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506B1 -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506B1
KR100640506B1 KR1020050061676A KR20050061676A KR100640506B1 KR 100640506 B1 KR100640506 B1 KR 100640506B1 KR 1020050061676 A KR1020050061676 A KR 1020050061676A KR 20050061676 A KR20050061676 A KR 20050061676A KR 100640506 B1 KR100640506 B1 KR 100640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housing
body housing
main body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1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서
이창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1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는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정사각형 단면의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 상에서 대면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스윙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 상면 소정 영역을 개폐하고, 상기 스윙 후, 상기 본체 하우징에 나란하게 계단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과 함께 바형으로 위치하는 정사각형 단면의 스윙 하우징; 및 상기 본체 하우징 및 상기 스윙 하우징의 하나의 모서리부 영역에 위치하는 힌지축으로 구성된다.
Figure 112005037075012-pat00001
스윙, 디엠비, 표시 장치, 가로 보기.

Description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SWING-TYPE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 하우징이 스윙 중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 하우징이 완전히 스윙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저면도.
도 5는 도 1의 측면도.
본 발명은 셀룰러 폰, PDA, HHP(Hand Held Phone), 디엠비 폰, 카메라 폰 등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개폐가 용이한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휴대성을 고 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점점 추후의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는 남녀노소, 전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전자 장치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외관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된다. 바-형 통신 장치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통신 장치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장치에 의해 플립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통신 장치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신체 착용 위치 또는 착용 방식에 따라서 목걸이-형(neck wearable-type) 또는 손목착용-형(wrist-typ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목걸이-형 통신 장치는 끈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목에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하고, 손목착용-형 통신 장치는 손목에 단말기를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전-형(rotation-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되기도 한다. 회전-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 유지한 채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 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통신 장치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고 가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현재에는 종래의 휴대 단말기에 카메라 렌즈가 채용되어져서 영상 신호 등의 전송이 이루어져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휴대 단말기휴대 단말기듈을 외장형이나 내장형으로 구비하여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나 원하는 피사체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 단말기에서,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종래의 스윙 타입 휴대 장치는 스윙 하우징에 장착된 표시 장치가 90도 회전하면, 표시 장치에 장착된 화면도 90도 회전해야 하고, 180도 회전하면, 표시 장치에 장착된 화면도 180도 회전하여 반전된 상태로 디스플레이해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매우 복잡해져 제조 원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특히 사용자의 입장에서 복잡한 UI를 제공하게 된다. 스윙 하우징에 장착된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그래픽 화면을 90도 정도 회전되게 디스플레이하거나, 상하가 반전되는 180도 정도 그래픽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려면, 별도의 센싱 소자와, 그에 따른 많은 전자 부품과 회로 디자인이 요구되어지기 때문에 원가 상승이 요인이 된다.
더욱이,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디엠비 모드에서는 표시 장치의 성능이 매우 중요하고, 언급된 성능은 화소수가 높고, 보다 광폭으로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이며, 보다 화려한 그래픽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을 충족하는 고기능화된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데이터 화면을 90도나 180도 정도 회전되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복잡한 회로 구성과, 복잡한 부품 간의 구성을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의 중요 원인이다. 복잡한 구성은 제조 원가의 증가의 원인일 뿐만 아니라, 실장 부품 수의 증가로 휴대 단말기 전체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도 있다.
또한, 종래의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에서, 본체 하우징과 스윙 하우징이 각각 바형으로 구성되어서, 한 손으로 스윙 하우징을 개폐하기가 불편한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스윙 하우징의 개폐동작은 수동으로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열리는 힘을 초기에 제공해야 하나, 사용자마다 손가락의 길이가 상이하며,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공해야 할 스윙 거리가 길어서, 이러한 이유로 초기 개폐동작이 불편하고, 닫는 동작도 불편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스윙 하우징의 스윙 거리가 짧아지게 구성하여 개폐가 용이한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힌지축이 본체 하우징의 모서리 영역의 하나에 위치하여 종래에 비해서 짧은 스윙 거리에 비해 보다 넓은 개폐 영역을 제공하는 스윙 타입 휴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또 다른 목적은 스윙 하우징이 90도만 회전하여도 3×4키 배열의 키패드 영역 넓이가 개폐될 수 있는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엠비 모드에 적합한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손을 이용하여 개폐 동작이 용이한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 하우징과 스윙 하우징의 형상이 대락 정사각형(하나의 모서리부를 제외)으로 제공되어 개폐가 용이하고, 표시 장치의 가로 보기가 용이한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4-방향 키와, 힌지 모듈과, 카메라 모듈이 힌지축에 배치되어서 실장 공간을 최적화하여 소형화에 유리한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힌지축이 위치한 모서리부를 곡률 반경을 가지게 형성하여 외관 디자인이 미려해진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정사각형 단면의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 상에서 대면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스윙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 상면 소정 영역을 개폐하고, 상기 스윙 후, 상기 본체 하우징에 나란하게 계단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과 함께 바형으로 위치하는 정사각형 단면의 스윙 하우징; 및
상기 본체 하우징 및 상기 스윙 하우징의 하나의 모서리부 영역에 위치하는 힌지축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과 대면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90도 스윙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 상면 소정 영역을 개폐하는 스윙 하우징; 및
상기 본체 하우징 상면의 사분면 중, 선택된 하나의 영역에 위치하는 힌지축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는 스윙 타입이며, 본체 하우징(110)과, 스윙 하우징(120)과, 힌지축(A)(hinge axis)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 하우징(110)과 상기 스윙 하우징(120)은 정사각형 단면으로 제공되고, 입방체인 판 형으로 구성된 케이싱이다. 상기 스윙 하우징(120)은 상기 본체 하우징(110)에서 스윙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 상면(111) 소정 영역을 개폐하고, 상기 스윙 이동 후에 상기 본체 하우징(110) 상에 나란하게 놓여 계단형으로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본체 하우징(110)과 함께 바형으로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가 도 3에 도시되었다. 상기 스윙 하우징(120)은 상기 본체 하우징(110) 상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채로 스윙한다. 물론, 상기 스윙 하우징(120)은 상기스윙 동작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에(110)서 멀어지거나 가까워진다.
특히, 상기 스윙 하우징(120)의 힌지축(A)은 상기 본체 하우징(110) 및/또는 스윙 하우징(120)에 존재하는 사분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면, 특히 네 개의 모서리 중, 선택된 하나의 모서리부에 배치된다. 즉, 상기 힌지축은 편심 힌지축으로 제공된다. 또한, 미도시된 스윙 힌지 모듈도 하나의 모서리부에 배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윙 하우징(120)은 상기 본체 하우징(110)에서 상기 힌지축(A)을 중심으로 90도 스윙하면, 상기 본체 하우징(110)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스윙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소정 영역을 개폐한다. 상기 개폐 영역은 제1영역(110a)과, 제2영역(110b)으로 구분되는 바, 상기 제1영역(110a)은 상기 스윙 하우징(120)의 스윙 유무에 따라서 개폐되는 영역이고, 상기 제2영역(110b)은 상기 스윙 하우징(120)의 개폐 유무와 상관없이 항시 폐쇄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제1영역(110a)에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1키패드(1120가 위치한다. 상기 제1키패드(112)는 3×4키 배열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윙 하우징(120)의 상면(121)에는 표시 장치(123)와,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2키패드(124)와, 4-방향 키(122)가 배치된다. 상기 표시 장치(123)는 공지의 액정 표시 장치나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키패드(124)와 상기 4-방향 키(122)는 서로 이웃한다. 상기 표시 장치(123)는 상기 스윙 하우징(120)의 스윙 유무에 상관없이 가로 보기 상태를 유지한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표시 장치(123)는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가로 보기 상태로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보고, 도 3과 같은 상태에서도 가로 보기 상태로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하우징 저면(115) 하나의 모서리부에는 카메라 렌즈 모듈(116)이 배치된다.
도 1,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4-방향 키(122)는 상기 스윙 하우징(120)의 하나의 모서리부의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116)도 상기 본체 하우징 저면(115)의 하나의 모서리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축(A)도 상기 본체 하우징(110)과 상기 스윙 하우징(120)의 모서리부 영역에 위치하여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게 향한다. 즉, 상기 힌지축(A)을 중심으로 상기 4-방향 키(122)와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116)은 동축으로 위치하고, 적층되는 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힌지축(A)과 동축으로 구성되어서 항시 적층된 위치를 유지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본체 하우징(110)과 상기 스윙 하우징(120)에 실장되는 부품 실장 공간을 최소화하여 실장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상기 4-방향 키(122)가 힌지 축에 위치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상기 4-방향 키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네비게이션 키나 회전 키와 같은 키들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축이 위하는 장소에는 주로 부품이나 모듈이 원통형으으로 제공된 것이 실장 구조를 고려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카메라 렌즈 모듈(116)이 장착된 모서리부(130)와, 상기 스윙 하우징의 4-방향 키(122)가 위치하는 모서리부(132), 즉 상기 힌지 축이 위치하는 상기 본체 하우징(110)과 상기 스윙 하우징(120)의 각각의 하나의 모서리부(130,132)는 동일한 곡률 반경을 제공하여 외관이 미려하게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 손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하우징(110)을 쥐고, 상기 스윙 하우징(120)을 소정의 힘으로 밀면, 도 3과 같은 상태가 된다. 물론, 미도시된 스윙 힌지 모듈은 제1각도 이내에서는 닫히려는 힘을 제공해야 하고, 상기 제1각도 내지 상기 제2각도 미만에서는 열리려는 힘을 제공해야 하며, 상기 0도와 제2각도에서는 정지힘을 제공한다. 상기 제2각도는 90도를 의미한다. 도 1과 도 3에 도시된 상태는 상기 스윙 하우징(120)이 미도시된 스윙 힌지 모듈에 의해 정지힘을 받은 상태이고, 도 2는 열리려는 힘을 받아 스윙 중인 상태를 의미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 하우징과 스윙 하우징을 대략 정사각형 단면으로 구성하고, 스윙 하우징의 힌지축이 하나의 네 개의 모서리들 중, 하나의 모서리부에 위치하는 편심 힌지축을 제공하고, 편심 힌지축을 중심으로 90도 스윙되게 구성함으로서, 사용자의 입장에서 짧은 거리로 스윙하여 개폐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서 스윙 하우징의 짧은 거리 스윙에도 불구하고, 보다 본체 하우징의 넓은 면이 개폐되는 이점을 달성하였다. 즉, 종래에는 스윙 하우징이 180도 회전하여 3×4키 배열의 키패드가 개방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90도만 스윙하여도 동일한 영역의 3×4키 배열의 키패드가 개방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에서 스잉 하우징이 90도정도 스윙된 후, 표시 장치의 가로 보기와, 키들이 개방되어서 디엠비 모드에서 시청 또는 채널 선택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4-방향 키와, 미도시된 힌지 모듈과, 카메라 렌즈 모듈이 힌지축을 따라서 동축으로 적층되게 구성되어짐으로서, 부품 실장 공간을 최소화하여 소형화에 유리한 이점을 달성하였고, 특히, 힌지축이 위치하는 하나의 모서리부에 곡률 반경을 제공하여 외관 디자인 관점에서 미려한 효과를 달성함과 아울러 손에 쥐기 부드러운 이점을 달성하였다. 실질적으로 휴대 단말기에서 외관적 디자인의 개념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는 추세에 있고, 손에 쥐기 부드러운 느낌이 점점 중요한 요소가 되어가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Claims (8)

  1.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정사각형 단면의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 상에서 대면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스윙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 상면 소정 영역을 개폐하고, 상기 스윙 후, 상기 본체 하우징에 나란하게 계단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과 함께 바형으로 위치하는 정사각형 단면의 스윙 하우징;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이나 상기 스윙 하우징의 하나의 모서리부 영역에 위치하는 힌지축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하우징은 0도 내지 90도 사이의 스윙 각도를 가지며, 90도 스윙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 상에 계단형으로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에는
    항시 숨겨지는 제1영역과, 상기 스윙 하우징의 스윙 여부에 따라서 개폐되고 다수 개의 캐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1키패드를 포함하는 제2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저면에는 카메라 렌즈 모듈이 배치되며,
    상기 스윙 하우징 상면에는
    표시 장치와, 상기 표시 장치 하방으로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2키패드와, 상기 제2키패드와 나란하게 이웃하는 방향 키가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과 상기 방향 키는 상기 힌지축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스윙 하우징의 하나의 모서리부는 각각 동일한 곡률 반경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스윙 하우징의 이동 유무에 상관없이 항시 가로 보기 상태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
  7.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과 대면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90도 스윙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 상면 소정 영역을 개폐하는 스윙 하우징; 및
    상기 본체 하우징 상면의 사분면 중, 선택된 하나의 영역에 위치하는 힌지축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스윙 하우징은 판형이고, 정사각형 단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
KR1020050061676A 2005-07-08 2005-07-08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 KR100640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676A KR100640506B1 (ko) 2005-07-08 2005-07-08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676A KR100640506B1 (ko) 2005-07-08 2005-07-08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0506B1 true KR100640506B1 (ko) 2006-10-30

Family

ID=37621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1676A KR100640506B1 (ko) 2005-07-08 2005-07-08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05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457B1 (ko) * 2005-09-30 2007-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및 스윙 개폐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457B1 (ko) * 2005-09-30 2007-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및 스윙 개폐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162B1 (ko) 슬라이딩 겸용 폴딩형 휴대 통신 장치
KR100663573B1 (ko) 3축 회전 폴더 타입 휴대 장치
KR100689468B1 (ko) 슬라이딩 겸용 스윙 타입 휴대 장치
KR100703351B1 (ko) 스윙 타입 휴대 장치
EP1806909B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games and user interfacing device thereof
KR100678041B1 (ko) 슬라이딩/회전성 힌지 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디지털 통신장치
KR100678200B1 (ko)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 장치
KR20050038982A (ko) 슬라이딩/스윙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20050038980A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20060071078A (ko) 휴대 통신 장치
KR100678135B1 (ko) 휴대 단말기
KR100566282B1 (ko) 스틱 기능을 구비한 게임 겸용 휴대 통신 장치
KR100630067B1 (ko) 피디에이 겸용 이축 힌지 타입 휴대 통신 장치
KR100640506B1 (ko)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
KR100703459B1 (ko) 슬라이딩 키패드를 구비하여 데이터 입력이 편리한 휴대장치
KR100703509B1 (ko) 게임 겸용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KR100663484B1 (ko) 자기 거치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KR100575935B1 (ko) 이축 회전방식 휴대용 단말기
KR100703449B1 (ko) 멀티미디어용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 단말기
KR100469703B1 (ko)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678137B1 (ko) 게임 겸용 슬림형 휴대 단말기
KR100532272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1155250B1 (ko) 휴대 장치
KR20060126114A (ko) 휴대 장치
KR20050041632A (ko) 휴대용 디지털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