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695A - 벽하용 입상 기초재 - Google Patents

벽하용 입상 기초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695A
KR20080003695A KR1020060075989A KR20060075989A KR20080003695A KR 20080003695 A KR20080003695 A KR 20080003695A KR 1020060075989 A KR1020060075989 A KR 1020060075989A KR 20060075989 A KR20060075989 A KR 20060075989A KR 20080003695 A KR20080003695 A KR 20080003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granular base
hole
granular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네오 다카이시
Original Assignee
츠네오 다카이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네오 다카이시 filed Critical 츠네오 다카이시
Publication of KR20080003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6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16Flat foundations made mainly from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입상 기초재보다도 적은 수고로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종래의 입상 기초재보다도 큰 강도를 갖는 입상 기초재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입상 기초재(100)는, 상호 평행한 상면(101)과 하면(102)을 가지며, 두께 방향을 상면부터 하면까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멍(103, 104)이 형성되고, 보텀애쉬를 주성분으로 한다.
나사 부재, 벽재, 부착 금구, 볼트, 설치면

Description

벽하용 입상 기초재{Foundation material for stand up at the bottom of wall}
도 1의 (A)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입상 기초재의 평면도, 도 1의 (B)는 동 입상 기초재의 정면도, 도 1의 (C)는 동 입상 기초재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입상 기초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입상 기초재의 사용 방법의 제 1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입상 기초재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부재의 제 1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제 2의 예에 관한 고정용 부재를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입상 기초재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제 2의 예에 관한 고정용 부재를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입상 기초재에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7은 제 1의 예 및 일 제 2의 예에 관한 고정용 부재를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입상 기초재에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입상 기초재의 사용 방법의 제 2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입상 기초재
101 : 입상 기초재의 상면 102 : 입상 기초재의 하면
103, 104 : 관통구멍 105 : U자형의 홈
110 : 고정용 부재 111 : 평판형상 부재
112 : 나사 부재 120 : 벽재
130 : 부착 금구 140 : 볼트
150 : 설치면 151 : 앵커
200 : 강판 210 : 철근 구조체
본 발명은 벽하용(bottom of wall)의 입상(stand up) 기초재 및 그 입상 기초재를 이용한 벽하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 부재를 형성할 때, 콘크리트의 지면상에 입상 기초재라고 불리는 기초재를 생성하고, 그 기초재의 위에 벽 부재(예를 들면, 미리 공장에서 작성되고, 건축 현장에 반입할 수 있는 것)를 세우는 공법이 널리 행하여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및 2)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5-76426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06-104675호 공보
종래, 사용되고 있는 입상 기초재로서는, 콘크리트제의 것이 대부분이었다.
즉, 금속 거푸집이나 목제 거푸집을 이용하여, 기초의 부분에, 바닥 콘크리트와 동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 거푸집을 벗기고, 입상 기초재를 제작한다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제의 입상 기초재는 단시간에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지만, 거푸집을 소정의 위치에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데다, 그만큼 강도도 크지 않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입상 기초재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종래의 입상 기초재보다도 적은 수고로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종래의 입상 기초재보다도 큰 강도를 갖는 입상 기초재 및 그것을 이용한 벽하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하에,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 사용되는 참조 부호를 이용하여,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이들의 참조 부호는,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와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기재 사이의 대응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만 부가된 것으로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기술적 범위의 해석에 이용되어지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호 평행한 상면(101)과 하면(102)을 갖는 입상 기초재(100)로서, 두께 방향을 상기 상면(101)으로부터 상기 하면(102)까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멍(103, 104)이 형성되고, 보텀애쉬를 주성분으로 하는 입상 기초재(100)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상기 관통구멍(103, 104)은 상기 입상 기초재(100)의 길이 방향으로 늘어나는 긴 구멍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입상 기초재(100)를 설치면에 대해 고정하는 고정용 부재(110)로서, 상기 관통구멍(103, 104)에 걸쳐 넘는데 충분한 크기를 갖는 평판형상 부재(111)와, 상기 평판형상 부재(111)의 하면에서 상기 평판형상 부재(111)에 대해 고정된 나사 부재(112)로 이루어지는 고정용 부재(110)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입상 기초재(100)를 설치면에 대해 고정하는 고정용 부재(130)로서, 상기 입상 기초재(100)의 상면(10I)에 접하는 한 쌍의 플랜지면(131)과, 상기 한 쌍의 플랜지면(131)의 각각으로부터 아랫측으로 수직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수직면(132)과, 상기 한 쌍의 수직면(132)과 양단에서 접속되어 있는 중앙면(13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수직면(132)은 상기 관통구멍(103, 104)에 끼워넣음이 가능하고, 상기 중앙면(133)에는 관통구멍(134)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용 부재(130)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입상 기초재(100)와, 메시형상으로 철근이 배치된 철근 구조체(200)와, 상기 관통구멍(103, 104)을 통하여 상기 입상 기초재(100)를 지면에 대해 고정하는 고정재(110)로 이루어지는 벽하부 구조로서, 상기 철근 구조체(200)는 상기 지면의 윗측에 배치되고, 상기 입상 기초재(100)는 상기 철근 구조체(200)상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고정재(110)를 통하여 상기 지면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벽하부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입상 기초재(100)의 평면도, 도 1의 (B)는 입상 기초재(100)의 정면도, 도 1의 (C)는 입상 기초재(100)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상 기초재(100)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상 기초재(100)는 전체로서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있다.
입상 기초재(100)에는, 두께 방향을 상면(101)부터 하면(102)까지를 관통하는 2개의 관통구멍(103, 104)이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구멍(103, 104)은, 입상 기초재(100)의 길이 방향(A)으로 늘어나는 긴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구멍(103, 104)은 입상 기초재(100)의 중심에 관해 좌우 대칭의 위치에 있다.
또한, 입상 기초재(100)의 길이 방향(A)에서의 양단에는, 두께 방향으로 늘어나는 U자형의 홈(105)이 형성되어 있다.
입상 기초재(100)는, 예를 들면, 미리 공장에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고, 공장에서 제조한 것을 건축 현장에 반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입상 기초재(100)는, 예를 들면,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한 보텀애쉬를 골재로 하는 콘크리트로 만들어져 있다.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애쉬(ash)로서는, 플라이애시와 보텀애쉬의 2종류가 있고,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상 기초재(100)는 보텀애쉬를 이용하여 만들어지고 있다.
보텀애쉬는, 화력발전소에서, 연료인 석탄을 연소시킨 후에 남는 석탄재가 상호 응축됨에 의해 생성된다.
플라이애시는, 예를 들면, 시멘트의 혼합 재료로서 재이용되고 있다.
이것에 대해, 보텀애쉬는, 지금까지는, 토양 개량재나 매립재로서 사용되는 것에 지나지 않았지만, 발명자의 연구의 결과, 세척(예를 들면, 수세)하고, 입자 선별을 행하므로서, 콘크리트 골재(콘크리트 골재로서,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자연의 산모래(山砂)이다)의 대체품으로서 사용 가능한 것이 판명되고, 이 발견에 의거하여 본 발명이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에 보텀애쉬의 특성을 언급한다.
(1) 비중 1.9 내지 2.3(시멘트의 약 2/3)
(2) 밀도 620 내지 697㎏/㎥(예를 들면, 비교 대상으로서 모래를 선택하면, 모래의 밀도는 약 2500㎏/㎥)
(3) 구성 물질(단위 : 중량%)
Si02 58.11
Al2O3 23.58
Fe2O3 5.65
CaO 4.31
MgO 1.11
K2O 1.10
Na2O 0.51
TiO2 1.30
기타 4.33
(4) 중금속류(Cu, Cr, Cd, Pb) 불검출
(5) 잔류 염분량 1/1000PPM 이하
(6) pH 9.0 내지 9.5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상 기초재(100)의 구성 재료 및 그 사용량(단위 : ㎏/㎥)의 한 예를 이하에 언급한다.
(1) 물(水) 120
(2) 시멘트 400
(3) 석분(石粉)(화강암) 428
(4) 보텀애쉬(입경 5㎜ 미만) 877
(5) 보텀애쉬(입경 5㎜ 이상) 139
(총질량 : 1964㎏/㎥)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상 기초재(100)의 제조 방법의 한 예를 이하에 언급한다.
입상 기초재(100)의 제조에 즈음하여서는 금형을 이용한다.
우선, 상기 (1) 내지 (5)의 원재료를 슬럼프 0㎝로 개어서 섞는다.
뒤이어, 강력한 진동을 주면서, 개어서 섞은 원재료를 프레스 성형한다.
그 후, 증기 양생을 실시한다. 증기 양생의 시간은, 예를 들면 10시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상 기초재(100)의 치수의 한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1) 폭 : 110㎜
(2) 길이 : 900㎜
(3) 높이 : 90㎜
입상 기초재(100)의 1개당의 중량은 약 11.7㎏이다. 또한, 동일 형상·동일 치수의 입상 기초재를 콘크리트로 제조하면, 1개당의 중량은 20㎏이 된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상 기초재(100)에 대해, 제3자 검사기관에서 4주(週) 압축강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조건은 이하와 같다.
(1) 시험 목적 : 설계 기준 강도(24N/㎟)의 확인
(2) 강도 관리방법 : 통상의 방법
(3) 시험체 채취방법 : JIS A1115
(4) 시험체의 강도 관리 재령(材齡) : 28일
(5) 시험체의 양생 방법 : 기중(氣中) 양생
(6) 시험체의 수 : 3
(7) 시험 방법 : JIS A1108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 방법」
3개의 시험체에 대해 4주 압축강도 시험을 실시한 바, 얻어진 압축강도는 이하와 같았다.
(1) 29.3N/㎟
(2) 32.2N/㎟
(3) 29.7N/㎟
따라서 평균 압축강도는 이하와 같이 된다.
(29,3+32.3+29.7)/3=30.4N/㎟
이 평균 압축강도(30.4N/㎟)는 설계 기준 강도(24N/㎟)를 크게 상회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입상 기초재는, 그 위에 설치되는 벽재(壁材)와의 마찰력을 크게 하기 위해, 표면 조도는 큰 편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상 기초재(100)의 구성 재료의 하나인 석분(화강암)중에 모래나 플라이애시를 혼입시킴에 의해, 입상 기초재(100)의 표면 조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상 기초재(100)는, 미리 공장에서 제조하여 둘 수 있기 때문에, 건축 현장에 반입하고 즉석에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상 기초재(100)는, 종래의 입상 기초재와 같이 건축 현장에 서 시간을 들여 제조할 필요는 없고, 종래의 입상 기초재보다도 적은 수고로 단시간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입상 기초재는 콘크리트제이기 때문에, 무거운 것이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상 기초재(100)는 콘크리트제의 종래의 입상 기초재와 비교하여, 약 60%의 중량밖에 없기 때문에(상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제의 입상 기초재가 20㎏ 인데 대해, 동일 형상의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상 기초재(100)는 11.7㎏),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또한, 강도적으로도,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상 기초재(100)는 종래의 콘크리트제의 입상 기초재보다도 고강도이다.
또한, 종래의 콘크리트제의 입상 기초재는 일단 제조한 후의 가공은 거의 불가능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상 기초재(100)는, 예를 들면, 고속 커터로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고, 건축 현장에서, 형상을 변경하거나, 필요 부분에 구멍을 뚫거나 하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상 기초재(100)의 사용 방법의 제 1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상 기초재(100)를 설치면(예를 들면, 콘크리트면 또는 강판 등)상에 배치한 후, 고정용 부재(110)를 각 관통구멍(103, 104)에 통과하여, 고정용 부재(110)를 통하여 입상 기초재(100)를 설치면에 대해 고정한다.
도 4는 고정용 부재(110)의 제 1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고정용 부재(110)는, 각 관통구멍(103, 104)에 걸쳐 넘는데 충분한 크기를 갖는 평판형상 부재(111)와, 평판형상 부재(111)의 하면에서 평판형상 부재(111)에 대해,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고정된 나사 부재(112)로 구성되어 있다.
나사 부재(112)는 평판형상 부재(111)의 중심 위치에 고정되어도 좋고, 또는, 평판형상 부재(111)의 중심 위치에서 벗어난 위치에 편심하여 고정되어도 좋다.
평판형상 부재(111)를 각 관통구멍(103, 104)에 걸쳐 넘은 후, 나사 부재(112)를 설치면에 대해 고정한다.
그 후, 입상 기초재(100) 위에 벽재(120)를 배치한다.
도 5는 제 2의 예에 관한 고정용 부재(110)를 입상 기초재(100)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제 2의 예에 관한 고정용 부재(110)를 입상 기초재(100)에 부착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제 2의 예에 관한 고정용 부재(110)는, 부착 금구(130)와, 볼트(140)로 구성되어 있다.
부착 금구(130)는, 입상 기초재(100)의 상면에 접하는 한 쌍의 플랜지면(131)과, 한 쌍의 플랜지면(131)의 각각으로부터 아랫측으로 수직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수직면(132)과, 한 쌍의 수직면(132)과 양단에서 접속되어 있는 중앙면(133)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플랜지면(131)의 각각의 거의 중앙에는 관통구멍(135)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수직면(132)의 사이의 간격은 각 관통구멍(103, 104)의 폭과 동등하 개 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이 때문에, 한 쌍의 수직면(132)을 각 관통구멍(103, 104)에 끼워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중앙면(133)의 중앙에는, 볼트(140)가 통과하는 관통구멍(134)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상 기초재(100)는, 제 2의 예에 관한 고정용 부재(110)를 이용하여, 이하와 같이 고정된다.
우선, 부착 금구(130)의 한 쌍의 수직면(132)을 관통구멍(103, 104)의 각각에 끼워넣는다.
뒤이어, 볼트(140)를 중앙면(133)의 관통구멍(134)에 통과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면(150)에는 미리 앵커(151)가 형성되어 있고, 앵커(151)에 볼트(140)를 나사결합시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상 기초재(100)는 설치면(150)에 대해 고정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제 1의 예에 관한 고정용 부재(110)와 도 5 및 6에 도시한 제 2의 예에 관한 고정용 부재(110)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제 1의 예에 관한 고정용 부재(110)와 제 2의 예에 관한 고정용 부재(110)를 병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의 예에 관한 고정용 부재(110)를 입상 기초재(100)의 상면(101)에 놓고, 나사 부재(112)를 각 관통구멍(103, 104)에 통과한다. 제 2의 예에 관한 고정용 부재(110)는 입상 기초재(100)의 하면(102)으로부터 부착 금구(130)의 한 쌍의 수직면(132)을 관통구멍(103, 104)의 각각에 끼워넣는 다.
제 1의 예에 관한 고정용 부재(110)의 나사 부재(112)를 제 2의 예에 관한 고정용 부재(110)의 중앙면(133)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134)에 통과한 후, 중앙면(133)의 아랫측으로부터 나사 부재(112)에 너트(136)를 나사결합시킨다. 도 6과 마찬가지로, 나사 부재(112)의 선단(先端)을 앵커(151)에 나사결합시킴에 의해, 입상 기초재(100)는 설치면(150)에 대해 고정된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상 기초재(100)의 사용 방법의 제 2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 2의 예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상 기초재(100)는 벽하부 구조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즉, 도 8에 도시한 벽하부 구조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상 기초재(100)와, 입상 기초재(100)를 지면(예를 들면, 콘크리트면)에 대해 소정의 높이로 유지하는 강판(200)과, 메시형상으로 철근이 배치된 철근 구조체(210)와, 관통구멍(103, 104)을 통하여 입상 기초재(100)를 설치면(예를 들면, 콘크리트면)에 대해 고정하는 고정재(110)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강판(200)의 각각은, 소정의 부재(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고정용 부재(110)의 상하를 역으로 하여 사용하는 것)(220)를 통하여, 지면(예를 들면, 콘크리트면)에 대해 소정의 높이로 유지되어 있다.
상호 인접하는 2개의 강판(200) 사이에는 입상 기초재(100)가 걸쳐 넘어있고, 입상 기초재(100)는 고정용 부재(110)를 통하여 지면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강판(200)의 아랫측에는 철근 구조체(210)가 배치되어 있고, 철근 구조체(210)는 강판(200)의 하면에 부착됨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유지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벽하부 구조를 형성한 후, 철근 구조체(210)를 모두 덮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때, 입상 기초재(100)의 각 관통구멍(103, 104)을 마찬가지로 콘크리트로 충전하여도 좋다.
이 제 2의 예에 의하면, 철근이 들어간 콘크리트면을 만드는 동시에, 콘크리트면상에 입상 기초재(100)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상 기초재(1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입상 기초재(100)의 형상은 직육면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삼각형, 사다리꼴 그 밖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호 평행한 상면 및 하면을 갖는 것인 한, 원형, 타원형 등의 곡선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관통구멍(103, 104)의 수도 2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관통구멍의 수는 1개라도 좋고, 또는, 필요에 따라 3개 이상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관통구멍(103, 104)의 형상도 긴 구멍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임의의 고정용 부재를 통하여 입상 기초재(100)를 지면에 대해 고정할 수 있는 관통구멍이라면, 어떠한 형상의 관통구멍이라도 좋다. 단, 관통구멍(103, 104)을 긴 구멍으로 함에 의해, 입상 기초재(100)의 길이 방향(즉, 긴 구멍의 장축 방향)에 있어서, 고 정용 부재(110)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입상 기초재는, 미리 공장에서 제조하여 둘 수 있기 때문에, 건축 현장에 반입하여 즉석에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입상 기초재는, 종래의 입상 기초재와 같이 건축 현장에 있어서 시간을 들여 제조할 필요는 없고, 종래의 입상 기초재보다도 적은 수고로 단시간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입상 기초재는 콘크리트제이기 때문에, 무거운 것이었지만, 본 발명에 관한 입상 기초재는 콘크리트제의 종래의 입상 기초재와 비교하여, 약 60%의 중량밖에 없기 때문에(후술하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제의 입상 기초재가 20㎏인데 대해, 동일 형상의 본 발명에 관한 입상 기초재는 11.7㎏),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또한, 강도적으로도, 본 발명에 관한 입상 기초재는 종래의 콘크리트제의 입상 기초재보다도 고강도이다.
또한, 종래의 콘크리트제의 입상 기초재는 일단 제조한 후의 가공은 거의 불가능하였지만, 본 발명에 관한 입상 기초재는, 보텀애쉬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고속 커터로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고, 건축 현장에서, 형상을 변경하거나, 필요 개소에 구멍을 뚫거나 하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5)

  1. 상호 평행한 상면과 하면을 갖는 입상 기초재에 있어서,
    두께 방향을 상기 상면으로부터 상기 하면까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보텀애쉬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 기초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입상 기초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 기초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입상 기초재를 설치면에 대해 고정하는 고정용 부재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에 걸쳐 넘는데 충분한 크기를 갖는 평판형상 부재와, 상기 평판형상 부재의 하면에서 상기 평판형상 부재에 대해 고정된 나사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용 부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입상 기초재를 설치면에 대해 고정하는 고정용 부재에 있어서,
    상기 입상 기초재의 상면에 접하는 한 쌍의 플랜지면과, 상기 한 쌍의 플랜지면의 각각으로부터 아랫측으로 수직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수직면과, 상기 한 쌍 의 수직면과 양단에서 접속되어 있는 중앙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수직면은 상기 관통구멍에 끼워넣음이 가능하고,
    상기 중앙면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용 부재.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입상 기초재와,
    메시(mesh) 형상으로 철근이 배치된 철근 구조체와,
    상기 관통구멍을 통하여 상기 입상 기초재를 지면에 대해 고정하는 고정재로 이루어지는 벽하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철근 구조체는 상기 지면의 윗측에 배치되고,
    상기 입상 기초재는 상기 철근 구조체상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고정재를 통하여 상기 지면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하부 구조.
KR1020060075989A 2006-07-03 2006-08-11 벽하용 입상 기초재 KR200800036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83084 2006-07-03
JP2006183084A JP4283825B2 (ja) 2006-07-03 2006-07-03 壁下用立ち上がり基礎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695A true KR20080003695A (ko) 2008-01-08

Family

ID=39035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989A KR20080003695A (ko) 2006-07-03 2006-08-11 벽하용 입상 기초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283825B2 (ko)
KR (1) KR20080003695A (ko)
CN (1) CN1011008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73868A (zh) * 2020-12-25 2021-03-30 广东工业大学 一种花岗岩微粉地聚物复合基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34168Y1 (ko) * 1968-06-21 1973-10-16
JPS5292180U (ko) * 1975-12-30 1977-07-09
JPS6227903U (ko) * 1985-08-05 1987-02-20
JPH0544218A (ja) * 1991-08-12 1993-02-23 Sekisui House Ltd アンカーボルトの台直し用治具
JP2843520B2 (ja) * 1995-01-19 1999-01-06 日本碍子株式会社 石炭灰質固化物の製造方法
JPH08144294A (ja) * 1994-11-24 1996-06-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ブロック乾式基礎
JP3267152B2 (ja) * 1996-04-19 2002-03-18 宇部興産株式会社 石炭灰系軽量骨材の製造方法
JP3602107B2 (ja) * 2002-03-15 2004-12-15 日本床工事工業株式会社 床用束基礎
JP2005299318A (ja) * 2004-04-15 2005-10-27 Shoritsu Sangyo Kk 基礎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73868A (zh) * 2020-12-25 2021-03-30 广东工业大学 一种花岗岩微粉地聚物复合基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13919A (ja) 2008-01-24
JP4283825B2 (ja) 2009-06-24
CN101100860A (zh) 200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skouei et al. Experimental study of the punching behavior of GFRP reinforced lightweight concrete footing
Nilforoush et al. Experimental evaluation of influence of member thickness, anchor-head size, and orthogonal surface reinforcement on the tensile capacity of headed anchors in uncracked concrete
KR20080052458A (ko) 폴리머릭 콘크리트 혼합물
Jasvi et al. Sustainable use of low cost building materials in the rural India
KR101092348B1 (ko) 고강도 콘크리트 부유체
Bazgir et al. The behaviour of steel fibre reinforced concrete material and its effect on impact resistance of slabs
Roy et al. Effect of Silica Fume and Foundry waste sand on strength characteristics of Geogrid and Ferro cement panel
KR20080003695A (ko) 벽하용 입상 기초재
JP4781290B2 (ja) 埋設型枠用ボード
Walker et al. Pullout tests on deformed and plain rebars in cement-stabilized rammed earth
Gaidhankar et al. Impact strength of ferrocement panel under low velocity impact loading
Faber et al. Oscar Faber's reinforced concrete
Sudhikumar et al. Effect of aspect ratio of fibers on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slurry infiltrated fibrous ferrocement
Rengarajan Laboratory testing of shotcrete with fibres of steel, basalt or synthetic materials
Parameswaran et al. Current research and applications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s in India
Reinhardt et al. Optimization of SIFCON mix
Prasanna et al. Study on high-performance concrete with the replacement of fine aggregate by manufactured sand
Adetukasi Strength and deflection characteristics of concrete reinforced with steel swarf
Mahananda et al. Design and Analysis of Filler Slab
Zeri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In-plane Cyclic Response of Infilled Reinforced Concrete Frames and Their Possible Retrofit Measures
Srikar et al.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sciences & research technology performance of concrete with adding of steel fibers
JP2006336195A (ja) 基礎構造物およびその施工方法
Van Mier et al. Practical structural applications of FRC and HPFRCC
Dahham et al. Static structural performance of continuous composite slab strengthened by CFRP laminate in the hogging moment region
Mounika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Performance of Fibrous Ferro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