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632U -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632U
KR20080003632U KR2020070003257U KR20070003257U KR20080003632U KR 20080003632 U KR20080003632 U KR 20080003632U KR 2020070003257 U KR2020070003257 U KR 2020070003257U KR 20070003257 U KR20070003257 U KR 20070003257U KR 20080003632 U KR20080003632 U KR 200800036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air
dust collecting
discharge hol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32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한상
이석준
Original Assignee
(주)헥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헥사 filed Critical (주)헥사
Priority to KR20200700032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3632U/ko
Publication of KR200800036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63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 B01D45/08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by impingement against baffle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Abstract

본 고안은 집진의 효율을 크게 개선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함과 아울러 환기률을 크게 낮춤으로서 난방비를 크게 절감하도록 하기 위한 집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집진판을 교호로 배열하여 흡인한 공기가 지그재그 형태로 굽이쳐 빠져 나가게 하고 그로부터 집진한 분진을 오일물질로 잡아 두며, 또한 집진판들 사이에 브러시를 설치하여 집진의 효율을 크게 개선하도록 한 것이다. 이 때문에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고, 이로 인해 환기률을 크게 낮춤으로서 온풍장치의 난방비를 크게 절감하게 한 것이다.
집진장치, 분진, 집진판, 브러시, 오일물질, 환기률

Description

집진장치{Device For Filtering Dust}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집진장치가 온풍장치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집진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집진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집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도4의 Ⅰ-Ⅰ선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집진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온풍장치 3:공기 흡입측
10:케이스 11:분진받이 덮개
13:수용공간 15:흡입공
17:배출공 18:관부재
21∼23:집진판 30:오일물질
41,43:브러시부재 110:팬부
본 고안은 먼지나 분진을 집진하는데 사용되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집진판을 교호로 배열하여 흡인한 공기가 지그재그 형태로 굽이쳐 빠져 나가게 하고 그로부터 집진한 분진을 오일물질로 잡아 둠으로서 집진의 효율을 크게 개선하도록 한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먼지나 분진이 많이 발생하는 가축사나 사무실 또는 공장 등에서는 배기팬을 설치하여 실내공기를 환기시키고 있음이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환기를 하다 보면 외부의 찬공기가 그대로 유입되어 실내 온도를 떨어뜨리기 때문에 특히 가축사에서 어린 가축들이 많은 열량 손실로 위축되거나 온도에 대한 스트레스로 인하여 호흡기 질병에 걸려 많은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음이 사실이다. 이 때문에 환기로 인한 실내 온도의 저하를 보상하기 위해서 온풍장치를 설치하더라도 떨어진 온도를 빨리 끌어 올리기 위해서 무리하게 작동시켜야 하므로 난방비가 많이 소모되는 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온풍장치의 공기 흡입측에는 공기를 거르기 위한 필터가 설치되어 있지만 집진 기능이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배기팬을 대체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집진의 효율을 크게 개선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함과 아울러 환기률을 크게 낮춤으로서 난방비를 크게 절감하도록 하기 위한 집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데워 난방을 수행하도록 된 온풍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분진받이 덮개로 개폐되는 하면만을 개구한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온풍장치의 공기 흡입측에 설치되되, 좌우 양측면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락하는 흡입공과 배출공을 각각 형성하여 그중 배출공이 상기 온풍장치의 공기 흡입측과 연락하도록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케이스의 전후면을 가로질러 설치되되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교호로 배열 설치되어 상기 흡입공과 배출공의 사이를 곧게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막아 지그재그(之) 형태로 굽이쳐 상기 수용공간을 빠져 나가도록 함으로서 공기중의 분진을 집진하기 위한 다수개의 집진판들; 상기 분진받이 덮개에 채워져 상기 집진판들에 부딪쳐 떨어지는 분진을 비산하지 않도록 잡아 두기 위한 오일물질; 및 상기 분진받이 덮개에 채워진 오일물질과는 거리를 두고 상기 집진판들 사이에서 상기 케이스의 전후면을 가로질러 회전되게 설치되어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공기중의 분진을 집진하기 위한 다수개의 브러시부재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진판들 중 상기 배출공과 이웃하는 집진판은 수직으로 설치되고 그 나머지 집진판들은 공기의 이동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는 분진받이 덮개로 개폐되는 하면만을 개구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좌우 양측면에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락하는 흡입공과 배출공을 각각 형성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상기 배출공과 연락하게 장착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서 공기를 상기 흡입공으로 흡입한 후 상기 수용공간과 배출공을 거쳐 다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팬부;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케이스의 전후면을 가로질러 설 치되되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교호로 배열 설치되어 상기 흡입공과 배출공의 사이를 곧게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막아 지그재그(之) 형태로 굽이쳐 상기 수용공간을 빠져 나가도록 함으로서 공기중의 분진을 집진하기 위한 다수개의 집진판들; 상기 분진받이 덮개에 채워져 상기 집진판들에 부딪쳐 떨어지는 분진을 비산하지 않도록 잡아 두기 위한 오일물질; 및 상기 분진받이 덮개에 채워진 오일물질과는 거리를 두고 상기 집진판들 사이에서 상기 케이스의 전후면을 가로질러 회전되게 설치되어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공기중의 분진을 집진하기 위한 다수개의 브러시부재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및 장점 그리고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표기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집진장치가 온풍장치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집진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집진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집진장치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데워 난방을 수행하도록 된 온풍장치(1)의 공기 흡입측(3)에 설치되어 상기 온풍장치(1)로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먼지나 분진을 집진하기 위한 장치로서, 케이스(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내부에 분진받이 덮개(11)로 개폐되는 하면만을 개구한 수용공간(13)을 형성한 구조부로, 좌우 양측면에 상기 수용공간(13)과 연락하는 흡입공(15)과 배출공(17)을 각각 형성하여 그중 배출공(17)이 상기 공기 흡입측(3)과 연락하도록 상기 온풍장치(1)에 설치된다. 상기 배출공(17)과 공기 흡입측(3)은 그 사이에 설치되는 관부재(18)를 통해서 서로 연락한다. 따라서 공기는 상기 케이스(10)의 흡입공(15), 수용공간(13), 배출공(17)을 순차로 거친 후 상기 공기 흡입측(3)을 통해서 상기 온풍장치(1)로 흘러 들어가 데워진다. 상기 분진받이 덮개(11)는 상기 케이스(10)에 탈착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온풍장치(1)의 공기 흡입측(3)에 설치되는 상기 케이스(10)의 수용공간(13)에는 다수개의 집진판들(21∼2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집진판들(21∼23)은 상기 케이스(10)의 전후면을 가로질러 설치되되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교호로 배열 설치되어 상기 흡입공(15)과 배출공(17)의 사이를 곧게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막아 지그재그(之) 형태로 굽이쳐 상기 수용공간(13)을 빠져 나가도록 함으로서 공기중의 분진을 집진한다. 상기 집진판들(21∼23)은 용접을 통해서 상기 케이스(10)의 수용공간(13)에 고정 설치되거나 볼트 결합을 통해서 분리되게 설치될 수 있고, 갯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기 때문에 도면의 갯수는 단지 예시된 것임을 밝혀둔다.
도면 예시와 같이, 상기 흡입공(15)과 인접한 집진판(21)은 상기 분진받이 덮개(11)와는 거리를 두고 설치하고, 그 다음 집진판(22)은 상기 수용공간(13)의 상면과 거리를 두고 설치하고, 마지막으로 상기 배출공(17)과 인접한 집진판(23)은 상기 분진받이 덮개(11)와는 거리를 두고 설치하면, 상기 흡입공(15)을 통해서 상기 수용공간(13)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집진판들(21∼23)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굽이치면서 흐르다가 상기 배출공(17)으로 빠져 나간다. 이때, 상기 배출공(17)과 인접한 집진판(23)은 수직으로 설치하고 그 나머지 집진판들(21,22)은 공기의 이동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공기의 흐름을 부드럽게 하면서도 마지막에는 강한 저항을 주어 집진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집진판들(21∼23)과 부딪히는 공기중의 분진은 낙하하여 상기 분진받이 덮개(11)로 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분진받이 덮개(11)로 떨어진 분진은 상기 분진받이 덮개(11)의 내부에 채워지는 오일물질(30)에 달라 붙어 더이상 비산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집진판(22)은 상기 오일물질(30)과는 거리를 두고 설치됨이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상기 집진판(22)이 상기 오일물질(30)과 맞닿으면 바람의 세기로 오일이 비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오일물질(30)에 분진이 충만된 경우 상기 분진받이 덮개(11)를 상기 케이스(10)로부터 분리하여 분진이 충만된 상기 오일물질(30)을 제거한 다음 새로운 상기 오일물질(30)로 채우면 된다.
한편, 상기 상기 분진받이 덮개(11)에 채워진 오일물질(30)과는 거리를 두고 상기 집진판들(21∼23) 사이에는 브러시부재들(41,43)이 설치되어 있다. 이중 브러시부재(41)은 상기 집진판(21)의 앞쪽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러시부재들(41)은 상기 케이스(10)의 전후면을 가로질러 회전되게 설치되어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공기중의 분진을 집진한다. 공기가 상기 브러시부재 들(41,43)의 모(毛)들을 통과하면 그 모들에는 정전기가 발생하는데, 공기중의 분진들은 그 정전기로 인해서 모들에 달라 붙어 집진된다. 또한 상기 집진판(22)의 뒷쪽에 설치되는 브러시부재(43)는 상기 오일물질(30)과의 틈사이로 빠져 나가는 공기중의 분진을 집진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분진이 제거된 공기는 상기 배출공(17)과 공기 흡입측(3)을 통해서 상기 온풍장치(1)로 들어가 데워진 후 실내로 다시 배출되어 난방한다. 이러한 순환 사이클이 반복될수록 실내의 분진 농도는 약해질 것이고, 결국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한다. 이처럼 쾌적하게 조성되는 실내 환경은 환기률을 크게 낮춤으로서 상기 온풍장치(1)의 난방비를 크게 절감하게 한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집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도4의 Ⅰ-Ⅰ선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집진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집진장치는 제1실시예와는 달리 온풍장치에 설치되지 않아도 자체에서 실내 공기를 흡입, 분진을 제거한 다음 그 분진이 제거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배출함으로서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1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한 케이스(10)의 배출공(17)에 팬부(110)를 장착한 것이다.
상기 팬부(110)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팬과 모터, 케이스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흡입측을 상기 배출공(17)에 연결하고 배출측은 대기중에 두어 상기 배출공(17)을 통해서 실내 공기를 상기 흡입공(15)으로 흡입한 후 상기 수용공간(13)과 배출공(17)을 거쳐 다시 외부로 배출한다. 이와 같이 상기 팬부(110)에 의해서 실 내 공기가 상기 케이스(10)를 통과하는 동안 공기중의 분진은 제1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의 구성요소들((21∼23)(30)(41,43)에 의해서 집진된다. 공기중의 분진이 집진되는 과정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상기 팬부(110)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기의 순환 사이클이 반복될수록 실내의 분진 농도는 상기 집진 과정을 통해서 약해질 것이고, 결국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한다. 이처럼 쾌적하게 조성되는 실내 환경은 환기률을 크게 낮춤으로서 별도로 설치되는 온풍장치의 난방비를 크게 절감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집진의 효율을 크게 개선함으로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고, 또한 환기률을 크게 낮춤으로서 온풍장치의 난방비를 크게 절감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데워 난방을 수행하도록 된 온풍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분진받이 덮개로 개폐되는 하면만을 개구한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온풍장치의 공기 흡입측에 설치되되, 좌우 양측면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락하는 흡입공과 배출공을 각각 형성하여 그중 배출공이 상기 온풍장치의 공기 흡입측과 연락하도록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케이스의 전후면을 가로질러 설치되되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교호로 배열 설치되어 상기 흡입공과 배출공의 사이를 곧게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막아 지그재그(之) 형태로 굽이쳐 상기 수용공간을 빠져 나가도록 함으로서 공기중의 분진을 집진하기 위한 다수개의 집진판들;
    상기 분진받이 덮개에 채워져 상기 집진판들에 부딪쳐 떨어지는 분진을 비산하지 않도록 잡아 두기 위한 오일물질; 및
    상기 분진받이 덮개에 채워진 오일물질과는 거리를 두고 상기 집진판들 사이에서 상기 케이스의 전후면을 가로질러 회전되게 설치되어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공기중의 분진을 집진하기 위한 다수개의 브러시부재들을 포함하는 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판들 중 상기 배출공과 이웃하는 집진판은 수직으로 설치되고 그 나머지 집진판들은 공기의 이동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됨을 특징으 로 하는 집진장치.
  3. 내부에는 분진받이 덮개로 개폐되는 하면만을 개구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좌우 양측면에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락하는 흡입공과 배출공을 각각 형성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상기 배출공과 연락하게 장착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서 공기를 상기 흡입공으로 흡입한 후 상기 수용공간과 배출공을 거쳐 다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팬부;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케이스의 전후면을 가로질러 설치되되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교호로 배열 설치되어 상기 흡입공과 배출공의 사이를 곧게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막아 지그재그(之) 형태로 굽이쳐 상기 수용공간을 빠져 나가도록 함으로서 공기중의 분진을 집진하기 위한 다수개의 집진판들;
    상기 분진받이 덮개에 채워져 상기 집진판들에 부딪쳐 떨어지는 분진을 비산하지 않도록 잡아 두기 위한 오일물질; 및
    상기 분진받이 덮개에 채워진 오일물질과는 거리를 두고 상기 집진판들 사이에서 상기 케이스의 전후면을 가로질러 회전되게 설치되어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공기중의 분진을 집진하기 위한 다수개의 브러시부재들을 포함하는 집진장치.
KR2020070003257U 2007-02-26 2007-02-26 집진장치 KR200800036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257U KR20080003632U (ko) 2007-02-26 2007-02-26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257U KR20080003632U (ko) 2007-02-26 2007-02-26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632U true KR20080003632U (ko) 2008-08-29

Family

ID=41491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3257U KR20080003632U (ko) 2007-02-26 2007-02-26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363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073B1 (ko) * 2012-08-03 2013-04-29 조정웅 방습방진기가 구비된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073B1 (ko) * 2012-08-03 2013-04-29 조정웅 방습방진기가 구비된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8058B1 (ko) 전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환기시스템
JP5432184B2 (ja) 空気フィルタ
JP2016099090A (ja) 空気調和機
MY141783A (en) Air conditioner with indoor unit having automatic filter cleaning function
JP2667891B2 (ja) とくに部屋の換気および空調用空気の一次側流体と二次側流体との間の独立形熱交換装置
CN116428676B (zh) 一种生态宜居屋用空气调节装置
KR20080003632U (ko) 집진장치
JP2015129595A (ja) 空気調和機
CN215909348U (zh) 风道件、通风换热部件以及空调器
KR101394811B1 (ko) 에코 마스터 환기시스템
CN106322478B (zh) 烟机空调室内机及烟机空调
CN215523629U (zh) 一种双向流新风除湿机
CN205093072U (zh) 一种屏蔽机柜内部空气调节装置
KR20070005176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5980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628059B1 (ko) 전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환기시스템
KR100630829B1 (ko) 공기조화기의 필터청소장치
CN208779632U (zh) 一种具有静电处理式新风机
EP1369655A1 (en) Thermal diffuser, in particular for household radiators
KR101137160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JP2006022982A (ja) 除塵装置と同除塵装置を用いた空調装置
CN213032064U (zh) 一种清洁型采暖通风空调装置
CN216454792U (zh) 一种地刷冷却系统、地刷及吸尘器
CN210663094U (zh) 空调室内机
CN210772696U (zh) 风管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