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040Y1 - 다중접점 구조의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 - Google Patents

다중접점 구조의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040Y1
KR200496040Y1 KR2020220000440U KR20220000440U KR200496040Y1 KR 200496040 Y1 KR200496040 Y1 KR 200496040Y1 KR 2020220000440 U KR2020220000440 U KR 2020220000440U KR 20220000440 U KR20220000440 U KR 20220000440U KR 200496040 Y1 KR200496040 Y1 KR 2004960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ing
actuator
internal terminal
in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4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범준
Original Assignee
배범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범준 filed Critical 배범준
Priority to KR20202200004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0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0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0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일의 액츄에이터의 의해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가 다중 접점에서 연결됨으로써 일부의 접점이 오염되더라도 전체적으로는 통전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다중접점 구조의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액츄에이터 가이드부와 제1 및 제2 단자 수납부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액츄에이터 가이드부를 관통하여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액츄에이터; 상기 제1 단자 수납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외부단자와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내부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가동단자; 및 상기 제2 단자 수납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외부단자와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2 내부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고정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내부단자는 일면에 형성된 지지부가 상기 액츄에이터의 타단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액츄에이터로부터 전달되는 힘이 상기 제1 내부단자의 탄성력보다 크게 되면 제1 내부단자가 휘어져 제2 내부단자에 접근하고, 상기 제1 내부단자의 타면에는 다수의 접점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내부단자는 상기 제1 내부단자의 다수의 접점들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분기된 금속편들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다중접점 구조의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Multi-contact structured push type micro switch}
본 고안은 액츄에이터에 규정된 힘을 가하면 전기적으로 온(On)이 되고, 힘을 제거하면 전기적으로 오프(Off)되는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전자 장치의 내부에 장착되어 개폐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기·전자 장치에서 안전 및 기능상의 이유로 닫혀 있는지 또는 열려 있는지에 따라 수행되는 동작에는 큰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전기·전자 장치의 개폐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액츄에이터에 규정된 힘을 가하면 전기적으로 온(On)이 되고, 힘을 제거하면 전기적으로 오프(Off)되는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가 주로 사용된다.
이 때,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는 전기·전자 장치에 따른 전기적, 기계적 사양을 만족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에 의한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에서는 스위치의 고정 단자와 가동 단자가 접하는 접점이 1개인 단일 구조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는 반도체처럼 크린룸에서 제조되는 것이 아니므로 제조 과정에서 제품 속에 이물질이 들어갈 수 있는데, 이물질이 접점을 오염시켜 통전불량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개의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를 결합하여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는 가성비를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단일의 액츄에이터의 의해 다중 접점으로 연결됨으로써 일부의 접점이 오염되더라도 오염되지 않은 다른 접점이 통전되면서 전체적으로는 통전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다중접점 구조의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를 제공함으로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다중접점 구조의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는, 액츄에이터 가이드부와 제1 및 제2 단자 수납부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액츄에이터 가이드부를 관통하여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액츄에이터; 상기 제1 단자 수납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외부단자와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내부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가동단자; 및 상기 제2 단자 수납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외부단자와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2 내부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고정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내부단자는 일면에 형성된 지지부가 상기 액츄에이터의 타단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액츄에이터로부터 전달되는 힘이 상기 제1 내부단자의 탄성력보다 크게 되면 제1 내부단자가 휘어져 제2 내부단자에 접근하고, 상기 제1 내부단자의 타면에는 다수의 접점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내부단자는 상기 제1 내부단자의 다수의 접점들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분기된 금속편들을 구비한다.
상기의 다중접점 구조의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내부단자의 금속편은 각각 대응하는 제1 내부단자의 점접과 접촉될 때, 제1 내부단자가 이루는 평면과 상기 금속편이 이루는 평면이 접점 부위에서 상호 평행이 되도록 절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중접점 구조의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타단에 대응하여 라운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하나의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 내에 단일의 액츄에이터의 의해 동작하지만 각각 독립적으로 접점을 형성하는 다중 접점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일부의 접점이 오염되더라도 전체적으로는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a은 본 고안에 의한 다중접점 구조의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의 내부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 방향에서 바라본 외관 도면이고, 도 1c는 도 1a의 B 방향에서 바라본 외관 도면이다.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다중접점 구조의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의 케이스(10a)의 내부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AA'의 단면도이고, 도 2c는 도 2a의 BB'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에 의한 다중접점 구조의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의 커버(10b)의 내부 평면도이고, 도 3b는 커버(10b)의 측면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에 의한 다중접점 구조의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의 가동단자(30)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가동단자(30)의 측면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에 의한 다중접점 구조의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의 고정단자(40)의 평편도이고, 도 5b는 고정단자(40)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다중접점 구조의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다중접점 구조의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는 하우징(10), 액츄에이터(20), 가동단자(30) 및 고정단자(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0)은 도 2a 내지 도 2c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케이스(10a)와 도 3a 내지 도 3b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커버(10b)로 분리 구성되고, 내부에 액츄에이터(20), 가동단자(30) 및 고정단자(40)를 설치한 상태에서 결합되어 사용된다. 따라서, 하우징(10)은 액츄에이터 가이드부(12)와 제1 및 제2 단자 수납부(14)를 구비한다.
액츄에이터 가이드부(12)는 액츄에이터(20)가 관통 설치되는 통로로서, 액츄에이터(20)는 액츄에이터 가이드부(12)를 따라 직선 왕복이동을 한다.
제1 및 제2 단자 수납부(14)는 각각 가동단자(30) 및 고정단자(40)를 하우징(10)에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액츄에이터(20)는 액츄에이터 가이드부(12)를 관통하여 일단은 하우징(10)의 외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하우징(10)의 내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전기·전자 장치가 개폐될 때 하우징(10)의 외부에 위치한 액츄에이터(20) 일단이 액츄에이터 가이드부(12)로 밀려들어감에 따라 하우징(10)의 내부에 위치한 액츄에이터(20)의 타단이 하우징(10) 내부에 위치한 가동단자(30)를 가압하게 된다.
도 4a 및 도 4b에 의하면, 가동단자(30)는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외부단자(31)와 하우징(32)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내부단자(32)를 구비한다. 제1 외부단자(31)와 제1 내부단자(32)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제1 내부단자(32)는 탄성체인 금속판으로 구성되는데, 일면에 형성된 지지부(35)가 액츄에이터(20)의 타단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20)가 제1 내부단자(32)의 탄성력 이상을 힘으로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액츄에이터(20)가 하우징(10) 내부로 밀어들어가지 못한다. 또한 액츄에이터(20)의 타단에는 턱이 형성되어 있어, 액츄에이터(20)의 타단은 액츄에이터 가이드부(12)를 통과하지 못한다. 한편, 액츄에이터로(20)부터 전달되는 힘이 제1 내부단자(32)의 탄성력보다 크게 되면, 액츄에이터(20)가 하우징(10) 내부로 밀어들어가 제1 내부단자(32)가 휘어져 고정단자(40)의 제2 내부단자(42)에 접근하게 된다.
또한, 제1 내부단자(32)의 타면에는 다수의 접점들(34)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1 내부단자(32)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더라도, 다수의 접점들(34) 중 적어도 하나만이라도 오염되지 않은 경우에는 본 고안에 의한 다중접점 구조의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는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제1 내부단자(32)의 지지부(35)는 액츄에이터(20)의 타단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동작될 수 있도록 라운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 및 도 5b에 의하면, 고정단자(40)는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외부단자(41)와 하우징(32)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2 내부단자(42)를 구비한다. 제2 외부단자(41)와 제2 내부단자(42)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제2 내부단자(42)는 탄성체인 금속판으로 구성되는데 제1 내부단자(32)와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 제2 내부단자(42)는 제1 내부단자(32)의 다수의 ㅈ접점들(34)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분기된 금속편들(44)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1 내부단자(32)가 제2 내부단자(42)에 근접하게 되면, 제1 내부단자의 접점들(34)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2 내부단자(42)의 대응하는 금속편(44)에 접촉하게 된다.
제2 내부단자(42)의 금속편(44)에서 접점(34)에 접하게 되는 부위는 널링(Nurling)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내부단자(42)의 금속편(44)은 각각 대응하는 제1 내부단자(32)의 접점(34)과 접촉될 때, 제1 내부단자(32)가 이루는 평면과 금속편(44)이 이루는 평면이 접점 부위에서 상호 평행이 되도록 절곡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내부단자(32)와 제2 내부단자(42)가 상호 접접 부위 이외의 부위에서 접촉함으로써 스파크 등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다중접점 구조의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초기 상태에서 가동단자(30)의 지지부(35)는 액츄에이터(20)의 타단을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액츄에이터(20)가 제1 내부단자(32)의 탄성력 이상을 힘으로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액츄에이터(20)가 하우징(10) 내부로 밀어들어가지 못하도록 유지한다.
이후, 전기·전자 장치가 개폐될 때 하우징(10)의 외부에 위치한 액츄에이터(20) 일단이 액츄에이터 가이드부(12)로 밀려들어가게 되면, 액츄에이터로(20)의 타단이 제1 내부단자(32)의 지지부(35)를 가압하여 제1 내부단자(32)가 탄성적으로 휘어져 고정단자(40)의 제2 내부단자(42)에 접근하게 된다.
이때, 제1 내부단자(32)의 타면에 형성된 다수의 접점들(34)이 각각 독립적으로 제2 내부단자(42)의 대응하는 금속편(44)에 접촉하게 된다. 이후, 액츄에이터로(20)의 타단이 조금 더 이동하여 가압하면, 제1 내부단자(32)의 접점들(34)과 제2 내부단자(42)의 금속편들(44)은 각각 일정한 탄성력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내부단자(32)와 제2 내부단자(42)는 상호 독립적인 다수의 접점을 구비하게 되어, 적어도 하나의 접점만이라도 오염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되는 경우 본 고안에 의한 다중접점 구조의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는 아무런 문제 없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이제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액츄에이터 가이드부와 제1 및 제2 단자 수납부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액츄에이터 가이드부를 관통하여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액츄에이터;
    상기 제1 단자 수납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외부단자와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내부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가동단자; 및
    상기 제2 단자 수납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외부단자와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2 내부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고정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내부단자는 일면에 형성된 지지부가 상기 액츄에이터의 타단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액츄에이터로부터 전달되는 힘이 상기 제1 내부단자의 탄성력보다 크게 되면 제1 내부단자가 휘어져 제2 내부단자에 접근하고,
    상기 제1 내부단자의 타면에는 다수의 접점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내부단자는 상기 제1 내부단자의 다수의 접점들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분기된 금속편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접점 구조의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부단자의 금속편은 각각 대응하는 제1 내부단자의 접점과 접촉될 때, 제1 내부단자가 이루는 평면과 상기 금속편이 이루는 평면이 접점 부위에서 상호 평행이 되도록 절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접점 구조의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타단에 대응하여 라운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접점 구조의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
KR2020220000440U 2022-02-15 2022-02-15 다중접점 구조의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 KR2004960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440U KR200496040Y1 (ko) 2022-02-15 2022-02-15 다중접점 구조의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440U KR200496040Y1 (ko) 2022-02-15 2022-02-15 다중접점 구조의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040Y1 true KR200496040Y1 (ko) 2022-10-18

Family

ID=83795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440U KR200496040Y1 (ko) 2022-02-15 2022-02-15 다중접점 구조의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040Y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2239A (ja) * 1996-10-03 1998-04-28 Omron Corp スイッチ装置
KR0166207B1 (ko) * 1995-11-21 1999-02-18 김광호 반도체 제조설비의 케미컬 공급장치
KR20000010248U (ko) * 1998-11-17 2000-06-15 전주범 마이크로 스위치
JP2002042611A (ja) * 2000-07-19 2002-02-08 Mikku Enterprise:Kk マイクロスイッチ
JP2003331691A (ja) * 2002-05-10 2003-11-21 Mikku Enterprise:Kk マイクロスイッチ
JP3107551U (ja) * 2004-09-03 2005-02-03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マイクロスイッチ及びシュレッダー
JP2016171031A (ja) * 2015-03-13 2016-09-23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点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
KR101799856B1 (ko) * 2016-09-21 2017-11-22 덕일산업 주식회사 마이크로 스위치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6207B1 (ko) * 1995-11-21 1999-02-18 김광호 반도체 제조설비의 케미컬 공급장치
JPH10112239A (ja) * 1996-10-03 1998-04-28 Omron Corp スイッチ装置
KR20000010248U (ko) * 1998-11-17 2000-06-15 전주범 마이크로 스위치
JP2002042611A (ja) * 2000-07-19 2002-02-08 Mikku Enterprise:Kk マイクロスイッチ
JP2003331691A (ja) * 2002-05-10 2003-11-21 Mikku Enterprise:Kk マイクロスイッチ
JP3107551U (ja) * 2004-09-03 2005-02-03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マイクロスイッチ及びシュレッダー
JP2016171031A (ja) * 2015-03-13 2016-09-23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点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
KR101799856B1 (ko) * 2016-09-21 2017-11-22 덕일산업 주식회사 마이크로 스위치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03237A (en) Electrical switch having a one-piece actuator and spring arm structure
US3436497A (en) Electrical switch having a lost motion operator assembly
KR20110112785A (ko) 전기 접속 단자용 작동 장치
KR100829906B1 (ko) 스위치
US3437773A (en) Convertible electric switch module
KR910007193A (ko) 코넥터
KR200496040Y1 (ko) 다중접점 구조의 푸쉬형 마이크로 스위치
US7518072B2 (en) Latch releasing device
US4307361A (en) Electric control apparatus with an electromechanical latch device
US10559438B2 (en) Toggle switch actuating mechanism
US3485975A (en) Overtravel switch actuator
US2582034A (en) Snap action switch
US3204053A (en) Miniature plug and jack explosion proof connector
US7935905B2 (en) Contact system
US8993903B2 (en) Sealed dual plunger switch assembly with simultaneity
US4412108A (en) Electrical switch and actuating mechanism therefor
US3410975A (en) Plunger switch with coiled spring contactor
US2881279A (en) Wiring device
US6046418A (en) Drive system for switch, especially relay
WO2019176689A1 (ja) マイクロスイッチ及び操作装置
KR101150763B1 (ko) 푸쉬 스위치장치
EP3624156A1 (en) Improved contactor device structure with improved auxiliary switch
US11615932B2 (en) Pluggable connecting device for contactors and a contactor
US20240106165A1 (en) Housing Assembly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s well as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GB2208037A (en) Electrical switc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