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725U - 주걱 세척기 - Google Patents

주걱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725U
KR20080002725U KR2020070000760U KR20070000760U KR20080002725U KR 20080002725 U KR20080002725 U KR 20080002725U KR 2020070000760 U KR2020070000760 U KR 2020070000760U KR 20070000760 U KR20070000760 U KR 20070000760U KR 20080002725 U KR20080002725 U KR 200800027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tula
water
washer
receiving space
suppl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7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창
Original Assignee
최기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창 filed Critical 최기창
Priority to KR20200700007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2725U/ko
Publication of KR200800027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72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9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small size, e.g. portable mini dishwashers for small kitchens, office kitchens, boats, recreational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36Arrangements to sterilize or disinfect dishes or washing liquids
    • A47L15/4242Arrangements to sterilize or disinfect dishes or washing liquids by using ultraviolet gen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걱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주걱이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세척기 몸체, 상기 세척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물 공급라인이 연결되며 물 공급라인에 설치되는 펌프를 통해 물을 수용공간에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물 분사노즐, 상기 물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어 물 분사노즐로 공급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한다.
따라서, 세척기 몸체, 물 분사노즐, 솔레노이드밸브 및 컨트롤박스를 포함하는 주걱세척기를 제작함으로써, 세척이 필요한 주걱을 간편하고 용이하며, 효율적으로 항상 청결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더불어 세척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P2020070000760
주걱, 주걱 세척기, 살균장치, 송풍장치, 히터, 분사노즐

Description

주걱 세척기{WASHER APPARATUS FOR SCOOP}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걱 세척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세척장치 110 : 세척기 몸체
111 : 수용공간 112 : 배수구
113 : 타공망 114 : 마감판
114a : 삽입홀 114b : 가이드부
115, 340 : 감지센서 120 : 물 분사노즐
121 : 펌프 130 : 물탱크
140 : 히터 150 : 솔레노이드밸브
160 : 컨트롤박스 170, 230 : 필터
180 : 여과망
200 : 송풍장치 210 : 송풍팬
220 : 공기 분사노즐
300 : 살균장치 310 : 살균기 몸체
320 : 자외선램프 330 : 전원부
본 고안은 주걱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이 완료된 주걱을 청결한 상태로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세척 및 건조시키는 주걱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걱은 음식을 저어 섞거나 푸기 위한 조리용 도구로, 예전에는 나무나 대로 만든 제품이 많았으나, 근래는 합성수지 및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든 제품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주걱의 구성을 간단히 살펴보면, 하부에는 음식을 섞거나 풀때 용이하도록 소정 면적을 갖는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의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손잡이부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부는 열로 인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열전도가 낮은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주걱을 사용함으로써 많은 량의 음식을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며 청결하게 섞거나 풀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주걱은 사용이 완료될 때마다 청결된 상태로 다시 사용하기 위해 매번 세척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주걱 세척의 번거로움 때문에, 일부 가정 및 음식점에서는 물이 수용되어 있는 용기에 담갔다가 꺼내어 사용함으로써 식품의 품질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더욱이 식중독과 같은 증세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 예로, 주걱을 많이 사용하는 아이스크림 판매점에서 주걱을 물이 수용되어 있는 용기에 담갔다가 꺼내어 사용할 경우, 물에 녹아 있는 아이스크림 용액에 의해 다양한 맛과 향을 갖는 아이스크림이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더불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식기 세척기는 컵, 접시, 밥그릇, 국그릇, 식판 등의 식기를 자동으로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 식기 세척기를 사용함으로써 다수개의 식기를 동시에 세척할 수 있어 세척의 편의성 및 용이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식기 세척기는 주로 호텔, 병원, 학교, 공장 및 군대 등의 단체급식이 이루어지는 곳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점차 그 사용빈도가 높아져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식기 세척기는 그릇 및 접시를 세척시키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주걱을 세척시킬 경우 비효율적이며, 더욱이 세척시간도 많이 소요되어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주걱을 간편하고 용이하며 최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세척하여 항상 청결한 상태로 사 용할 수 있도록 하는 주걱 세척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주걱 세척기에 송풍장치를 설치하여 세척이 완료된 주걱을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주걱 세척기에 살균장치를 설치하여 세척 및 건조가 완료된 주걱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살균장치를 주걱 세척기에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주걱 사용의 용이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걱 세척기는,
주걱이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세척기 몸체, 상기 세척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물 공급라인이 연결되며 물 공급라인에 설치되는 펌프를 통해 물을 수용공간에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물 분사노즐, 상기 물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어 물 분사노즐로 공급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세척기 몸체의 수용공간 내에는 주걱의 삽입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기 몸체의 수용공간 상면에는 삽입홀이 형성된 마감판이 설치되며, 상기 마감판을 통해 주걱을 수직상태로 위치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기 몸체에는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의 끝단에는 배수되는 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여과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기 몸체의 수용공간에는 주걱을 수용공간 바닥면에서부터 상향으로 이격시키는 타공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 공급라인 상에는 물탱크가 설치되며, 상기 물탱크의 주면에는 물탱크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기 몸체에는 수용공간 내에 삽입된 주걱을 건조시키기 위한 송풍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송풍장치는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수용공간에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 분사노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기 몸체에는 주걱을 자외선으로 살균시키기 위한 살균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살균장치는 주걱이 수용되도록 공간이 형성된 살균기 몸체와, 상기 살균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자외선램프와, 상기 자외선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살균장치는 세척기 몸체에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주걱 세척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되는 물을 통해 주걱(1)을 세척하는 세척장치(100)와, 상기 세척이 완료된 주걱(1)을 분사되는 공기를 통해 건조하는 송풍장치(200)와, 건조가 완료된 주걱(1)을 자외선으로 살균하는 살균장치(300)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장치(100)는 주걱에 들러붙어 있는 식품을 세척하여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주걱(1)이 삽입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 세척기 몸체(110)와, 상기 세척기 몸체(110)의 수용공간에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노즐(120)과, 물 공급라인(2)과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된 물을 물 분사노즐(120)에 공급하는 물탱크(130)와, 상기 물탱크(130)의 주면에 설치되어 물탱크(130)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140)와, 상기 물 분사노즐(120)로 공급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150)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50)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160)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기 몸체(110)는 주걱 세척기의 외형을 이루며, 내부에는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주걱(1)이 모두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11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111)의 바닥면에는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구(112)가 형성되며, 수용공간(111)의 내주면에는 물 분사노즐(12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111)에는 주걱(1)의 수용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15)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감지센서(115)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는 실시간으로 후술되는 컨트롤박스(160)에 전달된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111)의 하부에는 주걱(1)의 저면을 지지하는 타공망(113)이 설치된다.
상기 타공망(113)은 수용공간(111)의 바닥에 고여있는 물이 주걱(1)에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П"자의 단면형상을 가지되, 저면은 수용공간(111)의 바닥에 배치되고, 상면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물을 신속하게 낙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111)의 상단 내주면에는 마감판(114)이 설치된다.
상기 마감판(114)은 주걱(1)을 수용공간(111) 중앙에 위치시키는 것과 분사되는 물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면에는 주걱(1)이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홀(114a)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114a)의 내주면에는 주걱(1)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하향으로 절곡된 가이드부(114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수구(112) 끝단에는 배수되는 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망(18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세척기 몸체(110)는 이동의 편의성을 위해 소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 분사노즐(120)은 수용공간(111)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용공간(111)의 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소정간격마다 설치되고, 물 공급라인(2)과 연결되며, 상기 물 공급라인(2) 상에는 물을 강제 공급하기 위한 펌프(121)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물 공급라인(2)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펌프(121)에 의해 펌핑된 후, 물 분사노즐(121)를 통해 수용공간(111)에 강제 분사된다.
여기서, 상기 물 공급라인(2)과 다수개의 물 분사노즐(120)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며, 원활한 물공급을 위해 병렬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탱크(130)는 물 분사노즐(120)에 원활한 물공급을 하기 위한 것으로, 물 공급라인(2)과 물 분사노즐(120) 사이에 설치되어 물 공급라인(2)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일정량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130)의 주면 즉, 외주면에는 선택적으로 히터(140)가 설치되며, 상기 히터(140)를 통해 물탱크(130)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물탱크(130) 내부에는 온도센서(미도시)가 설치되며,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물탱크(130)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후술되는 컨트롤박스(160)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50)는 물 공급라인(2) 상에 설치되어 그 라인을 통과하는 물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물 공급라인(2) 상에는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미도시)가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50)와 분사노즐(120) 사이의 물 공급라인(2) 상에는 필터(170)가 설치되며, 상기 필터(170)를 통해 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박스(160)는 상기 세척기 몸체(11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솔레노이드밸브(150)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50)의 개폐를 제어함에 따라 물 분사노즐(120)의 분사 여부를 조절할 수 있어, 세척시간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박스(160)는 전원의 온/오프 및 히터(140)의 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세척장치(100)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컨트롤박스(160)를 통해 히터(140)의 온도와 솔레노이드밸브(150)의 개폐시간(즉, 세척시간)을 설정하고 완료한다.
여기서, 상기 주걱이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세척시간이 설정되며, 아이스크림용 주걱의 경우 4~5초, 밥주걱의 경우 20~30초 정도 설정한다.
이후, 세척이 필요한 주걱(1)을 세척기 몸체(110)의 마감판(114) 삽입홀(114a)을 통해 수용공간(111)에 삽입시키면, 감지센서(115)에 의해 주걱(1)이 수용되었다는 신호를 컨트롤박스(160)에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컨트롤박스(160)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150)가 개방되면서 히터(140)에 의해 가열된 물탱크(130)의 물이 물 공급라인(2)을 따라 공급되고, 펌프(121)에 의해 펌핑된 후, 물 분사노즐(120)를 통해 수용공간(111)에 분사됨으로써 주걱(1)을 살균 및 세척하게 된다.
그리고, 수용공간(111)의 바닥에 적재되는 물은 배수구(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이때 배수되는 물은 여과망(180)을 통과하기 때문에 이물질이 제거된 물만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세척이 완료된 주걱(1)은 송풍장치(200)를 통해 건조시키게 된다.
즉, 상기 송풍장치(200)는 송풍팬(210)과, 상기 수용공간(111)의 주면에 소정간격마다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210)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사노즐(2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210)의 공기 공급라인 상에는 필터(230)가 설치되어 공 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하게 되며, 상기 송풍장치(200)는 전술된 컨트롤박스(160)를 통해 작동시간이 제어된다.
또한, 건조가 완료된 주걱(1)은 살균장치(300)를 통해 자외선으로 살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살균장치(300)는 상기 세척기 몸체(110)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주걱(1)이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살균기 몸체(310)와, 상기 살균기 몸체(310)의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는 자외선램프(320)와, 상기 자외선램프(3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살균기 몸체(310)의 수용공간 내에는 주걱의 수용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34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살균장치(300)는 선택적으로 상기 세척기 몸체(11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척장치(100), 송풍장치(200) 및 살균장치(300)를 포함하는 주걱 세척기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결된다.
즉, 세척장치(100)를 통해 주걱(1)을 세척하고, 세척이 완료되면 송풍장치(200)를 통해 주걱(1)을 건조하며, 건조가 완료되면 살균장치(300)를 통해 살균을 하게 되는 연결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세척기 몸체, 물 분사노즐, 솔레노이드밸브 및 컨트롤박스를 포 함하는 주걱세척기를 제작함으로써, 세척이 필요한 주걱을 간편하고 용이하며, 효율적으로 항상 청결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더불어 세척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주걱 세척기에 송풍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세척이 완료된 주걱을 간편하게 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주걱 세척기에 살균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세척 및 건조가 완료된 주걱을 자외선으로 살균할 수 있어 살균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살균장치를 주걱 세척기에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주걱사용이 많은 장소로 살균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어 주걱 사용의 용이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주걱이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세척기 몸체,
    상기 세척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물 공급라인이 연결되며 물 공급라인에 설치되는 펌프를 통해 물을 수용공간에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물 분사노즐,
    상기 물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어 물 분사노즐로 공급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걱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기 몸체의 수용공간 내에는 주걱의 삽입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걱 세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기 몸체의 수용공간 상면에는 삽입홀이 형성된 마감판이 설치되며, 상기 마감판을 통해 주걱을 수직상태로 위치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걱 세척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기 몸체의 수용공간에는 주걱을 수용공간 바닥면에서부터 상향으로 이격시키는 타공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걱 세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라인 상에는 물탱크가 설치되며, 상기 물탱크의 주면에는 물탱크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걱 세척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기 몸체에는 수용공간 내에 삽입된 주걱을 건조시키기 위한 송풍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송풍장치는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수용공간에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 분사노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걱 세척기.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기 몸체에는 주걱을 자외선으로 살균시키기 위한 살균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살균장치는 주걱이 수용되도록 공간이 형성된 살균기 몸체와, 상기 살균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자외선램프와, 상기 자외선램프에 전원을 공급하 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걱 세척기.
KR2020070000760U 2007-01-16 2007-01-16 주걱 세척기 KR2008000272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760U KR20080002725U (ko) 2007-01-16 2007-01-16 주걱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760U KR20080002725U (ko) 2007-01-16 2007-01-16 주걱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725U true KR20080002725U (ko) 2008-07-21

Family

ID=41490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760U KR20080002725U (ko) 2007-01-16 2007-01-16 주걱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272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1833A1 (ko) * 2012-10-15 2014-04-24 Park Kyoungjun 스푼 세척기
WO2020065139A1 (fr) * 2018-09-27 2020-04-02 Devarasu Krishnaraj Dispositif pour le rinçage d'un recipient ou autre ustensile de cuis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1833A1 (ko) * 2012-10-15 2014-04-24 Park Kyoungjun 스푼 세척기
WO2020065139A1 (fr) * 2018-09-27 2020-04-02 Devarasu Krishnaraj Dispositif pour le rinçage d'un recipient ou autre ustensile de cuis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9610B2 (en) Dishwasher and method
US9656304B2 (en) Washer device for breast pump accessories
EP2654543B1 (en) A dishwasher comprising a storage tank
US20040040586A1 (en)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CN102697436A (zh) 一种清洗机
US9782803B2 (en) Apparatus for washing and sanitizing articles for an infant
WO2008147035A1 (en) Dish washing machine
CN105195481A (zh) 器皿清洗消毒机
WO2011089868A1 (ja) 食器洗浄装置
US20120216838A1 (en) Method for Washing and Sanitizing Articles for an Infant
KR20110038366A (ko) 숟가락 및 젓가락 세척기
JP2008540095A (ja) 排泄容器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90047357A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방법
KR20080002725U (ko) 주걱 세척기
US20230415202A1 (en) Countertop Apparatus for Washing Articles
WO2015084904A1 (en) Apparatus for washing articles for an infant
KR101904640B1 (ko) 인덕션 가열장치를 이용한 소독 및 세척장치
CN109805859A (zh) 一种智能化深紫外杀菌的洗碗机及工作方法
CN210904236U (zh) 一种儿科护理消毒装置
KR100463826B1 (ko) 업소용 식기세척기
KR100753389B1 (ko) 숟가락 및 젓가락 세척 시스템 및 방법
WO2014102319A1 (en) A dishwasher comprising a storage tank
KR20050006518A (ko) 세척 및 살균, 건조가 가능한 핸드 크리닝 장치
GB2423247A (en) A hand washing station
JP4489613B2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