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704A - 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 행거밴드 및 이를 이용한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 행거밴드 및 이를 이용한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704A
KR20080002704A KR1020070089610A KR20070089610A KR20080002704A KR 20080002704 A KR20080002704 A KR 20080002704A KR 1020070089610 A KR1020070089610 A KR 1020070089610A KR 20070089610 A KR20070089610 A KR 20070089610A KR 20080002704 A KR20080002704 A KR 20080002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hanger
pole
transforme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순자
Original Assignee
(주) 나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나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나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089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2704A/ko
Publication of KR20080002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5/00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 H02B5/02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mounted on pole, e.g. pole transformer subs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4Arrangements or devices for damping mechanical oscillations of lines, e.g. for reducing production of sou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의 외주면을 내주면이 둘러싸고 고정되며 주상변압기에 고정된 행거브라켓트와 결합되어, 주상변압기를 전주에 고정시키는 행거밴드에 있어서, 상기 행거밴드는 전체적으로 전주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원형의 띠 형상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는 상기 행거브라켓과 결합가능하게 형성된 복수개의 조각편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각 조각편은 전주의 외주면에 밀착가능하게 원호면으로 형성되는 밴드바디; 및 상기 밴드바디의 양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볼트 관통 홀이 구비된 결합부로 이루어져 인접한 상기 조각편들의 결합부를 볼트로 체결하여 전주에 단단히 고정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밴드바디의 내주면에 고무 재질의 러버밴드가 부착되어, 상기 전주의 외주면과 상기 밴드바디 사이에 상기 러버밴드가 개재되도록 구성하여 진동 및 소음이 차단가능하게 구성한 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 행거밴드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행거밴드, 전주, 주상변압기

Description

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 행거밴드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구조{HANGER BAND AND INSTALLATION STRUCTURE OF A POLE TRANSFORMER}
본 발명은 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 행거밴드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주에 설치되는 주상변압기에서 발생하는 이음(異音)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 행거밴드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압기는 지면에 설치되는 일반 변압기와 전주에 설치되는 주상변압기(pole transformer)로 구분된다. 일반 변압기는 흡습호흡기(conservator)가 설치되어 항상 부하변동이나 외부온도에 따라 변압기가 호흡하면서 습기를 제거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주상변압기는 그 설치 장소의 특수성과 장치의 상대적 소형성으로 인하여 이러한 구조가 생략되어 있다.
이러한 주상변압기는 배전선로를 따라 세워진 전주에 행거밴드로 고정되는 데, 주상변압기는 전주에 설치되므로 주, 야간 또는 계절별 온도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온도차에 의한 주상변압기의 내부 변화를 살펴보면, 주간에 부하가 많이 걸리거나 여름철 외부 온도가 올라가면 변압기 내부의 절연유가 온도의 영향 을 받아 유면이 상승하고 이로 인하여 변압기 내부 압력이 올라가게 된다. 이러한 절연유 유면 변동으로 인한 내부 압력 변화는 소음 및 진동을 유발한다.
한편, 주상변압기의 외부 설치구조를 살펴보면, 행거밴드는 금속성의 소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주, 야간의 온도차 및 계절별 온도차에 의하여 미소하지만 열팽창과 수축을 반복한다. 전주는 일반적으로 상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행거밴드의 이러한 수축 및 팽창은 주상변압기의 탈락으로 이어질 염려는 없지만 이러한 팽창 및 수축에 의하여 전주와 행거밴드 사이에 미소한 유격과 치우짐이 발생한다. 특히 근래에는 전주가 콘크리트로 제조되기 때문에 행거밴드와 전주와의 미소 유격은 변압기의 진동에 의한 소음을 유발하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전주에 설치된 변압기는 바람과 같은 진동 유발 인자에 의해 전주 설치 상태에서 소음을 유발하게 되는 데, 이러한 소음은 전주 밑을 통행하는 통행인에게 불안감을 주는 요인이 된다. 특히 변압기 내부 소음이 행거밴드와 콘크리트 전주 사이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합쳐지는 경우 소음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므로, 이러한 소음이 변압기의 안전과 무관한 소음임을 알지 못하는 통행인에게는 심리적 불안감을 유발하며, 변압기 관리 측면에서도 변압기의 구조상 문제점으로 인한 소음과 설치 소음이 구별되지 않아 변압기의 관리 측면에서 어려운 측면이 있다.
따라서 주상변압기의 내부 구조 개선을 통한 내부 소음 저감 문제와 함께 주상변압기 설치구조 개선을 통해 외부 유발 소음 저감 문제가 배전선로용 주상변압 기와 관련하여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선로의 전주에 주상변압기를 설치할 때, 그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전주와 주상변압기 사이에 발생하는 외부 유발 소음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 행거밴드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주의 외주면을 내주면이 둘러싸고 고정되며 주상변압기에 고정된 행거브라켓트와 결합되어, 주상변압기를 전주에 고정시키는 행거밴드에 있어서, 상기 행거밴드는 전체적으로 전주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원형의 띠 형상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는 상기 행거브라켓과 결합가능하게 형성된 복수개의 조각편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각 조각편은 전주의 외주면에 밀착가능하게 원호면으로 형성되는 밴드바디; 및 상기 밴드바디의 양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볼트 관통 홀이 구비된 결합부로 이루어져 인접한 상기 조각편들의 결합부를 볼트로 체결하여 전주에 단단히 고정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밴드바디의 내주면에 고무 재질의 러버밴드가 부착되어, 상기 전주의 외주면과 상기 밴드바디 사이에 상기 러버밴드가 개재되도록 구성하여 진동 및 소음이 차단가능하게 구성한 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 행거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주에 고정되는 행거밴드를 매개로 설치되는 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주의 주상변압기 설치 개소 외주면을 둘 러싸도록 설치되는 외주면 다수개의 홀을 구비한 망사형 구조의 러버밴드; 및 복수개의 조각편이 서로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원형의 띠 형상을 이루며, 상기 각 조각편은 전주의 외주면에 밀착가능하게 원호면으로 형성되는 밴드바디; 및 상기 밴드바디의 양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볼트가 관통하는 홀이 구비된 결합부로 이루어져, 인접한 상기 조각편들의 결합부를 볼트로 체결되어 상기 전주에 고정되는 행거밴드를 포함하여, 전주에 상기 러버밴드를 설치한 후 상기 행거밴드를 설치한 다음, 상기 주압변압기 고정된 행거브라켓을 상기 행거밴드와 결합시켜 전주에 주상변압기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행거밴드와 전주 사이의 소음 및 진동 전달이 차단되게 구성한 주상변압기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이하에서 상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을 이룬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 행거밴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1 및 도 2 는 각각 상부 행거밴드(2) 및 하부 행거밴드(3)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거밴드(1)는, 4 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지며 결합상태에서 전주(4, 도 3 참조)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내주면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행거밴드 조각편(11,12,13,14)은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주면이 전주(4)와 접촉하는 밴드바디(20)와, 상기 밴드바디(20)의 양 측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홀(23)을 구비하여, 인접한 조각편(11,12,13,14)의 결합부(21)와의 사이에 볼트(25)로 체결되는 결합부(21)를 구비한다.
따라서 4개의 조각편(11,12,13,14)이 전주(4)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인접한 결합부(21) 사이에 체결되는 체결 볼트(25)에 의해 전주(4)에 고정된다. 행거밴드(1)가 설치되는 위치의 전주(4) 직경에 따라 결합부(21) 사이의 이격이 결정된다.
상부 행거밴드(2)의 조각편(11,12,13,14) 중 어느 하나의 결합부(21)에는 하방으로 요입된 걸림홈(24)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부 행거브라켓(7, 도 3참조)이 상기 결합부(21)의 걸림홈(24)에 걸려, 주상변압기(5,6)가 지지된다.
하부 행거밴드(3)의 조각편 중 어느 하나에는 외측을 향해 돌출되며 홀(16)이 구비된 사각 단면의 행거브라켓 고정부(15)가 구비된다. 상부 행거밴드(3)에는 변압기의 상부 행거브라켓(7)이 걸림 방식으로 고정되지만, 하부 행거밴드(3)와 하부 행거브라켓(8, 도3 참조)은 볼팅 체결되므로 행거브라켓 고정부(15)의 돌출부 후면 공간은 행거브라켓(8) 및 행거브라켓 고정부(15)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25)부에 결합되는 너트의 배치되는 공간이 된다.
행거밴드(1)의 각 조각편(11,12,13,14)의 내주면에는 러버밴드(30)가 부착된다. 러버밴드(3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다수개 홀(32)을 가진 망사형 구조를 구비한다. 따라서 러버밴드(30)는 금속재의 행거밴드(1)와 전주(4)의 콘크리트 면 사이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러버밴드(30)가 망사형 구조로 구비함으 로 행거밴드(1)의 설치시 볼팅에 의해 가해지는 죔력에 의해 압축율이 증대되어 행거밴드(1)가 전주(4)의 콘크리트면에 완전히 밀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러버밴드(30)에 의해 행거밴드(1)의 자중이 증대하는 것을 비교적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주의 주상변압기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전주(4)에는 상부 행거밴드(2) 및 하부 행거밴드(3)가 설치되고, 이러한 행거밴드(2,3)에 의해 대용량 변압기(5) 및 소용량 변압기(7)가 설치된다. 상부 행거밴드(2)에는 걸림홈(21)에 상부 행거브라켓(7)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걸림방식으로 고정된다. 도 3 과 같이 행거밴드(2)에 지지되는 변압기의 수가 2 개인 경우, 행거밴드(1)의 조각편(11,12,13,14) 중 두 개의 조각편은 결합부(21)에 걸림홈(24)을 구비한 것이 사용된다. 즉, 설치되는 변압기 개수에 따라 사용되는 조각편을 달리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하부에 설치되는 행거밴드(3)에서도 설치되는 변압기가 두개 이므로 행거밴드(3)의 조각편(11,12,13,14) 중 2개가 하부 행거브라켓 고정부(15)를 가진 조각편이 사용된다.
하부 행거밴드(3)의 하부 행거브라켓 고정부(15)에는 볼트에 의해 하부 행거브라켓(8)이 직접 고정된다.
한편 소용량 변압기(6)와 같이 변압기 높이가 기 설치된 대용량 변압기(5)와 다른 경우, 변압기의 하부 행거브라켓(8)과 하부 행거밴드(3) 사이에 어댑퍼(9)가 사용된다. 어댑퍼(9)는 직선형의 판 부재로서 상하부 각각에 볼팅 체결을 위한 볼트홀이 구비된다. 따라서, 하부 행거브라켓(8)은 어댑터(9)의 상부와 볼트로 체결 고정되과, 이 어댑펀(9)의 하부는 행거밴드(3)의 하부 행거브라켓 고정부(15)와 볼트로 체결 고정된다.
행거밴드(1)를 본 발명과 같이 다수개의 조각편으로 구분하여 서로 볼팅체결하여 고정하는 방식은, 설치되는 지점의 전주(4) 직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설치 변압기의 개수에 따라 조각편의 구성을 달리함으로써 변압기의 설치 위치 및 설치 개수 변하에 따라 행거밴드(1)를 구조를 달리함이 없이 구성 부품의 조합의 변경으로 현장에서 쉽게 대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3 에서 보이지 아니하지만, 행거밴드(1)의 내주면에는 러버밴드(30)가 부착되어 금속재의 행거밴드와 전주(4)의 콘크리트면 사이에 개재된다. 이러한 러버밴드(30)는 방음재의 역할로서 바람과 같은 주상변압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소음 유발 인자에 대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주상변압기 (5,6)내부의 압력 변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이 콘크리트 전주(4)에 전달하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변압기 설치에 따른 소음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여 전주(4) 밑을 통해하는 통행인에게 불안감을 주는 요인을 해소하게 하는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주의 주상변압기 설치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러버밴드(30)를 구비한 행거밴드를 이용하여 주상변압기를 설치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종래에 변압기가 설치되어 있는 전주(4)에 적용하려고 하면, 행거밴드(1)의 교체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종래의 전주(4)에 적용가능한 예로서 도 4와 같은 주상변압기 설치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주(4)에서 주상변압기의 설치가 필요한 지점에 먼저, 원통형의 러버밴드(40)를 설치한다. 그리고 러버밴드(40)의 설치 지점 즉, 러버밴드(40)위에 종래의 금속성 행거밴드를 설치하고 주상변압기를 고정한다. 이와 같은 방식은 종래의 행거밴드 교체 없이 주상변압기에 발생하는 소음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상변압기를 전주에 설치할 때의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전주와 주상변압기 사이에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주 밑을 통행하는 통행인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변압기 관리 측면에서 변압기 내부에서 구조적으로 발생하는 소음과 외부 설치 상태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여 변압기의 유지 관리가 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 행거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3)

  1. 전주(4)의 외주면을 내주면이 둘러싸고 고정되며 주상변압기(5,6)에 고정된 행거브라켓트(7,8)와 결합되어, 상기 주상변압기(5,6)를 전주(4)에 고정시키는 행거밴드(1)에 있어서,
    상기 행거밴드(1)는 전체적으로 전주(4)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원형의 띠 형상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는 상기 행거브라켓(7,8)이 결합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조각편(11,12,13,14)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조각편은 전주의 외주면에 밀착가능하게 원호면으로 형성되는 밴드바디(20); 및 상기 밴드바디(20)의 양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볼트 관통 홀(23)이 구비된 결합부(21)로 이루어져 인접한 조각편들의 결합부(21)를 볼트(25)로 체결하여 전주(4)에 단단히 고정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밴드바디(20)의 내주면에는 고무 재질의 러버밴드(30)가 부착되어, 상기 전주(4)의 외주면과 상기 밴드바디(20)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러버밴드(30)가 개재되도록 구성하여 진동 및 소음이 차단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 행거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밴드(30)는 다수개의 홀(32)을 구비한 망사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 행거밴드.
  3. 전주(4)에 고정되는 행거밴드(1)를 매개로 설치되는 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5,6)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주(4)의 주상변압기(5,6) 설치 개소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외주면 다수개의 홀(32)을 구비한 망사형 구조의 러버밴드(30); 및
    복수개의 조각편(11,12,13,14)이 서로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원형의 띠 형상을 이루며, 상기 각 조각편은 전주(4)의 외주면에 밀착가능하게 원호면으로 형성되는 밴드바디(20); 및 상기 밴드바디(20)의 양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볼트(25)가 관통하는 홀(23)이 구비된 결합부(21)로 이루어져, 상기 조각편들의 결합부(21)를 볼트로 체결되어 상기 전주에 고정되는 행거밴드(1)를 포함하며,
    전주(4)에 상기 러버밴드(30)를 설치한 후 상기 러버밴드(30)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상기 행거밴드(1)를 설치한 다음, 상기 주압변압기에 고정된 행거브라켓(7,8)을 상기 행거밴드(1)와 결합시켜 전주(4)에 주상변압기(5,6)를 설치함으로써 소음 및 진동 전달이 차단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구조.
KR1020070089610A 2007-09-04 2007-09-04 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 행거밴드 및 이를 이용한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구조 KR200800027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610A KR20080002704A (ko) 2007-09-04 2007-09-04 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 행거밴드 및 이를 이용한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610A KR20080002704A (ko) 2007-09-04 2007-09-04 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 행거밴드 및 이를 이용한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597U Division KR200426226Y1 (ko) 2006-06-29 2006-06-29 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 행거밴드 및 이를 이용한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704A true KR20080002704A (ko) 2008-01-04

Family

ID=39214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610A KR20080002704A (ko) 2007-09-04 2007-09-04 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 행거밴드 및 이를 이용한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27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325B1 (ko) * 2021-04-25 2021-07-06 김건우 변압기 고정장치
KR102323087B1 (ko) * 2020-06-10 2021-11-10 한국전력공사 주상변압기용 고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087B1 (ko) * 2020-06-10 2021-11-10 한국전력공사 주상변압기용 고정장치
KR102323086B1 (ko) * 2020-06-10 2021-11-10 한국전력공사 주상변압기용 고정장치
KR20210153267A (ko) * 2020-06-10 2021-12-17 한국전력공사 주상변압기용 고정장치
KR102274325B1 (ko) * 2021-04-25 2021-07-06 김건우 변압기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6226Y1 (ko) 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 행거밴드 및 이를 이용한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구조
KR101325640B1 (ko) 스마트 내진용 수배전반
KR101464989B1 (ko) 내진용 몰드 변압기
KR101746129B1 (ko) 소음저감 주상변압기
KR20080002704A (ko) 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 행거밴드 및 이를 이용한배전선로용 주상변압기 설치구조
US20160133382A1 (en) Stationary Induction Apparatus
US9502160B2 (en) Corona-free cap assembly
JP2012108355A (ja) 電気機器用防音装置
US20160133381A1 (en) Stationary Induction Apparatus
CN202260341U (zh) 一种±800kV特高压直流线路30mm重冰区地线预绞丝式耐张串
CN105091132A (zh) 减振组件和具有其的空调器
US8461742B2 (en) Support system for dynamoelectric machine
US20190006091A1 (en) Noise Attenuating Barrier for Air-Core Dry-Type Reactor
JP2013126304A (ja) 避雷防止装置、及び避雷防止送電線システム
KR200303205Y1 (ko) 컷아웃스위치 고정구조
US9824814B2 (en) Acoustic panels for transformers
JP2010113817A (ja) がいし連への避雷器取付構造
CN205582667U (zh) 一种套管电流互感器安装结构
JP4497795B2 (ja) 耐震パッド、碍子機器取付構造、及び変電設備用機器
KR101728354B1 (ko) 변류 장치
EP0014967A1 (en) Bushing
CN209963632U (zh) 一种断路器壳体
RU190947U1 (ru) Внутрифазная дистанционная распорка-демпфер для воздушных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JP5966142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連結構造
RU2338282C1 (ru) Изолятор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