010-10-29 2013-06-18 Apple Inc. Displays with polarizer windows and opaque masking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US9143668B2 (en) 2010-10-29 2015-09-22 Apple Inc. Camera lens structures and display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KR101199191B1 (ko) 2010-11-10 2012-1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어셈블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172248B1 (ko) 2010-11-19 2012-08-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어셈블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209954B1 (ko) * 2010-11-19 2012-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어셈블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120274811A1 (en) * 2011-04-28 2012-11-01 Dmitry Bakin Imaging devices having arrays of image sensors and precision offset lenses
US9075182B2 (en) * 2011-06-03 2015-07-07 VisEra Technology Company Limited Camera module and spacer of a lens structure in the camera module
KR101349510B1 (ko) * 2011-07-28 2014-01-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유닛,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EP3177003B1 (en) * 2012-09-19 2021-06-30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KR102040195B1 (ko) * 2012-09-19 2019-11-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9282228B2 (en) 2013-01-05 2016-03-08 The Lightco Inc. Camera methods and apparatus using optical chain modules which alter the direction of received light
US9923008B2 (en) * 2013-04-12 2018-03-20 Omnivision Technologies, Inc. Wafer-level array camera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the same
CN105518491B (zh) * 2013-08-20 2018-01-16 株式会社大赛璐 晶片透镜、晶片透镜阵列、晶片透镜叠层体及晶片透镜阵列叠层体
US9197816B2 (en) * 2013-10-18 2015-11-24 The Lightco Inc. Zoom related methods and apparatus
US9374514B2 (en) 2013-10-18 2016-06-21 The Lightco Inc. Methods and apparatus relating to a camera including multiple optical chains
US9563033B2 (en) 2013-10-18 2017-02-07 Light Lab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apturing images and/or for using captured images
US9467627B2 (en) 2013-10-26 2016-10-11 The Lightco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with multiple optical chains
US9736365B2 (en) 2013-10-26 2017-08-15 Light Labs Inc. Zoom related methods and apparatus
US9386203B2 (en) * 2013-10-28 2016-07-05 Omnivision Technologies, Inc. Compact spacer in multi-lens array module
US9426365B2 (en) 2013-11-01 2016-08-23 The Lightco Inc. Image stabilization related methods and apparatus
US9554031B2 (en) 2013-12-31 2017-01-24 Light Labs Inc. Camera focusing related methods and apparatus
US9979878B2 (en) 2014-02-21 2018-05-22 Light Labs Inc. Intuitive camera user interface methods and apparatus
US9462170B2 (en) 2014-02-21 2016-10-04 The Lightco Inc. Lighting methods and apparatus
US20150281601A1 (en) * 2014-03-25 2015-10-01 INVIS Technologies Corporation Modular Packaging and Optical System for Multi-Aperture and Multi-Spectral Camera Core
EP3164831A4 (en) 2014-07-04 2018-02-14 Light Labs Inc. Methods and apparatus relating to detection and/or indicating a dirty lens condition
US10110794B2 (en) 2014-07-09 2018-10-23 Light Labs Inc. Camera device including multiple optical chains and related methods
EP3172767B1 (en) * 2014-07-25 2022-01-05 Heptagon Micro Optics Pte. Ltd. Optoelectronic modules including an image sensor having regions optically separated from one another
WO2016061565A1 (en) 2014-10-17 2016-04-21 The Lightco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a camera device to support multiple modes of operation
CN107211099A (zh) 2014-12-17 2017-09-26 光实验室股份有限公司 用于实施并使用摄像机装置的方法及设备
US9544503B2 (en) 2014-12-30 2017-01-10 Light Labs Inc. Exposure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US9824427B2 (en) 2015-04-15 2017-11-21 Light Lab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sharp image
US9857584B2 (en) 2015-04-17 2018-01-02 Light Labs Inc. Camera device methods, apparatus and components
US10091447B2 (en) 2015-04-17 2018-10-02 Light Lab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readout of multiple image sensors
US10075651B2 (en) 2015-04-17 2018-09-11 Light Lab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apturing images using multiple camera modules in an efficient manner
US9967535B2 (en) 2015-04-17 2018-05-08 Light Lab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noise in images
WO2016172641A1 (en) 2015-04-22 2016-10-27 The Lightco Inc. Filter mounting methods and apparatus and related camera apparatus
US10129483B2 (en) 2015-06-23 2018-11-13 Light Lab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zoom using one or more moveable camera modules
JP6670565B2 (ja) * 2015-07-31 2020-03-25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積層レンズ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型
US10491806B2 (en) 2015-08-03 2019-11-26 Light Labs Inc. Camera device control related methods and apparatus
US10365480B2 (en) 2015-08-27 2019-07-30 Light Lab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nd/or using camera devices with one or more light redirection devices
US9749549B2 (en) 2015-10-06 2017-08-29 Light Lab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selective blurring of one or more image portions
US10003738B2 (en) 2015-12-18 2018-06-19 Light Lab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or indicating a blocked sensor or camera module
US10225445B2 (en) 2015-12-18 2019-03-05 Light Lab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amera lens or viewing point indicator
US10306218B2 (en) 2016-03-22 2019-05-28 Light Labs Inc. Camera calibration apparatus and methods
US9948832B2 (en) 2016-06-22 2018-04-17 Light Lab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ynchronized image capture in a device including optical chains with different orientations
US10395110B2 (en) 2016-10-04 2019-08-27 Samsung Electro-Mechnics Co., Ltd. Iris scanning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JP6976688B2 (ja) * 2017-01-26 2021-12-08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US20200371330A1 (en) * 2017-11-21 2020-11-26 Fondazione Istituto Italiano Di Tecnologia Lens system intended for microscopic observation and operationally associable with an image acquisition device and a light source
US11838432B2 (en) 2019-12-03 2023-12-05 Apple Inc.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11637919B2 (en) 2019-12-03 2023-04-25 Apple Inc. Handheld electronic device
DE102021202164B3 (de) * 2021-03-05 2022-07-2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ingetragener Verein Tandemblendenarchitektur zur Füllfaktorerhöhung von kompakten Multikanalabbildungssysteme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6612B2 (ja) * 1992-10-12 1999-02-10 シャープ株式会社 ホログラフィック・ステレオグラム記録用投影装置
GB9301405D0 (en) * 1993-01-25 1993-03-17 Philips Electronics Uk Ltd An image sensor
US5444520A (en) * 1993-05-17 1995-08-22 Kyocera Corporation Image devices
US5617131A (en) * 1993-10-28 1997-04-01 Kyocera Corporation Image device having a spacer with image arrays disposed in holes thereof
US5648874A (en) * 1994-06-29 1997-07-15 Fujitsu Limited Optical apparatus
US5768023A (en) * 1994-06-29 1998-06-16 Fujitsu Limited Optical apparatus
JP3821614B2 (ja) * 1999-08-20 2006-09-13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画像入力装置
JP4131891B2 (ja) * 1999-09-03 2008-08-13 ローム株式会社 レンズアレイ、およびレンズアレイの製造方法
US6171885B1 (en) * 1999-10-12 2001-01-0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High efficiency color filter process for semiconductor array imaging devices
JP2001284230A (ja) * 2000-03-31 2001-10-12 Canon Inc 電子光学系アレイ、これを用いた荷電粒子線露光装置ならびにデバイス製造方法
JP4585661B2 (ja) * 2000-03-31 2010-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光学系アレイ、荷電粒子線露光装置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JP2001283756A (ja) * 2000-03-31 2001-10-12 Canon Inc 電子光学系アレイ、これを用いた荷電粒子線露光装置ならびにデバイス製造方法
US6821810B1 (en) * 2000-08-07 2004-11-2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High transmittance overcoat for optimization of long focal length microlens arrays in semiconductor color imagers
US20040012698A1 (en) 2001-03-05 2004-01-22 Yasuo Suda Image pickup model and image pickup device
US6646807B2 (en) * 2001-06-19 2003-11-11 Rohm Co., Ltd. Lens array unit and process for making lens array
KR20040021452A (ko) 2002-09-04 2004-03-10 고원기술(주) 고품질의 영상을 표시하는 미소렌즈군을 갖는액정표시소자
KR101227544B1 (ko) 2004-01-26 2013-01-31 디지털옵틱스 코포레이션 이스트 서브 픽셀 해상도를 가진 박형 카메라
US7060592B2 (en) * 2004-09-15 2006-06-13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Image sensor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0593896B1 (ko) * 2004-12-27 2006-06-28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분할형 카메라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46081A (zh) * 2020-06-30 2022-01-18 三星电机株式会社 相机模块及电子设备
CN113946081B (zh) * 2020-06-30 2023-06-23 三星电机株式会社 相机模块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07623A1 (en) 2008-01-10
US7551358B2 (en) 2009-06-23
KR100809277B1 (ko) 2008-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9277B1 (ko) 어레이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
US7157690B2 (en) Imaging device with triangular photodetector array for use in imaging
US7842980B2 (en) Image sensor microlens structure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20070097249A1 (en) Camera module
KR100654143B1 (ko) 고체 촬상 장치,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 카메라
WO2012042963A1 (ja) 固体撮像素子及び撮像装置
US20060066922A1 (en) Solid-state imag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amera
US20100044815A1 (en) Cmos image sensor package and camera module using same
US9099370B2 (en) Solid-state imaging element and imaging device
US8030115B2 (en)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with color fil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323608B2 (en) Image sensors with phase detection auto-focus pixels
CN102446937A (zh) 固体摄像器件、固体摄像器件制造方法及电子装置
US7053952B2 (en) Image pickup apparatus
US20040080005A1 (en) Image sensor having combination color filter and concave-shaped micro-lenses
CN105009288A (zh) 固体摄像元件、摄像装置、电子设备和制造方法
JP2013191717A (ja) 固体撮像装置、及び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
KR20070067915A (ko)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US10880467B2 (en) Image sensors with phase detection auto-focus pixels
KR20090010867A (ko) 칼라 필터 배열들 및 그것을 이용하는 이미지 센서들
CN1773713A (zh) Cmos图像传感器及其制造方法
US20100165156A1 (en) Image capture device comprising focusing adjustment means
JP2009267000A (ja) 固体撮像素子
JP2006216904A (ja) カラー固体撮像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80157246A1 (en) Image sensor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0593896B1 (ko) 렌즈 분할형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