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035A - 이축 회전 유형 휴대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축 회전 유형 휴대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035A
KR20080004035A KR1020060062483A KR20060062483A KR20080004035A KR 20080004035 A KR20080004035 A KR 20080004035A KR 1020060062483 A KR1020060062483 A KR 1020060062483A KR 20060062483 A KR20060062483 A KR 20060062483A KR 20080004035 A KR20080004035 A KR 20080004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portable communication
ke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2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0252B1 (ko
Inventor
정수익
현승희
김종양
전용우
고병렬
권동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2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0252B1/ko
Priority to US11/806,908 priority patent/US20080009330A1/en
Priority to EP07012271A priority patent/EP1876801A3/en
Publication of KR20080004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changing, e.g. reversing, the face orientation of the screen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e.g. for folding into tablet PC like position or orienting toward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user to show to a second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1Special purpose buttons or auxiliary keyboards, e.g. retractable mini keypads, keypads or buttons that remain accessible at closed lapt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이축 회전 유형 휴대 통신 단말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휴대 통신 단말기는 휴대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들을 구비한 본체 하우징;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 상에 경사지게 거치되며, 상기 제1힌지축과 평행한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 상에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유형으로 경사지게 거치되는 회전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Figure 112006047981986-PAT00001
휴대 통신 단말기, 이축, 경사, 거치, 디엠비.

Description

이축 회전 유형 휴대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DUAL HINGE CRADLING-TYPE MOBILE PHONE AND HIS CONTROLL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의 표시 장치가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경사지게 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일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의 표시 장치가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경사지게 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일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의 표시 장치가 제1,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경사지게 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상기 도 7의 키 입력부에 구비된 키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에서 표시장치의 위치에 따라 상기 표시장치 및 키 제어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디엠비 폰, 게임 폰, 채팅 폰, 카메라 폰, MP3 폰,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CS,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HHP(Hand Held Phone) 등을 포함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표시 장치가 본체 상에 다양하게 경사지게 거치되어서 디엠비 모드나 티브이 모드 등에서 디스플레이된 표시정보 보기가 편리한 휴대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용 통신 장치"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점점 추후의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관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된다. 바-형 통신 장치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통신 장치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장치에 의해 플립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통신 장치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 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신체 착용 위치 또는 착용 방식에 따라서 목걸이-형(neck wearable-type) 또는 손목착용-형(wrist-typ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목걸이-형 통신 장치는 끈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목에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하고, 손목착용-형 통신 장치는 손목에 단말기를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전-형(rotation-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되기도 한다. 회전-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 유지한 채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통신 장치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열거한 종래의 휴대 통신 단말기 유형 이외에,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정보 보기가 편리하도록 표시 장치가 본체에서 경사지게 거치되는 유형의 휴대 통신 단말기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출원번호 '특허 출원 번호 제2005-98172호'에 상세히 개시되었다. 상기 출원번호에 개시된 휴대 통신 단말기는 본체에서 표시 장치가 슬라이딩한 후에 경사지게 거치되는 구성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 출원 번호 제2005-98172'에 개시된 휴대 통신 단말기는 표시 장치의 경사지게 거치되는 유형이 한 가지로 제한되어서, 사용자의 입장에서 불편하고, 거치 동작도 불편하며, 거치 장치도 복잡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예를 들어, 휴대 통신 단말기를 탁상에 놓고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각종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사용자의 눈과 표시 장치와의 높이 차가 개인마다 상이하여 사용자의 시청 자세가 불편할 때가 종종 발생하고, 슬라이딩 후에 회전시키는 두단계의 거치 동작도 불편하다. 따라서, 종래보다 편리하고, 간단한 동작으로 휴대 통신 단말기의 표시 장치의 경사진 거치 상태를 제공해야 사용자의 편리성 극대화를 이루는 요구가 커지게 되었다.
실질적으로 휴대 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표시 장치가 사용자의 눈보다 약간 아래에 있어야 보기 편리하고, 허공에 매달리게 설치되면, 더 보기가 편리하다.
또한, 사용자의 입장에서 휴대 통신 단말기를 한쪽 보다는 여러 방향으로 거치 동작이 제공될 수 있으면, 더 편리하다.
또한, 휴대 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표시 장치가 다양한 유형으로 경사지게 거치되면, 사용자의 입장에서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화면 보기가 매우 편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유형으로 표시 장치가 거치되어서 각종 동영상을 시청하는 디엠비 모드나 티브이 모드 등에서 시청이 편리한 휴대 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시 장치의 경사진 거치 동작이 편리한 휴대 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종 동영상을 시청하는 디엠비 모드에서 시청이 편리한 휴대 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시 장치가 두 가지 이상의 유형으로 경사지게 거치되어서 디스플레이된 데이터 보기가 편리한 휴대 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시 장치가 가로 보기 상태에서 두 가지 유형 이상으로 경사지게 거치되어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데이터 보기가 편리한 휴대 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 하우징 양측 외곽에 각각 스피커 장치가 배치되어서 표시 장치가 경사지게 거치된 상태에서, 스테레오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 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 하우징 중앙에 QWERTY 키들이 배열되고, QWERTY 키들 양측으로 각각 좌우 사이드 키들이 배치되어서 QWERTY 모드나 게임 모드와 같은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데이터 입력이 편리한 휴대 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시 장치의 경사진 거치를 위한 기구적 구조가 단순하여 조립성이 향상되고, 원가 절감에 유리한 휴대 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시 장치의 위치에 따라 제1/제2표시장치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 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시장치의 위치에 따라 키 입력부에 구비된 키를 구성하는 두 개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배치된 문자/숫자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들을 구비한 본체 하우징;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 상에 경사지게 거치되며, 상기 제1힌지축과 평행한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 상에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유형으로 경사지게 거치되는 회전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제1사용자 인터페이싱부; 및
연결 아암에 의해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사용자 인터페이싱부에서 가깝거나 멀어지게 회전하고, 상기 연결 아암에 의해 상기 제1힌지축과 평행한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사용자 인터페이싱부에 가깝거나 멀어지게 회전하여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유형으로 상기 제1사용자 인터페이싱부 상에 경사지게 거치되는 제2사용자 인터페이싱부로 구성된다.
또한 휴대 통신 단말기에서 표시장치 및 키 입력부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에서 회전 하우징의 상면과 저면에 서로 대면 되게 각각 배치된 제1,제2표시장치로 구성된 표시장치;
상기 회전 하우징에 구비된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표시장치의 위 치감지부;
제1,제2영역 각각에 동일한 문자/숫자가 서로 반전되어 배치된 키들로 구비된 키 입력부; 및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의 현재 모드를 판단하여, 상기 표시장치의 전원을 제어하고 상기 키 입력부에 구비된 키의 해당 영역에 배치된 문자/숫자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1,제2표시장치로 구성된 표시장치와 제1,제2영역으로 구성된 키들을 구비하는 키 입력부를 포함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에서 표시장치 및 키 입력부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상태를 알리는 위치신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되는 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의 현재 모드를 판단하여, 상기 표시장치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하고 상기 키 입력부에 구비된 키의 해당영역에 배치된 문자/숫자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10)는 본체 하 우징(100)과, 상기 본체 하우징(100) 상에 연결 아암(30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하우징(20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 하우징(100)은 제1사용자 인터페이싱부가 배치되고, 상기 회전 하우징(200)에는 제2사용자 인터페이싱부가 배치된다. 상기 제1사용자 인터페이싱부는 데이터 입력을 위한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제2사용자 인터페이싱부는 입력된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보이는 데이터 출력 장치로 구성된다. 도 1에는 데이터 출력 장치로서, 항시 외부에 노출되는 제1표시 장치(210)가 노출되고, 데이터 입력 장치로서, 항시 외부에 노출되는 좌우 제2키(120,130)들이 보여진다. 아울러, 도 1에 좌우 스피커 장치(140,150)가 보여진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들(113,120,130)을 구비한 본체 하우징(10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시 장치(210,22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100)에서 제1,2힌지축(A1,A2)을 중심으로 연결된 회전 하우징(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 하우징(200)은 상기 제1힌지축(A1)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100) 상에서 가깝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폴딩되거나 언폴딩되고, 상기 제2힌지축(A2)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100) 상에서 가깝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폴딩되거나 언폴딩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상기 회전 하우징(200)은 상기 본체 하우징(100) 상에서 적어도 두 가지 유형 이상으로 경사지게 거치될 수 있다. 도 2, 도 4, 도 6에 세 가지 유형으로 상기 표시 장치(210,220)가 상기 본체 하우징(100) 상에 경사지게 거치된 상태가 보여진다.
상기 제1힌지축(A1)(hinge axis)은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향하고, 특히 상기 본체 하우징 일측단(102)을 따라서 평행하고, 상기 제2힌지축(A2)은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향하고, 특히 상기 본체 하우징 타측단(104)을 따라서 평행하다. 즉, 상기 제1,2힌지축(A1,A2)은 서로 평행하다.
상기 본체 하우징(100)은 소정의 깊이로 패이게 구성되어 상기 회전 하우징(200)을 수용하는 제1리세스(112)와, 상기 제1리세스(112) 바닥에서 소정의 깊이로 패이게 구성되어 상기 회전 하우징(200)의 회전 동작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리세스(114,116)를 구비한다. 상기 제2리세스(114,116)는 각각 상기 본체 하우징 타측단(104)과 일측단(102)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리세스(112)의 바닥은 평탄면이고, 상기 제2리스세(114,116)의 바닥은 곡면이다. 상기 제1리세스(112)는 슬롯 형상이고, 상기 제2리세스(114,116)는 오목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2힌지축(A1,A2)을 따라서 각각 연장된다.
상기 키들은 상기 제1리세스(112) 바닥에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중앙 키들(113)과, 상기 제1리세스(112) 양측으로 돌출된 본체 하우징(100) 상면에 배치된 좌우 키들(120,130)로 구성된다. 상기 키들(113,120,130)은 그의 키탑을 눌러 원하는 신호가 인가된다. 상기 중앙 키들(113)은 QWERTY 모드에서 사용되기 위한 QWERTY 키 배열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 키들(120,130)은 폰 모드, MP3 모드나 게임 모드 시에 사용되는 키 배열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 하우징(100)과 상기 회전 하우징(20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아암(300)이 구비되어 상호 회전동작을 제공한다. 상기 연결 아암(300)은 길쭉 한 막대기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100)과 상기 회전 하우징(200) 사이에 대칭으로 각각 배치된다. 상기 연결 아암(300)은 상기 본체 하우징(100)에 연결된 일단부(310)와, 상기 회전 하우징(200)에 연결된 타단부(312)로 구성된다. 상기 일단부(310)는 상기 제2힌지축(A2)이 관통하고, 상기 타단부(312)는 상기 제1힌지축(A1)이 관통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 아암(300)은 상기 제1힌지축(A1)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 하우징(200)이 상기 본체 하우징(100) 상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 상기 본체 하우징(100)과 함께하고, 상기 제2힌지축(A2)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 하우징(200)이 상기 본체 하우징(100) 상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 상기 회전 하우징(200)과 함께한다. 물론, 상기 연결 아암(300)은 상기 회전 하우징(200)이 상기 제1,2힌지축(A1,A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함께하지 않고 상기 본체 하우징(100)이나 상기 회전 하우징(200)에서 이탈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었다. 또한, 상기 연결 아암(300)은 구조적 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경량의 금속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 하우징(200)은 상면에 구비된 제1표시 장치(210)와, 저면에 구비된 제2표시 장치(200)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회전 하우징(200)은 상면에 제1표시 장치(210) 만이 배치되고, 저면에 제2표시 장치(220) 만이 배치된다. 상기 제1,2표시 장치(210,220)는 서로 대면하여 적층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2표시 장치(220)가 상기 본체 하우징(100) 상에 경사지게 거치된 상태가 도 2, 도 4에 보여지고, 상기 제1표시 장치(210)가 상기 본체 하우징(100) 상에 경사지게 거치된 상태가 도 6에 보여진다. 또한, 상기 제1,2표시 장치(210,220)는 액정 표시 장치로 구성됨이 바람 직하나, 상기 제1표시 장치(210)는 정보 입출력 장치로 사용하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힌지축(A1)은 상기 연결 아암(300)과 수직 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제2힌지축(A2)도 상기 연결 아암(300)과 수직 방향으로 향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하우징(200)은 상기 제1,2힌지축(A1,A2)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100) 상에서 상기 연결 아암(300)에 의해 매달리게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미 도시된 힌지 장치에 의해 정지힘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연결 아암(300)의 일단부(310)와 타단부(320)에 각각 결합된 본체 하우징(100)과 회전 하우징(200) 내에는 미 도시된 힌지 모듈이 구성된다. 상기 미 도시된 힌지 모듈의 구동 원은 자동, 수동 및 반 자동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원이 자동이면, 공지의 모터와, 모터 감속부 및 모터 제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 원이 반 자동이면, 공지의 힌지 샤프트와, 힌지 캠 및 힌지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구동 원이 수동이면, 공지의 댐핑 기어가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하우징(200)은 상기 제2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전한 후, 상기 제1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100) 상 이격진 곳에 상기 연결 아암(300)에 의해 매달리게 설치된다.
도 2,도 4, 도 6에 다양하게 표시 장치가 본체 하우징 상에서 경사지게 거치된 상태가 보여진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디엠비 모드에서 편리하다. 도 1과 같은 상태에서는 일반적인 폰 모드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RF부(123)는 휴대 통신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124)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코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모뎀(124)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어 송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모뎀(124)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또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31)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통신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 장치의 위치에 따라 제1/제2표시장치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하며, 키 입력부에 구비되는 키를 구성하는 두 개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배치된 문자/숫자를 표시하기 위한 LED를 온 시키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10)는 휴대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모뎀(124) 및 코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장치의 위치 감지부(170)로 부터 출력되는 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의 현재 모드를 판단하여 제1/제2표시장치(210,220)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하고 키 입력부(127)에 구비된 키를 구성하는 제1/제2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배치된 문자/숫자를 표시하도록 해당 LED를 온 시키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감지부(1700에서 출력되는 제1-제4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의 제1-제4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도 1은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의 제1모드 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도 2는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의 제2모드 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도 4는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의 제3모드 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도 6은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의 제4모드 상태를 나타낸다.
표시 장치는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 장치는)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 장치는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 장치는 제1표시장치(210)와 제2표시장치(220)로 구성되며, 상기 제1표시장치(210)는 회전 하우징(200)은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 2표시 장치(220)는 상기 회전장치(220)의 저면에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감지부(170)는 상기 표시 장치가 위치된 상태를 알려주는 위치신호를 감지하여 이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감지부(170)는 적어도 두 개의 센서와 적어도 두 개의 자석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감지부(170)는 제1,제2선세(171,172)와 제1,제2자석(171-1, 172-1)로 구성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감지부(170)에서 상기 제1,2센서(171,172)는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의 본체 하우징(100)에서 구비된다. 상기 제1센서(171)는 상기 회전 하우징(200)이 제1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상기 회전 하우징(200)과 맞닿는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일정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제2센서(172)는 상기 회전 하우징(200)이 제2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상기 회전 하우징(200)과 맞닿는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일정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제1,2자석(171-1, 172-1)은 상기 회전 하우징(200)에 구비된다. 상기 제1자석(171-1)는 상기 회전 하우징(200)이 제1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상기 본체 하우징(100)에 구비된 제1센서(170)와 접촉되는 상기 회전 하우징(200)의 일정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제2자석(172-1)는 상기 회전 하우징(200)이 제2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상기 본체 하우징(100)에 구비된 제2센서(172)와 접촉되는 상기 회전 하우징(200)의 일정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제1,2센서(171,172)와 제2자석(171-1,172-1)로 구성된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감지부(170)는 제1-제4위치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1센서(171)와 상기 제1자석(171-1)이 접촉(B1)되고 상기 제2센서(172)와 상기 제2자석(172-1)이 접촉(B2)되면,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감지부(170)는 제1위치신호를 감지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출력한다.
또는 상기 도 2와 같이, 상기 제1센서(171)와 제1자석(171-1)만이 접촉(B1)되면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감지부(170)는 제2위치신호를 감지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출력한다.
또는 상기 도 4와 같이, 상기 제2센서(172)와 제2자석(172-1)만이 접촉(B2)되면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감지부(170)는 제3위치신호를 감지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출력한다.
또는 상기 도 6과 같이, 상기 제1센서(171)가 상기 제1자석(171-1)과 접촉되지않고 상기 제2센서(172)가 상기 제2자석(172-1)이 접촉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제1,제2센서(171,172)가 어떠한 신호도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감지부(170)는 제4위치신호를 감지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출력한다.
키입력부(1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키 입력부(127)는 중앙키(113) 및 좌우키(120,130)로 구성된다. 상기 키 입력부(127)에 구비된 각각의 키는 제1,제2영역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영역에는 동일 문자/숫자가 서로 반전되어 배치된다. 도 8a 및 도 8b는 상기 제1영역(C1)과 제2영역(C2)으로 구성된 키를 나 타내고 있다. 도 8a는 상기 제1영역( C1)을 위한 해당 LED만을 온 시켜서 상기 제1영역(C1)에 배치된 문자/숫자의 표시를 나타내며, 도 8b는 상기 제2영역( C2)을 위한 해당 LED만을 온 시켜서 상기 제2영역(C2)에 배치된 문자/숫자의 표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키를 구성하는 두 개의 영역에 동일 문자/숫자를 서로 반전되게 배치한 것은 상기 표시장치(210,220)의 위치에 따라 키의 해당 영역의 문자/숫자만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정방향으로 키에 배치된 문자/숫자를 표시하기 위함이다. 상기 도 1과 같이 휴대 통신 단말기가 제1모드인 상태에서는 좌우키(120,130)들에 해당하는 각각의 키에 구성된 두 개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배치된 문자/숫자만이 사용자의 선택 또는 자동설정에 의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도 2와 같이 휴대 통신 단말기가 제2모드인 상태에서는 키의 제1영역(C1)에 배치된 문자/숫자만이 표시되며, 상기 도 4와 같은 휴대 통신 단말기의 제3모드 및 상기 도 6과 같은 휴대 통신 단말기의 제4모드인 상태에서는 키의 제2영역(C2)에 배치된 문자/숫자만이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에 따라 제1,제2표시장치의 전원을 제어하고 키의 해당 영역에 배치된 문자/숫자만을 표시하는 동작을 도 9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에서 표시장치의 위치에 따라 상기 표시장치 및 키 제어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온인 상태에서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감지부(170)는 901단계에서 상기 회전 하우징(200)에 구비된 표시장치의 위치를 감지한다. 상기 도 1과 같이, 상기 제1센서(171)와 상기 제1자석(171-1)이 접촉(B1)되고 상기 제2센서(172)와 상기 제2자석(172-1)이 접촉(B2)되면,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감지부(170)는 상기 901단계에서 제1위치신호를 감지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출력한다.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감지부(170)로 부터 제1위치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9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가 제1모드임을 판단하고 90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90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표시장치(210)의 전원을 온 시키고 상기 제2표시장치(220)의 전원을 오프시키며, 상기 중앙키(113)에 배치된 문자/숫자를 표시하기 위한 해당 LED를 오프시키고 상기 좌우키(120,130)의 해당 영역에 배치된 문자/숫자를 표시하기 위한 해당 LED를 온 시키며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상기 도 2와 같이, 상기 제1센서(171)와 제1자석(171-1)만이 접촉(B1)되면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감지부(170)는 상기 901단계에서 제2위치신호를 감지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출력한다.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감지부(170)로 부터 제2위치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9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가 제2모드임을 판단하고 90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9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표시장치(210)의 전원을 오프 시키고 상기 제2표시장치(220)의 전원을 온 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9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중앙키(113) 및 상기 좌우키(120,130)로 구성된 상기 키 입력부(127)에 구비된 각각의 키를 구성하는 두 개의 영역 중 제1영역(C1)에 배치된 문자/숫자를 표 시하기 위한 해당 LED를 온 시키고, 상기 키를 구성하는 두 개의 영역 중 제2영역(C2)에 배치된 문자/숫자를 표시하기 위한 해당 LED를 오프시키며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상기 도 4와 같이, 상기 제2센서(172)와 제2자석(172-1)만(B2)이 접촉되면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감지부(170)는 상기 901단계에서 제3위치신호를 감지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출력한다.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감지부(170)로 부터 제3위치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9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가 제3모드임을 판단하고 907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90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표시장치(210)의 전원을 오프 시키고 상기 제2표시장(220)치의 전원을 온 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90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중앙키(113) 및 상기 좌우키(120,130)로 구성된 상기 키 입력부(127)에 구비된 각각의 키를 구성하는 두 개의 영역 중 제1영역(C1)에 배치된 문자/숫자를 표시하기 위한 해당 LED를 오프 시키고, 상기 키를 구성하는 두 개의 영역 중 제2영역(C2)에 배치된 문자/숫자를 표시하기 위한 해당 LED를 온 시키며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상기 도 6과 같이, 상기 제1센서(171)가 상기 제1자석(171-1)과 접촉되지않고 상기 제2센서(172)가 상기 제2자석(172-1)이 접촉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제1,제2센서(171,172)가 어떠한 신호도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감지부(170)는 상기 901단계에서 제4위치신호를 감지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출력한다.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감지부(170)로 부터 제4위치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9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가 제4모드임을 판단하고 909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90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표시장치(210)의 전원을 온 시키고 상기 제2표시장치의 전원을 오프 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90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중앙키(113) 및 상기 좌우키(120,130)로 구성된 상기 키 입력부(127)에 구비된 각각의 키를 구성하는 두 개의 영역 중 제1영역(C1)에 배치된 문자/숫자를 표시하기 위한 해당 LED를 오프 시키고, 상기 키를 구성하는 두 개의 영역 중 제2영역(C2)에 배치된 문자/숫자를 표시하기 위한 해당 LED를 온 시키며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표시 장치가 본체 하우징 상에 적어도 두 가지 이상, 구체적으로 세 가지로 경사지게 거치되어짐으로서, 사용자의 입장에서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화면 보기가 종래보다 편리해졌고, 표시 장치의 거치 동작도 종래보다 편리해진 이점을 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디엠비 모드에서 특히 동영상 시청 자세가 편리하고, 스테레오 사운드를 제공하여 시청감을 향상시켰으며, 거치 동작도 편리해 졌고, 각종 멀티미디어 환경들, 예를 들어 QWERTY 모드 등에서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를 위한 기구적 구조가 단순해져서 조립성 향상이나 원가 절감에 유리해진 이점을 달성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Claims (21)

  1. 휴대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들을 구비한 본체 하우징;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 상에 경사지게 거치되며, 상기 제1힌지축과 평행한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 상에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유형으로 경사지게 거치되는 회전 하우징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회전 유형 휴대 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은
    소정의 깊이로 패이게 구성되어 상기 회전 하우징을 수용하는 제1리세스; 및
    상기 제1리세스 바닥에서 소정의 깊이로 패이게 구성되어 상기 회전 하우징의 회전 동작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리세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리세스 바닥은 평탄하고, 상기 제2리세스 바닥은 곡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회전 유형 휴대 통신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들은
    상기 제1리세스 바닥에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중앙 제1키들; 및
    상기 제1리세스의 양측으로 돌출된 본체 하우징의 상면에 배치된 좌우 제2키들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회전 유형 휴대 통신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회전 하우징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아암이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회전 유형 휴대 통신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아암은 길쭉하게 구성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회전 하우징 사이에 대칭으로 각각 설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회전 유형 휴대 통신 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아암은
    상기 본체 하우징에 연결된 일단부; 및
    상기 회전 하우징에 연결된 타단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회전 유형 휴대 통신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아암은 상기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 하우징이 회전한 경우에 상기 본체 하우징과 함께하고, 상기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 하우징이 회전한 경우에 상기 회전 하우징과 함께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회전 유형 휴대 통신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하우징은
    상면에 구비된 제1표시 장치; 및
    저면에 구비된 제2표시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제1,2표시 장치는 서로 대면하게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회전 유형 휴대 통신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축은 상기 본체 하우징 일측단을 따라서 평행하고, 상기 제2힌지축은 상기 본체 하우징 타측단을 따라서 평행하며, 상기 제1,2힌지축은 상기 연결 아암과 각각 수직방향으로 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회전 유형 휴대 통신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하우징은 상기 제1,2힌지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 전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 상 이격된 곳에서 매달리게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회전 유형 휴대 통신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하우징은 상기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후, 상기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 상 이격된 곳에 매달리게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회전 유형 휴대 통신 단말기.
  12. 휴대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제1사용자 인터페이싱부; 및
    연결 아암에 의해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사용자 인터페이싱부에서 가깝거나 멀어지게 회전하고, 상기 연결 아암에 의해 상기 제1힌지축과 평행한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사용자 인터페이싱부에 가깝거나 멀어지게 회전하여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유형으로 상기 제1사용자 인터페이싱부 상에 경사지게 거치되는 제2사용자 인터페이싱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회전 유형 휴대 통신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 인터페이싱부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데이터 입력 장치로서, 상면에 배열된 다수개의 키들로 구성되고,
    상기 제2사용자 인터페이싱부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 장치로 구성된 데이터 출력장치로서, 상면에만 배치된 제1액정표시장치; 및
    하면에만 배치되어 상기 제1액정표시장치와 대면하는 제2액정표시장치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회전 유형 휴대 통신 단말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사용자 인터페이싱부는 상기 연결 아암과 각각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회전 유형 휴대 통신 단말기.
  15. 휴대 통신 단말기에서 표시장치 및 키 입력부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에서 회전 하우징의 상면과 저면에 서로 대면 되게 각각 배치된 제1,제2표시장치로 구성된 표시장치;
    상기 회전 하우징에 구비된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표시장치의 위치감지부;
    제1,제2영역 각각에 동일한 문자/숫자가 서로 반전되어 배치된 키들로 구비된 키 입력부; 및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의 현재 모드를 판단하여, 상기 표시장치의 전원을 제어하고 상기 키 입력부 에 구비된 키의 해당 영역에 배치된 문자/숫자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감지부는 적어도 두개의 센서와 적어도 두개의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감지부가 제1,제2센서와 제1,제2자석으로 구성될 때,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감지부는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1자석이 접촉되고 상기 제2센서와 상기 제2자석이 접촉될 때 제1위치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1자석만이 접촉되면 제2위치신호를 감지하며; 상기 제2센서와 상기 제2자석만이 접촉되면 제3위치신호를 감지하며; 상기 제1센서가 상기 제1자석이 접촉되지 않고 상기 제2센서가 상기 제2자석이 접촉되지 않을 때 제4위치신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감지부로 부터 제1위치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가 제1모드 임을 판단하여, 상기 제1표시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고, 상기 제2표시장치의 전원을 오프 시키며, 상기 키 입력부에 구비된 키의 해당 영역에 배치된 문자/숫자를 표시하기 위해 해당 LED를 온 시키며;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감지부로 부터 제2위치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가 제2모드 임을 판단하여, 상기 제1표시장치의 전원을 오프 시키고, 상기 제2표시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며, 상기 키 입력부에 구비된 키의 제1영역에 배치된 문자/숫자를 표시하기 위해 해당 LED를 온 시키며, 상기 키의 제2영역에 배치된 문자/숫자를 표시하기 위해 해당 LED를 오프 시키며;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감지부로 부터 제3위치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가 제3모드 임을 판단하여, 상기 제1표시장치의 전원을 오프 시키고, 상기 제2표시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며, 상기 키 입력부에 구비된 키의 제1영역에 배치된 문자/숫자를 표시하기 위해 해당 LED를 오프 시키고, 상기 키의 제2영역에 배치된 문자/숫자를 표시하기 위해 해당 LED를 온 시키며;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감지부로 부터 제4위치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가 제4모드 임을 판단하여, 상기 제1표시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고, 상기 제2표시장치의 전원을 오프 시키며, 상기 키 입력부에 구비된 키의 제1영역에 배치된 문자/숫자를 표시하기 위해 해당 LED를 오프 시키고, 상기 키의 제2영역에 배치된 문자/숫자를 표시하기 위해 해당 LED를 온 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19. 제1,제2표시장치로 구성된 표시장치와 제1,제2영역으로 구성된 키들을 구비하는 키 입력부를 포함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에서 표시장치 및 키 입력부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상태를 알리는 위치신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되는 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의 현재 모드를 판단하여, 상기 표시장치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하고 상기 키 입력부에 구비된 키의 해당영역에 배치된 문자/숫자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의 위치상태를 알리는 위치신호는 상기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회전 하우징의 위치에 따라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와 상기 키 입력부를 제어하는 과정이,
    상기 제1위치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가 제1모드 임을 판단하고, 상기 제1표시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며 상기 제2표시장치의 전원을 오프 시키며 상기 키 입력부에 구비된 키의 해당 영역에 배치된 문자/숫자를 표시하기 위해 해당 LED를 온 시키는 과정과,
    상기 제2위치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가 제2모드 임을 판단하고, 상기 제1표시장치의 전원을 오프 시키며 상기 제2표시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며 상기 키 입력부에 구비된 키의 제1영역에 배치된 문자/숫자를 표시하기 위해 해당 LED를 온 시키며 상기 키의 제2영역에 배치된 문자/숫자를 표시하기 위해 해당 LED를 오프 시키는 과정과,
    상기 제3위치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가 제3모드 임을 판단하고, 상기 제1표시장치의 전원을 오프 시키며 상기 제2표시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며 상기 키 입력부에 구비된 키의 제1영역에 배치된 문자/숫자를 표시하기 위해 해당 LED를 오프 시키며 상기 키의 제2영역에 배치된 문자/숫자를 표시하기 위해 해당 LED를 온 시키는 과정과,
    상기 제4위치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가 제4모드 임을 판단하고, 상기 제1표시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며 상기 제2표시장치의 전원을 오프 시키며 상기 키 입력부에 구비된 키의 제1영역에 배치된 문자/숫자를 표시하기 위해 해당 LED를 오프 시키며 상기 키의 제2영역에 배치된 문자/숫자를 표시하기 위해 해당 LED를 온 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060062483A 2006-07-04 2006-07-04 이축 회전 유형 휴대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810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483A KR100810252B1 (ko) 2006-07-04 2006-07-04 이축 회전 유형 휴대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US11/806,908 US20080009330A1 (en) 2006-07-04 2007-06-05 Dual axis rotation typ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07012271A EP1876801A3 (en) 2006-07-04 2007-06-22 Dual axis rotation typ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483A KR100810252B1 (ko) 2006-07-04 2006-07-04 이축 회전 유형 휴대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035A true KR20080004035A (ko) 2008-01-09
KR100810252B1 KR100810252B1 (ko) 2008-03-06

Family

ID=38566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483A KR100810252B1 (ko) 2006-07-04 2006-07-04 이축 회전 유형 휴대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009330A1 (ko)
EP (1) EP1876801A3 (ko)
KR (1) KR1008102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9462B2 (en) * 2005-04-11 2010-08-17 Microsoft Corporation Switching an application, user and security context based on device orientation
KR100810354B1 (ko) * 2006-01-10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게임 겸용 휴대 단말기
EP1887763B1 (en) * 2006-08-11 2011-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ual-axis rotation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hinge device thereof
US20100184490A1 (en) * 2007-06-15 2010-07-22 Panasonic Corporation Portable terminal
JP4405532B2 (ja) * 2007-07-04 2010-01-27 シャープ株式会社 折畳み式携帯電話機
JP4863969B2 (ja) * 2007-11-12 2012-01-25 富士通東芝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KR101413473B1 (ko) * 2007-11-20 2014-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키 입력 방법
KR20090070439A (ko) * 2007-12-27 2009-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및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
CN101621860A (zh) * 2008-07-04 2010-01-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全键盘的移动设备
CN101729678B (zh) * 2008-10-30 2013-06-0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开关装置
KR101608748B1 (ko) * 2009-02-18 2016-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탈부착 가능한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US8199487B2 (en) * 2009-03-10 2012-06-12 Nokia Corporation Extendible apparatus
KR101483030B1 (ko) * 2009-04-30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20110117968A1 (en) * 2009-11-13 2011-05-19 Nokia Corporation Input device for a user interface
CN104281199B (zh) * 2013-07-01 2020-07-24 联想(北京)有限公司 控制支架的方法、支架及电子设备
USD770444S1 (en) 2014-04-22 2016-11-01 Htc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D769208S1 (en) * 2014-04-22 2016-10-18 Htc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2542204B1 (ko) * 2016-06-22 2023-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3376A (en) * 1991-02-19 1992-04-07 At&T Bell Laboratories Dual position computer arrangement
US6483445B1 (en) * 1998-12-21 2002-11-19 Intel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ith hidden keyboard
US7224373B1 (en) * 2000-04-07 2007-05-29 Danger, Inc. Adjustable data processing display
EP1589728B1 (en) * 2004-04-22 2007-12-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 transform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678042B1 (ko) * 2004-06-11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0252B1 (ko) 2008-03-06
EP1876801A2 (en) 2008-01-09
EP1876801A3 (en) 2008-02-13
US20080009330A1 (en) 200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0252B1 (ko) 이축 회전 유형 휴대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663573B1 (ko) 3축 회전 폴더 타입 휴대 장치
KR100678189B1 (ko) 삼각 거치가 가능한 와이드 타입 휴대 통신 장치
KR100703351B1 (ko) 스윙 타입 휴대 장치
KR100744305B1 (ko) 시청이 편리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슬라이딩 거치 장치
KR100663422B1 (ko) 휴대 통신 장치
JP2004310659A (ja) 情報処理装置
KR100754681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및 촬영 모드 감지 방법
KR20060101737A (ko) 슬라이딩 겸용 스윙 타입 휴대 장치
EP1761000A2 (en) Rotatable portable terminal with protection case
KR100703497B1 (ko) 게임 겸용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606073B1 (ko) 휴대 통신 장치
JP2005038217A (ja) 折り畳み式携帯装置
KR10089177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각도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구동 장치및 방법
KR100663484B1 (ko) 자기 거치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KR100575935B1 (ko) 이축 회전방식 휴대용 단말기
KR10053315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그셔틀 키 조립체
KR20050117815A (ko)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JP2004135118A (ja) 携帯通信端末
KR100689535B1 (ko) 멀티미디어용 휴대 통신 장치
KR100713431B1 (ko) 자기 거치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2005333219A (ja) 携帯型情報表示装置
KR100640495B1 (ko) 디엠비 시청이 편리한 휴대 장치
KR100640506B1 (ko)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
KR101144521B1 (ko) 이 방향 자기-거치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