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233U - 접점 강제 오픈을 위한 조립체 - Google Patents

접점 강제 오픈을 위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233U
KR20080003233U KR2020070002198U KR20070002198U KR20080003233U KR 20080003233 U KR20080003233 U KR 20080003233U KR 2020070002198 U KR2020070002198 U KR 2020070002198U KR 20070002198 U KR20070002198 U KR 20070002198U KR 20080003233 U KR20080003233 U KR 200800032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ush button
closing member
pusher
inne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21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1679Y1 (ko
Inventor
이원재
이문재
Original Assignee
이원재
이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재, 이문재 filed Critical 이원재
Priority to KR20200700021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679Y1/ko
Publication of KR200800032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2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6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6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스위치와 같은 스위칭 기구의 접점부재에 접점개폐부재를 접촉 작동시킬 때 접점개폐부재가 접점부재에 늘러 붙어 떨어지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접점 강제 오픈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설비의 각 동작 부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및 제2접점부재(20,30)와, 상기 제1 및 제2접점부재(20,30) 사이에 배치된 접점개폐부재(40)와,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외측단이 노출 설치되고 내측단은 상기 접점개폐부재(40)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접점개폐부재(40)를 관통하여 설치된 푸시버튼(50)과, 상기 푸시버튼(50)의 내측단과 접촉됨과 동시에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푸시버튼(50)이 눌려짐에 따라 회동되면서 상기 접점개폐부재(40)를 제1접점부재(20) 또는 제2접점부재(30)에서 이격되도록 누름 작동시키는 푸셔(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효과는 접점개폐부재를 푸시버튼에 의해 눌러서 스위칭 기구의 접점부재에 접촉시키는 스냅 액션 동작시에 접점개폐부재가 접점부재에 늘러 붙어 이격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하기 때문에, 기계장치의 오동작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접점, 개폐, 스냅 액션, 이격, 푸셔, 푸시버튼, 판스프링

Description

접점 강제 오픈 구조{Forcible open structure for contact point}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주요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20. 제1접점부재
30. 제2접점부재 40. 접점개폐부재
50. 푸시버튼 60. 푸셔
본 고안은 접점 강제 오픈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위치와 같은 스위칭 기구의 접점부재에 접점개폐부재를 접촉 작동시킬 때 접점개폐부재가 접점부재에 늘러 붙어 떨어지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접점 강제 오픈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화 장치나 각종 기계설비에는 컨트롤패널이 구비되고, 이 컨트롤패널에는 장치나 설비의 각 부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가 설치된다. 또한, 장치나 설비의 작동중에 비상 정지나 일시 정지를 위하여 푸시버튼식 접점 스위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스위치 등에 구비되는 접점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하우징의 내부에 기계장치와 같은 각종 설비의 각 동작부의 제어회로와 전원공급부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두 개의 접점부재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고, 두 개의 접점부재 사이에는 푸시버튼의 누르는 힘과 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두 접점부재 사이에서 접촉 동작되는 접점개폐부재가 구비되며, 이 접점개폐부재는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 설치된 푸시버튼에 의해 각 접점부재에 접촉되어 전원을 차단하거나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즉, 평상시에는 접점개폐부재가 어느 하나의 접점부재에 접촉되어 기계장치나 설비의 어느 동작 부분에 전원을 차단하거나 인가한 상태로 되었다가 작업자가 푸시버튼을 눌러주면 접점개폐부재가 다른 접점부재에 접촉되면서 기계장치나 설비의 다른 동작 부분에 반대로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시키도록 작동한다.
예컨데, 비상스위치의 경우에는 평상시에 기계설비나 장치의 어느 동작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기계설비가 작동되도록 하였다가, 비상시에 작업자가 푸시버튼을 누름 동작시킴에 따라 접점개폐부재가 다른 접점부재에 터치되어 전원을 차단함으 로써, 기계설비나 장치를 비상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접점개폐부재를 푸시버튼에 의해 눌러 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접점부재에 접촉시키는 동작을 통상 스냅 액션(snap action)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스냅 액션 동작에 의해 접점개폐부재가 접점부재에 접촉되는 순간 스파크가 생기는 것처럼 불꽃이 발생하며, 이때 발생되는 불꽃에 의해 접점개폐부재가 접점부재에 늘러 붙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런데, 접점개폐부재가 눌러붙는 힘이 판스프링의 탄성 복원력보다 더 큰 힘으로 눌러 붙어서 접점개폐부재가 접점부재에서 제대로 떨어지지 않기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기계장치의 오동작 및 위급한 상황에서 기계를 정지시킬 수 없는 심각한 상황이 자주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에는 접점개폐부재의 접점 동작 횟수가 누적되면서 판스프링의 취약부위가 누적되는 힘에 의해 판스프링이 부러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피로 파단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접점개폐부재가 접점부재에 눌러 붙을 때에 온도가 높아지게 되는데, 이러한 눌러붙은 상태에서 제대로 접점개폐부재를 떨어뜨리지 못하여 온도에 의해 접점개폐부재의 변형이 발생되며, 아울러, 스위치에 채용된 접점구조의 수명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스위칭 기구 내부의 접점부재에 접점개폐부재를 접촉 작동시키는 스 냅 액션 동작시에 접점개폐부재가 접점부재에 늘러 붙어 떨어지지 않는 현상을 방지하기 때문에, 기계장치의 오동작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접점 강제 오픈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화기기나 기계장치와 같이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설비에 설치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설비의 각 동작 부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및 제2접점부재(20,30)와, 상기 제1 및 제2접점부재(20,30) 사이에 배치된 접점개폐부재(40)와,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외측단이 노출 설치되고 내측단은 상기 접점개폐부재(40)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접점개폐부재(40)를 관통하여 설치된 푸시버튼(50)과, 상기 푸시버튼(50)의 내측단과 접촉됨과 동시에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푸시버튼(50)이 눌려짐에 따라 회동되면서 상기 접점개폐부재(40)를 제1접점부재(20) 또는 제2접점부재(30)에서 이격되도록 누름 작동시키는 푸셔(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강제 오픈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푸셔(60)는 하측의 서로 나란한 한 쌍의 다리부(62)와, 상기 다리부(62)의 상단부에 일체화된 푸싱부(64)와, 상기 다리부(62)의 외측면에 일체로 구비된 한 쌍의 결합핀(66)을 갖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0)은 내부 양측에 각각 결합홈(16)이 형성되어 상기 푸셔(60)의 다리부(62)에 구비된 각 결합 핀(66)이 상기 결합홈(16)에 각각 안착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푸시버튼(50)이 눌려짐에 따라 상기 푸셔(60)가 상기 결합핀(66)과 결합홈(16)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접점개폐부재(40)를 상기 제1접점부재(20) 또는 제2접점부재(30)에서 이격되도록 눌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점개폐부재(40)는 상기 푸시버튼(50)의 내측단이 관통됨과 더불어 상기 푸셔(60)의 푸싱부(64)와 마주하는 접촉편(42)과, 상측에서 볼 때 원호형으로 구성되어 외측단은 상기 푸시버튼(50)의 양측에서 상기 접촉편(42)에 연결되고 내측단은 상기 푸시버튼(50)의 양측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푸시버튼(50)의 양측에 대칭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판스프링(4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셔(60)의 다리부(62) 전방에는 오목홈(62a)이 형성되고, 상기 푸시버튼(50)의 내측단에는 상기 다리부(62)의 오목홈(62a)에 형합되는 한 쌍의 푸시작동부(5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셔(60)의 다리부(62) 전방에는 상기 푸시버튼(50)의 내측단과 마주하는 위치에 오목홈(62a)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62a)의 상단 높이는 상기 푸시버튼(50)의 내측단 상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다리부(62)의 오목홈(62a)과 상기 푸시버튼(50)의 내측단 사이에 비접촉 공간부(G)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비접촉 공간부(G)의 하측에 누름점(P)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시버튼(50)의 내측단에는 한 쌍의 푸시작동부(52)가 형성되어, 상기 푸셔(60)의 다리부(62)의 오목홈(62a)과 상기 푸시버튼(50)의 푸시작동부(52) 사이 에 상기 비접촉 공간부(G)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비접촉 공간부(G)의 하측에 누름점(P)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시버튼(50)의 내측단과 상기 하우징(10)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S)에 의해 상기 푸시버튼(50)의 내측단이 상기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밀려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주요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자동화기기나 기계장치와 같이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설비에 설치되는 하우징(10)을 갖는다. 이 하우징(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의 하부케이스(12)와, 이 하부케이스(12)에 상부커버(14)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으로, 기계장치와 같은 설비의 컨트롤패널에 내장된다.
도 1의 부호 13a는 단자편이고, 부호 13b는 단자편(13a)을 관통하여 하우징(10)의 하부케이스(12)의 볼트체결부(15a)에 체결되는 볼트이다. 이때, 볼트체결부(15a)는 도전성의 원통형 금속 내부에 나사부를 가공한 것으로, 후술할 제1 및 제2접접부재(20,30)에 통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단자편(13a)과 제1 및 제2접접부재(20,30)의 상면 사이에 전선 을 개재시키고, 상기 볼트(13b)를 볼트체결부(15a)에 체결함으로써, 기계설비 등의 내부 작동부와 제1 및 제2접점부재(20,30)를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케이스(12)에는 제1 및 제2접점부재(20,30)가 내장된다. 제1접점부재(20)는 기역자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케이스(12) 내부 좌우측에 한 쌍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2접점부재(30)는 기역자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제1접점부재(30)와 마주하도록 하우징(10)의 하부케이스(12) 좌우측에 한 쌍으로 설치된다. 이때, 제2접점부재(30)는 제1접점부재(20)에 비하여 상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다.
한 쌍의 제1접점부재(20)와 제2접점부재(30)는 각각 전원공급부의 전원코드에 각각 연결되어, 후술할 접점개폐부재(40)가 한 쌍의 제1접점부재(20) 또는 제2접점부재(30)에 접촉된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전원이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접점부재(20,30) 사이에는 접점개폐부재(40)가 구비된다. 이 접점개폐부재(40)는 단면 일자형의 평철 형상으로 구성되며 중앙부에는 통공(42a)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접점부재(20,30) 사이에 배치된 접촉편(42)과, 상측에서 볼 때 원호형으로 구성되어 외측단은 후술할 푸시버튼(50)의 양측에서 접촉편(42)의 통공(42a) 둘레벽에 걸려지고 내측단은 푸시버튼(50)의 양측면에 각각 연결되어 푸시버튼(50)의 양측에 대칭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판스프링(44)으로 구성된다.
이때, 푸시버튼(50)은 판스프링(44)의 내측단과 마주하는 위치에 슬릿형 홈(54)이 형성되어, 이 슬릿형 홈(54)에 판스프링(44)의 내측단이 끼워져 연결된 다. 또한, 푸시버튼(50)의 내측단과 하우징(10) 사이에는 스프링(S)이 개재되어, 이 스프링(S)의 힘에 의해 푸시버튼(50)의 내측단이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밀려나며, 푸시버튼(50)의 둘레부에 형성된 단턱(51s)이 하우징(10)의 하부케이스(12) 일측에 형성된 슬라이드공(12s)의 내벽에 걸려져서 푸시버튼(50)이 하부케이스(12)에서 완전히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한 쌍의 원호형 판스프링(44)의 외측단은 접촉편(42)에 형성된 통공의 양측 둘레벽에 걸려지고, 각 판스프링(44)의 내측단은 푸시버튼(50)의 양측면에 형성된 슬릿형 홈(54)에 안착되도록 끼워져서, 푸시버튼(50)의 누름 동작을 함에 따라 한 쌍의 원호형 판스프링(44)이 외측으로 늘어나는 한편, 푸시버튼(50)의 누름 동작을 해제함에 따라 스프링(S)의 탄성력과 판스프링(44) 자체의 탄성에 의해 판스프링(44)이 원상태로 복귀한다.
상기 푸시버튼(50)은 하우징(10)의 하부케이스(12)에 내장된 푸셔(60)를 회동 작동시켜 푸셔(60)에 의해 접점개폐부재(40)의 접촉편(42)이 밀려나도록 한다. 상기 푸셔(60)는 푸시버튼(50)의 내측단과 접촉됨과 동시에 회동 가능하도록 하우징(10)의 하부케이스(12)에 내장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푸셔(60)는 하측의 서로 나란한 한 쌍의 다리부(62)와, 이 다리부(62)의 상단부에 일체화된 푸싱부(64)와, 상기 다리부(62)의 외측면에 일체로 구비된 결합핀(66)을 갖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케이스(12)는 내부 양측에 각각 결합홈(16)이 형성되어 푸셔(60)의 다리부(62) 양측의 각 결합핀(66)이 하부케이스(12)의 각 결합홈(16)에 안착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푸시버튼(50)이 눌려짐에 따라 푸셔(60)가 다리부(62)의 양측 결합핀(66)과 하부케이스(12)의 양측 결합홈(16)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접점개폐부재(40)의 접촉편(42)을 제1접점부재(20) 또는 제2접점부재(30)에서 이격되도록 눌러준다.
이때, 상기 푸셔(60)의 다리부(62) 전방에는 오목홈(62a)이 형성되고, 푸시버튼(50)의 내측단에는 푸셔(60)의 다리부(62)의 오목홈(62a)에 형합되는 한 쌍의 푸시작동부(52)가 형성되어, 푸시버튼(50)의 한 쌍의 푸시작동부(52)가 푸셔(60)의 다리부(62)의 오목홈(62a)에 맞결합된 상태로 푸셔(60)의 다리부(62) 하단을 눌러주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시에는 접점개폐부재(40)의 접촉편(42)이 원호형 판스프링(44)의 힘에 의해 제1접점부재(20)에 접촉된 상태로 되어 기계 설비 등의 정상 작동된다.
이때, 비상시에 기계 설비 등을 멈추기 위해 작업자가 푸시버튼(50)을 눌러줄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푸시버튼(50)을 눌러줄 때, 한 쌍의 원호형 판스프링(44)의 탄성 팽창력이 접점개폐부재(40)의 접촉편(42)를 밀어줌과 동시에 푸시버튼(50)에 의해 푸셔(60)의 하단(즉, 다리의 하단)이 눌려져서 푸셔(60) 상단의 푸싱부(64)가 접점개폐부재(40)를 밀어주면서 접점개폐부재(40)의 접촉편(42)이 제1접점부재(20)에서 이격됨과 동시에 제2접점부재(30)에 접촉되도록 작동되며, 이로 인해 기계설비의 작동을 멈추는 동작 등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을 비상 스위치로 채용한 경우, 접점개폐부재(40)가 제1 접점부재(20)에서 이격되는 순간 비상 스위치가 작동되어 기계장치와 같은 설비의 각 작동부의 공급 전원을 차단하며, 이에 따라, 비상시 설비의 작동을 멈추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푸시버튼(50)의 누름 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푸시버튼(50)이 내측단과 하우징(10)의 하부케이스(12)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S)의 힘과 한 쌍의 원호형 판스프링(44) 자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며, 이에 따라, 푸셔(60)가 다시 원위치로 후퇴되면서 접점개폐부재(40)가 다시 제1접점부재(20)에 접촉되어, 기계장치나 자동화 기기와 같은 설비의 재가동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접점개폐부재(40)에 탄성력을 가하는 원호형 판스프링(44)의 탄성력과 푸셔(60)가 물리적으로 눌러주는 힘이 접점개폐부재(40)를 눌러주는 힘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접점개폐부재(40)의 눌러 붙는 힘이 접점개폐부재(40)의 탄성력보다 큰 경우에도 푸셔(60)가 눌러주는 힘에 의해 접점개폐부재(40)가 제1접점부재(20)에서 제대로 떨어지지 않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이러한 접점 해제 불량으로 인한 기계장치나 설비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7에 의하면, 상기 푸셔(60)의 다리부(62) 전방에는 푸시버튼(50)의 내측단과 마주하는 위치에 오목홈(62a)이 형성되고, 오목홈(62a)의 상단 높이는 푸시버튼(50)의 내측단 상단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다리부(62)의 오목홈(62a)과 푸시버튼(50)의 내측단 사이에 비접촉 공간부(G)가 형성됨과 동시에 비접촉 공간부(G)의 하측에 누름점(P)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푸시버튼(50)의 내측단에는 한 쌍의 푸시작동부(52)가 형성되어, 푸셔(60)의 다리부(62)의 오목홈(62a)과 푸시버튼(50)의 푸시작동부(52) 사이에 비접촉 공간부(G)가 형성되고, 동시에 비접촉 공간부(G)의 하측에 누름점(P)이 형성된다.
도 7의 실시예에 의하면, 푸셔(60)의 다리부(62)에 형성된 오목홈(62a)과 푸시버튼(50)의 푸시작동부(52) 사이에 형성된 비접촉 공간부(G) 하측의 누름점(P)과 회동지지부(즉, 푸셔(60)의 다리 양측의 결합핀(66)과 하우징(10)의 결합홈(16))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길어지기 때문에, 푸셔(60)가 회동지지부인 결합핀(66)과 하우징(10)의 결합홈(16)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힘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푸시버튼(50)을 눌러주는 순간 푸셔(60)의 푸싱부(64)가 접점개폐부재(40)를 눌러주는 힘이 상대적으로 더 늘어나기 때문에, 도 1 내지 도 7의 경우에 비하여 접점개폐부재(40)가 제1접점부재(20)에서 제대로 떨어지지 않는 경우를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작동 신뢰성을 더욱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종래에는 피로 파단에 현상과 온도에 의한 변형에 의해 스냅 액션 동작을 1만회 이상 반복할 수 없으므로, 스위치의 수명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그런데, 본 고안의 경우, 접접개폐부재(40)를 접점 동작시키는 판스프링(44)의 힘에 더하여 푸셔(60)가 눌러주는 힘이 합력으로 작용하여 피로 파단성을 낮출 수 있음과 동시에 접점개폐부재(40)의 접촉편(42)이 제1접점부재(20) 또는 제2접점 부재(30)에 늘러붙지 않고 신속하게 이격시켜 열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판스프링(44)이 열변형되는 것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피로 파단성을 낮추어 반복적인 접점개폐부재(40)의 접점 동작에 의한 피로 파단 현상과 열변형 현상에 의해 판스프링(40)이 파단되는 현상을 낮출 수 있으며, 스위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스위치의 접점 개폐동작을 1만 5천회 이상 반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푸셔(60)의 푸싱부(64)가 하부케이스(12)의 바닥면에서 상측에 배치된 구조이므로, 하부케이스(12)의 바닥면에 이물질이 쌓인 경우라도 접접 강제 오픈 동작에 간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푸셔(60)의 푸싱부(64)가 하부케이스(12)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배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하부케이스(12)의 바닥면에 이물질(여기서, 이물질은 하부케이스(12)와 상부커버(14) 자체를 성형할 때 혼입되는 이물질이나 단자편(13a)과 볼트(13b)에 의해 배선을 할 때 하부케이스(12)의 바닥면으로 떨어지는 이물질 등을 말함)이 쌓이면, 푸셔(60)의 푸싱부(64)가 이물질에 걸려서 간섭되므로, 푸셔(60)에 의해 접점개폐부재(40)를 밀어주는 접점 강제 오픈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그런데, 본 고안에서는 푸셔(60)의 푸싱부(64)가 하부케이스(12)의 바닥면 상측부에 위치한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푸싱부(64)가 하부케이스(12) 바닥면에 적체된 이물질에 걸려서 간섭되는 일이 없으므로, 접점 강제 오픈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접점개폐부재를 푸시버튼에 의해 눌러서 스위칭 기구의 접점부재에 접촉시키는 스냅 액션 동작시에 접점개폐부재가 접점부재에 늘러 붙어 제대로 떨어지지 않는 현상을 방지하기 때문에, 기계장치의 오동작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접점 강제 오픈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7)

  1.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설비의 각 동작 부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및 제2접점부재(20,30)와, 상기 제1 및 제2접점부재(20,30) 사이에 배치된 접점개폐부재(40)와,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외측단이 노출 설치되고 내측단은 상기 접점개폐부재(40)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접점개폐부재(40)를 관통하여 설치된 푸시버튼(50)과, 상기 푸시버튼(50)의 내측단과 접촉됨과 동시에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푸시버튼(50)이 눌려짐에 따라 회동되면서 상기 접점개폐부재(40)를 제1접점부재(20) 또는 제2접점부재(30)에서 이격되도록 누름 작동시키는 푸셔(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강제 오픈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60)는 하측의 서로 나란한 한 쌍의 다리부(62)와, 상기 다리부(62)의 상단부에 일체화된 푸싱부(64)와, 상기 다리부(62)의 외측면에 일체로 구비된 한 쌍의 결합핀(66)을 갖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0)은 내부 양측에 각각 결합홈(16)이 형성되어 상기 푸셔(60)의 다리부(62)에 구비된 각 결합핀(66)이 상기 결합홈(16)에 각각 안착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푸시버튼(50)이 눌려짐에 따라 상기 푸셔(60)가 상기 결합핀(66)과 결합홈(16)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접점개폐부재(40)을 상기 제1접점부재(20) 또는 제2접점 부재(30)에서 이격되도록 눌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강제 오픈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개폐부재(40)는 상기 푸시버튼(50)의 내측단이 관통됨과 더불어 상기 푸셔(60)의 푸싱부(64)와 마주하는 접촉편(42)과, 상측에서 볼 때 원호형으로 구성되어 외측단은 상기 푸시버튼(50)의 양측에서 상기 접촉편(42)에 연결되고 내측단은 상기 푸시버튼(50)의 양측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푸시버튼(50)의 양측에 대칭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판스프링(4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강제 오픈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60)의 다리부(62) 전방에는 오목홈(62a)이 형성되고, 상기 푸시버튼(50)의 내측단에는 상기 다리부(62)의 오목홈(62a)에 형합되는 한 쌍의 푸시작동부(5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강제 오픈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60)의 다리부(62) 전방에는 상기 푸시버튼(50)의 내측단과 마주하는 위치에 오목홈(62a)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62a)의 상단 높이는 상기 푸시버튼(50)의 내측단 상단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다리부(62)의 오목홈(62a)과 상기 푸시버튼(50)의 내측단 사이에 비접촉 공간 부(G)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비접촉 공간부(G)의 하측에 누름점(P)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강제 오픈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50)의 내측단에는 한 쌍의 푸시작동부(52)가 형성되어, 상기 푸셔(60)의 다리부(62)의 오목홈(62a)과 상기 푸시버튼(50)의 푸시작동부(52) 사이에 상기 비접촉 공간부(G)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비접촉 공간부(G)의 하측에 누름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강제 오픈 구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50)의 내측단과 상기 하우징(10)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S)에 의해 상기 푸시버튼(50)의 내측단이 상기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밀려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강제 오픈 구조.
KR2020070002198U 2007-02-06 2007-02-06 접점 강제 오픈을 위한 조립체 KR2004416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198U KR200441679Y1 (ko) 2007-02-06 2007-02-06 접점 강제 오픈을 위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198U KR200441679Y1 (ko) 2007-02-06 2007-02-06 접점 강제 오픈을 위한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233U true KR20080003233U (ko) 2008-08-11
KR200441679Y1 KR200441679Y1 (ko) 2008-09-04

Family

ID=41324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2198U KR200441679Y1 (ko) 2007-02-06 2007-02-06 접점 강제 오픈을 위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67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279B1 (ko) * 2010-07-21 2017-07-31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비상 정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679Y1 (ko) 200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40138B (zh) 触发式开关
JP3281384B2 (ja) 安全スイッチ装置
US7834280B2 (en) Safety switch
US5665947A (en) Cable actuated switching mechanism with mechanical snap action capibility and broken cable monitoring capability
CN104124085A (zh) 断路器
KR101195285B1 (ko) 스위칭 장치
KR200441679Y1 (ko) 접점 강제 오픈을 위한 조립체
CA2469515C (en) Redundant switch having torsional compliance and arc-absorbant thermal mass
KR20100076993A (ko) 브러쉬 배열 및 전기기계 특히 가전제품
JP6618816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US20090266698A1 (en) Electronic Device
JP6981396B2 (ja) 押ボタンスイッチ
US5831229A (en) Mechanical-type automatic circuit-breaking appliance switch assembly
US7922505B2 (en) Card connector
US6236299B1 (en) Auto tripping key switch
CN219832446U (zh) 一种防误触的急停按钮
CN215933404U (zh) 一种行程开关
CN209981017U (zh) 一种紧急停止开关
KR100549028B1 (ko) 스위치 장치
CN209843529U (zh) 微动开关装置
JP3397342B2 (ja) 安全用スイッチ装置
KR200496040Y1 (ko) 다중접점 구조의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
JPH0435717Y2 (ko)
JP6306882B2 (ja) コネクタ
CN111640609B (zh) 具有可靠安装的开关组件的紧急停止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