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194U - 유수분리기 - Google Patents
유수분리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04194U KR20080004194U KR2020070004846U KR20070004846U KR20080004194U KR 20080004194 U KR20080004194 U KR 20080004194U KR 2020070004846 U KR2020070004846 U KR 2020070004846U KR 20070004846 U KR20070004846 U KR 20070004846U KR 20080004194 U KR20080004194 U KR 20080004194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 buoy
- water
- signal
- light emit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수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상호 비중이 다른 물과 유기용제를 상호 분리하는 유수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물과 다른 비중을 갖는 유기용제의 혼합물이 유입되는 입구를 가지며, 상기 유입된 혼합물을 수용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 내에 위치되며, 상기 수조 하방으로 길게 배치되는 봉부재와, 상기 봉부재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봉부재에 끼워지며, 상기 유기용제의 수면에 뜨는 제1부표와, 상기 봉부재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봉부재에 끼워지며, 상기 유기용제에는 가라앉고, 상기 물의 수면에는 뜨는 제2부표와, 상기 수조에 결합되며, 상기 수조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유기용제를 상기 수조의 외부로 배출하거나, 그 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밸브로 구성된 제1배출관과, 상기 수조에 결합되되, 상기 제1배출관과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수조와 결합되며, 상기 수조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물을 상기 수조의 외부로 배출하거나, 그 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밸브로 구성된 제2배출관과, 상기 제1부표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상방센서와, 상기 제1상방센서 하방에 위치되되, 상기 제2배출관 상방에 위치되는 제2하방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부표가 상기 제1상방센서나 상기 제1하방센서가 위치된 곳에 있음이 감지되면,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할 수 있는 제1센서와, 상기 제2부표의 위치를 감지하되, 상기 제1하방센서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상방센서와 상기 제2상방센서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하방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부표가 상기 제2상방센서나 상기 제2하방센서가 위치된 곳에 있음이 감지되면,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할 수 있는 제2센서와, 상기 제1부표가 상기 제1상방센서가 위치된 곳에 있음이 감지되어 신호를 발하면, 그 신호를 받아 상기 제1배출관의 밸브를 열어 상기 유기용제를 배출시키고, 상기 제1부표가 상기 제1하방센서가 위치된 곳에 있음이 감지되어 신호를 발하면, 그 신호를 받아 상기 제1배출관의 밸브를 닫아 상기 유기용제의 배출을 방지하고, 상기 제2부표가 상기 제2상방센서가 위치된 곳에 있음이 감지되어 신호를 발하면, 그 신호를 받아 상기 제2배출관의 밸브를 열어 상기 물을 배출시키고, 상기 제2부표가 상기 제2하방센서가 위치된 곳에 있음이 감지되어 신호를 발하면, 그 신호를 받아 상기 제2배출관의 밸브를 닫아 상기 물의 배출을 방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의 장치를 통해서, 상호 비중이 다른 물과 유기용제가 혼합된 액체 상태일 때, 이를 정확하게 분리시켜 배출하여 환경오염의 우려가 없고, 유기용제의 회수율이 극대화되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모든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인적요건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수분리기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수분리기의 사용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수조 20. 봉부재
30. 제1부표 40. 제2부표
50. 제1배출관 60. 제2배출관
70. 제1센서 80. 제2센서
90. 제어부 100. 유수분리기
본 고안은 유수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호 비중이 다른 물과 유기용제가 혼합된 액체 상태에서, 이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과정을 유기용제에 뜨는 제1부표와, 물에는 뜨고 유기용제에는 가라앉는 제2부표와, 상기 각각의 부표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와, 센서의 신호를 받아 제어하는 제어부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분리 배출할 수 있는 유수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나 섬유제품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휘발성 유기용제(Volatile Organic Compound)는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배출규제를 받기 때문에, 기화성이 강한 유기용제를 냉각기능을 이용한 장치로 기체를 액체로 응축시켜, 그 액체를 유수분리기로 유동시킨 후, 유기용제는 회수하고 물은 배출하게 된다.
종래의 회수방법으로 사용되는 유수분리기는 물과 기름처럼 섞이지 않고, 분리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간단한 기구의 구조적인 형태로 분리 배출이나, 회수를 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유수분리기는 물과 유기용제의 배출 및 회수시 일부 희석된 용액(물과 유기용제)이 배출되어 환경오염이 유발되며, 유기용제의 회수율이 낮으며, 인위적인 방법으로 회수를 하므로, 수시로 관리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서로 비중이 다른 액체가 혼합된 상태일 때, 이를 정확하게 분리시켜서 배출할 수 있는 장치가 있지만, 그 장치는 오일 분리기나 진공 펌프등 별도의 복잡한 장비가 필요로 하며, 고가의 제품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구조의 장치를 통해서, 물과 비중이 다른 유기용제가 혼합된 액 체 상태일 때, 이를 정확하게 분리시켜 배출함으로써 환경오염의 우려가 없고, 유기용제의 회수율이 극대화 되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모든 과정을 자동화 함으로써 인적요건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수분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유수분리기는 물과 다른 비중을 갖는 유기용제의 혼합물이 유입되는 입구를 가지며, 상기 유입된 혼합물을 수용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 내에 위치되며, 상기 수조 하방으로 길게 배치되는 봉부재와, 상기 봉부재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봉부재에 끼워지며, 상기 유기용제의 수면에 뜨는 제1부표와, 상기 봉부재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봉부재에 끼워지며, 상기 유기용제에는 가라앉고, 상기 물의 수면에는 뜨는 제2부표와, 상기 수조에 결합되며, 상기 수조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유기용제를 상기 수조의 외부로 배출하거나, 그 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밸브로 구성된 제1배출관과, 상기 수조에 결합되되, 상기 제1배출관과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수조와 결합되며, 상기 수조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물을 상기 수조의 외부로 배출하거나, 그 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밸브로 구성된 제2배출관과, 상기 제1부표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상방센서와, 상기 제1상방센서 하방에 위치되되, 상기 제2배출관 상방에 위치되는 제2하방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부표가 상기 제1상방센서나 상기 제1하방센서가 위치된 곳에 있음이 감지되면,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할 수 있는 제1센서와, 상기 제2부표의 위치를 감지하되, 상기 제1하방센서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상방센서와 상기 제2상방센서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하방센서를 포함 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부표가 상기 제2상방센서나 상기 제2하방센서가 위치된 곳에 있음이 감지되면,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할 수 있는 제2센서와, 상기 제1부표가 상기 제1상방센서가 위치된 곳에 있음이 감지되어 신호를 발하면, 그 신호를 받아 상기 제1배출관의 밸브를 열어 상기 유기용제를 배출시키고, 상기 제1부표가 상기 제1하방센서가 위치된 곳에 있음이 감지되어 신호를 발하면, 그 신호를 받아 상기 제1배출관의 밸브를 닫아 상기 유기용제의 배출을 방지하고, 상기 제2부표가 상기 제2상방센서가 위치된 곳에 있음이 감지되어 신호를 발하면, 그 신호를 받아 상기 제2배출관의 밸브를 열어 상기 물을 배출시키고, 상기 제2부표가 상기 제2하방센서가 위치된 곳에 있음이 감지되어 신호를 발하면, 그 신호를 받아 상기 제2배출관의 밸브를 닫아 상기 물의 배출을 방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상방센서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제1부표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스토퍼와, 상기 제1하방센서와 상기 제2상방센서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부표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와, 상기 제2하방센서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2부표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3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과 다른 비중을 갖는 유기용제의 혼합물이 유입되는 입구를 가지며, 상기 유입된 혼합물을 수용하며, 투명한 재질로 구성된 수조와, 상기 수조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기용제의 수면에 뜨는 제1부표와, 상기 수조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기용제에는 가라앉고, 상기 물의 수면에는 뜨는 제2부표와, 상기 수 조에 결합되며, 상기 수조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유기용제를 상기 수조의 외부로 배출하거나, 그 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밸브로 구성된 제1배출관과, 상기 수조에 결합되되, 상기 제1배출관과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수조와 결합되며, 상기 수조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물을 상기 수조의 외부로 배출하거나, 그 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밸브로 구성된 제2배출관과, 상기 제1부표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적외선을 발하는 제1발광센서와, 상기 제1발광센서에서 발하는 적외선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1발광센서와 마주보며 위치하는 제1수광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부표가 상기 제1발광센서가 위치한 곳에 위치하면, 상기 제1발광센서가 발하는 적외선이 상기 제1부표에 막혀 차단되므로, 상기 제1수광센서는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하는 제1투과형 광센서와, 상기 제1발광센서 하방에 위치하며, 제1부표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적외선을 발하는 제2발광센서와, 상기 제2발광센서에서 발하는 적외선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2발광센서와 마주보며 있으며, 제1수광센서 하방에 위치하는 제2수광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부표가 상기 제2발광센서가 위치한 곳에 위치하면, 상기 제2발광센서가 발하는 적외선이 상기 제1부표에 막혀 차단되므로, 상기 제2수광센서는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하는 제2투과형 광센서와, 상기 제2발광센서 하방에 위치하며, 제2부표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적외선을 발하는 제3발광센서와, 상기 제3발광센서에서 발하는 적외선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3발광센서와 마주보며 있으며, 제2수광센서 하방에 위치하는 제3수광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부표가 상기 제3발광센서가 위치한 곳에 위치하면, 상기 제3발광센서가 발하는 적외선이 상기 제2부표에 막혀 차단되므 로, 상기 제3수광센서는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하는 제3투과형 광센서와, 상기 제3발광센서 하방에 위치하며, 제2부표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적외선을 발하는 제4발광센서와, 상기 제4발광센서에서 발하는 적외선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4발광센서와 마주보며 있으며, 제3수광센서 하방에 위치하는 제4수광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부표가 상기 제4발광센서가 위치한 곳에 위치하면, 상기 제4발광센서가 발하는 적외선이 상기 제2부표에 막혀 차단되므로, 상기 제4수광센서는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하는 제4투과형 광센서와, 상기 제1부표가 상기 제1발광센서가 위치된 곳에 있음이 감지되어 제1수광센서가 신호를 발하면, 그 신호를 받아 상기 제1배출관의 밸브를 열어 상기 유기용제를 배출시키고, 상기 제1부표가 상기 제2발광센서가 위치된 곳에 있음이 감지되어 제2수광센서가 신호를 발하면, 그 신호를 받아 상기 제1배출관의 밸브를 닫아 상기 유기용제의 배출을 방지하고, 상기 제2부표가 상기 제3발광센서가 위치된 곳에 있음이 감지되어 제3수광센서가 신호를 발하면, 그 신호를 받아 상기 제2배출관의 밸브를 열어 상기 물을 배출시키고, 상기 제2부표가 상기 제4발광센서가 위치된 곳에 있음이 감지되어 제4수광센서가 신호를 발하면, 그 신호를 받아 상기 제2배출관의 밸브를 닫아 상기 물의 배출을 방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투과형 광센서와, 제2투과형 광센서와, 제3투과형 광센서와, 제4투과형 광센서가 반사형 광센서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수분리기의 단면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수분리기의 사용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슈분리기(100)는 수조(10)와, 봉부재(20)와, 제1부표(30)와, 제2부표(40)와, 제1배출관(50)과, 제2배출관(60)과, 제1센서(70)와, 제2센서(80)와, 제어부(9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수조(10)는 물(a)과 다른 비중을 갖는 유기용제(b)의 혼합물이 유입되는 입구(11)를 가지며, 상기 유입된 혼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된다.
상기 봉부재(20)는 수조(10) 내에 위치되며, 상기 수조(10) 하방으로 길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봉부재(20)의 내부는 하방으로 길게 홈이 파여있어, 내부에 센서가 삽입되어 부착되며, 상기 봉부재(20)의 상부는 결합덮개(21)로 고정된다.
상기 제1부표(30)는 봉부재(2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봉부재(20)에 끼워지며, 상기 유기용제(b)의 수면에 뜨게 된다.
상기 제2부표(40)는 봉부재(2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봉부재(20)에 끼워지며, 상기 유기용제(b)에는 가라앉고, 상기 물(a)의 수면에는 뜨게 된다.
상기 제1배출관(50)은 수조(10)에 결합되며, 상기 수조(10)의 내부와 연통되 며, 상기 유기용제(b)를 상기 수조(10)의 외부로 배출하거나, 그 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밸브(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배출관(60)은 수조(10)에 결합되되, 상기 제1배출관(50)과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수조(10)와 결합되며, 상기 수조(10)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물(a)을 상기 수조(10)의 외부로 배출하거나, 그 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밸브(6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센서(70)는 제1부표(30)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상방센서(71)와, 상기 제1상방센서(71) 하방에 위치되되, 상기 제2배출관(60) 상방에 위치되는 제1하방센서(7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부표(30)가 상기 제1상방센서(71)나 상기 제1하방센서(72)가 위치된 곳에 있음이 감지되면,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센서(80)는 제2부표(40)의 위치를 감지하되, 상기 제1하방센서(72)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상방센서(81)와 상기 제2상방센서(81)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하방센서(8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부표(40)가 상기 제2상방센서(81)나 상기 제2하방센서(81)가 위치된 곳에 있음이 감지되면,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90)는 제1부표(30)가 상기 제1상방센서(71)가 위치된 곳에 있음이 감지되어 신호를 발하면, 그 신호를 받아 상기 제1배출관(50)의 밸브(51)를 열어 상기 유기용제(b)를 배출시키고, 상기 제1부표(30)가 상기 제1하방센서(72)가 위치된 곳에 있음이 감지되어 신호를 발하면, 그 신호를 받아 상기 제1배출관(50) 의 밸브(51)를 닫아 상기 유기용제(b)의 배출을 방지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제2부표(40)가 상기 제2상방센서(81)가 위치된 곳에 있음이 감지되어 신호를 발하면, 그 신호를 받아 상기 제2배출관(60)의 밸브(61)를 열어 상기 물(a)을 배출시키고, 상기 제2부표(40)가 상기 제2하방센서(82)가 위치된 곳에 있음이 감지되어 신호를 발하면, 그 신호를 받아 상기 제2배출관(60)의 밸브(61)를 닫아 상기 물(a)의 배출을 방지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상방센(71)서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제1부표(30)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스토퍼(22)와, 상기 제1하방센서(72)와 상기 제2상방센서(81)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부표(40)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23)와, 상기 제2하방센서(82)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2부표(40)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3스토퍼(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100)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유기용제(b)가 물(a)보다 그 비중이 낮은 것으로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호 비중이 다른 상기 물(a)과 상기 유기용제(b)가 혼합된 액체가 상기 수조(10)의 입구(11)로 유입되며, 상호 비중차이에 의해 상기 물(a)은 가라앉고, 상기 유기용제(b)는 떠오르게 된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상기 유기용제(b)에 뜨는 제1부표(30)와 상기 물(a)에는 뜨고 상기 유기용제(b)에는 가라앉는 제2부표(40)가 각각의 위치에서 부상해 있다가, 계속 유입되는 혼합액에 의해, 제1부표(30)나 제2부표(40)중 어느 하나가 부상하여 제1상방센서(71)나 제2상방센서(81)에 감지되면, 센서는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90)에서는 그 신호를 받아, 유입되는 혼합액은 차단하고, 제1배출관(50)이나 제2배출관(60)의 밸브(51,61)를 열어 물(a)이나, 유기용제(b)를 배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에 먼저 감지되어 배출되는 액체를 유기용제(b)라 하고 설명한다.
그러면, 상기 유기용제(b)에 떠있는 제1부표(30)는 유기용제(b)가 제1배출관(50)을 통해 배출됨에 따라 점점 아래로 가라앉게 되어, 제1하방센서(72)에 감지되면, 제1하방센서(72)는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하고, 상기 제어부(90)에서는 그 신호를 받아 유기용제(b)가 배출되던 제1배출관(50)의 밸브(51)가 차단되고, 다시 혼합액이 수조(10)의 입구(11)로 유입된다.
그러면, 다시 제1부표(30)와 제2부표(40)가 부상하게 되고, 여기서 제2부표(40)가 제2상방센서(81)에 감지되면, 제2상방센서(81)는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90)에서는 그 신호를 받아, 유입되는 혼합액은 차단하고, 제2배출관(60)의 밸브(61)를 열어 물(a)을 배출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2부표(40)는 물(a)이 제2배출관(60)을 통해 배출됨에 따라 점점 아래로 가라앉게 되어, 제2하방센서(82)에 감지되면, 제2하방센서(82)는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하고, 상기 제어부(90)에서는 그 신호를 받아 물(a)이 배출되던 제2배출관(60)의 밸브(61)가 차단되고, 다시 혼합액이 수조(10)의 입구(11)로 유입되며, 이러한 방식이 연속적으로 연동되어 작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2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조(110)와, 상기 제1상방센서(71)와, 제1하방센서(72)와, 제2상방센서(81)와, 제2하방센서(82)가 제1투과형 광센서(120)와, 제2투과형 광센서(130)와, 제3투과형 광센서(140)와, 제4투과형 광센서(150)로 대체되는 것만이 상이하며, 그 외의 구성과 기능은 상기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의 특징인 수조(110)와, 투과형 광센서를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수조(110)는 물(a)과 다른 비중을 갖는 유기용제(b)의 혼합물이 유입되는 입구(111)를 가지며, 상기 유입된 혼합물을 수용하며,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유수분리기(200)는 일실시예의 유수분리기(100)에 사용 되었던, 봉부재(20)와 스토퍼 없이 사용된다.
상기 제1투과형 광센서(120)는 수조(110)의 외부에 위치하며, 제1부표(3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적외선을 발하는 제1발광센서(121)와, 상기 제1발광센서(121)에서 발하는 적외선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1발광센서(121)와 마주보며 위치하는 제1수광센서(1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부표(30)가 상기 제1발광센서(121)가 위치한 곳에 위치하면, 상기 제1발광센서(121)가 발하는 적외선이 상기 제1부표(30)에 막혀 차단되므로, 상기 제1수광센서(122)는 그에 상응하는 신 호를 발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제2투과형 광센서(130)는 제1발광센서(121) 하방에 위치하며, 제1부표(3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적외선을 발하는 제2발광센서(131)와, 상기 제2발광센서(131)에서 발하는 적외선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2발광센서(131)와 마주보며 있으며, 제1수광센서(122) 하방에 위치하는 제2수광센서(1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부표(30)가 상기 제2발광센서(131)가 위치한 곳에 위치하면, 상기 제2발광센서(131)가 발하는 적외선이 상기 제1부표(30)에 막혀 차단되므로, 상기 제2수광센서(132)는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제3투과형 광센서(140)는 제2발광센서(131) 하방에 위치하며, 제2부표(4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적외선을 발하는 제3발광센서(141)와, 상기 제3발광센서(141)에서 발하는 적외선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3발광센서(141)와 마주보며 있으며, 제2수광센서(132) 하방에 위치하는 제3수광센서(14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부표(40)가 상기 제3발광센서(141)가 위치한 곳에 위치하면, 상기 제3발광센서(141)가 발하는 적외선이 상기 제2부표(40)에 막혀 차단되므로, 상기 제3수광센서(142)는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제4투과형 발광센서(150)는 제3발광센서(141) 하방에 위치하며, 제2부표(4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적외선을 발하는 제4발광센서(151)와, 상기 제4발광센서(151)에서 발하는 적외선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4발광센서(151)와 마주보며 있으며, 제3수광센서(142) 하방에 위치하는 제4수광센서(14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부표(40)가 상기 제4발광센서(151)가 위치한 곳에 위치하면, 상기 제4발광센서(151)가 발하는 적외선이 상기 제2부표(40)에 막혀 차단되므로, 상기 제4수광센서(152)는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1투과형 광센서(120)와, 제2투과형 광센서(130)와, 제3투과형 광센서(140)와, 제4투과형 광센서(150)가 제1반사형 광센서(160)와, 제2반사형 광센서(170)와, 제3반사형 광센서(180)와, 제4반사형 광센서(190)로 대체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반사형 광센서는 적외선을 발하여, 반사되어 오는 적외선의 양을 판별하여,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제어부(90)로 발하게 되어있다.
상기 반사되어 오는 적외선의 양은 상기 반사형 광센서의 위치한 곳에, 상기 부표가 위치하면 반사되어 오는 적외선 양이 많으며, 액체가 위치하게 되면 상기 부표가 위치할 때 보다는 적외선 양이 적으며, 빈 공간일때는 상기 액체가 위치할 때 보다 더 적게 되어,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각각 상기 제어부(90)로 발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수분리기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의 장치를 통해서, 서로 비중이 다른 물과 유기용제가 혼합된 액체 상태일 때, 이를 정확하게 분리시켜 배출하여 환경오염의 우려가 없고, 유기용제의 회수율이 극대화 되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모든 과정을 자동화 함으로써 인적요건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 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 상호 비중이 다른 물과 유기용제를 상호 분리하는 유수분리기에 있어서,상기 물과 다른 비중을 갖는 유기용제의 혼합물이 유입되는 입구를 가지며, 상기 유입된 혼합물을 수용하는 수조;상기 수조 내에 위치되며, 상기 수조 하방으로 길게 배치되는 봉부재;상기 봉부재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봉부재에 끼워지며, 상기 유기용제의 수면에 뜨는 제1부표;상기 봉부재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봉부재에 끼워지며, 상기 유기용제에는 가라앉고, 상기 물의 수면에는 뜨는 제2부표;상기 수조에 결합되며, 상기 수조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유기용제를 상기 수조의 외부로 배출하거나, 그 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밸브로 구성된 제1배출관;상기 수조에 결합되되, 상기 제1배출관과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수조와 결합되며, 상기 수조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물을 상기 수조의 외부로 배출하거나, 그 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밸브로 구성된 제2배출관;상기 제1부표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상방센서와, 상기 제1상방센서 하방에 위치되되, 상기 제2배출관 상방에 위치되는 제2하방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상기 제1부표가 상기 제1상방센서나 상기 제1하방센서가 위치된 곳에 있음이 감지되면,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할 수 있는 제1센서;상기 제2부표의 위치를 감지하되, 상기 제1하방센서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 상방센서와 상기 제2상방센서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하방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상기 제2부표가 상기 제2상방센서나 상기 제2하방센서가 위치된 곳에 있음이 감지되면,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할 수 있는 제2센서; 및상기 제1부표가 상기 제1상방센서가 위치된 곳에 있음이 감지되어 신호를 발하면, 그 신호를 받아 상기 제1배출관의 밸브를 열어 상기 유기용제를 배출시키고, 상기 제1부표가 상기 제1하방센서가 위치된 곳에 있음이 감지되어 신호를 발하면, 그 신호를 받아 상기 제1배출관의 밸브를 닫아 상기 유기용제의 배출을 방지하고,상기 제2부표가 상기 제2상방센서가 위치된 곳에 있음이 감지되어 신호를 발하면, 그 신호를 받아 상기 제2배출관의 밸브를 열어 상기 물을 배출시키고, 상기 제2부표가 상기 제2하방센서가 위치된 곳에 있음이 감지되어 신호를 발하면, 그 신호를 받아 상기 제2배출관의 밸브를 닫아 상기 물의 배출을 방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1상방센서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제1부표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스토퍼와,상기 제1하방센서와 상기 제2상방센서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부표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와,상기 제2하방센서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2부표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제 한하는 제3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 상기 물과 다른 비중을 갖는 유기용제의 혼합물이 유입되는 입구를 가지며, 상기 유입된 혼합물을 수용하며, 투명한 재질로 구성된 수조;상기 수조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기용제의 수면에 뜨는 제1부표;상기 수조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기용제에는 가라앉고, 상기 물의 수면에는 뜨는 제2부표;상기 수조에 결합되며, 상기 수조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유기용제를 상기 수조의 외부로 배출하거나, 그 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밸브로 구성된 제1배출관;상기 수조에 결합되되, 상기 제1배출관과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수조와 결합되며, 상기 수조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물을 상기 수조의 외부로 배출하거나, 그 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밸브로 구성된 제2배출관;상기 제1부표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적외선을 발하는 제1발광센서와, 상기 제1발광센서에서 발하는 적외선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1발광센서와 마주보며 위치하는 제1수광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상기 제1부표가 상기 제1발광센서가 위치한 곳에 위치하면, 상기 제1발광센서가 발하는 적외선이 상기 제1부표에 막혀 차단되므로, 상기 제1수광센서는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하는 제1투과형 광센서;상기 제1발광센서 하방에 위치하며, 제1부표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적외선을 발하는 제2발광센서와, 상기 제2발광센서에서 발하는 적외선을 받을 수 있도 록 상기 제2발광센서와 마주보며 있으며, 제1수광센서 하방에 위치하는 제2수광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상기 제1부표가 상기 제2발광센서가 위치한 곳에 위치하면, 상기 제2발광센서가 발하는 적외선이 상기 제1부표에 막혀 차단되므로, 상기 제2수광센서는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하는 제2투과형 광센서;상기 제2발광센서 하방에 위치하며, 제2부표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적외선을 발하는 제3발광센서와, 상기 제3발광센서에서 발하는 적외선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3발광센서와 마주보며 있으며, 제2수광센서 하방에 위치하는 제3수광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상기 제2부표가 상기 제3발광센서가 위치한 곳에 위치하면, 상기 제3발광센서가 발하는 적외선이 상기 제2부표에 막혀 차단되므로, 상기 제3수광센서는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하는 제3투과형 광센서;상기 제3발광센서 하방에 위치하며, 제2부표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적외선을 발하는 제4발광센서와, 상기 제4발광센서에서 발하는 적외선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4발광센서와 마주보며 있으며, 제3수광센서 하방에 위치하는 제4수광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상기 제2부표가 상기 제4발광센서가 위치한 곳에 위치하면, 상기 제4발광센서가 발하는 적외선이 상기 제2부표에 막혀 차단되므로, 상기 제4수광센서는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하는 제4투과형 광센서; 및상기 제1부표가 상기 제1발광센서가 위치된 곳에 있음이 감지되어 제1수광센 서가 신호를 발하면, 그 신호를 받아 상기 제1배출관의 밸브를 열어 상기 유기용제를 배출시키고, 상기 제1부표가 상기 제2발광센서가 위치된 곳에 있음이 감지되어 제2수광센서가 신호를 발하면, 그 신호를 받아 상기 제1배출관의 밸브를 닫아 상기 유기용제의 배출을 방지하고,상기 제2부표가 상기 제3발광센서가 위치된 곳에 있음이 감지되어 제3수광센서가 신호를 발하면, 그 신호를 받아 상기 제2배출관의 밸브를 열어 상기 물을 배출시키고, 상기 제2부표가 상기 제4발광센서가 위치된 곳에 있음이 감지되어 제4수광센서가 신호를 발하면, 그 신호를 받아 상기 제2배출관의 밸브를 닫아 상기 물의 배출을 방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제1투과형 광센서와, 제2투과형 광센서와, 제3투과형 광센서와, 제4투과형 광센서가 반사형 광센서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4846U KR200442198Y1 (ko) | 2007-03-23 | 2007-03-23 | 유수분리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4846U KR200442198Y1 (ko) | 2007-03-23 | 2007-03-23 | 유수분리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4194U true KR20080004194U (ko) | 2008-09-26 |
KR200442198Y1 KR200442198Y1 (ko) | 2008-10-16 |
Family
ID=41325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04846U KR200442198Y1 (ko) | 2007-03-23 | 2007-03-23 | 유수분리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2198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73174B1 (ko) | 2015-09-08 | 2017-09-18 | 주식회사 탱크로드 | 유류정화기능을 갖는 유류저장 및 공급시스템 |
KR101953808B1 (ko) | 2017-09-28 | 2019-05-23 | 정미경 | 유수 분리장치 |
-
2007
- 2007-03-23 KR KR2020070004846U patent/KR20044219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42198Y1 (ko) | 2008-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197621B2 (ja) | 汚廃水処理槽のスラッジ濃度測定装置 | |
NO791265L (no) | Tyngdekraft-separator. | |
US6217752B1 (en) | Septic tank alarm system | |
KR101390821B1 (ko) | 선박용 오수분리장치 | |
KR100714402B1 (ko) | 오폐수 처리조의 침전 슬러지 농도 측정장치 | |
KR20130091726A (ko) | 수중 오일 및 가스 수집 시스템 | |
US10633962B2 (en) | Method and system for subsea separation of produced water | |
JP6174244B2 (ja) | 雨水と土砂の排出が可能な雨水吐き室 | |
KR200442198Y1 (ko) | 유수분리기 | |
SE514756C2 (sv) | Anordning för uppsamling av flytande föroreningar på en vattenmassas yta, samt flytrecipient för användning vid sådan uppsamling | |
KR101953808B1 (ko) | 유수 분리장치 | |
JP2023160683A (ja) | 連続分液装置及び連続分液方法 | |
NO20110993A1 (no) | Skummeinnretning | |
US20050005968A1 (en) | Automated vacuum waste handling system | |
KR101390493B1 (ko) | 평형수 처리용 선박 | |
TW554168B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luid transparency | |
KR20200014078A (ko) | 유수분리조 | |
CN204081026U (zh) | 光感自动排污系统 | |
JP2019015580A (ja) | 廃液装置 | |
KR101574665B1 (ko) | 2종유체 분리시스템 및 분리방법 | |
US20180011498A1 (en) | Liquid level control module and apparatus comprising same | |
JP3066639B2 (ja) | 清水の清浄度確認システム | |
CN2334032Y (zh) | 油水分离检测器 | |
KR200260794Y1 (ko) | 유수분리기 | |
JP3161684U (ja) | 流出系接続型液位検知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80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