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312A - 바이패스 장치를 구비한 폐열회수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바이패스 장치를 구비한 폐열회수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312A
KR20080001312A KR1020060059661A KR20060059661A KR20080001312A KR 20080001312 A KR20080001312 A KR 20080001312A KR 1020060059661 A KR1020060059661 A KR 1020060059661A KR 20060059661 A KR20060059661 A KR 20060059661A KR 20080001312 A KR20080001312 A KR 20080001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ir supply
exhaust
air
by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9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059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1312A/ko
Publication of KR20080001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3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7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 by-pass for bypassing the heat-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패스 장치를 구비한 폐열회수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급기팬의 가동으로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급기덕트와, 상기 급기덕트와 교차되며 배기팬의 가동으로 실내 공기가 실외로 유출되도록 하는 배기덕트로 분할되는 덕트; 및 상기 급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가 교차하는 지점에 구비되고, 상기 급기덕트와 연통되는 다수의 급기통로와 상기 배기덕트와 연통되는 다수의 배기통로가 서로 인접하게 구획되며, 상기 급기통로 및 상기 배기통로에 내재한 공기를 서로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급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가 연결되도록 상기 덕트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바이패스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바이패스 장치는 상기 덕트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탈부착, 바이패스 장치, 폐열회수 환기장치.

Description

바이패스 장치를 구비한 폐열회수 환기장치{Energy recovery ventilation having bypass device}
도 1은 일반적인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 환기장치에서 바이패스 장치의 부착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 환기장치에서 바이패스 장치의 다른 부착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덕트 102,102'; 구멍
103; 격벽 110; 급기덕트
111; 급기흡입구 113; 급기배출구
115; 급기팬 120; 배기덕트
121; 배기흡입구 123; 배기배출구
125; 배기팬 130; 열교환기
200; 바이패스 장치 201,201'; 바이패스 배관
202; 모터 203; 댐퍼
210; 볼트 220; 제어부
230; 수스크류 231; 암스크류
본 발명은 폐열회수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탈부착이 가능한 바이패스 장치를 구비하는 폐열회수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열회수 환기장치는 실외공기를 실외로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먼저 열교환시킨 다음 실내로 공급하는 것이다.
이 폐열회수 환기장치의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형태의 덕트(1) 내부에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급기덕트(10)가 구비되고, 상기 급기덕트와 소정 위치에서 교차하며 실내공기가 실외로 안내되는 배기덕트(20)가 구비된다.
그리고 급기덕트(10)와 배기덕트(20)가 교차하는 지점에 급기되는 실외공기와 배기되는 실내공기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30)가 구비된다.
이 때, 급기덕트(10)와 배기덕트(20)는 덕트(1)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격벽(3)에 의해 서로 간섭을 받지않게 된다.
상기 급기덕트(10)의 일단에 실외와 연통되는 급기흡입구(11)가 형성되고 타단에 실내와 연통되는 급기배출구(13)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덕트(20)의 일단에 실내와 연통되는 배기흡입구(21)가 형성되고 타단에 실외와 연통되는 배기배출구(23) 가 형성된다.
급기덕트(10)의 급기흡입구(11) 측에 실외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급기팬(15)이 구비되고, 상기 배기덕트(20)의 배기배출구(23) 측에 실내공기를 강제 배출하는 배기팬(25)이 구비된다.
한편, 열교환기(30)는 상하 모서리가 덕트(1)에 의해 지지되고 좌우 모서리가 격벽(3)에 의해 지지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그 내부에 급기덕트(10)와 연통되는 다수의 급기통로(37)와 상기 급기통로(37)와 이웃하며 배기덕트(20)와 연통되는 다수의 배기통로(39)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면에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급기통로(37)와 배기통로(39)의 경계부분에는 열전도 효율이 뛰어난 열교환판이 구비된다.
이 때, 실선으로 도시된 부분이 급기통로(37)이며,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이 배기통로(39)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폐열회수 환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내공기가 어느 정도 오염되었을 때 배기팬(25)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실내공기가 배기흡입구(21)를 통해 배기덕트(20)로 유입된 다음, 열교환기(30)의 배기통로(39)를 지나 배기배출구(23)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급기팬(15)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신선한 실외공기가 급기흡입구(11)를 통해 급기덕트(10)로 유입된 다음, 열교환기(30)의 급기통로(37)를 지나 급기배출구(13)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
이 때, 열교환기(30)를 지나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는 열교환판을 통해 열교 환하게 된다. 이 과정을 상술하면, 열교환기(30)에서 일어나는 열교환은 급기되는 실외공기와 배기되는 실내공기 사이에 일어나는 현열교환과,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 중 고온의 공기가 노점온도(dew point temp.) 이하의 상태가 되면서 생성된 응축수에 의한 잠열교환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열교환 방식의 환기장치의 경우, 실내가 냉방 또는 난방 분위기일 때 급기되는 실외공기가 실내공기와 1차적으로 열교환된 다음 실내로 유입됨에 따라, 실내온도의 급격한 상승이나 하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폐열회수 환기장치는 상기 열교환기(30)와 덕트(1)의 내주면 사이에는 댐퍼(40)가 더 구비된다.
이 댐퍼(40)는 열교환기(30)와 덕트(1)의 내주면 사이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모터(미도시)에 의해 힌지(60)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즉, 댐퍼(40)는 실내에 난방이나 냉방을 할 필요가 없고, 별도로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이를 걱정할 필요가 없는 계절인 봄이나 가을철에 원활한 실내 환기를 위해 덕트(1)를 확실히 개방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폐열회수 환기장치는 바이패스 장치 즉, 댐퍼(40)가 열교환기(30)와 덕트(1)의 내주면 사이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하는 장치를 가지는데, 이러한 바이패스 장치는 폐열회수 환기장치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수용되기 때문에, 폐열회수 환기장치의 부피와 중량이 증가하게 되고 형상이 정형화되어 있어서, 이 부피와 중량의 증가 및 형상 정형화에 따라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설치하는 공간 상에서 제약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군다나, 폐열회수 환기장치는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바이패스 장치가 불필요한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는데, 종래에는 바이패스 장치의 탈부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바이패스 장치를 장착한 채로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탈부착이 가능한 바이패스 장치를 구비하여 부피와 중량의 증가 및 형상 정형화에 따른 설치 공간 상의 제약을 감소시킬 수 있고, 설치가 상당히 편리하여 작업성이 용이한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급기팬의 가동으로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급기덕트와, 상기 급기덕트와 교차되며 배기팬의 가동으로 실내 공기가 실외로 유출되도록 하는 배기덕트로 분할되는 덕트; 및 상기 급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가 교차하는 지점에 구비되고, 상기 급기덕트와 연통되는 다수의 급기통로와 상기 배기덕트와 연통되는 다수의 배기통로가 서로 인접하게 구획되며, 상기 급기통로 및 상기 배기통로에 내재한 공기를 서로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급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가 연결되도록 상기 덕트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바이패스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바이패스 장치는 상기 덕트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한 것을 포함하는 바이패스 장치를 구비한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바이패스 장치는, 상기 덕트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구멍들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급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를 서로 연결하는 바이패스 배관과, 상기 바이패스 배관의 내부에 구비되어 모터의 구동으로 인해 상기 바이패스 배관을 소통시키거나 차단시키는 댐퍼를 포함한다.
상기 바이패스 배관은 형상 변형이 가능하도록 연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이패스 배관이 상기 덕트에 부착될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배관과 상기 구멍들과 인접한 부위가 서로 볼트에 의해 체결되거나, 상기 바이패스 배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스크류와 상기 구멍들에 형성된 암스크류의 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 환기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 환기장치에서 바이패스 장치의 부착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 환기장치에서 바이패스 장치의 다른 부착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 환기장치는 덕트(101), 열교환기(130), 및 바이패스 장치(200)를 포함한다.
먼저, 덕트(101)는 급기팬(115)의 가동으로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급기덕트(110)와, 급기덕트(110)와 교차되며 배기팬(125)의 가동으로 실내 공기가 실외로 유출되도록 하는 배기덕트(120)로 분할된다.
상기 급기덕트(110)와 배기덕트(120)는 덕트(101)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격벽(103)에 의해 서로 간섭을 받지않게 된다.
이 덕트(101)의 외부에는 구멍(102)들이 형성된다.
이 구멍(102)들은 급기덕트(110)와 배기덕트(120)에 해당하는 부분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덕트(101)의 상, 하, 좌, 우면 중 어느 한 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덕트(101)는 급기덕트(110)의 일단에 실외와 연통되는 급기흡입구(111)가 형성되고 타단에 실내와 연통되는 급기배출구(113)가 형성되며, 배기덕트(120)의 일단에 실내와 연통되는 배기흡입구(121)가 형성되고 타단에 실외와 연통되는 배기배출구(123)가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기(130)는 급기덕트(110)와 배기덕트(120)가 교차하는 지점에 구비된다.
상기한 열교환기(130)의 내부 구조 및 열교환 기능은 종래기술에 이미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한편, 상기 바이패스 장치(200)는 덕트(101) 내의 공기가 열교환기(130)를 통과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급기덕트(110)와 배기덕트(120)가 서로 연결되도록 덕트(101)의 외주면에 구비된다.
이러한 바이패스 장치(200)는 덕트(101)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하다.
실시예에서, 바이패스 장치(200)는 덕트(10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구멍(102)들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급기덕트(110)와 배기덕트(120)를 서로 연결하는 바이패스 배관(201)과, 이 바이패스 배관(201)의 내부에 구비되어 모터(202)의 구동으로 인해 바이패스 배관(201)을 소통시키거나 차단시키는 댐퍼(20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바이패스 장치(200)가 덕트(101)에 부착이 될 경우, 모터(202)는 제어부(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바이패스 장치(200)는 덕트(101)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이패스 장치(200)를 탈착했을 경우에 종래기술에 비해 폐열회수 환기장치의 부피와 중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어서, 슬림화된 부피와 감량된 중량에 따라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설치하는 공간 상에서 제약을 훨씬 덜 받게 되는 장점이 있다.
더군다나,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바이패스 장치(200)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바이패스 장치(200)의 탈거가 가능하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바이패스 장치(200)를 장착한 채 사용할 필요가 없고, 바이패스 장치(200)를 제거하므로서 비용절감 및 사후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바이패스 배관(201)은 형상 변형이 가능하도록 연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연성재질로는 연성의 고무, 플라스틱, 금속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이패스 배관(201)이 연성재질로 이루어진다면, 다양한 형태로 형상 변형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작업이 더 편리하고, 자유로이 굴곡 및 굴절이 가능하므로 설치 공간에 제약을 훨씬 덜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바이패스 배관(201)이 덕트(101)에 부착될 경우, 볼트 방식 또는 스크류 방식을 사용한다.
상기 볼트 방식일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배관(201)과 덕트(101)에서 구멍(102)들과 인접한 부위가 서로 볼트(210)에 의해 체결된다. 이 때 구멍(102)들과 인접한 부위에는 볼트(210)가 끼워지는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류 방식일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배관(201')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스크류(230)와 구멍(102')들에 형성된 암스크류(231)의 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 환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페열회수 환기장치에서 바이패스 장치(200)를 탈거시키게 되면, 실내공기가 어느 정도 오염되었을 때 배기팬(125)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실내공기가 배기흡입구(121)를 통해 배기덕트(120)로 유입된 다음, 열교환기(130)의 배기통로를 지나 배기배출구(123)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급기팬(115)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신선한 실외공기가 급기흡입구(111)를 통해 급기덕트(110)로 유입된 다음, 열교환기(130)의 급기통로를 지나 급기배출구(113)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
한편, 실내에 난방이나 냉방을 할 필요가 없고 별도로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 이를 걱정할 필요가 없는 계절인 봄이나 가을철에 원활한 실내 환기를 위해 페열회수 환기장치에서 바이패스 장치(200)를 덕트(101)에 부착시키기 위한 과정은, 먼저 구멍(102)들을 막고 있는 차단판(미도시)을 제거한 후에, 바이패스 장치(200)의 바이패스 배관(201)을 덕트(101)에 볼트(210)로서 체결한다. 그 후에 바이패스 장치(200)에서 모터(202)를 제어부(220)와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후에, 리모컨이나 덕트(101) 외부에 구비된 환기모드 개방버튼을 누르게 되면, 제어부(220)가 모터(202)를 구동시켜 댐퍼(203)를 개방시키고, 바이패스 배관(201)을 통해 공기를 소통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은 바이패스 장치를 구비한 폐열회수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이패스 장치가 덕트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이패스 장치를 탈착했을 경우에 종래기술에 비해 폐열회수 환기장치의 부피와 중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어서, 슬림화된 부피와 감량된 중량에 따라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설치하는 공간 상에서 제약을 훨씬 덜 받게 되어 작업자가 작업하기 용이한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장치를 구비한 폐열회수 환기장치는,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바이패스 장치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바이패스 장치의 탈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바이패스 장치를 장착한 채 사용할 필요가 없고, 바이패스 장치를 제거하므로서 비용절감 및 사후관리 비용을 훨씬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장치를 구비한 폐열회수 환기장치는, 바이패 스 배관이 연성재질로 이루어지므로서, 다양한 형태로 형상 변형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작업이 더 편리하고, 자유로이 굴곡 및 굴절이 가능하므로 설치 공간에 제약을 훨씬 덜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급기팬의 가동으로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급기덕트와, 상기 급기덕트와 교차되며 배기팬의 가동으로 실내 공기가 실외로 유출되도록 하는 배기덕트로 분할되는 덕트; 및
    상기 급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가 교차하는 지점에 구비되고, 상기 급기덕트와 연통되는 다수의 급기통로와 상기 배기덕트와 연통되는 다수의 배기통로가 서로 인접하게 구획되며, 상기 급기통로 및 상기 배기통로에 내재한 공기를 서로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덕트 내의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지 않도록 상기 급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가 연결되도록 상기 덕트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바이패스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바이패스 장치는 상기 덕트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한 것을 포함하는 바이패스 장치를 구비한 폐열회수 환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장치는, 상기 덕트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구멍들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급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를 서로 연결하는 바이패스 배관과, 상기 바이패스 배관의 내부에 구비되어 모터의 구동으로 인해 상기 바이패스 배관을 소통시키거나 차단시키는 댐퍼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장치를 구비한 폐열회수 환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배관은 형상 변형이 가능하도록 연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바이패스 장치를 구비한 폐열회수 환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배관이 상기 덕트에 부착될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배관과 상기 구멍들과 인접한 부위가 서로 볼트에 의해 체결되거나, 상기 바이패스 배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스크류와 상기 구멍들에 형성된 암스크류의 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바이패스 장치를 구비한 폐열회수 환기장치.
KR1020060059661A 2006-06-29 2006-06-29 바이패스 장치를 구비한 폐열회수 환기장치 KR200800013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661A KR20080001312A (ko) 2006-06-29 2006-06-29 바이패스 장치를 구비한 폐열회수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661A KR20080001312A (ko) 2006-06-29 2006-06-29 바이패스 장치를 구비한 폐열회수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312A true KR20080001312A (ko) 2008-01-03

Family

ID=39213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9661A KR20080001312A (ko) 2006-06-29 2006-06-29 바이패스 장치를 구비한 폐열회수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1312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410B1 (ko) * 2013-07-09 2013-11-22 주식회사 삼영 폐열회수환기장치의 결로방지를 위한 외기온도상승장치
KR101628317B1 (ko) 2015-11-23 2016-06-08 이윤미 열회수형환기장치
KR101703672B1 (ko) * 2015-08-11 2017-02-08 박정호 전열교환기의 바이패스장치
KR20190001916U (ko) 2018-01-19 2019-07-29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벽면설치가 가능한 열회수형환기장치
KR102093936B1 (ko) 2018-10-02 2020-03-26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벽면설치가 가능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US10983946B2 (en) 2011-03-17 2021-04-20 Carefusion 303, Inc. Scalable communication system
US11087873B2 (en) 2000-05-18 2021-08-10 Carefusion 303, Inc. Context-aware healthcare notification system
EP4345394A1 (en) * 2022-09-28 2024-04-03 Carrier Corporation Bypass ventilato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87873B2 (en) 2000-05-18 2021-08-10 Carefusion 303, Inc. Context-aware healthcare notification system
US10983946B2 (en) 2011-03-17 2021-04-20 Carefusion 303, Inc. Scalable communication system
KR101332410B1 (ko) * 2013-07-09 2013-11-22 주식회사 삼영 폐열회수환기장치의 결로방지를 위한 외기온도상승장치
KR101703672B1 (ko) * 2015-08-11 2017-02-08 박정호 전열교환기의 바이패스장치
KR101628317B1 (ko) 2015-11-23 2016-06-08 이윤미 열회수형환기장치
KR20190001916U (ko) 2018-01-19 2019-07-29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벽면설치가 가능한 열회수형환기장치
KR102093936B1 (ko) 2018-10-02 2020-03-26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벽면설치가 가능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EP4345394A1 (en) * 2022-09-28 2024-04-03 Carrier Corporation Bypass ventil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987400U (zh) 一种厨房空气调节系统
KR20080001312A (ko) 바이패스 장치를 구비한 폐열회수 환기장치
KR101279997B1 (ko) 외장형 바이패스 기능을 갖는 열회수형 환기장치
CN110360622A (zh) 厨房空气调节系统
KR100816918B1 (ko) 환기 겸용 공기 조화기
KR100699398B1 (ko) 천장 현수형 공기 조화 장치
CN110657523A (zh) 厨房空气调节系统
KR101628317B1 (ko) 열회수형환기장치
CN204853609U (zh) 一种油烟机
CN104603546A (zh) 调湿装置
CN110966671A (zh) 厨房空调系统
CN201209935Y (zh) 一种新风换气装置
KR100747802B1 (ko)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KR20090078175A (ko) 팬코일유닛
KR101437104B1 (ko) 격자구조물을 이용한 공기조화시스템
KR100696716B1 (ko)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이용한 멀티시스템
KR101862556B1 (ko) 냉각탑 및 그 제어 방법
CN215863797U (zh) 一种厨房空调系统
CN210511918U (zh) 空调柜机
JPH0261446A (ja) 熱交換器付換気装置
KR100730649B1 (ko) 국부 공조 시스템
CN112303731A (zh) 空调柜机
CN215909282U (zh) 厨房空调系统
CN218495459U (zh) 冰箱
CN215675717U (zh) 风机组件及具有其的厨房空调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