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353A - 저 손실 유전체 기판 소재용 필러 조성물 및 저 손실유전체 기판 소재 - Google Patents

저 손실 유전체 기판 소재용 필러 조성물 및 저 손실유전체 기판 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353A
KR20080001353A KR1020060059758A KR20060059758A KR20080001353A KR 20080001353 A KR20080001353 A KR 20080001353A KR 1020060059758 A KR1020060059758 A KR 1020060059758A KR 20060059758 A KR20060059758 A KR 20060059758A KR 20080001353 A KR20080001353 A KR 20080001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composition
low loss
dielectric substrate
substrate material
loss di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9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4679B1 (ko
Inventor
신효순
김종희
여동훈
이지애
Original Assignee
요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업기술원 filed Critical 요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060059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4679B1/ko
Publication of KR20080001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06Inorganic insulating substrates, e.g. ceramic,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2Fillers; Particles; Fibers; Reinforcement materials
    • H05K2201/0203Fillers and particles
    • H05K2201/0206Materials
    • H05K2201/0209Inorganic, non-metallic p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저 손실 유전체 기판 소재용 필러 조성물 및 저 손실 유전체 기판 소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 손실 유전체 기판 소재는, 기판 소재로 적용될 수 있는 BCB, PPE, 시아네이트계 및 에폭시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지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판 소재용 수지와 세라믹 파우더로 되는 기판 소재용 필러 조성물을 포함하여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LTCC 시장을 PCB를 이용한 유기 모듈 시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유전체, 기판 소재, 소재용 필러, 수지

Description

저 손실 유전체 기판 소재용 필러 조성물 및 저 손실 유전체 기판 소재{Filler Composition and Material for Low Loss Dielectric Substrate}
도 1 은 본 발명에서의 저 손실 유전체 수지들의 유전상수(Dk) 및 손실계수(Df)의 분포도.
도 2 는 본 발명에서의 BCB 수지의 RCC 형태 샘플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서의 BCB 수지의 건조 온도에 따른 Df 변화도.
도 4 는 본 발명에서의 BCB 수지에 혼합된 필러 종류별 Df 변화도.
도 5 는 본 발명에서의 BCB 소재의 필러 측정 개념도.
도 6 은 본 발명에서의 BCB 수지의 필러 결정상 분석 결과.
최근의 IT산업은 미래의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컨버젼스에 따른 고속 모바일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향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종 전자 부품들은 소형화 및 고주파화가 급진전되고 있으며, 회로의 시스템화 및 집적화도가 크게 증가하며 모듈의 소형화가 더욱 요구되고 있다. 그리하여, 반도체 산업에서의 시스템 온 칩(System On a Chip ; SOC) 및 시스템 인 패키지(System In a Package; SIP)기술, 전자 부품 산업에서의 복합 모듈화 기술, 그리고, 인쇄 회로 기판(PCB)산업에서의 임베디드 PCB기술 등이 결합되어 시스템 온 패키지(System On a Package;SOP)기술로 시스템의 고집적 모듈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에서, 여러 전자 부품들을 구성하는 소재의 전기적 특성이 중요해 지고 있다. 그리하여 최근에 고주파용 소재는 주로 저온 동시 소성 세라믹(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이하 "LTCC"라 약칭함.)이라는 세라믹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LTCC 소재는 전기적 절연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적층 공정을 이용한 회로 및 부품의 고집적화가 가능하고 또한 기판으로서의 기본 특성이 우수하여 패키지 등의 다양한 용도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이 LTCC 소재는 세라믹스 소재이므로 작업 사이즈가 작고 공정이 복잡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저 손실 유연체 소재 개발을 통하여 임베디드 로우 패스 필터를 구현할 수 있어서 모든 고주파(RF)모듈을 PCB기반으로 제조가 가능하며 매우 많은 매출액을 이루도록 크게 형성된 LTCC 시장을 PCB를 이용한 유기(Organic)모듈 시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가장 크게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이 소재 자체의 특성이다. 특히 PCB 소재는 에폭시 수지를 기본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손실이 큰 것이 가장 중요한 걸림돌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손실이 낮은 PCB 소재로 개선하기 위한 연구들은 주로 수지의 관점에서 진행되어 왔을 따름이다.
저 손실 유전체 소재로는 현재는 세라믹스 소재가 사용되고 있으며, PCB 소재를 이용한 것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다. 저 손실 유전체 소재로 개발되고 있는 PCB 소재는 벤조시클로부텐(Benzocyclobutene ; BCB)수지를 이용한 것이 개발됐으나 매우 고가로서 반도체 공정에서 유전성 유기 코팅 용도로 사용되고 있을 뿐 저가의 기판 소재로 사용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표 1 은 기판 소재별 특성을 비교한 표이다. 여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LTCC 소재가 손실계수 및 상대적 전송 손실에 있어서 다른 소재들에 비해 월등하게 낮은 값을 가짐을 알 수 있다.
표 1. 기판 소재별 특성 비교
구 분 FR4 LTCC SiO2
유전상수 (Dielectric Constant) 4.5 @1MHz 5.9 @5GHz 3.8-4.3 @5GHz
손실계수 (Loss Tangent) 0.02 0.002 0.04
CTE 15-20*10-6/K 5.9*10-6/K 3-17*10-6/K
상대적 전송손실 @5GHz 0.042(×15) (+0.0392) 0.0028(×1) (+0) 0.08(×28) (+0.0772)
상대적 전송손실 @10GHz 0.084 (+0.0784) 0.0056 (+0) 0.16 (+0.1544)
출처 : 죠지아 Inst. Tech. PRC
일반적으로 신호 전송 손실은 기판 소재의 유전율(ε) 및 손실 계수(tanδ)(Dissipation Factor)(이하 "Df"라 약칭함.)에 비례한다. 따라서, 상기ε 및 Df 는 작을수록 좋은 것이다.
여기에서 저 손실 유전체 소재로서의 수지를 살펴보면, 앞서 소개한 BCB 타입 수지를 비롯하여 폴리 페닐렌 에테르(Poly Phenylene Ether ; PPE)타입 수지, 시아네이트(Cyanate)타입 수지 등이 있으며, 또한 신규 수지에 대한 연구 등이 진 행되고 있다. 이들 수지들의 유전율 상수와 손실계수(Df)들을 보면 도 1 에서와 같으며, BCB 타입 수지가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BCB 소재의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 등의 소재 단면상의 EDX분석 결과가 표 2 와 같다. 여기에서 필러(Filler) SiO2 로 확인하였으며 상부 기판을 스펙트럼 1, 하부 기판을 스펙트럼 3 으로, 그리고 가운데 부분을 스펙트럼 2 로 나타내었다.
표 2. EDX분석 결과 : 필러 SiO2 로 확인
스펙트럼 C O Si Cu Total
1 23.23 51.72 25.05 - 100.00
2 29.80 45.70 24.50 - 100.00
3 22.65 - - 77.3 100.00
또한, 상기 BCB 소재의 압착 온도에 따른 유전율 및 Df값은, 압착 온도가 높을수록 유전율 및 Df값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PCB용 저 손실 유전체 소재로서 개발된 BCB 소재는 수지의 우수한 특성으로 인하여 우수한 유전 특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필러에 대한 특별한 고려는 되지 않은 것이며, 여기에서는 실리카 비정질이 필러로 사용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라믹 파우더로 되는 저 손실 유전체 기판 소재용 필러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판 소재로 적용될 수 있는 BCB, PPE, 시아네이트계 및 에폭시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지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판 소재용 수지 와 상기 저 손실 유전체 기판 소재용 필러 조성물을 포함하여 되는 저 손실 유전체 기판 소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 손실 유전체 기판 소재용 필러 조성물의 특징은, 세라믹 파우더로 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 손실 유전체 기판 소재의 특징은, 기판 소재로 적용될 수 있는 BCB, PPE, 시아네이트계 및 에폭시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지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판 소재용 수지와 상기 저 손실 유전체 기판 소재용 필러 조성물을 포함하여 되는 점에 있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저 손실 유전체 기판 소재용 필러 조성물 및 저 손실 유전체 기판 소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수지 코팅 구리(Regin Coated Cupper ; RCC)형태로 만들어진 샘플의 단면도이다. 도에서 하부 기판은 Cu포일(Foil)을 사용하고, 그 위에 BCB 수지와 실리카(Silica) 비정질 필러를 혼합한 조성물을 캐스팅 방식으로 형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BCB 수지의 건조 온도에 따른 손실계수(Df)의 변화를 측정하였는 바, 표 3 과 같으며, 그 결과를 도 3 으로 나타내었다. 도 3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건조 온도가 150℃까지 높아질수록 Df값이 크게 작아지지만 170℃를 경계로 하여 갑자기 매우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3. BCB 수지의 건조 온도에 따른 Df값
100℃ 120℃ 150℃ 170℃ 200℃
1 0.00112 0.00103 0.00048 0.00084 0.00400
2 0.00124 0.00113 0.00086 0.00091 0.00397
3 0.00104 0.00074 0.00079 0.00073 0.00407
4 0.00141 0.00110 0.00073 0.00068 0.00379
5 0.00111 0.00100 0.00102 0.00079 0.00379
6 0.00098 0.00104 0.00060 0.00090 0.00398
평균값 0.00115 0.00101 0.00075 0.00081 0.00393
그런데, 상기와 같은 형상의 PCB소재에서 조성물에 포함된 필러의 종류에 따라 상대적인 손실 특성이 표 4 에서와 같이 변화되고 있음을 알게 되었는 바, 그 결과를 도 4 에 나타내었다. 특히, 도 4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손실 특성에 있어서 화학적인 조성의 차이가 거의 없는 Si-O 산화물계에서 비정질상과 쿼츠상 그리고 크리스토발라이트(Cristobalite)상 사이의 손실 특성에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4. 필러 종류 별 Df값
비정질상 (SG-1200) 크리스탈 (쿼츠) 크리스토 발라이트 MgO CaO
0.0128 0.00384 0.00053 0.00293 0.00924
0.0137 0.00445 0.00058 0.00267 0.00922
0.0138 0.0045 0.00053 0.00225 0.00932
0.0136 0.00361 0.0006 0.00268 0.00942
0.0145 0.00408 0.00057 - 0.00914
0.01368 0.004096 0.000562 0.00262 0.009268
여기에서, 필러를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필러만의 측정 및 평가는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그 절대값은 측정 불가하지만 전기적 특성을 상호 비교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였으며, 도 5 에 이와 같은 측정 개념도를 표시하였다.
또한, 도 6 은 필러 결정상의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여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크리스토발라이트 상이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는 바, 저 손실 유전체 PCB 소재용 필러로서 적용 가능성이 가장 높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밝힌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저 손실 유전체 기판 소재용 필러 조성물을 구하고, 기판 소재용 수지와 이 필러 조성물을 포함하는 저 손실 유전체 기판 소재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모든 고주파 모듈을 PCB 기반으로 제조가 가능하며 매우 많은 매출액을 이루고 있는 LTCC 시장을 PCB를 이용한 유기 모듈 시장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9)

  1. 세라믹 파우더로 되는 저 손실 유전체 기판 소재용 필러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조성물이,
    Si-O계 및 MgO계로 이루어지는 세라믹스 산화물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조성물이 크리스탈(쿼츠)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조성물이 크리스토발라이트 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 조성물.
  5. 기판 소재로 적용될 수 있는 BCB, PPE, 시아네이트계 및 에폭시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지군 으로부터 선택되는 기판 소재용 수지와 제 1 항에 의한 필러 조성물을 포함하여 되는 저 손실 유전체 기판 소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PCB 소재의 손실계수(Df)가 0.0005 이상이고 0.01이 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손실 기판 소재.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조성물이,
    Si-O계 및 MgO계로 이루어지는 세라믹스 산화물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손실 유전체 기판 소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조성물이 크리스탈 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손실 기판 소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조성물이 크리스토발라이트 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손실 기판 소재.
KR1020060059758A 2006-06-29 2006-06-29 저 손실 유전체 기판 소재용 필러 조성물 및 저 손실유전체 기판 소재 KR100824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758A KR100824679B1 (ko) 2006-06-29 2006-06-29 저 손실 유전체 기판 소재용 필러 조성물 및 저 손실유전체 기판 소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758A KR100824679B1 (ko) 2006-06-29 2006-06-29 저 손실 유전체 기판 소재용 필러 조성물 및 저 손실유전체 기판 소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353A true KR20080001353A (ko) 2008-01-03
KR100824679B1 KR100824679B1 (ko) 2008-04-24

Family

ID=39213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9758A KR100824679B1 (ko) 2006-06-29 2006-06-29 저 손실 유전체 기판 소재용 필러 조성물 및 저 손실유전체 기판 소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46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05891B2 (en) 2018-07-02 2023-03-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ircuit board including insulating layer having a plurality of dielectrics with different dielectric los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circuit boar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27667A (ja) 2016-07-27 2019-10-03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セラミックとポリマーとの複合材、その作製方法および使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8960B2 (en) * 1999-12-28 2005-06-21 Tdk Corporation Composite dielectric material, composite dielectric substrate, prepreg, coated metal foil, molded sheet, composite magnetic substrate, substrate, double side metal foil-clad substrate, flame retardant substrate, polyvinylbenzyl ether resin composition, thermosettin
JP2005306662A (ja) * 2004-04-21 2005-11-04 Tdk Corp 誘電体セラミックス粉末の製造方法及び複合誘電体材料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05891B2 (en) 2018-07-02 2023-03-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ircuit board including insulating layer having a plurality of dielectrics with different dielectric los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circuit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4679B1 (ko) 2008-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532590A (ja) メタマテリアルを用いた伝送線路の設計方法
KR100752019B1 (ko) 인쇄회로기판용 절연재
CN104362997A (zh) LTCC微型内置电阻1.8GHz功分器
KR100824679B1 (ko) 저 손실 유전체 기판 소재용 필러 조성물 및 저 손실유전체 기판 소재
Fathy et al. Design of embedded passive components in low-temperature cofired ceramic on metal (LTCC-M) technology
Zhang et al. Antenna-in-package and transmit–receive switch for single-chip radio transceivers of differential architecture
Vantsov et al. Epoxy-glass composite materials for substrate printed circuit boards gigabit electronics
CN110357597A (zh) 一种钙硼硅系高热膨胀陶瓷基板材料及其制备方法
CA2484794A1 (en) Glass material for use at high frequencies
Devlin et al. RF and microwave component development in LTCC
US7282797B2 (en) Graded liquid crystal polymer package
Wang et al. High performance WLAN balun using integrated passive technology on SI‐GaAs substrate
KR100716156B1 (ko) 저온 동시 소성 세라믹 다층 기판을 이용한 초광대역통신용대역통과필터
KR20070081223A (ko) 안테나가 내장된 저온 동시소성 세라믹 다층기판
JP2007227099A (ja) 高誘電性樹脂組成物
Kniajer et al. Low loss, 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s with higher dielectric constants for multichip modules (MCM)
JP2003342064A (ja) ガラスセラミック焼結体および多層配線基板
Chen et al. Embedded capacitors technology in 2.4 GHz power amplifier with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PWB) process
JPH08228105A (ja) マイクロストリップ基板
Johansson et al. Microstrip stepped impedance filters with variable dielectric or variable width
Scharl et al. Design and Comparison of Filter Structures in the Millimeter Wave Frequency Range on Outer-and Inner-Layers of Organic Circuit Boards
Kwon et al. Study on triangular EBG unit cell structures for suppression of SSN in power/ground planes
Yun et al. 3D integ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igh Q passives on multilayer liquid crystalline polymer (M-LCP) based substrate
KR100896610B1 (ko) 다층 세라믹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50012A (ko) 저온 소성 글라스 세라믹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